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옐레어는 현재 분류되지 않은 언어로, 파푸아뉴기니의 로셀 섬에서 사용된다. 이 언어는 복잡한 자음 체계와 다양한 모음, 특히 비음화된 모음을 특징으로 한다. 옐레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여성들이 특정 단어 사용을 피하고, 시댁/처가 식구 앞에서 특정 어휘를 대체하는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푸아 제어 - 아리어
아리어는 자음(무성/유성 파열음, 전비음화된 파열음, 비음, 마찰음, 설측음, 유음)과 모음(전설, 중설, 후설모음) 음소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 파푸아 제어 - 세픽라무어족
세픽-라무어족은 여러 학자들이 세픽어군, 라무어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며, 어휘 비교 연구를 통해 내부 관계를 밝히는 어족이다.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 - 히리 모투
히리 모투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모투족의 전통 무역 방식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공용어로 사용되다 현재는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고령층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 - 모투어
모투어는 파푸아뉴기니에서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모음 중심의 음운 체계를 가지며 음절이 항상 모음으로 끝나고, 다섯 개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을 가지며, /r/과 /l/이 하나의 음소로 취급되고 /f/는 사용되지 않는다.
옐레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옐레어 |
자기 이름 | Yélî Dnye |
사용 국가 | 파푸아뉴기니 |
사용 지역 | 루이지아드 제도, 로셀 섬 |
사용자 수 | 5,000명 (2015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옐레-서뉴브리튼섬 제어? 또는 고립어? 또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언어 코드 | |
ISO 639-3 | yle |
글롯토로그 | yele1255 |
글롯토로그 이름 | Yele |
음운 정보 | |
음성 표기 | IPA |
2. 분류
옐레어는 현재 분류되지 않은 언어로 간주된다. 뉴브리튼의 아넴과 아타(잠정적인 옐레-서뉴브리튼어족)와 관련이 있을 수 있거나, 혹은 오세아니아어족의 파푸아 팁 언어에서 수데스트어와 가장 가까운 잠정적인 언어 고립어로 분류된다. 유형학적으로는 뉴브리튼의 고립어보다 뉴기니 남부의 오세아니아어에 더 가깝다.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 (SOV; 동사 종결형) 경향을 보인다.
옐레어는 이중 조음 자음을 포함한 복잡한 자음 체계와 다양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Stebbins 등(2018)은 옐리 드녜를 고립어로 분류하며, 오스트로네시아어와의 유사성은 접촉과 확산에 기인한다고 설명한다. 어셔는 이 언어를 오세아니아어로 분류하며, 이중 조음 자음의 발달로 인해 규칙적인 음운 대응 관계가 흐려졌다고 설명한다.
3. 음운
옐레어에는 독특하게 이중 조음 자음이 풍부하다. 옐레어의 w는 양순치음 이다. 이들 이중 조음 자음은 양순음화와 구별된다.[1] 파열음은 선비음화되거나 (아마도 를 제외하면) 후비음화될 수 있다.
모음은 구강 모음과 비강 모음으로 나뉘며, 장단 구분이 존재한다.[1]
3. 1. 자음
옐레어는 이중 조음 자음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중 조음 자음은 대부분 양순연구개음이지만, 옐레어는 양순-연구개 외에 두 가지 양순-치경 위치(설단음/치음, 설첨음/후치경음)를 구별한다.[1]
두 가지 혀끝 조음은 다음과 같다.
많은 조음은 구개음화될 수 있다. 파열음은 선비음화되거나(아마도 제외) 후비음화될 수 있다.
와 같은 양순연구개음과 양순치경음 중 양순음화되거나 경구개음화될 수 있는 것이 얼마나 많은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들 조음이 선비음화되거나 비강 개방을 동반하는지도 분명하지 않지만, 위에 언급된 것들을 차치하면 는 SIL(1992/2004)에 언급되었다.
구강 파열음 (즉, 치음 제외)은 모음 사이에서와 선비음화되었을 때 유성음화된다. 나아가 (후)치경음은 모음 사이에서 (명백히 치음인) 탄설음 로 감쇠된다. 구개음화된 치경 파열음의 일부는 (또는 ) and 와 같이 마찰음이나 파찰음으로 발음되지만, SIL(1992/2004)는 이들 중 어느 것과도 모순된다.
