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테크니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디오 테크니카는 1962년 일본 도쿄에서 축음기 카트리지 제조업체로 설립된 음향 기기 및 식품 가공 기기 제조 회사이다. 헤드폰, 마이크, 턴테이블, 카트리지 등 다양한 음향 기기를 생산하며, 1980년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스시 기계 시장에도 진출하여 AUTEC 브랜드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올림픽, 그래미상 등 주요 국제 행사에 제품을 공급하며, 사회 공헌 활동으로 장학 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설립된 전자 기업 - 후지 제록스
후지 제록스는 후지필름과 랭크 제록스의 합작으로 1962년 설립되어 복사기, 복합기 등 사무기기 시장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였으나, 2021년 제록스와의 기술 계약 만료 후 후지필름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 독자 브랜드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1962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레이저텍
레이저텍은 1960년에 설립되어 반도체 검사 장비, 특히 극자외선 노광 기술 관련 검사 장치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진 일본 회사로, EUV 마스크 결함 검사 장치 시장을 선도하며 닛케이 평균 주가 구성 종목으로도 채택되었다. - 일본의 음향기기 제조 기업 - 히타치 제작소
히타치 제작소는 1910년 설립된 일본의 글로벌 기업으로 정보기술, 에너지, 산업 시스템, 철도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일본의 음향기기 제조 기업 - 아이바네즈
아이바네즈는 1908년 호시노 쇼텐에서 시작되어 "아이바네즈 살바도르"라는 이름으로 어쿠스틱 기타를 제작한 일본의 악기 제조 회사로, 이후 다양한 악기를 생산하며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고 유명 기타리스트들의 시그니처 모델로 인기를 얻고 있다. - 헤드폰 제조 기업 - 파이오니아
파이오니아는 1938년 설립된 일본 전자기기 제조 회사로, 오디오 기기 시장을 선도한 후 광 디스크 기술 개발을 통해 AV 기기 제조업체로 발돋움했으며, 현재는 카 내비게이션 및 모빌리티 솔루션 서비스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 헤드폰 제조 기업 - 야마하
야마하는 야마하 도라쿠스가 1887년에 창업한 세계 최대의 악기 제조 회사로, 악기 외에도 AV 기기, IT 기기,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VOCALOID 엔진 개발, 스테인버그 및 뵈젠도르퍼 인수를 통해 기술력을 확장해왔다.
오디오 테크니카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회사명 | 오디오 테크니카 주식회사 |
영문 회사명 | Audio-Technica Corporation |
종류 | 비상장 주식회사 |
설립 | 1962년 4월 17일 |
설립 장소 | 도쿄 신주쿠 |
창업주 | 마쓰시타 히데오 |
소재지 | 도쿄 마치다 |
국적 | 일본 |
주요 인물 | 마쓰시타 가즈오 (사장) |
산업 | 오디오 장비 |
웹사이트 | 오디오 테크니카 공식 웹사이트 |
제품 | |
제품 목록 | 헤드폰 마이크로폰 턴테이블 포노그래프 카트리지 무선 마이크로폰 |
재무 정보 | |
자본금 | 1억 엔 |
종업원 수 | 194명 (2020년 12월 기준) |
매출액 | 비공개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마쓰시타 히데오 (창업자) |
주요 자회사 | 주식회사 테크니카 후쿠이 |
2. 회사 연혁
오디오 테크니카는 1962년 마쓰시타 히데오가 도쿄도 신주쿠구에서 축음기 카트리지 제조업체로 설립한 회사이다.[1][18] 초기에는 AT-1, AT-3과 같은 MM형 스테레오 카트리지를 생산하며 사업을 시작했고, 빠르게 성장하여 1965년에는 본사와 공장을 도쿄도 마치다시로 이전했다.[1]
1967년 독자적인 VM형 카트리지를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하고 해외 수출을 본격화했으며,[2] 1970년대에는 미국과 영국에 지사를 설립하고 헤드폰(1974년)과 마이크로폰(1978년) 시장에도 진출하며 사업 영역을 넓혔다.[1]
1980년대 CD의 등장으로 주력 사업이던 카트리지 시장이 위축되자, 회사는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여 스시 제조 기계와 같은 새로운 분야에 진출했다.[4][3] 이는 성공을 거두어 현재 오디오 테크니카는 AUTEC 브랜드로 스시 기계를 판매하는 주요 제조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4][3] 또한 1986년에는 고순도 구리 선재인 PCOCC 기술을 활용한 케이블과 카트리지를 개발했다.[5][1]
1990년대에는 AT40 시리즈와 같은 전문가용 콘덴서 마이크를 다수 출시하며 마이크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고,[1][6][7] 싱가포르와 대만 등 아시아 지역으로도 사업을 확장했다.[1]
