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누는 노나 패들을 사용하여 물 위를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작은 배의 일종이다. 카누는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통나무를 파내거나 나무껍질, 가죽,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카누는 역사적으로 탐험, 무역,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에는 레저, 스포츠, 문화적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카누의 종류로는 스프린트 카누, 와일드워터 슬라롬, 투어링 카누 등이 있으며, 국제 카누 연맹(ICF)을 비롯한 여러 단체에서 카누 관련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사 시대 둘러보기 상자 - 어도비
어도비는 흙을 주재료로 햇볕에 말려 만든 벽돌 또는 건축 양식으로, 열용량이 크고 친환경적이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지만 지진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 인력수상기구 - 바이킹 선박
- 카누 - 카누 경기
카누 경기는 카누를 이용하여 속도와 기술 등을 겨루는 스포츠로, 이동 수단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었으며, 다양한 경기 종류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국제 카누 연맹의 주도하에 발전하고 있다. - 카누 - 쪽배
쪽배는 통나무를 파서 만든 배로, 오랜 기간 어업, 운송, 문화 행사 등에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나, 현대에는 전통 문화 계승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카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종류 | 작은 배 |
동력 | 노 |
설명 | |
정의 | 사람이 직접 노를 사용하여 추진하는 소형 선박 |
역사 | "카누"라는 단어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에서 유래 카누는 수천 년 동안 전 세계의 많은 문화권에서 사용 |
재료 | 나무 껍질 돛 털 동물 가죽 알루미늄 섬유 유리 플라스틱 |
제작 | 나무를 깎거나 껍질을 사용하여 제작 |
용도 | 이동 운송 낚시 경주 레크리에이션 |
분류 | |
카누 유형 | 아웃리거 카누 피로그 카약 카누 스포츠 |
카누 스포츠 종류 | 카누 스프린트 카누 슬라럼 카누 폴로 와일드워터 카누 카누 마라톤 카누 프리스타일 아웃리거 카누 카누 세일링 |
2. 역사
카누의 역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각기 다른 형태와 용도로 발전해 왔다. "카누"라는 단어는 스페인어/포르투갈어 단어 "canoa"에서 영어로 유래되었으며, 이는 카리브해 지역의 아라와칸어에서 통나무 카누를 뜻하는 단어 "kanawa"를 차용한 것이다. 1535년 자크 카르티에의 기록(1600년 영국의 지리학자 리처드 해클루이트가 번역)에는 생로랑 이로쿼이족 언어에서 차용한 프랑스어 "casnouey"가 등장하며, 이것이 영어로 "카누(canoe)"로 유입되었다.[6]
카누의 정의는 다양하여 단정하기 어렵다. 패들로 물을 저어 전진하는 배 전반을 가리킨다는 견해도 있지만, 이 정의는 오세아니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범선 카누(Sailing Canoe)나 항해 카누(Voyaging Canoe)를 포함할 수 없다. 선체 측에 지점을 가진 노나 삿대를 사용하지 않는 소형 선박이라는 견해도 있지만, 미크로네시아의 싱글 아웃리거 항해 카누는 발로 노를 조작하고, 폴리네시아의 더블 카누 형태 항해 카누는 노가 로프로 선체에 묶여 있다.
이는 카누라는 용어가 근대 이후 "유럽인이 사용하는 선박이 아닌 것"이라는 형태로 사용되어 온 역사에서 비롯된 필연적인 결과이다. 카리브해 주변 소형 선박의 명칭이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대양주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의 선박에 적용되면서 "카누"라는 단어는 다의성과 모호성을 갖게 되었다. 즉, "카누"라는 단어의 의미는 담화론적으로만 파악할 수 있다.
일본의 경기 카누계에서는 카누를 "카누", 아웃리거 카누를 "아웃리거 카누"라고 구분하며, 카누나 카약을 사용하는 스포츠 전반을 패들 스포츠라고 부른다.
지역 | 내용 |
---|---|
북아메리카 |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대부분 통나무를 파낸 통나무배를 사용했다. 미국 워싱턴주에서 캐나다, 알래스카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의 온대우림, 침엽수림에 거주하는 하이다족, 트링기트족, 크와키우틀족 등은 서양측백나무, 미국삼나무 등의 침엽수를 가공하여 수십 명이 탈 수 있는 카누를 만들고 연어와 송어 어업에 사용했다. 캘리포니아주의 추마시족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봉합선을 사용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폴리네시아의 카누 건조 기술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에스키모, 이누이트, 알류트족은 짐승의 뼈나 목재 골격에 짐승 가죽을 씌운 카약을 사용했다. 캐나디언 카누는 원래 목재 골격에 나무껍질을 씌우는 구조였다. |
미크로네시아 | 빵나무를 선체로 한 봉합선의 싱글 아웃리거 카누가 널리 사용되었다. 작은 것은 석호 내 어로용, 큰 것은 10명 가까운 인원이 수일 이상 외양 항해를 할 수 있는 항해용 카누였다. 카롤린 제도에서 야프섬으로의 사웨이 무역에는 이러한 항해용 카누가 필수적이었으며, 야프섬의 돌화폐 중 오래된 것은 항해용 카누를 통해 팔라우에서 운반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
동남아시아 | 싱글 아웃리거 카누 외에도 더블 아웃리거 카누도 사용되었다. 유목민이 사용하는 선상 가옥은 세대 단위로 거주하며 어로를 하기 위한 대형 카누였으며, 현재는 엔진을 사용하지만 원래는 범선 카누였다. 선상 가옥은 아웃리거가 없다. |
멜라네시아 | 내수면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누와 외양 항해를 위한 대형 항해용 카누가 존재한다. 멜라네시아의 항해용 카누에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와 더블 카누가 모두 있다. 트로브리안드 제도의 쿨라 교역에 사용된 항해용 카누가 특히 유명하다. |
폴리네시아 | 싱글 아웃리거 카누, 더블 카누, 아웃리거가 없는 카누의 세 종류가 존재한다. 마오리족의 카누는 거의 모두 아웃리거가 없다. 폴리네시아의 항해용 카누는 대부분 더블 카누이지만, 해외 폴리네시아의 테푸케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이다. |
