당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진시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위치한 시로, 백제 시대부터 역사적 지위를 가지며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1914년 당진군과 면천군이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고, 2012년 도농복합 형태의 당진시로 승격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철강 산업이 발달했으며,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대규모 제철소가 위치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서해선 등이 지나 교통이 편리하며, 왜목마을, 삽교호, 솔뫼성지 등 관광 명소와 기지시 줄다리기 민속축제와 같은 문화 행사가 열린다. 또한, 김대건 신부, 아이키, 금보라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진시의 행정 구역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당진시의 행정 구역 - 당진동
당진동은 2012년 당진시 설치와 함께 당진1동, 당진2동, 당진3동으로 재편되어 신설된 충청남도 당진시의 행정동으로, 각 동은 고유의 관할 구역, 행정복지센터,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주요 교통망을 통해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 충청남도의 도시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논산시
논산시는 충청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며 삼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행정구역 변화를 겪고 기호학파의 중심지였으며, 1996년 시로 승격 후 논산평야를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했고, 교통의 요충지이자 육군훈련소와 문화유적,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당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당진시 |
한글 표기 | 당진시 |
한자 표기 | 唐津市 |
로마자 표기 | Dangji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Tangjin |
지방 | 호서 |
방언 | 충청 방언 |
시청 소재지 | 당진시 시청1로 1 (수청동 1002) |
면적 | 664.13km² |
총 인구 | 171,213명 (2024년 9월 기준) |
인구 밀도 | 176.8명/km² |
행정 구역 | 2읍, 9면, 3동 |
![]() | |
행정 및 정치 | |
상위 자치 단체 | 충청남도 |
시장 | 오성환(국민의힘) |
국회의원 | 어기구(더불어민주당, 당진시)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진달래 |
시조 | 학 |
기타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당진시 공식 홈페이지 |
사진 | |
![]() | |
![]() | |
![]() |
2. 역사
당진시는 백제 시대 벌성군 등으로 불린 이래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이다. 신라와 고려 시대를 거치며 여러 이름으로 불렸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 당진군이 설치되면서 '당진'이라는 명칭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일제 강점기인 1914년에는 군면병합 정책에 따라 인근 면천군과 통합되는 변화를 겪었다.[26]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꾸준히 발전하여 인구가 증가하였고, 마침내 2012년 1월 1일 군에서 '''당진시'''로 승격되었다.[32] 자세한 시대별 역사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고대
백제 시대에는 벌성군, 벌수지현, 벌촌현, 당평현 등으로 불렸다. 신라 경덕왕 때에는 혜성군 당평부로 개칭되었다.2. 2. 고려 시대
고려 성종 2년(983년)에는 당주(唐州)로 불렸으며, 현종 9년(1018년)에는 벌주(伐州)로 개칭되었다. 예종 원년(1106년)에는 당평현(唐平縣)에 감무가 파견되었고, 공민왕 7년(1358년)에는 서부목(西部牧)으로 승격되었다.황해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상 중국과의 무역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외부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일찍부터 읍성이 축조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충렬왕 16년(1290년)에 읍성이 처음 세워졌다고 전해지지만[2], 실제로는 백제 시대에 처음 지어진 후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외침 방어를 위해 지속적으로 보수된 것으로 여겨진다.[2]
2. 3. 조선 시대
당진이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에 이 지역을 가리키는 데 처음 사용되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년)부터 1895년(조선 고종 32년)까지는 충청도의 당진현이었다.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충청도 당진군에 현감이 설치되었다.
면천읍성은 백제 시대에 처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시대에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여러 차례 고쳐 지어졌다. 태종 13년(1413년)과 경종 때에도 재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
조선 고종 32년(1895년)에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이 8개의 면(군내면, 동면, 남면, 상대면, 하대면, 고산면, 외맹면, 내맹면)으로 나뉘었다.
