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혀끝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혀끝소리는 혀의 끝부분을 사용하여 발음하는 자음으로, 조음 위치에 따라 치경음, 치음, 후치경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등으로 분류된다. 파열음, 비음, 마찰음, 파찰음, 전동음, 탄음, 접근음, 설측음 등 다양한 조음 방법으로 소리 내며, 국제 음성 기호(IPA)를 통해 표기된다. 혀끝소리는 한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등에서도 그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혀끝소리
개요
정의혀끝 또는 혀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자음
관련 위치설순음
치음
치경음
설첨음
설단음
후치경음
치경구개음
권설음
특징
조음 위치혀끝 또는 혀날
조음 기관혀끝
혀날

2. 조음 위치



류중심음파열음tdt̠d̠ʈɖc̟ɟ̟유기음 파열음t̼ʰd̼ʰt̪ʰd̪ʰtʰdʰt̠ʰd̠ʰʈʰɖʰc̟ʰɟ̟ʰ비음n̼̊n̪̊nn̠̊n̠ɳ̊ɳɲ̟̊ɲ̟전동음r̼̊r̼r̪̊r̪rr̠̊r̠r̺̠̊r̺̠탄음ɾ̼̊ɾ̼ɾ̪̊ɾ̪ɾ̥ɾɾ̠̊ɾ̠ɽ̊ɽc̟̆ɟ̟̆마찰음θ̼ð̼θðszʃʒʂʐɕʑ접근음ɹ̼̊ɹ̼θ̞ð̞ɹ̥ɹʃ̞ʒ̞ɻ̊ɻɕ̞ʑ̞파찰음t̼͡θ̼d̼͡ð̼t͡θd͡ðt͡sd͡zt͡ʃd͡ʒʈ͡ʂɖ͡ʐt͡ɕd͡ʑ유기 파찰음t̼͡θ̼ʰd̼͡ð̼ʰt͡θʰd͡ðʰt͡sʰd͡zʰt͡ʃʰd͡ʒʰʈ͡ʂʰɖ͡ʐʰt͡ɕʰd͡ʑʰ설측음탄음ɺ̼ɺ̪ɺ̥ɺ마찰음ɬ̼ɮ̼ɬ̪ɮ̪ɬɮɭ̝접근음l̼l̪lɭ̥ɭ비폐쇄 기류흡착음ǀ̼ǀǃ!!설측 흡착음ǁ̼ǁ̪ǁ내파음ƭ̼ɗ̼ƭ̪ɗ̪ƭɗᶑ방출음t̪ʼʈʼȶʼ마찰 방출음θʼsʼʂʼçʼ



왼쪽이 유성음, 오른쪽이 무성음이다. 회색 부분은 발음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다. 하늘색 부분은 치경음과 구별하기 드물다. "*"는 국제 음성 기호로 표시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일부 문자는 유니코드 4.0이 아니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발음도 표기되어 있다.[1]

2. 1. 치경음



류중심음파열음td유기음 파열음tʰdʰ비음n전동음r탄음ɾ̥ɾ마찰음sz접근음ɹ̥ɹ파찰음t͡sd͡z유기 파찰음t͡sʰd͡zʰ설측음탄음ɺ̥ɺ마찰음ɬɮ접근음l



흡착음ǃ설측 흡착음ǁ내파음ƭɗ방출음마찰 방출음sʼ



왼쪽이 유성음, 오른쪽이 무성음이다.

2. 2. 치음

윗니에 혀끝을 대어 소리내는 자음이다. 영어의 'th'(/θ/, /ð/) 발음이 여기에 속한다.