마다가스카르섬 | 마다가스카르 원주민은 동남아시아 제도에서 항해용 카누를 타고 이주한 사람들이며, 현재도 싱글 아웃리거 카누를 어로 등에 사용하고 있다. |
동북아시아 | 일본 열도에는 여러 종류의 카누가 존재했다. 지바현이치카와시 라이카 유적에서 2013년 11월 縄文時代 초기 약 7,500년 전의 것으로 보이는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다.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건설했던 오호츠크 문화인, 윌타, 아이누는 각각 독자적인 카누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아이누는 계수나무나 물푸레나무를 파내 만든 카누 “치프”를 사용했다. 치프는 호수나 강용 선박이지만, 과거에는 측면 판을 붙여 대형화하고 돛을 장착한 연안 항해용 카누 “이타오마치프”(“판이 있는 배”)를 만들어 산탄 무역을 했다. 1989년 쿠시로시에 거주하는 아이누계 주민이 이타오마치프 복원에 성공하기도 했다. 오가사와라 제도에는 하와이인들이 싱글 아웃리거 카누를 가져왔다. |
2. 1. 통나무배 (Dugouts)
'카누'라는 단어는 스페인어/포르투갈어 단어 cano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카리브해 지역의 아라와칸어에서 통나무 카누를 뜻하는 단어 kanawa를 차용한 것이다. 1535년 자크 카르티에의 기록(1600년 영국의 지리학자 리처드 해클루이트가 번역)에서 생로랑 이로쿼이족 언어에서 차용한 프랑스어 "casnouey"가 영어로 "카누(canoe)"로 유입되었다.[6]
통나무배는 큰 나무의 줄기 전체나 판자를 깎아서 만들었으며, 여러 민족들이 역사를 통틀어 사용해 왔다.[18][7] 고대부터 사용된 통나무배로는 나이지리아의 두푸나 배(Dufuna canoe)(기원전 8500~8000년), 네덜란드의 페세 배(Pesse canoe)(기원전 8200~7600년)가 있다.[8][9] 덴마크의 발굴 조사는 에르테뵈лле 시대(기원전 약 5300년~3950년)에 통나무배와 노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10]
카누는 콜럼버스 이전 카리브해 식민화에 매우 중요했는데, 남아메리카 본토에서 카리브해 제도에 도달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다.[11] 기원전 약 3500년경, 고대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단일 선체 카누를 사용하여 최초의 카리브해 제도를 식민지화했다.[12] 쿠바 마호가니, 붉은 향나무, ''세이바(ceiba)''속의 ''세이바 펜탄드라(Ceiba pentandra)'' 등 다양한 나무가 카누 제작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4]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40~50명의 카리브인이 탄 카누가 영국 선박을 방문하여 무역을 했다고 한다.[15] 카리브해 카누에서 돛의 사용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지만, 돛이나 돛을 사용할 수 있는 카누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아 초기 카리브해 식민 개척자들은 돛이 없는 카누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17]
태평양 북서부 해안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서양 측백나무나 노란 측백나무로 여러 스타일의 통나무배를 만들었다.[18] 퀴놀트족(Quinault people)은 삽 모양의 카누를, 쿠테네이족(Kutenai people)은 철갑상어 코 모양 카누(sturgeon-nosed canoe)를 만들었다.[19] 최근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워싱턴 주의 원주민들은 대양을 항해하는 카누 전통을 되살리고 있다. 1980년대부터 헤일츠크족(Heiltsuk)과 하이다족(Haida people)이 이 운동을 주도했으며, 1993년에는 많은 수의 카누가 벨라 벨라에서 카투와스(Qatuwas)라는 최초의 카누 축제를 열었다.[20] 부족 카누 여정(Tribal Canoe Journeys)이 시작되어 대부분의 해에 다양한 지역 사회로의 여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호주 원주민(Australian aboriginal)들은 속이 파인 나무 줄기와 나무껍질로 카누를 만들었다.[21] 아마존 분지(Amazon Basin)의 원주민들은 히메나이아(Hymenaea) 나무를 사용했다.
2. 1. 1. 한국의 쪽배









2. 2. 나무껍질 카누 (Bark canoes)
"카누(canoe)"라는 단어는 1535년 자크 카르티에의 기록(1600년 영국의 지리학자 리처드 해클루이트가 번역)에서 생로랑 이로쿼이족 언어에서 차용한 프랑스어 "casnouey"에서 영어로 유입되었다.[6]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가벼운 나무 틀 위에 자작나무 껍질을 씌워 카누를 만들었다. 자작나무가 부족한 경우 다른 종류의 나무껍질도 사용했다. 길이 약 4.3m, 무게 약 23kg 정도로, 운반하기 쉽고 얕은 물에서도 많은 짐을 실을 수 있었다. 바위에 부딪히면 손상되기 쉬웠지만 수리가 쉬웠다.[25] 이러한 장점은 초기 유럽 식민 개척자들에게 알려졌고, 카누는 북아메리카 탐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6] 사뮈엘 드 샹플랭은 1615년 카누를 타고 조지아 만까지 항해했다.
1603년, 카누 한 척이 런던의 로버트 세실 경의 세실 하우스로 옮겨졌고, 체나코마카 출신 버지니아 인디언들이 템스 강에서 노를 젓기도 했다.[27] 1643년, 다비드 피터스 데 브리스는 렌셀러위크에서 네덜란드인 소유의 모호크족 카누를 기록했는데, 옥수수 225부셸을 운반할 수 있었다.[28][29] 1669년, 북미 대호를 탐험한 프랑스 선교사 르네 드 브레앙 드 갈리네는 "이 카누는 폭포와 급류가 많은 물길에서 매우 편리하다. 배로는 지나갈 수 없는 곳이다. 폭포에 도착하면 카누와 짐을 어깨에 지고 육로로 이동하여 항해가 가능한 곳까지 간 다음, 다시 카누를 물에 띄워 항해를 계속한다"라고 말했다.[30] 미국의 화가이자 작가, 여행가인 조지 캐틀린은 자작나무 껍질 카누가 "지금까지 발명된 모든 수상 교통 수단 중 가장 아름답고 가벼운 모델"이라고 썼다.[31]



알렉산더 매켄지, 데이비드 톰슨,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 등 북아메리카 대륙 횡단 탐험가들도 카누를 사용했다.
북아메리카 모피 무역에서 허드슨만 회사의 보이저들은 세 가지 유형의 카누를 사용했다.[32]
- 라바스카(rabaska) (몬트리올 카누[34]): 세인트로렌스 강에서 서쪽 슈피리어 호까지 장거리 운송용.
- 카누 뒤 노르(canot du nord): 모피 무역 운송 시스템의 주력.