2. 4. 일제 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개편 정책인 군면병합에 따라 기존의 당진군과 면천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당진군'''이 발족하였다.[26] 이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른 것으로, 당시 행정구역 개편 내용은 아래와 같다.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4년)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구 당진군 | 군내면(郡內面), 동면(東面), 남면(南面) | 이배면 |
내맹면(內孟面), 외맹면(外孟面) , 도동면(島洞面), 고산면(高山面) 일부 | 석문면 | |
고산면(高山面) 일부, 상대면(上大面), 하대면(下大面) | 고대면 | |
구 면천군 | 읍내면(邑內面), 송암면(松岩面), 마산면(馬山面) | 마암면 |
가화면(加禾面), 덕두면(德頭面), 죽림면(竹林面), 정계면(淨界面) | 순성면 | |
범천면(泛川面), 이서면(二西面) | 범천면 | |
승선면(昇仙面), 중흥면(中興面), 손동면(蓀洞面), 초천면(草川面) | 송악면 | |
송산면(松山面), 감천면(甘泉面), 창택면(倉宅面) | 송산면 | |
현내면(縣內面), 신남면(新南面), 신북면(新北面) | 신평면 | |
비방면(菲芳面), 합남면(合南面), 합북면(合北面) | 합덕면 |
이 개편으로 당진군은 총 10개의 면(이배면, 고대면, 석문면, 마암면, 송산면, 순성면, 범천면, 합덕면, 송악면, 신평면)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후 다음과 같은 행정구역 명칭 변경이 있었다.
- 1917년 10월 1일: 이배면(螭背面)이 당진면(唐津面)으로, 마암면(馬岩面)이 면천면(沔川面)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27]
- 1942년 10월 1일: 범천면(泛川面)이 우강면(牛江面)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5. 대한민국
- 1957년 11월 6일 서산군 대호지면, 정미면을 편입하였다.[28] (12면)
- 1963년 1월 1일 당진면을 당진읍으로 승격하였다.[29] (1읍 11면)
- 1973년 7월 1일 합덕면을 합덕읍으로 승격하였고,[30] 정미면의 일부가 서산군 운산면에 편입되었다. (2읍 10면)
- 1995년 6월 27일 군수 선거에서 김낙성이 당선되었다.
- 1998년 6월 4일 군수 선거에서 김낙성이 재선되었다.
- 2002년 6월 13일 군수 선거에서 김낙성이 3선되었다.
- 2004년 6월 5일 군수 선거에서 민종기가 당선되었다.
- 2006년 5월 31일 군수 선거에서 민종기가 재선되었다.
- 2010년 1월 1일 송악면을 송악읍으로 승격하였다.[31] (3읍 9면)
- 2011년 6월 2일 군수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소속 이철환이 당선되었다.
- 2012년 1월 1일 당진군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당진시'''를 설치하고,[32] 기존 당진읍은 당진1동, 당진2동, 당진3동으로 개편하였다.[33] (2읍 9면 3행정동) 이는 인구 급증에 따른 조치였다.