2000년대 이후에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미국 대통령 선거 토론을 비롯한 주요 행사에 마이크를 공급하고 있으며,[8] CES에서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10][11]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는 헤드폰, 마이크로폰, AV 액세서리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며, 창업 품목인 카트리지와 포노 이퀄라이저 등 LP 관련 제품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2016년에는 마치다시에 신사옥을 완공했다.[19]
2. 1. 설립 초기 (1962년 ~ 1970년대)
브리지스톤 미술관의 직원으로 레코드 콘서트 운영 등을 담당하던 마쓰시타 히데오가 레코드 플레이어용 카트리지를 직접 제작하고 판매하기 위해 독립하여 1962년 도쿄도 신주쿠구에서 자본금 100만 엔으로 오디오 테크니카를 설립했다. 첫 제품은 MM형 스테레오 축음기 카트리지인 AT-1과 AT-3였다.[1][18]초기에는 카트리지 전문 제조사로서 오디오 애호가를 위한 자체 브랜드 제품, NHK를 비롯한 방송국용 전문가용 제품, 그리고 국내 스테레오 세트나 레코드 플레이어의 표준 부품 또는 OEM 방식으로 공급하는 등 폭넓은 사업을 전개했다. 사업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1965년에는 본사와 공장을 현재의 도쿄도 마치다시 나루세 주소로 이전했다.[1]
1967년에는 독자적인 구조의 VM형 카트리지를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했다. 이를 통해 당시 유럽과 미국 제조사들이 보유하고 있던 MM형 카트리지의 높은 특허 사용료 부담을 피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국내 제조사의 수출용 제품 및 일부 해외 제조사에도 채용되는 계기가 되어 자사 브랜드 및 상대방 브랜드로 제품을 수출하기 시작했다. 1969년에는 포노 카트리지의 전 세계 수출을 시작했으며, 최초의 마이크로카세트 레코더를 출시했다.[2]
1972년에는 미국 오하이오주 페어론에 현지 판매 법인인 'Audio-Technica U.S. Inc.'를 설립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고, 유럽 제조업체에도 VM 포노 카트리지를 공급하기 시작했다.[1] 1974년에는 헤드폰 시장에 진출하여 첫 모델인 AT-700 시리즈를 개발 및 출시했으며,[1] 1978년에는 마이크로폰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여 AT-800 시리즈 마이크를 선보였다. 같은 해 영국 리즈에도 지사를 설립하여 유럽 시장 공략을 강화했다.[1]
2. 2. 사업 다각화 및 성장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 디지털 음악 형식이 성장하면서, 오디오 테크니카의 주력 사업이었던 포노 카트리지 분야가 위협받게 되었다. 이에 회사는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기 시작했다.[4]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모으는 과정에서 스시 기계 개발이 채택되었다.[4] 1984년, 오디오 테크니카는 가정용 니기리 형성 기기인 ASM50 Nigirikko를 출시했다. 이 기기는 니기리를 올려놓는 턴테이블과 유사한 구조를 가졌다.[4][3] 이 제품의 성공을 바탕으로 회사는 상업 및 산업용 스시 기계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했다.[4] 오디오 테크니카는 현재 AUTEC이라는 브랜드로 스시 기계를 판매하며, 이 분야에서 세계적인 제조업체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4][3]1986년에는 연속 주조 공정으로 생산된 고순도 구리, 즉 PCOCC(Pure Copper Ohno Continuous Casting) 기술을 사용한 RCA 커넥터 케이블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1982년에서 1985년 사이에 오노 아츠미가 발명하고 개발한 것이다.[5] 같은 해, 회사는 PCOCC 소재를 적용한 첫 포노 카트리지인 AT33ML/OCC를 출시했다. 1988년에는 대만에 자회사를 설립하며 해외 사업을 확장했다.[1]
1990년대에 들어 오디오 테크니카는 스튜디오용 대형 다이어프램 콘덴서 마이크를 다수 선보였다. 1991년에는 카디오이드 패턴의 AT4033 마이크를 출시했고,[1] 1995년에는 다중 패턴을 지원하는 AT4050 마이크를,[6] 1998년에는 진공관을 사용한 카디오이드 마이크 AT4060을 출시했다.[7] 또한 1999년에는 DSP로 제어되는 5-엘리먼트 마이크 배열인 AT895를 출시하여 적응형 지향성 오디오 획득 기능을 제공했다.[1] 1996년에는 싱가포르에 동남아시아 지사를 설립하여 운영을 시작했다.[1]
2. 3. 기술 혁신 및 글로벌 확장 (2000년대 ~ 현재)
2008년, 오디오 테크니카는 미국 대통령 선거 토론에 마이크를 공급한 지 20주년을 맞이했다.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2012년 소비자 가전 전시회(CES)에서는 AT-LP1240-USB USB DJ 턴테이블[8]과 ATH-CKS55i 이어폰[9]을 선보였다.2017년에는 Trigence Dnote 기술을 사용한 퓨어 디지털 드라이브 무선 헤드폰 ATH-DSR9BT가 CES 혁신상을 수상[10]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11]
2020년대 들어서도 신제품 개발은 계속되었다. 2020년에는 블루투스 5.0 연결을 지원하는 컴팩트한 디자인의 ATH-CK3TW 완전 무선 이어버드와 내구성과 음질을 갖춘 전문가용 AT-XP7 DJ 카트리지를 출시했다. 2021년에는 고음질 오디오 경험을 제공하는 ATH-CKR7TW 완전 무선 이어버드와 뛰어난 트래킹 및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갖춘 AT-VM95E/H 턴테이블 카트리지를 출시하며 제품 라인을 확장했다.