- 익스프레스 카누(express canoe): 길이 약 4.6m, 사람, 보고서, 뉴스 운반용.

자작나무 껍질 카누는 몬트리올에서 태평양과 매켄지 강까지 약 6,500km에 달하는 보급로에 사용되었고, 19세기 말까지 계속 사용되었다.[36]
캐나다 동부와 미국 북동부 원주민들은 종이자작나무(Betula papyrifera) 껍질을 사용해 카누를 만들었다. 이른 봄에 나무 쐐기로 껍질을 벗겨낸 후, 양 끝을 꿰매고 향나무(Abies balsamea)의 송진(Pitch (resin))으로 방수 처리했다. 카누 갈비뼈는 캐나다삼나무(Thuja occidentalis)로 만들었고, 선체, 갈비뼈, 가로대는 흰가문비나무(Picea glauca), 검은가문비나무(Picea mariana) 등 침엽수 뿌리로 만든 와타프(watap)로 고정하고 송진으로 틈을 메웠다.[37][38]
2. 2. 1. 호주 원주민의 나무껍질 카누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여름에 특정 나무(보통 레드검 또는 박스검)의 나무껍질로 카누를 만들었다.[21] 필요한 크기와 모양으로 나무껍질을 자른 후, 파는 막대기로 단단한 나무까지 파고, 작은 막대기들을 사용하여 나무껍질을 천천히 떼어냈다. 나무껍질 조각은 나뭇가지나 손으로 짠 밧줄로 고정되었고, 나무에서 분리된 후 땅으로 내려졌다. 나무껍질 안쪽에 작은 불을 피워 말리고 위쪽으로 말리게 한 다음, 양쪽 끝을 당겨 삼으로 꿰매고 진흙으로 막았다. 기름과 오커를 자주 바르면서 숙성시켰으며, 남은 나무는 나중에 유럽인들에 의해 카누 나무라고 불렸다.[22]이러한 나무껍질 카누는 다공성 때문에 약 2년 정도밖에 가지 못했다.[22] 주로 어업이나 강과 호수를 건너는 데 사용되었고, 먼 거리를 이동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았다. 보통 긴 막대기로 밀어서 추진했다.[23] 메스메이트 스트링이바크라는 스트링이바크 검에서 만들어진 다른 종류의 나무껍질 카누는 나무껍질을 접어서 양쪽 끝을 묶고 가로대와 갈비뼈로 된 틀을 만들었으며, 주름진 또는 묶인 나무껍질 카누로 알려져 있었다. 나무껍질 조각을 함께 꿰매어 더 큰 카누를 만들 수도 있었는데, 이를 꿰맨 나무껍질 카누라고 한다.[24]
2. 3. 가죽 카누 (Skin canoes)
가죽 카누는 뼈대 위에 동물 가죽을 늘려서 만든다. 카약과 우미악이 그 예이다.[1]3. 현대 카누
카누는 한때 주로 운송 수단이었지만, 산업화와 함께 레크리에이션 또는 스포츠용 수상 운송 수단으로 인기를 얻었다. 존 매크레거(John MacGregor (sportsman))는 자신의 책을 통해 카누를 대중화했고, 1866년 런던에 로열 카누 클럽(Royal Canoe Club)을, 1880년에는 아메리칸 카누 협회(American Canoe Association)를 설립했다. 캐나다 카누 협회(Canadian Canoe Association)는 1900년에, 영국 카누 연맹(British Canoe Union)은 1936년에 설립되었다. 스웨덴에서는 해군 장교 칼 스미스(Carl Smith (canoeing))가 19세기 말 열렬한 카누 홍보자이자 카누 설계자였다.[41]
스프린트 카누(Sprint canoe)는 1924 파리 올림픽(1924 Paris Olympics)에서 시범 종목(demonstration sport)이었으며, 1936 베를린 올림픽에서 올림픽 종목이 되었다.[42] 1946년 국제 카누 연맹(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이 설립되었다.
thumb
현대적인 용어 사용법으로 “카누”는 기본적으로 오픈 데크(개방형 갑판) 타입을 가리키는 반면, “카약”은 기본적으로 클로즈드 데크(밀폐형 갑판) 타입을 가리킨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카누라는 단어에 카약을 광의로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로는 선체에 수지 재질의 패킹을 사용한 해치를 장착하여 밀폐하고, 선체와 선체 사이에 크로스빔을 걸쳐 그 위에 데크를 설치하는 구조를 가진 폴리네시아의 유리섬유제 항해 카누가 “카누”인지 “카약”인지 정의할 수 없다.
실제로 카누나 카약을 타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국제카누연맹(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의 정의가 일반적이다. ICF의 Canoeing Slalom Competition Rules 2009에 따르면, 카누와 카약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원문은 영문) “카약은 데크를 가진 보트로, 선수가 그 안에 허리를 굽혀 앉아 더블 블레이드(양날) 패들을 사용하여 추진해야 한다. 캐나디안 카누는 데크를 가진 보트로, 선수가 그 안에 무릎을 꿇고 앉아 싱글 블레이드(한쪽 날) 패들을 사용하여 추진해야 한다.” 상기 정의에 따라 클로즈드 데크의 카누가 존재하며, 올림픽 슬라롬 경기 종목이 되기도 한다. ICF 규칙에 따르면, 오픈 데크 타입의 캐나디안 카누에 대한 정의는 없다.
현대의 레저용 카약은 리버 카약과 씨 카약으로 크게 나뉜다.
- 강 여행
- 원양 항해

3. 1. 현대 재료 및 구조
19세기 북아메리카에서는 자작나무 골조 건설 기법이 발전하여, 올드 타운 카누(Old Town Canoe), E.M. 화이트 카누 회사(E. M. White Canoe Company)등의 조선업체들이 외부 방수 캔버스 껍질을 판자와 갈비뼈에 고정하여 만든 목재 및 캔버스 카누로 발전했다.[39] 갈비뼈와 방수 피복을 사용한다는 점은 나무껍질 카누와 유사하지만, 건설 방식은 다르다. 단단한 틀 위에 갈비뼈를 구부려 만들고, 틀에서 제거한 후에는 데크, 횡목(thwart), 좌석(seat)을 설치하고 캔버스를 선체에 단단히 늘인다. 그런 다음 캔버스에 여러 가지 바니시(varnish)와 페인트(paint)를 처리하여 내구성과 방수 기능을 향상시킨다.[40]
유리섬유가 발명되기 전, 알루미늄은 무게 대비 가치와 강도 때문에 급류 카누에 사용되는 표준 소재였다.[44] 이 소재는 한때 더 인기가 많았지만, 현대의 더 가벼운 소재로 대체되고 있다. 마모될 수 있는 젤이나 폴리머 외장 코팅이 없기 때문에 "매우 질기고 내구성이 뛰어나 바닥을 따라 끌어도 괜찮다". 선체는 장기간의 햇빛 노출로 인해 열화되지 않으며, "극심한 고온과 저온도 재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찌그러질 수 있으며, 수리가 어렵고, 소음이 크며, 수중 물체에 걸릴 수 있으며, 전복 시 카누가 뜨도록 부력실이 필요하다.[53]

통나무배는 통나무를 물에 띄워 자연스럽게 수면 위로 나오는 쪽을 위로 하여 안을 파내어 만든다.