3. 지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3. 1. 인접 지역
당진시는 태안반도에 위치하면서 황해와 맞닿아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북쪽으로만 바다를 접한 시이다.[34]방향 | 인접 지역 (육지) | 인접 지역 (해상) |
---|---|---|
동쪽 | 아산시 | - |
서쪽 | 서산시 | - |
남쪽 | 예산군 | - |
북쪽 | 경기도 평택시 | 경기도 평택시 (아산만 경계) 인천광역시 옹진군 (먼바다) 경기도 화성시 (먼바다) 경기도 안산시 (먼바다) |
3. 2. 지형 및 기후
태안반도에 위치하며 황해와 맞닿아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북쪽으로만 바다를 접한 시이다. 육지에서는 동쪽으로 아산시, 서쪽으로 서산시, 남쪽으로 예산군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아산만을 사이에 두고 경기도 평택시와 마주보고 있다. 먼 바다에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경기도 화성시, 안산시와 접하고 있다.당진시는 온순 기후에 해당되어 4계절이 뚜렷한 기후형으로, 겨울철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고 여름에는 남동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기후적 특성을 보인다.[34]
- 산: 아미산(峨嵋山)
- 하천: 삽교천(挿橋川)
- 호소: 삽교호(挿橋湖)
3. 3. 지질

당진시는 경기 육괴의 서부에 위치하여, 지질의 대부분이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들로 구성되어 있다. 당진시 남동부에는 중생대의 대보 화강암류가 관입해 있다. 당진시에는 당진 단층이 지난다.[35]
4. 행정 구역
당진시의 행정 구역은 2읍 9면 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진시의 면적은 694.87km2[36]이며, 인구는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16만 6630 명, 7만 3434 가구이다.[37]
읍면동 | 한자 | 면적 (km²) | 인구 (명) | 세대 (가구) |
---|---|---|---|---|
당진1동 | 唐津1洞 | 6.03km2 | 24,700 | 11,002 |
당진2동 | 唐津2洞 | 29.6km2 | 19,980 | 7,952 |
당진3동 | 唐津3洞 | 15.6km2 | 19,129 | 6,891 |
합덕읍 | 合德邑 | 51.32km2 | 10,055 | 4,864 |
송악읍 | 松嶽邑 | 79.76km2 | 26,911 | 12,753 |
고대면 | 高大面 | 65.35km2 | 5,882 | 2,761 |
석문면 | 石門面 | 94.27km2 | 8,900 | 4,514 |
대호지면 | 大湖芝面 | 65.85km2 | 2,605 | 1,286 |
정미면 | 貞美面 | 49.58km2 | 3,803 | 1,936 |
면천면 | 沔川面 | 39.24km2 | 3,723 | 1,781 |
순성면 | 順城面 | 44.39km2 | 5,518 | 2,516 |
우강면 | 牛江面 | 38.86km2 | 5,768 | 2,486 |
신평면 | 新平面 | 54.32km2 | 17,302 | 6,987 |
송산면 | 松山面 | 62.57km2 | 12,354 | 5,705 |
합계 | 694.87km2 | 166,630 | 73,434 |
4. 1. 읍
'''합덕읍'''(合德邑|합덕읍한국어)은 면적 51.32km2, 인구 10,055명, 4,864세대의 읍이다. 관할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도곡리 | 소소리 | 석우리 | 운산리 | 성동리 |
대합덕리 | 대전리 | 신리 | 신석리 | 옥금리 |
도리 | 합덕리 | 어유원리 | 신흥리 |
'''송악읍'''(松嶽邑|송악읍한국어)은 면적 79.76km2, 인구 26,911명, 12,753세대의 읍이다. 관할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기지시리 | 가교리 | 방계리 | 본당리 | 청금리 | 봉교리 |
광명리 | 반촌리 | 영천리 | 금곡리 | 전대리 | 도원리 |
복운리 | 중흥리 | 오곡리 | 부곡리 | 한진리 | 고대리 |
월곡리 | 정곡리 | 석포리 | 가학리 |
4. 2. 면
당진시에는 9개의 면이 있다. 각 면의 현황은 아래와 같다.면 | 한자 | 면적 (km²) | 인구 | 세대 |
---|---|---|---|---|
고대면 | 高大面 | 65.35km2 | 5,882 | 2,761 |
석문면 | 石門面 | 94.27km2 | 8,900 | 4,514 |
대호지면 | 大湖芝面 | 65.85km2 | 2,605 | 1,286 |
정미면 | 貞美面 | 49.58km2 | 3,803 | 1,936 |
면천면 | 沔川面 | 39.24km2 | 3,723 | 1,781 |
순성면 | 順城面 | 44.39km2 | 5,518 | 2,516 |
우강면 | 牛江面 | 38.86km2 | 5,768 | 2,486 |
신평면 | 新平面 | 54.32km2 | 17,302 | 6,987 |
송산면 | 松山面 | 62.57km2 | 12,354 | 5,705 |
- 인구 및 세대수는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이다.[37]