colspan="3"|순치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
폐쇄 기류중심음파열음tdʈɖɟ̟
유기음 파열음t̼ʰd̼ʰt̪ʰd̪ʰt̠ʰd̠ʰʈʰɖʰc̟ʰɟ̟ʰ
비음n̼̊n̪̊nn̠̊ɳ̊ɳɲ̟̊ɲ̟
전동음r̼̊r̪̊rr̠̊r̺̠̊r̺̠
탄음ɾ̼̊ɾ̼ɾ̪̊ɾ̪ɾ̥ɾɾ̠̊ɾ̠ɽ̊ɽc̟̆ɟ̟̆
마찰음θ̼ð̼θðszʃʒʂʐɕʑ
접근음ɹ̼̊ɹ̼θ̞ð̞ɹ̥ɹʃ̞ʒ̞ɻ̊ɻɕ̞ʑ̞
파찰음t̼͡θ̼d̼͡ð̼t͡θd͡ðt͡sd͡zt͡ʃd͡ʒʈ͡ʂɖ͡ʐt͡ɕd͡ʑ
유기 파찰음t̼͡θ̼ʰd̼͡ð̼ʰt͡θʰd͡ðʰt͡sʰd͡zʰt͡ʃʰd͡ʒʰʈ͡ʂʰɖ͡ʐʰt͡ɕʰd͡ʑʰ
설측탄음ɺ̼ɺ̪ɺ̥ɺ
마찰음ɬ̼ɮ̼ɬ̪ɮ̪ɬɮɭ̝
접근음lɭ̥ɭ
비폐쇄 기류흡착음ǀ̼ǀǃ!!
설측 흡착음ǁ̼ǁ̪ǁ
내파음ƭ̼ɗ̼ƭ̪ɗ̪ƭɗ
방출음t̪ʼʈʼȶʼ
마찰 방출음θʼʂʼçʼ



왼쪽이 유성음, 오른쪽이 무성음이다. 회색 부분은 발음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다. 하늘색 부분은 치경음과 구별하기 드물다. "*"는 국제 음성 기호로 표시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일부 문자는 유니코드 4.0이 아니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발음도 표기되어 있다.

2. 3. 후치경음

치경보다 뒤쪽(경구개 방향)에서 혀끝이나 혓바닥을 이용하여 소리내는 자음이다. 영어의 'sh'(/ʃ/), 'zh'(/ʒ/) 발음이 여기에 속한다.

혀끝소리 파찰음
IPA
기호
의미
수동
(구강)
후퇴
(후치경음)
능동
(혀)
설단음
설단음
권설음
부차적구개음화된 혀끝소리
치경구개음
경구개치경음
순음화된 혀끝소리
연구개음화된 혀끝소리
인두음화된 혀끝소리
발성 개시 시간유기음 혀끝소리



colspan="3"|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



중심음파열음
유기음 파열음t̠ʰd̠ʰ
비음n̠̊
전동음r̠̊
탄음ɾ̠̊ɾ̠
마찰음ʃʒ
접근음ʃ̞ʒ̞
파찰음t͡ʃd͡ʒ
유기 파찰음t͡ʃʰd͡ʒʰ
설측음탄음**
마찰음**
접근음**




흡착음*
설측 흡착음*
내파음**
방출음*
마찰 방출음ʃʼ



왼쪽이 유성음, 오른쪽이 무성음이다. 회색 부분은 발음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다. "*"는 국제 음성 기호로 표시하기 어려운 것이다.

2. 4. 권설음

혀끝을 위로 말아 올려 경구개에 닿거나 가까이 대고 소리내는 자음이다. 인도유럽어족의 일부 언어, 중국어 등에서 나타난다.[1]

권설 파찰음
colspan="2" |IPA
기호
의미
조음
위치
능동
(혀)
권설음



colspan="3"|권설음



중심음파열음ʈɖ
유기음 파열음ʈʰɖʰ
비음ɳ̊ɳ
전동음r̺̠̊r̺̠
탄음ɽ̊ɽ
마찰음ʂʐ
접근음ɻ̊ɻ
파찰음ʈ͡ʂɖ͡ʐ
유기 파찰음ʈ͡ʂʰɖ͡ʐʰ
설측음탄음**
마찰음*ɭ̝
접근음ɭ̥ɭ




흡착음!!|
설측 흡착음*|
내파음*
방출음ʈʼ|
마찰 방출음ʂʼ|



왼쪽이 유성음, 오른쪽이 무성음이다. 회색 부분은 발음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다. "*"는 국제 음성 기호로 표시하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일부 문자는 유니코드 4.0이 아니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발음도 표기되어 있다.[1]