지역에 따라서는 흘수선 위쪽에 판재를 겹쳐 붙여 대형화하기도 했다. 특히 대양주와 동남아시아에서는 통나무를 파낸 선저에 활대, 선미, 난간이 되는 부재를 묶어 만든 봉합선이 널리 사용되었다. 일본 열도에서도 근세 이전에는 이러한 구조를 가진 카누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근대 이후 목재 고갈과 FRP 선박의 보급으로 그 모습을 감추었다.
일본 열도에서는 선저를 이어붙이는 기법이 발달했는데, 이러한 구조는 무다마하기 또는 시키 구조라고 불린다.
주로 한랭지에서 사용된 스킨 보트는 목재 등으로 구성된 골조에 방수 처리를 한 짐승 가죽이나 천, 나무껍질 등을 붙여 선체를 만든다.
최근에는 합성수지, 합판+유리섬유 등으로 선체를 건조하는 경우도 많다. 레저에서 자주 사용되는 리버 카누에는 로이알렉스, 폴리에틸렌제 등이 많고, 가볍고 강성이 필요한 경기용 보트에는 카본이나 케블라-카본 등의 소재가 사용된다.
3. 2. 선체 디자인
선체 설계는 속도, 적재 용량, 조종성 및 안정성이라는 상충되는 요구 사항들을 충족해야 한다.[43] 카누의 선체 속도는 선박 저항 및 추진 원리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길이: 제조업체에서 종종 보트의 전체 길이로 명시하지만, 성능 측면에서 중요한 것은 길이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카누의 배수량(보트가 배수하는 물의 양)에 대한 값이다. 일반적인 관광 카누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5.2m 가 용량과 순항 속도 사이의 좋은 절충안을 제공하는 인기 있는 길이이다.[44]
- 폭(빔): 더 넓은 보트는 속도를 희생하여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한다. 카누는 쐐기처럼 물을 가르고, 더 짧은 보트는 물을 가르는 쐐기의 각도를 줄이기 위해 더 좁은 빔이 필요하다.[44]
- 자유현: 높은 측면을 가진 보트는 거친 물에서 더 건조하게 유지된다. 높은 측면의 단점은 추가적인 무게와 추가적인 풍압이다.[44] 풍압이 증가하면 측풍에서 속도와 조종 제어에 악영향을 미친다.
- 안정성 및 침수된 바닥 모양: 선체는 초기 안정성(보트가 물 위에 평평하게 놓였을 때 안정적으로 느껴짐) 또는 최종 안정성(롤링 및 전복에 대한 저항)을 위해 최적화할 수 있다. 평평한 바닥 선체는 단면에서 둥글거나 V자형 선체에 비해 초기 안정성이 높다.[48] 평평한 바닥 카누는 레크리에이션 카누 이용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 속도를 희생하면서도 흘수가 얕고 화물 공간이 더 넓으며 회전이 더 잘 된다.[44]
- 용골: 외부 용골은 카누의 추적(코스 유지)을 더 잘하게 하고 헐렁한 바닥을 강화할 수 있지만, 바위에 걸릴 수 있고 급류에서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48]
- 프로파일, 카누 측면의 모양: 수선 위로 플레어되는 측면은 물을 막지만 패들러가 카누 측면으로 더 멀리 뻗어야 한다. 건현 너비가 최대 너비보다 작도록 반대로 하는 측면은 카누에 텀블홈이 있다고 하며, 최종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 로커: 카누의 측면에서 볼 때, 로커는 바나나의 곡선과 마찬가지로 물에 대한 선체의 곡선량이다. 로커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이 용이해지지만 추적 성능은 저하된다.[49]
- 선체 대칭: 위에서 볼 때, 대칭형 선체는 가장 넓은 지점이 선체 중앙에 있고 양쪽 끝이 동일하다. 비대칭 선체는 일반적으로 중앙선 뒤쪽에 가장 넓은 단면이 있어 더 긴 활을 만들고 속도를 향상시킨다.[49]
4. 문화
카누는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발전했으며, 일부는 돛이나 아웃리거를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19세기 중반까지 카누는 탐험과 무역의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어떤 곳에서는 여전히 그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때로는 선외기를 추가하기도 한다.
카누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곳(예: 미국 북부, 캐나다, 뉴질랜드)에서는 여전히 대중문화에서 중요한 주제로 남아 있다.
카누는 현재 널리 사용되어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실제로 카누는 올림픽의 일부가 되었다(1936년부터). 경주, 급류, 관광 및 캠핑, 프리스타일 그리고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과 같은 레저 활동에도 사용된다.
캐나다에서 카누는 역사와 민속에서 중요한 주제이며, 캐나다 정체성의 상징이다.[54] 1935년부터 1986년까지 캐나다 은화 1달러에는 배경에 오로라가 있는 카누가 새겨져 있었다.
라 샤스-갈러리(La Chasse-galerie)는 퀘벡의 외딴 목재 야영지에서 망년회에 술을 많이 마신 후, 약 400km 떨어진 애인들을 만나러 가는 프랑스계 캐나다인 노동자들의 이야기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그들은 악마와 계약을 맺는다. 카누가 하늘을 날아갈 수 있지만, 그 대신 하늘을 나는 동안 신의 이름을 언급하거나 어떤 교회 첨탑의 십자가를 만져서는 안 된다는 조건이다. 이 이야기의 한 가지 버전에서는 여행자들이 위험한 여정을 마치지만 카누가 뒤집히면서 악마가 여행자들을 데려다주는 계약을 지키면서도 그들의 영혼을 가져갈 수 있게 된다.
