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교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삽교읍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읍이다. 1914년 예산군 삽교면으로 설치되었으며, 1973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서쪽은 오가면, 동쪽은 대산면과 접한다. 주요 기관으로는 읍사무소, 금융기관, 교육기관 등이 있으며, 장항선 삽교역이 위치하고 국도 제45호선과 지방도 제619호선이 지나간다. 수덕사, 윤봉길 의사 기념관, 남연군 묘, 덕산온천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산군의 행정 구역 - 오가면
오가면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마한에 속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예산현과 홍주부에 속했고,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오원리면, 거구화면, 우가산면이 통합되어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으며, 일부 지역이 삽교읍에 편입되어 12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1973년 설치 - 성남시
성남시는 1973년 시로 승격되어 분당, 판교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급증한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로, 광주산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구시가지와 신도시 생활권으로 나뉘고 IT산업 중심의 판교테크노밸리를 통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인다. - 1973년 설치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삽교읍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삽교읍 |
한국어 표기 | 삽교읍 |
한글 표기 | 삽교읍 |
한자 표기 | 揷橋邑 |
로마자 표기 | Sapgyo-eup |
매큔-라이샤워 표기 | Sapkyo-ŭp |
행정 단위 | 읍 |
지리 | |
국가 | 대한민국 |
도 | 충청남도 |
군 | 예산군 |
하위 행정 구역 | 21개 법정리, 36개 행정리, 150개 반 |
면적 | 49.6 km² |
고도 | 10 m |
행정 | |
인구 | |
인구 (2021년 7월) | 10075명 |
인구 (2015년 6월) | 7,932명 |
가구 (2015년 6월 말) | 3,558 |
기타 정보 | |
시간대 | UTC+9 |
지역 번호 | 41 |
웹사이트 | 삽교읍 |
읍사무소 | 삽교읍 두리3길 33(두리 571-1) |
홈페이지 | 삽교읍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 |
2. 연혁
1914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덕산군 대덕산면, 대조지면, 장촌면을 합쳐 예산군 삽교면이 설치되었다.[2]
구 행정구역 (1914년 이전) | 신 행정구역 (1914년 이후) |
---|---|
덕산군 대덕산면 | 예산군 삽교면 목리, 수촌리, 신리, 이리 |
덕산군 대조지면 | 예산군 삽교면 가리, 삽교리, 상성리, 상하리, 송산리, 안치리, 역리, 용동리, 창정리, 평촌리 |
덕산군 장촌면 | 예산군 삽교면 두리, 성리, 신가리, 하포리 |
삽교는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다. 군내에는 온도가 낮은 흠이 있기는 하지만 덕산온천이 있는데, 이는 수질이 지구유라 하여 대한민국에서는 제일 우수하다고 한다.
1973년 7월 1일 : 삽교면이 '''삽교읍'''으로 승격되었다.[2]
1983년 2월 15일 : 오가면 방아리, 효림1·2리, 월산리가 삽교읍에 편입되었다.[3]
3. 지리
"삽교읍지"에서는 "삽교"의 "삽"이 백제어로 붉은색을 뜻한다고 말하고 있으나, 고대 한국어는 받침을 거의 쓰지 않는, 특히 'ㅂ'처럼 입을 꼭 다물게 해 소리를 입속에 가둬놓는 받침은 쓰지 않는 계음절어 체계였다. 따라서 본래는 '삽'이 아닌 '사'나 그와 비슷한 어떠한 발음이었다. 마한어와 이를 이은 백제어 계통의 땅 이름 駟盧(사로), 斯羅(사라), 沙羅(사라), 徐羅(서라) 등에서 駟(사), 斯(사), 沙(사), 徐(서)처럼 사와 같거나 비슷한 발음을 가진 글자들은 '붉은색'이 아니라 '새롭다(新)' 또는 '동쪽'과 같은 뜻을 갖고 있다. 옛 덕산읍지(德山邑誌)에는 '사읍천(沙邑川)'이 있고, 이후 발간된 예산군지(禮山郡誌)에는 '삽천교(揷川橋)'가 있다. 삽교의 '삽'은 '사읍'이다. '사'라는 마을이다. 삽교읍 성리와 하포리 부근의 삽교천을 '서내'라고 부른다. 옛 지명(古地名)에서 '사(沙)'는 '새', '신(新)'과 동일하게 쓰였다.