각 면에 속하는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면 | 법정리 |
---|---|
고대면 | 당진포리, 대무리, 성산리, 서항리, 옥현리, 용두리, 장항리, 진관리, 항곡리 |
석문면 | 교로리, 난지도리, 삼봉리, 삼화리, 장고항리, 초락도리, 통정리 |
대호지면 | 도리, 두산리, 마중리, 사성리, 송담리, 장리, 적서리, 조금리, 출포리 |
정미면 | 대운산리, 대조리, 덕마리, 덕삼리, 도산리, 매방리, 모평리, 봉생리, 봉성리, 사관리, 산성리, 수당리, 승산리, 신시리, 우산리, 천의리, 하성리 |
면천면 | 대치리, 문봉리, 사기소리, 삼웅리, 성상리, 성하리, 송학리, 원동리, 율사리, 자개리, 죽동리 |
순성면 | 갈산리, 광천리, 나산리, 백석리, 본리, 봉소리, 성북리, 아찬리, 양유리, 옥호리, 중방리 |
우강면 | 강문리, 공포리, 내경리, 대포리, 부장리, 성원리, 세류리, 소반리, 송산리, 신촌리, 원치리, 창리 |
신평면 | 거산리, 금천리, 남산리, 도성리, 매산리, 부수리, 상오리, 신당리, 신송리, 신흥리, 운정리, 초대리, 한정리 |
송산면 | 가곡리, 금암리, 당산리, 도문리, 동곡리, 매곡리, 명산리, 무주리, 부곡리, 3월리, 상거리, 송석리, 유곡리 |
4. 3. 행정동
당진시의 행정동은 3개로 구성되어 있다.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당진1동 | 唐津1洞 | 6.03km2 | 24,700 | 11,002 |
당진2동 | 唐津2洞 | 29.6km2 | 19,980 | 7,952 |
당진3동 | 唐津3洞 | 15.6km2 | 19,129 | 6,891 |
- 인구 및 세대: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37]
아래는 각 행정동이 관할하는 법정동 목록이다.
5. 산업
당진시는 농림어업(1차산업),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이 복합적으로 발달한 지역이다. 특히 현대제철을 비롯한 여러 공장이 입주하여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이들 시설은 당진항을 통해 물류를 지원받는다.[4]
5. 1.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2014년 당진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71,801명으로 충청남도 전체 종사자 수의 8.8%를 차지한다. 산업별 종사자 현황은 아래와 같다.[38]구분 | 종사자 수 (명) | 비중 (%) | 충청남도 전체 비중 대비 |
---|---|---|---|
농림어업 (1차 산업) | 321 | 비중 낮음 | - |
광업 및 제조업 (2차 산업) | 27,148 | 37.8 | 높음 (충남 32.8%) |
상업 및 서비스업 (3차 산업) | 44,279 | 61.7 | 낮음 (충남 66.7%) |
총 종사자 수 | 71,801 | 충남 전체의 8.8% | |
3차 산업 주요 부문별 비중 (전체 종사자 대비) | |||
도소매업 | 9.6% | - | |
숙박 및 음식업 | 9.1% | - | |
건설업 | 8.0% | - | |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 6.2% | - |
5. 2. 지역 내 총생산 (2016년)
당진시의 2016년 지역내 총생산(GRDP)은 12.6346조원으로, 충청남도 전체 지역내 총생산의 9.2%를 차지한다.[39] 산업별 비중을 보면, 농림어업(1차산업)은 7145억원(1.9%),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28.6932조원(74.8%),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8.976799999999999조원(23.4%)이다.[39] 3차산업 부문에서는 서해안 신산업단지 건설 등의 영향으로 건설업(7.8%),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산업(7.5%), 운수업(1.4%), 공공행정(0.9%)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9]5. 3. 주요 산업 시설
당진시는 현대제철, 동국제강, KG스틸 등 대규모 제철 기업들이 입주한 주요 철강 산업 도시이다. 현대제철은 과거 한보철강의 자산을 인수하여 설립되었으며[23], 2015년에는 현대하이스코를 통합하였다. 동부제철(현 KG스틸)은 2014년 경영 악화로 전기로 가동을 중단하기도 했다.이들 제철소를 포함한 여러 공장들은 당진항을 통해 물류를 지원받는다. 당진항은 화물항으로 총 5개의 부두를 갖추고 있으며, 이 중 2개는 강판 운송 전용 부두이다.[4]
구분 | 명칭 |
---|---|
산업단지 | 석문산업단지 |
산업단지 | 부곡산업단지 |
산업단지 | 송산산업단지 |
농공단지 | 합덕농공단지 |
농공단지 | 면천농공단지 |
6. 교통
당진시는 서해안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가 잘 연결되어 있어 도로 교통이 편리하다. 대중교통으로는 당진여객이 운영하는 당진시의 시내버스와 당진종합버스터미널 등 여러 터미널을 통해 시외 및 고속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철도 교통의 경우,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서해선 합덕역이 있으며, 추가적인 철도 노선 계획도 진행 중이다.