멕시코를 배경으로 한 존 스타인벡(John Steinbeck)의 소설 ''진주''에서 주인공의 카누는 여러 세대에 걸쳐 생계를 유지하는 수단이며 문화 전통과의 연결을 나타낸다.[55]
마오리 사람들, 원주민 폴리네시아인들은 여러 차례의 카누(와카라고 부름) 항해를 통해 뉴질랜드에 도착했다. 카누 전통은 마오리족 정체성에 중요하다. 창건 카누의 승무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와카파파(whakapapa)(계보)는 부족의 기원을 세우고 부족의 경계와 관계를 정의했다.[56]
; 북아메리카
: 아메리카 원주민이 사용하는 카누의 대부분은 통나무를 파낸 통나무배이다. 미국의 워싱턴주에서 캐나다, 알래스카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의 온대우림, 침엽수림에 거주하는 하이다족, 트링기트족, 크와키우틀족 등은 수고 60m에 달하는 서양측백나무, 미국삼나무 등의 침엽수를 가공하여 토템폴이나 판자로 지붕을 얹은 대형 건축물을 만들었지만, 배의 측면에서도 수십 명이 탈 수 있는 카누를 만들어 연어와 송어의 어업에 사용했다. 반면, 캘리포니아주에 거주하는 추마시족만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봉합선을 사용했으며, 폴리네시아의 카누 건조 기술이 어떤 형태로든 전파되었다는 생각을 하는 연구자도 있다. 또한 에스키모나 이누이트, 알류트족이 사용하는 카약은 짐승의 뼈나 목재의 골격에 짐승의 가죽을 씌우는 구조였다. 캐나디언 카누는 원래 목재의 골격에 나무껍질을 씌우는 구조였다.
; 미크로네시아
: 미크로네시아에서는 빵나무를 선체로 한 봉합선의 싱글 아웃리거 카누가 널리 사용되었다. 작은 것은 석호 내에서의 어로용이지만, 큰 것은 10명 가까운 승원을 태우고 수일 이상의 외양 항해를 할 수 있는 항해용 카누이다. 카롤린 제도에서 야프섬으로의 사웨이 무역에는 이러한 항해용 카누가 필수적이었다. 또한, 야프섬의 돌화폐 중에서도 오래된 것은 항해용 카누를 통해 팔라우에서 운반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에서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 외에도 더블 아웃리거 카누도 사용되었다. 또한 유목민이 사용하는 선상 가옥은 세대 단위로 거주하면서 어로를 하기 위한 대형 카누이다. 현재는 엔진을 사용하지만, 원래는 범선 카누였다. 선상 가옥은 아웃리거가 없다.
; 멜라네시아
: 멜라네시아에는 내수면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누와 외양을 항해하기 위한 대형 항해용 카누가 존재한다. 멜라네시아의 항해용 카누에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와 더블 카누 모두 있다. 특히 유명한 것은 트로브리안드 제도의 쿨라 교역에 사용된 항해용 카누이다.
; 폴리네시아
: 폴리네시아에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 더블 카누, 아웃리거가 없는 카누의 3종류가 존재한다. 마오리족의 카누는 거의 모두 아웃리거가 없다. 폴리네시아의 항해용 카누는 거의 모두 더블 카누이지만, 해외 폴리네시아의 테푸케라고 불리는 항해용 카누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이다.
; 마다가스카르섬
: 마다가스카르의 원주민은 동남아시아 제도에서 항해용 카누를 타고 마다가스카르섬으로 이주한 사람들이며, 현재도 싱글 아웃리거 카누를 어로 등에 사용하고 있다.
; 동북아시아
: 일본 열도에는 여러 종류의 카누가 존재했다. 지바현이치카와시의 라이카 유적에서 2013년 11월 조몬 시대 초기 약 7,500년 전의 것으로 보이는 통나무배가 출토되었으며, 옛날 홋카이도나 사할린, 쿠릴 열도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건설했던 오호츠크 문화인이나 윌타, 아이누에게는 각각 독자적인 카누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아이누는 계수나무나 물푸레나무의 큰 나무를 파내어 만든 카누 “치프”를 사용했다. 치프는 기본적으로 호수나 강용 선박이지만, 과거에는 치프에 측면 판을 붙여 대형화하고 돛을 장착한 연안 항해용 카누 “이타오마치프”(아이누어로 “판이 있는 배”라는 뜻)를 만들어 멀리 산탄(프리모르스키 지방)까지 건너가 산탄 무역이라고 불리는 무역 활동을 했다. 이 이타오마치프를 복원하려고 시도하는 그룹도 존재하며, 실제로 1989년 쿠시로시에 거주하는 아이누계 주민이 복원에 착수하여 완성시켰다. 또한 오가사와라 제도에는 유사 이래 처음으로 이 섬에 정착한 하와이인들이 싱글 아웃리거 카누를 가져왔다.
사용되는 패들의 차이점을 말하자면, 폭이 넓고 오픈 데크의 캐나디언 카누 계열 보트는 물을 젓는 부분이 한쪽에만 있는 싱글 블레이드 패들로 젓는 것이 일반적이며, 클로즈드 데크이고 폭이 좁은 경향이 있는 카약 계열 보트에서는 양쪽 끝에 물 젓는 부분이 있는 더블 블레이드 패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오세아니아의 패들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5. 종류
카누는 선체 모양, 길이, 건축 자재에 따라 용도가 결정된다. 역사적으로 카누는 통나무배이거나 나무 골조에 나무껍질로 만들어졌지만,[5] 나중에 나무 골조에 캔버스를 씌우거나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현대 카누는 대부분 성형 플라스틱이나 유리섬유 같은 복합 재료 또는 케블라나 흑연을 포함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현대 카누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라 분류된다. 많은 현대 카누 디자인은 하이브리드(두 가지 이상의 디자인을 결합하여 여러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카누의 용도는 사용되는 재료를 결정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카누는 1인용(솔로) 또는 2인용(탠덤)으로 설계되지만, 2명 이상을 위한 카누도 있다.
스프린트 카누는 평수 경주라고도 불린다. 패들러는 한쪽 무릎을 무릎 꿇고 앉아 한쪽 날의 패들을 사용한다.[57] 카누에는 조타 장치가 없기 때문에 선수는 패들을 사용하여 J-스트로크로 조종해야 한다. 국제 카누 연맹(ICF) 분류에는 C1(개인), C2(2인승), C4(4인승)이 포함된다.