3. 2. 모음
옐레어는 10개의 구강 모음과 7개의 비모음을 가지며, 각 모음은 장단 구분이 가능하다.[1] 모음 연쇄는 이중모음보다는 /j/, /w/로 분리되는 것으로 해석된다.[1]rowspan="2" |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구강 | 비음 | 구강 | 비음 | 구강 | 비음 | |||||||
고모음 | iyle | iːyle | ĩyle | ĩːyle | ɯyle | ɯːyle | colspan="2" | | uyle | uːyle | ũyle | ũːyle | |
근고모음 | eyle | eːyle | ɛ̃yle | ɛ̃ːyle | əyle | əːyle | ə̃yle | ə̃ːyle | oyle | oːyle | ɔ̃yle | ɔ̃ːyle |
중저모음 | ɛyle | ɛːyle | ɔyle | ɔːyle | ||||||||
(근-)저모음 | æyle | æːyle | æ̃yle | æ̃ːyle | colspan="4" | | ɑyle | ɑːyle | ɑ̃yle | ɑ̃ːyle |
3. 3. 음절 구조
옐레어 음절은 V 또는 CV 형식을 가진다. V 형식에는 , 만 나타난다.[1]4. 표기
옐레어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몇몇 음소는 다중 문자로 표기된다. 장모음은 모음자를 두 번 쓰고, 비모음은 콜론(:)을 앞에 붙여 표기한다.
정서법 | a | â | b | ch | d | e | é | ê | gh | i | î | j | k | l | m | n | ń | o | ó | p | t | u | v | w | y | ꞉ |
---|---|---|---|---|---|---|---|---|---|---|---|---|---|---|---|---|---|---|---|---|---|---|---|---|---|---|
IPA |
복합 자음을 위한 다중 문자는 항상 명확하지 않다. 순음-연구개음 및 순음-설단음 자음은 순음이 두 번째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kp' (), 'dp' (), 'tp' (), 'ngm' (), 'nm' (), 'ńm' (), 'lv' ()와 같다. 비음화된 는 'mb'로 표기되지만, 와 는 'nt'와 'nk'로 표기되어 'nd' ()와 'ng' ()와 구별된다. 비음화된 파열음은 순음일 때 'm'으로 표기되며, 이중 조음 파열음 'md' (), 'mg' () 및 'mt' ()를 포함하며, 그 외에는 'n'으로 표기된다. 비음 해제도 마찬가지로 'n' 또는 'm'으로 표기되며, 'dny' (), 'kn' (), 'dm' (), 'km' ()과 같다. 순음화는 'w'로 표기되고, 구개음화는 'y'로 표기되며, 에 대한 'ch'와 에 대한 'nj'는 예외이다.
모음 중에서는 'a'와 'u'만 단어 처음에 나타난다. 장모음은 같은 모음 글자를 두 번 쓰고, 비모음은 앞쪽에 콜론(':a' )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다만, 정서법적 비음 자음 뒤의 단모음의 경우 모음 비음성은 대립되지 않는다.
5. 문법
옐레어는 인지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연구되었다. 옐레어에는 다양한 공간 후치사가 발달했다. 예를 들어 영어의 "on"에 해당하는 후치사가 11개나 되는데, 대상이 테이블(수평)이나 벽(수직) 위에 있는지, 봉우리 위에 있는지,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지, 고체인지 과립(분산)인지 등에 따라 다른 후치사를 사용한다.[1]
5. 1. 대명사
옐레어에는 자립 대명사와 소유 대명사의 두 가지 대명사가 있다. 옐레어는 자유 대명사와 소유 대명사를 구분하며, 단수, 쌍수, 복수 구분이 존재한다.
6. 어휘
옐레어의 기본적인 어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뜻 | 옐레어 |
---|---|
새 | ńmê|음메yle; ńmo|음모yle |
피 | wêê|웨에yle |
뼈 | dînê|디네yle |
가슴 | ngmo|응모yle |
귀 | ngweńe|응웨네yle |
먹다 | ma|마yle |
알 | w꞉uu|우우yle |
눈 | ngwolo|응올로yle |
불 | ndê|은데yle; ndyuw꞉e|은듀우에yle |
주다 | yeede|예데yle |
가다 | lê|레yle; lili|릴리yle; nî|니yle |
땅 | mbwóó|음부오오yle; têpê|테페yle |
머리카락 | gh꞉aa|가아yle |
머리 | mbodo|음보도yle |
다리 | yi|이yle |
이 | y꞉emê wee|예메 웨yle |
남자 | pi|피yle |
달 | d꞉ââ|다아yle |
이름 | pi|피yle |
하나 | ngmidi|응미디yle |
길 | maa|마아yle |
보다 | m꞉uu|무우yle |
하늘 | mbóó|음보오yle; vyââ|뱌아yle |
돌 | chêêpî|체에피yle |
해 | kââdî|카아디yle |
혀 | dêê|데에yle |
이빨 | nyóó|뇨오yle |
나무 | yi|이yle |
둘 | miyó|미요yle |
물 | mbwaa|음브와아yle; tolo|톨로yle |
여자 | kumbwada|쿰브와다yle; pyââ|퍄아yle |
7. 금기 및 특수 어휘
옐레어에는 여성들이 피하는 어휘, 배우자 집안 사람들 앞에서 피하는 어휘, 성스러운 장소와 관련된 어휘 등 세 가지 유형의 금기가 존재한다. 그러나 언어가 쇠퇴하면서 이러한 특별 어휘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조개 화폐(kêndapî|켄다피yle)에 대해 논의할 때, 장례 잔치(kpaakpaa|크파아크파아yle)에서, 그리고 노래를 부를 때 특별한 어조와 용어가 사용된다.