2. 5. 치경구개음

혓바닥을 경구개와 치경 사이에 대고, 혀끝은 아랫니 뒤쪽에 댄 상태에서 소리내는 자음이다.[1]

치경구개음 종류
종류설명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
유기 치경구개 파열음
유기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
무성 치경구개 비음
치경구개 비음
무성 치경구개 탄음
치경구개 탄음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무성 치경구개 접근음
치경구개 접근음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유기 치경구개 파찰음
유기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치경구개 방출음
치경구개 마찰 방출음


2. 6. 설순음

윗입술에 혀를 대어 소리내는 자음이다. 설순음은 때때로 혀끝소리라기보다는 순음처럼 기능하기도 한다.[1]

3. 조음 방법

혀끝소리는 혀끝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닿소리(자음)의 종류이다. 혀끝소리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3. 1. 파열음

혀끝으로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소리 내는 자음이다. 한국어의 'ㄷ', 'ㄸ', 영어의 't', 'd' 등이 여기에 속한다.


3. 2. 비음

혀끝으로 입안의 공기를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소리 내는 자음이다. 한국어의 'ㄴ'(ㄴ한국어)과 영어의 'n'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1]

종류소리
순치 비음n̼|ㄴmul
치 비음n̪|ㄴmul
치경 비음n|ㄴmul
후치경 비음n̠|ㄴmul
권설 비음ɳ|ㄴmul
치경구개 비음ɲ̟|ㄴmul

[1]

3. 3. 마찰음

혀끝과 조음 위치 사이의 좁은 틈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 내는 자음이다. 한국어의 'ㅅ', 'ㅆ', 영어의 's', 'z', 'th'(/θ/, /ð/), 'sh'(/ʃ/), 'zh'(/ʒ/) 등이 여기에 속한다.

종류설명예시
무성 치경 마찰음혀끝을 윗잇몸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한국어, , 영어의 's'
유성 치경 마찰음혀끝을 윗잇몸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성대가 울림.영어의 'z'
무성 치 마찰음혀끝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두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영어th(/θ/)
유성 치 마찰음혀끝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두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성대가 울림.영어th(/ð/)
무성 후치경 마찰음혀끝을 윗잇몸 뒤쪽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영어sh(/ʃ/)
유성 후치경 마찰음혀끝을 윗잇몸 뒤쪽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성대가 울림.영어zh(/ʒ/)
무성 권설 마찰음혀끝을 경구개(입천장) 쪽으로 말아 올리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유성 권설 마찰음혀끝을 경구개(입천장) 쪽으로 말아 올리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성대가 울림.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혀끝을 경구개(입천장)와 윗잇몸 사이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혀끝을 경구개(입천장)와 윗잇몸 사이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성대가 울림.
무성 순치 마찰음아랫입술을 윗니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유성 순치 마찰음아랫입술을 윗니에 가까이 대고 그 틈새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소리. 성대가 울림.


3. 4. 파찰음

파찰음은 혀끝으로 공기를 막았다가 천천히 터뜨리면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 내는 자음이다. 파열음마찰음을 결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종류소리 예시
무성 순치 파찰음t̼͡θ̼
유성 순치 파찰음d̼͡ð̼
무성 치 파찰음t͡θ
유성 치 파찰음d͡ð
무성 치경 파찰음t͡s
유성 치경 파찰음d͡z
무성 후치경 파찰음t͡ʃ
유성 후치경 파찰음d͡ʒ
무성 권설 파찰음ʈ͡ʂ
유성 권설 파찰음ɖ͡ʐ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t͡ɕ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d͡ʑ
유기 순치 파찰음t̼͡θ̼ʰ
유기 유성 순치 파찰음d̼͡ð̼ʰ
유기 치 파찰음t͡θʰ
유기 유성 치 파찰음d͡ðʰ
유기 치경 파찰음t͡sʰ
유기 유성 치경 파찰음d͡zʰ
유기 후치경 파찰음t͡ʃʰ
유기 유성 후치경 파찰음d͡ʒʰ
유기 권설 파찰음ʈ͡ʂʰ
유기 유성 권설 파찰음ɖ͡ʐʰ
유기 치경구개 파찰음t͡ɕʰ
유기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d͡ʑʰ


3. 5. 전동음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고 공기를 불어넣어 혀끝을 떨면서 소리 내는 자음이다. 스페인어의 'rr'(/r/) 등이 여기에 속한다.