ICF 와일드워터 슬라롬에서 패들러들은 급류를 따라 내려온다. 종목은 C1(혼자), C2(2인승), C2M(혼성)이 있다.[59] C1 보트는 최소 무게 10kg 및 너비 0.65m 이상이어야 하며 길이는 3.5m 이하여야 한다. C2는 최소 무게 15kg 및 너비 0.75m 이상이어야 하며 길이는 4.1m 이하여야 한다. 러더는 금지된다. 카누는 데크가 있고 한 개의 날을 가진 패들로 추진되며, 경기자는 무릎을 꿇고 탑승해야 한다.[60]
ICF 와일드워터 카누에서는 선수들이 국제 강 난이도 척도를 사용하여 3급에서 4급의 급류 코스를 패들링한다. 종목은 여성과 남성 모두 C1과 C2이다. C1은 최소 무게 12kg 및 너비 0.7m 이상이어야 하며 최대 길이는 4.3m 이하여야 한다. C2는 최소 무게 18kg 및 너비 0.8m 이상이어야 하며 최대 길이는 5m 이하여야 한다. 러더는 금지된다. 카누는 데크가 있는 보트이며, 선수는 무릎을 꿇고 한 개의 날을 가진 패들로 추진해야 한다.[61]
마라톤은 장거리 경주로, 포티지가 포함될 수 있다. ICF 규정에 따라 C1의 최소 카누 무게는 10kg 또는 14kg이고, C2는 10kg 또는 14kg이다.
"투어링" 또는 "트리핑" 카누는 호수와 강에서 캠핑 장비를 싣고 여행하기 위한 보트이다. 체스트넛 프로스펙터 및 올드 타운 트리퍼 파생 모델과 같은 트리핑 카누는 황야 여행을 위한 투어링 카누이다. 프로스펙터는 이제 인기 있는 야생 트리핑 카누의 한 유형인 체스트넛 모델의 파생 모델에 대한 일반적인 이름이 되었다.
투어링 카누는 때때로 크게 확장된 데크로 덮여 패들러를 위한 "조종석"을 형성한다.
프리스타일 카누는 급류에서 놀이와 기술을 위해 특화된 카누이다. 패들러는 무릎을 꿇고 한쪽 날의 카누 패들을 사용한다.
사각선미 카누(square-stern canoe)는 비대칭형 카누로, 선미(stern)가 직각으로 잘려 있어 선외기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호수 이동이나 낚시를 목적으로 한다.
250px
카누의 정의는 다양하며, 경기 단체의 관습적인 정의는 예외로 하더라도, 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 '''패들로 물을 저어 전진하는 배 전반을 가리킨다'''는 생각도 있지만, 이 정의는 오세아니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범선 카누(Sailing Canoe)나 항해 카누(Voyaging Canoe)를 포함할 수 없다.
현대적인 용어 사용법으로는 “카누”는 기본적으로 오픈 데크(개방형 갑판) 타입을 가리키는 반면, “카약”은 기본적으로 클로즈드 데크(밀폐형 갑판) 타입을 가리킨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카누라는 단어에 카약을 광의로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 북아메리카
- 아메리카 원주민이 사용하는 카누의 대부분은 통나무를 파낸 통나무배이다.
- 미크로네시아
- 미크로네시아에서는 빵나무를 선체로 한 봉합선의 싱글 아웃리거 카누가 널리 사용되었다.
- 동남아시아
- 동남아시아에서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 외에도 더블 아웃리거 카누도 사용되었다.
- 멜라네시아
- 멜라네시아에는 내수면에서 사용되는 소형 카누와 외양을 항해하기 위한 대형 항해용 카누가 존재한다.
- 폴리네시아
- 폴리네시아에는 싱글 아웃리거 카누, 더블 카누, 아웃리거가 없는 카누의 3종류가 존재한다.
- 마다가스카르섬
- 마다가스카르의 원주민은 현재도 싱글 아웃리거 카누를 어로 등에 사용하고 있다.
- 동북아시아
- 일본 열도에는 여러 종류의 카누가 존재했다. 아이누는 계수나무나 물푸레나무의 큰 나무를 파내어 만든 카누 “치프”를 사용했다.


- 캐나디언 카누
- 카약
- 리버 카약
- 클로즈드 데크
- 시트온탑
- 씨 카약
- 클로즈드 데크
- 시트온탑
- 싱글 아웃리거 카누(오세아니아, 마다가스카르섬 등에 분포)
- 전통적인 목조 카누
- 경기용 카누(OC-1/V1, OC-4/V4, OC-6/V6)
- 세일링 카누(패들링이 아닌 범선으로 항해하는 것)
- 항해 카누
- 더블 아웃리거 카누(동남아시아 제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됨)
- War canoe영어
- 와카 타우아(마오리족이 사용하는 긴 전투용 카누. 아웃리거는 장착되지 않음)
- Kakap (boat)영어
- 더블 카누
이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
- 서프 스키
- 서프 카약
- 폴로 카약
- 래프트
- 덕키
- 강 여행
- 원양 항해
6. 국제 교류
1998년부터 매년 하와이에서 국제 카누 페스티벌(International Festival of Canoes)이 개최되어 폴리네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카누 제작자들이 교류하고 있다. 2004년에는 이 행사에 일본 아이누족 카누 제작자가 참가하기도 했다.[1]
4년마다 열리는 태평양 예술제(Festival of Pacific Arts)에서도 카누 관련 행사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1992년 쿡 제도 라로통가섬에서 열린 제6회 대회에서는 "태평양 제도 주민의 항해 전통"이 주제로 정해져 각지에서 항해 카누가 모였다.[1]
1996년에는 뉴질랜드 오클랜드에서 "항해 카누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1]
7. 한국의 카누
일본 열도에는 여러 종류의 카누가 존재했다. 2013년 11월 지바현 이치카와시의 라이카 유적에서 조몬 시대 초기 약 7,500년 전의 것으로 보이는 통나무배가 출토되었다. 옛날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건설했던 오호츠크 문화인, 윌타, 아이누에게는 각각 독자적인 카누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아이누는 계수나무나 물푸레나무의 큰 나무를 파내어 만든 카누 “치프”를 사용했다. 치프는 기본적으로 호수나 강에서 사용되었지만, 과거에는 치프에 측면 판을 붙여 대형화하고 돛을 장착한 연안 항해용 카누 “이타오마치프”(아이누어로 “판이 있는 배”라는 뜻)를 만들어 멀리 산탄까지 건너가 산탄 무역이라고 불리는 무역 활동을 했다. 이 이타오마치프를 복원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며, 실제로 1989년 쿠시로시에 거주하는 아이누계 주민이 복원에 착수하여 완성시켰다. 오가사와라 제도에는 유사 이래 처음으로 이 섬에 정착한 하와이인들이 싱글 아웃리거 카누를 가져왔다.