6. 1. 도로
- '''고속도로'''
- * 서해안고속도로: (서산 나들목) ← 당진 분기점 - 당진 나들목 - 송악 나들목 - 행담도휴게소 - 서해대교 → (서평택 나들목)
- * 서산영덕고속도로: (계획중) ← 당진 분기점 - 면천 나들목 - 면천 휴게소 → (고덕 나들목)
- * 당진-울진 고속도로 (계획중)[40]
- '''국가지원지방도'''
-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 '''지방도'''
- * 지방도 제615호선
- * 지방도 제619호선
- * 지방도 제622호선
- * 지방도 제633호선
- * 지방도 제647호선
- * 지방도 제649호선
6. 2. 대중교통
- 당진시의 시내버스는 당진여객이 운영하고 있다.
- 주요 버스 터미널 및 정류소는 다음과 같다.
- 당진종합버스터미널
- 합덕시외버스터미널
- 삽교천시외버스터미널
- 신평버스터미널
- 기지시정류소
- 당진종합버스터미널: 당진시청에서 북쪽으로 약 1km 거리에 있다.
- 고속버스: 서울고속버스터미널(호남선) 방면 노선이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 시간은 1시간 40분이다. 대전 방면 노선은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
- 시외버스: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천안, 평택 등지로 가는 노선이 있다.
- 합덕시외버스터미널: 당진시 남동부에 위치한다.
6. 3. 철도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서해선 합덕역이 아산시와 예산군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동서산업철도가 계획 중에 있다.7. 관광 및 문화
당진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기지시줄다리기 관련 문화 자원과 서해안이면서도 일출과 일몰을 모두 감상할 수 있는 왜목마을 등 특색 있는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삽교호국민관광지(함상공원 포함), 도비도, 독일인 마을 등이 있으며, 천주교 성지인 솔뫼성지와 신리성지도 중요한 방문지이다. 또한 심훈 선생을 기리는 상록수문화관(필경사)과 농경 문화를 보여주는 합덕수리민속박물관, 체험형 목장인 아그로랜드 태신목장,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등 다양한 테마의 시설이 있다.
시민들을 위한 문화·체육 시설로는 당진문예의전당, 당진교육문화스포츠센터, 당진문화원, 당진종합운동장 등이 운영되고 있으며, 남산공원(당진1동), 상록수공원(송악읍), 소들공원(합덕읍) 등 휴식 공간도 잘 갖추어져 있다. 청소년들을 위한 당진청소년문화의집, 합덕청소년문화의집과 지역 복지를 위한 당진북부사회복지관도 운영 중이다. 당진해양관광공사는 지역 해양 관광 활성화를 담당한다.
7. 1. 관광지
- 왜목마을: 서해안의 아산만과 황해로 돌출된 독특한 지형 덕분에 일출과 일몰을 모두 감상할 수 있는 명소이다. 매년 해돋이 축제가 열리며, 드라마 슬픈 연가의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삽교호국민관광지: 함상공원이 함께 조성되어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 도비도: 섬 전체가 관광지로 개발되어 휴양과 관광을 즐길 수 있다.
- 한진포구: 신선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는 포구이다.