금오산 속의 향천사와 국제도총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천주교 탄압을 강화하게 한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의 묘소가 있고, 윤봉길 의사 기념탑이 그의 옛집 정원에 있다. 또 예산에서 서쪽으로 22km 떨어진 지점에 수덕사가 있는데, 덕숭산(495m)은 산세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상봉으로부터 남쪽으로 흐르는 계수는 기암괴석 사이를 흐르며 폭포를 이루고 혹은 심담을 만들며 노수고목이 우거진 심곡을 이루었다. 여기저기에 크고 작은 암자가 있다. 특히, 수덕사는 599년에 지명법사가 창건한 절로 불교승의 수선도량으로 알려져 있고 국보 제49호인 대웅전과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벽화가 유명하다. 이 밖에도 많은 명승 고적과 천연기념물 등이 있다.[1]
3. 1. 위치
장항선 삽교역이 위치하며, 45번 국도와 609번 지방도, 619번 지방도를 이용해 인근의 수덕사, 덕산온천 및 윤봉길 의사의 생가 등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 삽교읍 성리는 옛 목지국이 있던 곳으로 비정되는 곳이기도 하다.
3. 2. 인접 지역
4. 행정 구역
법정리 | 행정리 | 비고 |
---|---|---|
가리 | 가리 | |
두리 | 두1리, 두2리, 두3리, 두4리, 두5리, 두6리 |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목리 | 목리 | |
방아리 | 방아리 | |
삽교리 | 삽교리 | |
상성리 | 상성1리, 상성2리 | |
상하리 | 상하1리, 상하2리 | |
성리 | 성1리, 성2리 | |
송산리 | 송산리 | |
수촌리 | 수촌리 | |
신리 | 신리 | |
신가리 | 신가1리, 신가2리, 신가3리, 신가4리, 신가5리 | |
안치리 | 안치리 | |
역리 | 역리 | |
용동리 | 용동1리, 용동2리, 용동3리 | |
월산리 | 월산리 | |
이리 | 이리 | |
창정리 | 창정리 | |
평촌리 | 평촌리 | |
하포리 | 하포1리, 하포2리 | |
효림리 | 효림1리 |
5. 자연부락
삽교읍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부락이 있다.
'''대조지면'''(大鳥旨面)은 현재의 예산군 삽교읍 가리, 삽교리, 상성리, 성리, 송산리, 안치리, 역리, 용동리, 창정리에 해당한다.
한자 표기 | 자연부락 | 현재 위치 |
---|---|---|
加馬金里 | 가마시 | 가리 |
洞里 | 골말 | 용동리 |
驛里 | 역말 | 역리 |
上葛山里 | 초막골·초박골 | 상하리 |
上龍頭里 | [위]용머리·위뜸 | 용동리 |
目支 | 목시 | 성리 |
倉井里 | 창우물 | 창정리 |
坪里 | 벌말 | 평촌리 |
下葛里 | 갈미 | 상하리 |
下城里 | 아래말 | 상성리 |
下龍頭里 | [아래]용머리·아래뜸 | 용동리 |
'''장촌면'''(場村面)은 현재의 삽교읍 두리, 신가리, 하포리 일대에 해당한다.