8. 주요 카누 선수 (한국 및 세계)
- 本田大三郎|혼다 다이자부로일본어 - 카누 경기에서 일본인 최초의 올림픽 선수. 도쿄 올림픽에 출전했다. 일본체육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카누 스쿨을 경영하고 있다.
- ビルギット・フィッシャー|빌기트 피셔de - 독일의 여자 카누 선수로, 금메달 8개와 은메달 4개를 획득했다.[69]
- 이노우에 키요토(井上清登) -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카나디안싱글 500m에서 일본인 최초로 6위에 입상했다.[69]
- 이즈미 히로유키(和泉博幸) -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카나디안페어 8위 입상, 서울 올림픽에 2회 연속 일본 대표로 출전했으며 일본체육대학을 졸업했다.[69]
- 후쿠리 슈세이(福里修誠) -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카나디안페어 8위에 입상했다.[69]
- 마루야마 사유리(丸山小百合) - 애틀랜타 올림픽과 시드니 올림픽에 2회 연속 일본 대표로 출전했으며, 츠쿠바대학을 졸업했다.[69]
- 竹下百合子|다케시타 유리코일본어 - 베이징 올림픽 카약싱글 4위에 입상했으며, 와세다대학을 졸업했다.[69]
- 北本忍|기타모토 시노부일본어 - 아테네 올림픽 대표, 베이징 올림픽 카약페어 500m 5위에 입상했으며, 무코가와 여자대학을 졸업했다.[69]
- 타케야 미키코(竹屋美紀子) - 아테네 올림픽 대표, 베이징 올림픽 카약페어 500m 5위에 입상했으며, 일본체육대학을 졸업했다.[69]
- 마츠시타 모타로(松下桃太郎) - 런던 올림픽 대표. 제17회 아시아 경기 대회 남자 카약페어 200미터에서 우승했다.[69]
- 후지시마 다이키(藤嶋大規) - 제17회 아시아 경기 대회 남자 카약페어 200미터에서 우승했으며, 리쓰메이칸 대학을 졸업했다.[69]
- 羽根田卓也|하네다 다쿠야일본어 -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슬라롬 카나디안싱글에서 일본인 최초로 동메달을 획득했다.[69]
9. 카누 관련 단체
카누 스프린트는 올림픽 종목(12종목)이며, 패럴림픽 종목(패러카누)[69]이다. 올림픽 종목은 카약 부문(K)과 카누 부문(C)[70]이며, 패럴림픽 종목은 카약 부문(K)과 바 부문(V)[71]이다. 2009년 3월 말까지는 "플랫워터 레이싱"으로 불렸다. 카누 슬라롬은 올림픽 종목(4종목)이다. 이외에도 카누 와일드워터, 카누폴로, 드래곤 카누, 카누 마라톤, 프리스타일(카누·카약), 화이트워터 로데오(프리스타일), 서프 카약, 스쿼트, 크리킹, 빅워터, 스트라이드, 싯온탑, 세일링 카누 등의 경기가 있다. 이들 경기는 일본 카누 연맹, 국제 카누 연맹이 관장한다.
아웃리거 카누(OC-1, OC-2, OC-3, OC-4, OC-6, DC-12 또는 V1, V2, V3, V4, V6, V12) 경기는 지역별로 전통에 뿌리를 둔 규칙을 가진 경기 단체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기 단체의 국제적인 통괄 조직으로 1980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계기로 International Polynesian Canoe Federation(현재의 International Va'a Federation)이 설립되었다. 경기용 아웃리거 카누는 왼쪽에 아마(ama)를 가지고, 싱글 블레이드 패들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하와이, 북미 등에서는 OC1 또는 OC2에 러더(rudder)를 장착한 것이 주류가 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러더가 없는 것이 표준이다. 국제 바아 연맹 내에서는 오세아니아를 식민지화하여 억압·착취한 유럽·미국 문화에 대한 저항감, 그리고 단순한 경기 종목이 아닌 민족 고유의 문화라는 자부심 때문에, 올림픽을 정점으로 하는 국제적인 스포츠에 순응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merindian Museum of Mashteuiat
https://museeilnu.ca[...]
2024-04-21
[2]
웹사이트
Bark Canoe Construction
https://www.historym[...]
Government of Canada
2024-04-21
[3]
웹사이트
Canoe Sprint
https://paddleuk.org[...]
2024-08-06
[4]
웹사이트
The birch bark canoe, an exceptional reign
https://www.florelau[...]
1935-04-21
[5]
웹사이트
Dugout Canoe
https://web.archive.[...]
The Canadian Encyclopedia
2013-01-30
[6]
서적
Jacques Cartier, Relations
Presse de l'Université de Montréal
[7]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Olympic Peninsul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8]
논문
Holocene fluvial dynamics in the NE Nigerian Savanna
[9]
뉴스
Oudste bootje ter wereld kon werkelijk varen
Leeuwarder Courant
2001-04-12
[10]
웹사이트
Dugouts and paddles
https://web.archive.[...]
2012-10-08
[11]
서적
The first settlers: Lithic through Archaic times in the coastal zone and on the offshore islands of northeast South America, in: C. Hofman and A. Antczak (eds.), Early settlers of the Insular Caribbean : dearchaizing the Archaic.
https://www.worldcat[...]
[12]
논문
Reevaluating human colonization of the Caribbean using chronometric hygiene and Bayesian modeling
2019
[13]
논문
Seafaring Capabilities in the Pre-Columbian Caribbean
http://link.springer[...]
2013
[14]
논문
Seafaring Capabilities in the Pre-Columbian Caribbean
http://dx.doi.org/10[...]
2013
[15]
서적
Aboriginal canoes in the West Indies
http://worldcat.org/[...]
1970
[16]
논문
Ceramic Age Seafaring and Interaction Potential in the Antilles: A Computer Simulation
https://www.journals[...]
2001
[17]
서적
The Caribbean before Columbus
https://www.worldcat[...]
[18]
서적
Plants of the Pacific Northwest Coast
Lone Pine Publishing
[19]
서적
Sources of the River
Sasquatch Books
[20]
서적
The Great Canoes: Reviving a Northwest Coast Tradition
Douglas & McIntyre
[21]
웹사이트
Carved wooden canoe,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http://www.nma.gov.a[...]