- 솔뫼성지: 한국 최초의 천주교 사제인 김대건 신부가 태어난 유서 깊은 성지이다.
- 신리성지: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 시기 다블뤼 주교를 비롯한 많은 신자들이 활동했던 중요한 천주교 성지이다.
- 아그로랜드 태신목장: 넓은 초원에서 낙농 체험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목장형 테마파크이다.
-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매년 4월 개최되는 기지시줄다리기 민속 축제(지름 1m, 길이 200m의 줄 사용)의 역사와 의미를 알 수 있는 박물관이다.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웹사이트
- 상록수문화관 (필경사): 심훈 선생의 문학 정신을 기리는 곳이다.
- 합덕수리민속박물관: 합덕제 등 지역의 농경 및 수리(水利) 역사를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 독일인 마을: 한국에 정착한 독일 교포들이 거주하는 마을이다.
- 기타: 남산공원(당진1동), 당진교육문화스포츠센터, 당진문예의전당, 당진문화원, 당진종합운동장, 상록수공원(송악읍), 소들공원(합덕읍) 등 다양한 문화 및 휴식 공간이 있다.
7. 2. 문화 시설
-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https://web.archive.org/web/20140114102440/http://gijisijuldaligi.dangjin.go.kr/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홈페이지]
- * 매년 4월에 지름 1m, 길이 200m의 줄을 사용하는 기지시 줄다리기 민속 축제가 열린다.
- 당진교육문화스포츠센터
- 당진문예의전당
- 당진문화원
- 당진종합운동장
- [https://www.dangjin.go.kr/dj1388/sub03_00.do 당진청소년문화의집]
- 상록수문화관 (필경사)
- 합덕수리민속박물관
- [https://www.dangjin.go.kr/dj1388/sub04_00.do 합덕청소년문화의집]
- [https://blog.naver.com/djbw3544401 당진북부사회복지관]
7. 3. 축제
- '''기지시 줄다리기 민속 축제''': 매년 4월, 지름 1m, 길이 200m의 거대한 줄을 이용한 줄다리기 축제가 열린다. 관련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는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이 있다.
- '''왜목마을 해돋이 축제''': 당진시는 한반도 서해안에 위치하지만, 왜목마을과 같이 아산만과 황해로 돌출된 지형에서는 일몰과 일출을 모두 감상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매년 해돋이 축제가 개최되며, 드라마 슬픈 연가의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7. 4. 공원
8. 교육
당진시에는 신성대학교와 호서대학교 산학융합캠퍼스, 세한대학교 당진캠퍼스 등의 고등교육기관이 있다.
2005년 3월 기준으로 당진에는 초등학교 33개교,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8개교, 유치원 38개원이 있었으며, 총 14,293명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었다.[3] 모든 교육기관은 당진교육청의 감독을 받는다.
=== 고등교육기관 ===
=== 고등학교 ===
=== 중학교 ===
=== 초등학교 ===
학교명 | 비고 |
---|---|
계성초등학교 | |
고대초등학교 | |
고산초등학교 | |
기지초등학교 | |
당산초등학교 | |
당진초등학교 | |
대덕초등학교 | |
면천초등학교 | |
북창초등학교 | |
삼봉초등학교 | 난지분교 포함 |
상록초등학교 | |
서정초등학교 | |
석문초등학교 | |
성당초등학교 | |
송산초등학교 | |
송악초등학교 | |
순성초등학교 | |
신촌초등학교 | |
신평초등학교 | |
우강초등학교 | |
원당초등학교 | |
유곡초등학교 | |
전대초등학교 | |
정미초등학교 | |
조금초등학교 | |
천의초등학교 | |
초락초등학교 | |
탑동초등학교 | |
한정초등학교 | |
합덕초등학교 | |
합도초등학교 |
9. 출신 인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당진시 출신 문서를 참고하라.
