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노노 이모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노노 이모코는 오미국 시가군 오노촌 출신의 호족으로, 607년 수나라에 견수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수나라 황제에게 국서를 전달하고, 608년 귀국했으나 국서 분실을 보고했다. 이후 다시 수나라에 파견되어 유학생들과 함께 귀국했으며, 대덕까지 관위가 승진했다. 오노노 이모코는 화도 이케노보에서 "화도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그의 묘소로 추정되는 곳이 오사카부 다이시정에 있다. 매년 11월 3일에는 오노노 이모코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나라-일본 관계 - 견수사
    7세기 초 왜국이 수나라에 파견한 사절단인 견수사는 수나라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 정치 체제를 정비하는 데 기여했으나 외교적 마찰도 있었다.
  • 6세기 일본 사람 - 조메이 천황
    조메이 천황은 일본의 제34대 천황으로, 소가 씨의 지지를 받아 즉위하여 당나라와 교류를 시작하고 백제 문화를 장려하였다.
  • 6세기 일본 사람 - 고토쿠 천황
    고토쿠 천황은 비다쓰 천황의 후손으로, 다이카 개신을 통해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려 했지만 나카노오에 황자와의 갈등으로 순탄치 못했으며, 다이카, 하쿠치 연호 사용, 나니와쿄 천도 등의 정책을 추진한 일본의 36대 천황이다.
오노노 이모코
기본 정보
씨족오노 신
이름오노노 이모코
다른 이름이모코 신
시대아스카 시대
출생불명
사망불명
묘소오사카부미나미카와치군다이시정
관위다이토쿠
주인스이코 천황, 쇼토쿠 태자
부모오노 나카와카코
자녀게누 신
생애
활동 시기6/7세기
주요 활동정치인, 외교관
파견견수사
견수사
파견 시기607년, 608년
역할국서 전달
607년 국서 내용해가 뜨는 곳의 천자가 해가 지는 곳의 천자에게 보낸다.
상대수나라
수나라 반응불쾌하게 여김
수나라 사신배세청
관련 용어화외지지

2. 경력

607년 안작 후쿠리 등과 함께 통역으로 수나라에 파견되었다. 일본서기(권 제22)에는 "15년……가을 7월 무신삭 경술에, 대례 소노 오미 이모코를 대당에 파견하고, 안작 복리를 통역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5] 이모코는 608년 4월에 수나라 사신 배세청을 동반하여 귀국했지만, 수나라 황제 수 문제[7]로부터의 답서를 경유지인 백제에서 분실했다고 보고했다. (분실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8]) 그 죄는 유형에 해당했지만, 스이코 천황에 의해 사면되었다.

같은 해 9월, 배세청의 귀국에 맞춰 다시 대사로서 수나라에 파견되었으며, 유학생 복인, 혜명, 겐리, 대국, 그리고 학문승 니치분, 세이안, 혜은, 광제 등 8명의 유학생, 유학승과 함께 국서를 가지고 현지에 가서 609년 9월에 귀국했다. 이후 관위는 대덕까지 승진했다.[9]

수서 「권 81 열전 제46 동이 왜국」에는 607년(대업 3년), 수나라 황제 양제가 격노한 것으로 유명한 "해 뜨는 곳의 천자가 해 지는 곳의 천자에게 문안을 보낸다"라는 문구가 있다.[10] 『수서』에는 왜왕의 이름(성은 아매, 자는 다리사비고[11])은 있지만 국서를 지참한 사람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단지 사자라고만 되어 있다.

2. 1. 출신

오미국시가군 오노촌(현 오쓰시 오노)의 호족으로, 아마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를 시조로 하는 오노씨 출신이다. 『대일본사』에 따르면 아마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의 6세손인 고메츠키오오마에누시의 후예에 해당한다. 『고지키』 고쇼 천황 단락에 "아마타라시히코노미코토는……카스가노오미……오노노오미……의 조상이다"라고 있으며, 『일본서기고쇼 천황 단락에도 "아마타라시히코쿠니오시히토노미코토는 이것이 와니노오미 등의 시조이다"라고 적혀있다.