Nma.gov.au
2013-04-25
[22]
웹사이트
Aboriginal canoe trees around found along the Murray River
http://www.murrayriv[...]
2020-03-18
[23]
웹사이트
Did you know?: Canoe trees
https://www.samemory[...]
2009-11-26
[24]
논문
Canoes and Canoe Trees of Australia
Australian Anthropological Society
1947-12
[25]
웹사이트
Bark canoes
http://www.civilizat[...]
Canadian Museum of Civilization
2012-10-08
[26]
웹사이트
Our Canoeing Heritage
http://www.canoemuse[...]
The Canadian Canoe Museum
2012-10-08
[27]
서적
Transatlantic Encounters: American Indians in Britain, 1500-1776
[28]
서적
Proceedings of the Ninete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Americanists: Held at Washington, December 27–31, 1915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Congress of Americanists
[29]
서적
Narratives of New Netherland: 1609–1664
https://books.google[...]
Applewood Books
2009-05
[30]
서적
Early Narratives of the Northwest. 1634–1699
https://archive.org/[...]
[31]
서적
Letters and Notes on the Manners. Customs, and Conditions of the North American Indians
[32]
웹사이트
The Canoe
https://web.archive.[...]
The Hudson's Bay Company
2012-10-06
[33]
웹사이트
Rabaska
https://www.definiti[...]
2024-05-09
[34]
웹사이트
Hudson's Bay Company
https://www.hbcherit[...]
2024-05-09
[35]
웹사이트
Portage Trails in Minnesota, 1630s–1870s
{{NRHP url|id=64500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National Park Service
2012-11-20
[36]
웹사이트
Canoeing
http://www.thecanadi[...]
The Canadian Encyclopedia
2012-10-08
[37]
서적
Decouvertes et etablissements des francais dans I'ouest et dans le sud de I'Amerique Septentrionale (1614–1754). 6 vols.
[38]
비디오
Earl's Canoe: A Traditional Ojibwe Craft
http://www.library.a[...]
Smithsonian Center for Folklife Programs and Cultural Studies
2012-12-03
[39]
웹사이트
A Venerable Chestnut
http://www.sciencete[...]
Canada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2012-10-08
[40]
웹사이트
The Wood and Canvas Canoe
http://forums.wcha.o[...]
Wooden Canoe Heritage Association
2012-10-26
[41]
웹사이트
Riddare av paddeln: kanotismens första decennier i Sverige
https://digitaltmuse[...]
Maritime Museum (Stockholm)
2024-10-23
[42]
웹사이트
Canoe / kayak sprint equipment and history
http://www.olympic.o[...]
olympic.org
2012-09-29
[43]
서적
Canoeing : outdoor adventures
https://archive.org/[...]
Human Kinetics
[44]
서적
The Complete Wilderness Paddler
https://archive.org/[...]
Vintage
[45]
웹사이트
Canoe Design
http://canoeing.com/[...]
Canoe.com
2020-09-03
[46]
서적
Competition Rules Canoe and Kayak Specifications Sanctioned Race Sponsor Requirements
http://www.uscanoe.c[...]
United States Canoe Association
2020-09-03
[47]
서적
38th Annual Run of the Charles
https://www.crwa.org[...]
Charles River Watershed Association
2020-09-14
[48]
웹사이트
How to Choose a Canoe: A Primer on Modern Canoe Design
http://www.gorp.com/[...]
GORP
2012-10-07
[49]
웹사이트
The Hull Truth
http://www.quintanna[...]
Mad River Canoe
2012-10-07
[50]
서적
Discover Canoeing: A Complete Introduction to Open Canoeing
Pesda Press
[51]
웹사이트
Royalex (RX)
http://www.roscocano[...]
2010-11-20
[52]
웹사이트
Canoe Materials
http://www.frontenac[...]
Frontenac Outfittesr
2012-10-07
[53]
웹사이트
Buying The Right Canoe
http://www.outdoorpl[...]
2012-10-06
[54]
웹사이트
The Canoe
http://digital.libra[...]
McGill University
2012-10-16
[55]
웹사이트
The Pearl: Themes, Motifs, & Symbols
http://www.sparknote[...]
Spark Notes
2012-10-16
[56]
웹사이트
Story: Canoe traditions
http://www.teara.gov[...]
The Encyclopedia of New Zealand
2012-10-16
[57]
웹사이트
Canoe sprint
http://www.canoe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12-11-22
[58]
웹사이트
Canoe Sprint Overview
http://www.canoe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12-11-22
[59]
웹사이트
About Canoe Slalom
http://canoeicf.com/[...]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12-11-22
[60]
웹사이트
Rules for Canoe Slalom
http://www.canoe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12-11-22
[61]
웹사이트
Wildwater Competition rules 2011
http://www.canoeicf.[...]
International Canoe Federation
2023-11
[62]
웹사이트
La Classique Internationale de Canots de la Mauricie: Rules and Regulations
http://www.classique[...]
2012-11-30
[63]
웹사이트
Texas Water Safari: History
http://www.texaswate[...]
2012-11-30
[64]
웹사이트
Canoe launch – Pukaskwa National Park
https://www.pc.gc.ca[...]
2019-09-03
[65]
뉴스
New kayak, canoe launch on Little Calumet River adds to recreation opportunities
https://www.chicagot[...]
2019-09-03
[66]
뉴스
Friends of Shiawassee say canoe launch is now open
https://www.argus-pr[...]
2019-09-03
[67]
웹사이트
Paddle – Royal Botanical Gardens
https://www.rbg.ca/p[...]
2019-09-03
[68]
뉴스
Wiikwemkoong outdoor education class builds, launches 30 ft. canoe
https://www.manitoul[...]
2019-09-03
[69]
기타
[70]
웹사이트
カヌースプリント
http://www.canoe.or.[...]
日本カヌー連盟
[71]
웹사이트
競技紹介 Canoe/カヌー
https://www.jsad.or.[...]
日本パラリンピック委員会
2021-08-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양평 하천서 급류 휩쓸린 60대 남성, 15시간여 만에 숨진 채 발견
울산시, ‘반구천 암각화’ 등재 앞 세계유산위원회에 사절단 파견
장애인체육회, 장애인의 날 맞이 장애인 스포츠 체험 행사
[경향포토] 아디다스코리아, ‘서울아 운동하자’ 캠페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