9. 1. 종교
김대건 안드레아는 천주교 사제로, 한국 최초의 천주교 사제이자 순교자이다. 그는 한국 천주교 사제들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8]9. 2. 정치/행정
=== 역대 민선 시장 및 군수 ===
- 민선 1·2·3기: 김낙성 (3선 당진군수)
- 민선 3·4기: 민종기 (재선 당진군수)
- 민선 5기: 이철환 (당진군수 및 초대 당진시장)
- 민선 6·7기: 김홍장 (재선 당진시장, 더불어민주당)
- 민선 8기(현직): 오성환 (당진시장, 국민의힘)
=== 시의회 ===
당진시의회는 총 1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 지역구 의원: 10명 (4개 선거구)
- 비례대표 의원: 2명
=== 관련 정치인 ===
- 송영진
9. 3. 기업
- 이종문(Chong Moon Lee영어), 기업가이자 자선가[9]
9. 4. 스포츠
이름 | 종목 | 주요 경력 및 특이사항 |
---|---|---|
최용수 | 권투 | [11] |
김은지 | 컬링 | [12] |
한명우 | 레슬링 | 1988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13] |
김기동 | 축구 | 선수, 감독[14] |
김기정 | 배드민턴 | |
이종성 | 축구 | [15] |
박성우 | 배드민턴 | 선수, 감독[16] |
서명원 | 축구 | [17] |
신현주 | 사격 | |
유용성 | 배드민턴 | 올림픽 메달리스트 (2회 수상)[18] |
9. 5. 연예/문화
10. 자매 도시
당진시는 대한민국 국내의 여러 지방자치단체 및 미국, 일본 등의 해외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상세한 자매결연 현황은 아래와 같다.
10. 1. 국내
10. 2. 해외
국가 | 지역 | 도시명 | 관계 및 협정 체결 시기 | 비고 |
---|---|---|---|---|
미국 | 워싱턴주 | 스노호미쉬 군 | 제휴 시기 불명 | [19] |
미국 | 뉴저지주 | 버겐 군 | 2000년 12월 1일 우호 친선 교류 협정 체결 | |
중화인민공화국 | 산둥성 | 자보 | 관계 및 협정 시기 정보 없음 | [20] |
중화인민공화국 | 랴오닝성 | 톄링 시 | 2002년 8월 28일 우호 친선 교류 협정 체결 | |
중화인민공화국 | 지린성 연변 | 왕칭 현 | 2002년 9월 우호 친선 교류 협정 체결 | |
일본 | 아키타현 | 다이센시 | 2007년 8월 우호 교류 협정 체결 2015년 4월 우호 증진 협약 체결 | [21]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唐津沔川邑城(당진면천읍성) - 景點 - 韓國旅行和旅遊信息
https://www.koreatri[...]
2023-08-10
[3]
웹사이트
일반현황
http://www.cndje.go.[...]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6-01-09
[5]
웹사이트
[종합] `전참시` 아이키, 고향 당진 방문...은사·부모님께 감사
https://www.mk.co.kr[...]
2024-11-20
[6]
웹사이트
[인터뷰] 탤런트 금보라
https://www.djtimes.[...]
2024-11-22
[7]
웹사이트
언제나 노래를 멈추지 않던 아이...당진 출신 '태환' 아이돌 그룹 '배너' 데뷔
http://www.idjnews.k[...]
2023-04-22
[8]
웹사이트
Korean Archbishop: St. Kim Taegon ‘upheld Christian value of human dignity’
https://www.vaticann[...]
2024-11-20
[9]
웹사이트
“한국 책만 사라” 이종문 회장, 美 버클리대 13억원 기부
https://www.chosun.c[...]
2024-11-22
[10]
웹사이트
Naraé Kim - Gastronomy People
https://fr.gaultmill[...]
2024-11-22
[11]
웹사이트
Choi announces return to the ring
https://koreajoongan[...]
2024-11-22
[12]
웹사이트
여자 컬링 대표팀, 세계 선수권‘동메달’획득
http://www.djtimes.c[...]
2024-11-22
[13]
웹사이트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 레슬링의 양정모와 서울 올림픽 금메달 한명우'[조영섭의 스포츠 산책]
https://www.mhnse.co[...]