한자표기 | 자연부락 | 현재 위치 |
---|---|---|
佳佐洞里 | 가재울 | 신가리 |
頭里 | 두루머리 | 두리 |
別化里 | 비야 | - |
槎村里 | 떼말 | 두리 |
下村 | 아랫말 | 하포리 |
玄化里 | 보안말 | 두리 |
5. 1. 대조지면 (현 삽교읍 일부)
'''대조지면'''(大鳥旨面)은 현재의 예산군 삽교읍 가리·삽교리·상성리·성리·송산리·안치리·역리·용동리·창정리에 해당한다.한자 표기 | 자연부락 | 현재 위치 |
---|---|---|
加馬金里 | 가마시 | 가리 |
洞里 | 골말 | 용동리 |
驛里 | 역말 | 역리 |
上葛山里 | 초막골·초박골 | 상하리 |
上龍頭里 | [위]용머리·위뜸 | 용동리 |
目支 | 목시 | 성리 |
倉井里 | 창우물 | 창정리 |
坪里 | 벌말 | 평촌리 |
下葛里 | 갈미 | 상하리 |
下城里 | 아래말 | 상성리 |
下龍頭里 | [아래]용머리·아래뜸 | 용동리 |
5. 2. 장촌면 (현 삽교읍 일부)
'''장촌면'''(場村面)은 현재의 삽교읍 두리, 신가리, 하포리 일대에 해당한다.한자표기 | 자연부락 | 현재 위치 |
---|---|---|
佳佐洞里 | 가재울 | 신가리 |
頭里 | 두루머리 | 두리 |
別化里 | 비야 | - |
槎村里 | 떼말 | 두리 |
下村 | 아랫말 | 하포리 |
玄化里 | 보안말 | 두리 |
6. 주요 기관
예산군 삽교읍에는 관공서, 금융 기관, 교육 기관 등이 있다. 관공서로는 삽교읍사무소, 예산경찰서 삽교지구대, 예산소방서 삽교119안전센터가 있다. 금융 기관으로는 삽교우체국, 삽교새마을금고, 삽교농협이 있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삽교초등학교, 삽교중학교, 삽교고등학교가 있다.
6. 1. 관공서
6. 2. 금융 기관
6. 3. 교육 기관
삽교초등학교, 삽교중학교, 삽교고등학교가 있다.7. 주택단지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대방엘리움 내포1차 더 퍼스티지 | 대방산업개발㈜ | 엘리움㈜ 엘리움개발㈜ ㈜엘리움주택 | 2023년 1월 | ||
내포 이지더원 센트럴에듀 | ㈜라인건설 | EG개발산업㈜ | 2024년 3월 | ||
내포 이지더원 1차 | ㈜동양주택개발 | 2017년 12월 | |||
내포 이지더원 2차 | ㈜라인앤프라임 | 2022년 9월 | |||
내포 중흥S클래스 더시티 | 중흥토건㈜ | ㈜중봉건설 | 2024년 10월 | ||
내포신도시 대광로제비앙 | 대광건영㈜ | ㈜충남내포1피에프브이 | |||
내포 도나우에듀파크 1차 | 구산건설 | 토르시디(유) | |||
내포 도나우에듀파크 2차 | 심산건설㈜ |
8. 교통
장항선 삽교역이 있어 철도 교통이 편리하며, 45번 국도, 609번 지방도, 619번 지방도가 지나가 수덕사, 덕산온천, 윤봉길 의사 생가 등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1]
8. 1. 철도
장항선 삽교역이 있다.8. 2. 도로
45번 국도, 609번 지방도, 619번 지방도를 통해 수덕사, 덕산온천, 윤봉길 의사 생가 등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1]9. 관광 명소
- 덕산온천
- 남연군 묘
- 윤봉길 의사 기념관
- 수덕사
참조
[1]
웹사이트
Beopjeongni of Sapgyo Town
http://yesan.yesan.g[...]
Yesan County
2017-05-18
[2]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3]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NH-Amundi, 집중호우 피해 농가 복구 일손돕기 참여
NH아문디운용, 집중호우 피해 농가 복구 일손돕기 나서
김문수, 수해 복구하다 나온 한마디…“술 한잔했으면”
[영상]“두 달 지나도 복구 어려워”···대피소서 생활하는 예산 하포리 주민들
[포토뉴스] 삼성·LG전자, 수해 현장 출동 ‘가전 특별점검’
폭우 속 순식간에 잠긴 마을…강풍에 버스 창문 '와장창'
지붕만 남은 마을…버스 창문 '와장창'
"전기·물·도로 다 끊겼어요"…물폭탄에 고립된 충남 예산 마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