계보는 명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유포되는 오노씨의 계도에서는, 이모코를 비다쓰 천황의 황자인 카스가 황자의 아들로 한다.[3]

일본서기유랴쿠 천황기에 "카스가노오미 오노노오미 다이쥬"라는 인물이 등장하고, 이모코는 이 다이쥬의 후예라는 설도 있다. 이 설의 경우에는 카스가나카노키미의 딸인 로우시가 비다쓰 천황의 비가 되어 카스가 황자를 낳았기 때문에, 오노씨를 카스가 황자의 계통으로 이었다고 생각하지만, 확실하지 않다.[4]

2. 2. 견수사 파견

607년 안작 후쿠리 등과 함께 통역으로 대당(당시의 수나라)에 파견되었다. 일본서기(권 제22)에는 "15년……가을 7월 무신삭 경술에, 대례 소노 오미 이모코를 대당에 파견하고, 안작 복리를 통역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5] 현지에서 "소인고[6]"라고 불린 이모코는 스이코 천황 16년(608년) 4월에 수나라 사신 배세청을 동반하여 귀국했지만, 수나라 황제 수 문제[7]로부터의 답서를 경유지인 백제에서 분실했다고 보고했다. (분실에 관해서는 고래로부터 논란이 있다.[8]) 그 죄는 유형에 해당했지만, 스이코 천황에 의해 사면되어 죄를 묻지 않았다.

같은 해 9월에는 배세청의 귀국에 맞춰 다시 대사로서 수나라에 파견되었으며, 유학생 복인, 혜명, 겐리, 대국, 그리고 학문승 니치분, 세이안, 혜은, 광제 등 8명의 유학생, 유학승과 함께 국서를 가지고 현지에 가서 다음 해인 609년 9월에 귀국했다. 『속일본기』(와도 7년 4월조), 『신선성씨록』 등에 따르면, 이후 관위는 대덕까지 승진했다.[9]

수서』「권 81 열전 제46 동이 왜국」에는, 대업 3년(607년), 수나라 황제 양제가 격노한 것으로 유명한 "해 뜨는 곳의 천자가 해 지는 곳의 천자에게 문안을 보낸다"라는 문구가 있다.[10] 『수서』에는 왜왕의 이름(성은 아매, 자는 다리사비고[11])은 있지만 국서를 지참한 사람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단지 사자라고만 되어 있다.

3. 묘소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다이시정의 시나가하라 신사 남쪽 야트막한 언덕 위에 오노노 이모코의 묘라고 전해지는 작은 묘가 있다. 이모코를 도조(道祖)로 모시는 화도(華道) 종가인 이케노보에서 관리하며, 매년 6월 30일 묘전제가 열린다. 이곳은 헤이세이 원년에 오사카 녹색 100선에 선정되었다.[13]

한편, 오노노 이모코의 탄생지로 여겨지는 시가현 오쓰시 오노노 이모코 공원(JR 오노역 도보 10분, 시립 오노 초등학교 남쪽) 내 사적 · 가라우스야마 고분(唐臼山古墳)을 오노노 이모코의 묘라고 주장하는 설이 있으며,[14] 분구(墳丘) 위에 오노 이모코 신사가 건립되어 있다.

같은 고분 남쪽에 있는 고분이 이모코의 아버지[15]의 묘일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단, 후자는 오쓰시 교육위원회 사전 조사 후 파괴되어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4. 기타

탤런트 에노키 사리나가 이모코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지만, 확실한 증거나 근거는 전혀 없고, 어디까지나 자칭에 불과하다.