2024-11-22
[14]
웹사이트
[인터뷰 전 포항 스틸러스 김기동 선수]‘철인’이라 불린 당진 사나이 은퇴
http://www.djtimes.c[...]
2024-11-22
[15]
웹사이트
신평중 축구부 이종성 선수, 14세 이하 국가대표로 뽑혀
http://www.djtimes.c[...]
2024-11-22
[16]
웹사이트
박성우씨, 애틀란타 올림픽 출전
http://www.djtimes.c[...]
2024-11-22
[17]
웹사이트
김현회 {{!}} 대전 서명원이 물건이 될 만한 8가지 이유
https://sports.news.[...]
2024-11-22
[18]
웹사이트
당진출신 유용성 선수 올림픽 ‘은메달’
http://www.djtimes.c[...]
2024-11-22
[19]
웹사이트
https://www.dangjin.[...]
2024-04-25
[20]
웹사이트
https://www.dangjin.[...]
2024-04-25
[21]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www.clair.or.[...]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2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3]
웹사이트
還元鉄生産の現状と将来の展望
http://www.texreport[...]
TEX Report
2018-11-28
[24]
웹인용
2024년 3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5]
뉴스
당진시 승격, 발전 기대
http://www.tjb.co.kr[...]
TJB대전방송
2011-06-30
[2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7]
법률
충청남도령 제8호
1917-09-25
[28]
법률
법률 제456호
[29]
법률
법률 제1177호
[30]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31]
조례
당진군 조례 제1936호
2009-12-24
[32]
법률
법률 제10993호 충청남도 당진시 도농복합형태의 시 설치 등에 관한 법률
2011-08-04
[33]
조례
당진시 조례 제243호
http://www.law.go.kr[...]
2013-11-05
[34]
웹사이트
당진시 지리적 위치
http://www.dangjin.g[...]
2014-01-14
[35]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6]
웹사이트
지역별 면적 현황 (2011년 12월말)
http://stat.dangjin.[...]
2014-12-01
[3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행정자치부
2017-03-03
[38]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9]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40]
간행물
제2차 도로정비 기본계획에 따른 국토간선도로망의 동서 5축 고속도로 (당진 ~ 아산 ~ 천안 ~ 청주 ~ 괴산 ~ 문경 ~ 영주 ~ 봉화 ~ 울진)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당진시, 자율주행 버스 ‘무료 운행’…운전자 동석 7.3㎞ 순환
하룻밤 사이 벼락 3930번···충남 곳곳서 정전·단수 피해
이도, 글로벌 투자자와 태양광 프로젝트 본격화
충남 당진서 온열질환으로 쓰러진 청소 작업자…23일 만에 숨져
충남 당진 서남서쪽서 규모 2.3 지진 발생
당진 선착장서 밧줄 풀던 60대 선주 추락…숨진 채 발견
당진 선착장서 밧줄 풀던 60대 선주 추락…수색 중
한국토지신탁, 충남 당진 수해복구 위한 성금 5000만원 기탁
“호우피해 이재민에 6개월간 임대료 지원”···당진시, 공공임대주택 제공
당진서 온열질환 40대 치료 중 숨져···충남 사망자 4명으로 늘어
갯벌 양식장서 바지락 캐던 70대 숨져···“질병 사망”
폭우로 충남 피해 ‘3664억’ 달해···“특별지원금 지급”
[돌비뉴스] 수해 복구라더니 '고향집 밭' 정비?…정일영 해명은
노동진 수협회장 “피해 어업인 생계·복구 전방위 지원”
빠른 일상회복 응원…하이트진로, 수해 피해지역에 생수 13만병 긴급 지원
호반그룹, 호우 피해지역에 성금·구호품 5억2천만원 지원
지구온난화로 달궈진 한반도 남쪽 바다, ‘괴물 폭우’ 몰고 왔다
기록적 폭우에 정치도 ‘일단 멈춤’···민주당, 전당대회 행사 조정·국힘 의총 취소
200년에 한번 내릴 폭우…닷새간 전국 곳곳에 쏟아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