무성음유성음
r
r̼̊
r̪̊
r̠̊
r̺̠̊r̺̠


3. 6. 탄음

혀끝으로 잇몸을 가볍게 한 번 쳐서 소리내는 자음이다. 스페인어의 'r'(/ɾ/) 등이 여기에 속한다.


3. 7. 접근음

혀끝을 조음 위치에 가까이 대고 공기가 좁은 틈 사이로 지나가게 하지만, 마찰음처럼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소리 내는 닿소리(자음)이다. 영어의 'r'(/ɹ/) 등이 여기에 속한다.

종류소리
무성 순치 접근음ɹ̼̊
순치 접근음ɹ̼
무성 치 접근음θ̞
치 접근음ð̞
무성 치경 접근음ɹ̥
치경 접근음ɹ
무성 후치경 접근음ʃ̞
후치경 접근음ʒ̞
무성 권설 접근음ɻ̊
권설 접근음ɻ
무성 치경구개 접근음ɕ̞
치경구개 접근음ʑ̞


3. 8. 설측음

혀끝을 윗잇몸에 대고 혀의 양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소리 내는 자음이다. 한국어의 'ㄹ', 영어의 'l' 등이 여기에 속한다.

4. 혀끝소리 목록 (IPA)



류중심음파열음tdt̠d̠ʈɖc̟ɟ̟유기음 파열음t̼ʰd̼ʰt̪ʰd̪ʰtʰdʰt̠ʰd̠ʰʈʰɖʰc̟ʰɟ̟ʰ비음n̼̊n̪̊nn̠̊n̠ɳ̊ɳɲ̟̊ɲ̟전동음r̼̊r̼r̪̊r̪rr̠̊r̠r̺̠̊r̺̠colspan="2"|탄음ɾ̼̊ɾ̼ɾ̪̊ɾ̪ɾ̥ɾɾ̠̊ɾ̠ɽ̊ɽc̟̆ɟ̟̆마찰음θ̼ð̼θðszʃʒʂʐɕʑ접근음ɹ̼̊ɹ̼θ̞ð̞ɹ̥ɹʃ̞ʒ̞ɻ̊ɻɕ̞ʑ̞파찰음t̼͡θ̼d̼͡ð̼t͡θd͡ðt͡sd͡zt͡ʃd͡ʒʈ͡ʂɖ͡ʐt͡ɕd͡ʑ유기 파찰음t̼͡θ̼ʰd̼͡ð̼ʰt͡θʰd͡ðʰt͡sʰd͡zʰt͡ʃʰd͡ʒʰʈ͡ʂʰɖ͡ʐʰt͡ɕʰd͡ʑʰ설측음탄음*ɺ̼*ɺ̪ɺ̥ɺ******마찰음ɬ̼ɮ̼ɬ̪ɮ̪ɬɮ***ɭ̝**접근음*l̼*l̪l**ɭ̥ɭ**비



흡착음ǀ̼ǀǃ*!!*설측 흡착음ǁ̼ǁ̪ǁ***내파음ƭ̼ɗ̼ƭ̪ɗ̪ƭɗ***ᶑ**방출음*t̪ʼ*ʈʼȶʼ마찰 방출음θ̼ʼθʼsʼʃʼʂʼçʼ

5. 언어별 예시

아랍어와 몰타어에서 태양 문자는 설단음을 나타낸다.

영어를 비롯한 유럽의 여러 언어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등에서 혀끝소리가 발견된다.

5. 1. 아랍어

아랍어와 몰타어에서 태양 문자는 설단음을 나타낸다.

5. 2. 유럽 언어


5. 3.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에서 혀끝소리는 말초 자음과 대조를 이룬다.[1]

오스트레일리아 혀끝소리
rowspan=2 |설면음설첨음
치경구개음치음치경음권설음
파열음
비음
설측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