4. 1. 이케노보(池坊)와의 관계

오노노 이모코는 화도가원인 이케노보에서 "화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이케노보가의 전승에 따르면, 쇼토쿠 태자시텐노지 건립에 쓸 용재를 구하러 교토에 갔다가 영목을 얻어 롯카쿠도(현 초호지)를 건립하고, 함께 간 오노노 이모코에게 태자가 지닌 여의륜관음을 본존으로 삼아 지키도록 명했다고 한다. "오노노 이모코 전무"라 불린 이모코는 롯카쿠도 첫 주지가 되어 경내 연못가에 방을 짓고 아침저녁으로 부처님 전에 꽃을 바쳤다고 한다. 이것이 화도 이케노보의 시작이며, 이후 대대로 가원은 "전무"에서 "전" 자를 따서 계승해 왔다고 한다.[12]

4. 2. 이름에 대한 오해

「妹子」라는 이름 때문에 여성으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지만, 남성이다.

고대 일본에서는 인명의 마지막에 '자'(혹은 고)를 붙이는 풍습이 남녀를 가리지 않고 있었으며, 남성 이름에도 드문 일은 아니었다(예: 소가노 우마코, 나카토미노 가마코(가마타리), 아베노 도리코 등). 그러나 나라 시대 이후, 일본에서는 '~자'는 여성 이름의 마지막에 붙는 문자가 되었다. 게다가 이름에 '妹' 자가 붙어 있어서, 언뜻 보면 오노노 이모코를 여성의 이름처럼 느끼지만 남성이다.

다만, 남성 이름에 '妹' 자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妹'는 예전에는 '이모'라고 읽었으며, 남성 입장에서 본 같은 배의 여성 외에, 연인이나 아내 등 친밀한 여성을 통칭하는 단어였다.

4. 3. 오노노 이모코 축제

매년 11월 3일 문화의 날에 오쓰시의 오노・와니 지구 일대에서 "견수사 오노노 이모코의 고향 와니"(통칭 "오노노 이모코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이 축제는 견수사 파견 1400년을 기념하여 2007년(헤이세이 19년)부터 시작된 마을 부흥 사업으로, 역사 의상 행렬, 떡 미코시, 떡 뿌리기, 이모코 국 시식, 스탬프 랠리 추첨회, 역사의 길 걷기 등의 행사가 열린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간행물 Rediscovering Manchuria: Sin Ch'aeho and the Politics of Territorial History in Korea
[3] 문서 小野氏系図
[4] 서적 姓氏家系大辞典 角川書店 1963
[5] 웹사이트 日本書紀 卷廿二 推古紀 http://applepig.idv.[...] 2010-07-29
[6] 문서 日本書紀』巻第二十二推古天皇十六年には「唐国号妹子臣曰蘇因高」(唐国は妹子の臣をなづけて蘇因高という)とある。
[7] 문서 宇治谷孟の現代語訳では「煬帝」とあるが、原文に「煬帝」の語はなく「唐帝」である。
[8] 학술지 隋書倭国伝と日本書紀推古紀の記述をめぐって : 遣隋使覚書 九州大学大学院人文科学研究院 2004-03-10
[9] 서적 坂本太郎著作集 吉川弘文館 1989
[10] 문서 日本書紀』は隋を大唐国と記し、国書の内容を記録していない。
[11] 문서 日本書紀』には600年の遣隋使の記事は無いが、この時の使者も妹子と考え、「阿毎」「多利思比孤」と上記の氏祖・天足彦国押人命は関連があるとする説もある。600年は国書を持っておらず、口頭でのやり取りだったと推測される。
[12] 서적 大阪府の歴史散歩 下 山川出版社 2007
[13] 웹사이트 大阪みどりの百選 http://www.pref.osak[...] 大阪府 2016-12-23
[14] 웹사이트 唐臼山古墳(からうすやまこふん) http://www.rekihaku.[...] 大津市歴史博物館
[15] 문서 尊卑分脉』『諸家系図』は小野妹子の父を敏達天皇の息子、春日皇子としている。『新撰姓氏録』は小野朝臣を皇別とする。
[16] 서적 Japan encyclopedia, p. 755 https://books.googl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