7. 1. 여성어
여성들은 특정 단어, 특히 바다와 관련된 단어를 피하고 다른 단어로 대체한다.남성 용어 | 여성 용어 | 의미 |
---|---|---|
ntiiyle | tpiliyle | 바다 |
nt꞉eeyle | tpyeleyle | 바다 (위치격) |
neeyle | dyuduyle | 카누 |
kwedeyle | kódu yââ/mtene pyuyle | 물푸는 조개 |
lyéyle | pele yââyle | 코코넛 매트 |
mbwaayle | toloyle | 담수 |
Lów꞉ayle | mwada tpli peeyle | Lów꞉a 섬 |
7. 2. 시댁/처가 어휘
옐레-드니예(Yélî Dnye) 화자들은 로셀 섬에서 시댁/처가 식구들에게 큰 존경을 표하기 때문에, 시댁/처가 식구들의 이름을 말하지 않으며, 정중한 3인칭 복수 대명사 yi|이yle를 사용하여 각 시댁/처가 식구들을 지칭하고, 그들 근처에서 특정 단어를 대체하여 사용한다. 대체 어휘는 대부분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이름과 대명사 금기는 여전히 지켜지고 있다.금기시되는 단어의 대부분은 신체 부위, 의류 또는 휴대하는 소지품이다. 하지만 모든 신체 관련 단어가 대체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목', '울대', '위'는 일상적인 형태를 유지한다.
일상 용어 | 시댁/처가 용어 | 의미 |
---|---|---|
ngwolo|응올로yle | yi wuché / yi chéé dê|이 우체 / 이 체 데yle | 눈 |
kópu|코푸yle | yi kp꞉aa têdê|이 카아 테데yle | 말 |
kêê|케에yle | yi kéépi|이 케피yle | 손 |
yodo|요도yle | yi mbwene|이 음브웨네yle | 배 |
péé|페에yle | yi mgéé|이 응게에yle | 바구니 |
kada|카다yle | ghââ|가아yle | 앞 |
tpe/tpoo|테/토오yle | yi tapa|이 타파yle | 질 |
8. 샘플 텍스트
키에 와아 우 피 페투키, 카 콰, 동게. 네 쿠우. 다아 아 와아. 잉칼 우 와아. 잉칼 응에 이네 카아 응에. 와아 도노. 피 일리 우 테. 우 누우 우 피 다 토오. 피 우 라마 다아 토오. 미투워 이디카, 메페 ㅌ프꞉오 미 키에 응에. 단테. 메페 도노 응에 퍄도. 아페, 와아 므와메 니네 챂워. 잉칼 응에 콰, "우포" . 와아 미 므베페 워, 치이 메네. 메페 응에 와아 므와메 메디페 챂워. 아웨데 카 콰, 동게. 피 마아 다아 타. 아 다넴붐 우 디.yle
'''번역:'''
사나운 개는 "페투키"라고 불리며, 동게에 산다. 나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내 개가 아니다. 잉칼의 개다. 그가 길렀다. 나쁜 개다. 모두를 문다. 아무도 좋아하지 않는다. 최근에 메페의 아들 이디카를 물었다. 정말 심하게 물었다. 메페는 매우 화가 나서, '저 개를 죽이겠다'라고 말했다. 개는 덤불 속으로 도망가서 메페는 그 개를 죽일 수 없었다. 그래서 지금도 동게에 있어서, 그곳으로는 안전한 길이 없다. 이것이 내 이야기의 끝이다.[1]
참조
[1]
서적
Henderson
2004
[2]
웹사이트
Yele
https://www.ethnolog[...]
2015
[3]
서적
The Papuan languages of Island Melanesia
De Gruyter Mouton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