2022년과 2023년 출시 예정 제품으로는, 희귀 목재와 고품질 오디오 기술을 결합하여 독특한 청취 경험을 제공하는 ATH-AWKT Kokutan 및 ATH-AWAS 하이브리드 우드 헤드폰이 있다. 또한, LP 애호가를 위해 최고 수준의 오디오 성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AT-ART1000 다이렉트 파워 스테레오 무빙 코일 카트리지 출시 계획도 밝혔다.
3. 주요 제품 및 기술
오디오 테크니카는 브리지스톤 미술관에서 레코드 콘서트를 운영하던 마쓰시타 히데오[18]가 1962년 레코드 플레이어용 카트리지를 자체 제작하여 판매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이다. 초기에는 MM형 스테레오 카트리지 "AT-1", "AT-3" 등을 생산하며 카트리지 전문 제조사로 시작했으며, NHK를 비롯한 방송국용 업무용 제품부터 일반 소비자용, OEM 납품까지 폭넓게 취급했다. 1967년에는 독자적인 VM형 카트리지를 개발하고 특허를 취득하여, 고가의 MM형 카트리지 특허 사용료를 피하면서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했다.
1970년대 들어 사업을 확장하여 1972년 미국에 자사 브랜드 판매 회사를 설립했으며, 1974년에는 헤드폰 시장에, 1978년에는 마이크로폰 시장에 진출했다. 1982년 CD의 등장으로 주력 사업이었던 카트리지 시장이 축소되면서, 현재는 헤드폰, 마이크로폰, AV 액세서리가 주요 제품군을 이루고 있다. 헤드폰과 마이크로폰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20], AV 액세서리 분야에서는 케이블, 앰프, 스피커, 클리닝 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인다.
음향 기기 외에도 '''AUTEC''' (오텍)[21] 브랜드로 초밥 로봇 등 식품 가공 기기[22]나 "테크니클린" 브랜드의 산업용 방진 장치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한때 주력이었던 광 픽업 등 반도체 레이저 기기는 음악 배포나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의 영향으로 축소되었다. 또한, 굿 디자인 상을 다수 수상하고 1980년 도쿄 아트 디렉터스 클럽 ADC상을 받는 등 제품 및 패키지 디자인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2016년 1월에는 마치다시에 재건축한 신사옥이 완공되었다[19].
3. 1. 음향 기기
1974년에 헤드폰 시장에 진출했으며, 염가형부터 고급형까지 폭넓은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음질과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픈 에어 구조나 윙 서포트(Wing Support) 구조 같은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CN 랭킹 기준으로 헤드폰 판매량 일본 내 1위를 9년 연속 달성하기도 했다.[20]1978년에는 마이크로폰 시장에 진출했다. 올림픽, 그래미상, 서머소닉 등 국내외 주요 행사에서 오디오 테크니카 마이크가 사용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미국의 빅 브라더, 딜 오어 노 딜,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식 등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다양한 국제 행사에 마이크와 헤드폰을 공급했으며, 주요 국제 행사 사용 이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행사 | 사용된 대회/시상식 |
---|---|---|
1996년–현재 | 하계 올림픽 | 애틀랜타 1996, 시드니 2000, 아테네 2004, 베이징 2008, 런던 2012[12], 도쿄 2020 |
2002년–현재 | 동계 올림픽 | 솔트레이크 시티 2002, 토리노 2006, 밴쿠버 2010, 소치 2014, 평창 2018[12], 베이징 2022 |
1998년–2013년 | 그래미상 | 1998년–2013년[13] |
2019년 | 모토GP | 2019년[14] |
2005년에는 휴대폰, 블루투스 장치, 무선 컴퓨터 네트워크, 무전기 등에서 발생하는 전파 간섭(RFI)에 강한 마이크를 만들기 위해 '유니가드'(Uniguard)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에는 13개의 특허가 적용되었으며, 50개 이상의 기존 마이크 모델이 이 기술을 적용하여 개선되었다.[15][16][17]
오디오 테크니카는 창업 초기 레코드 플레이어용 카트리지 전문 제조사였다. 초기 제품으로는 MM형 스테레오 카트리지 'AT-1', 'AT-3'가 있다. 1967년에는 독자적인 VM형 카트리지를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했다. 이를 통해 유럽과 미국 제조사가 보유한 MM형 카트리지의 고액 특허 사용료를 회피하고 국내외 시장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다. 1982년 CD 등장으로 카트리지 시장이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창업 품목인 카트리지와 포노 이퀄라이저 등 레코드 플레이어 관련 기기를 생산하고 있다. 저렴한 턴테이블과 함께 흔히 유통되는 AT95E 무빙 마그넷 포노 카트리지 등이 있다. 1980년대 초 미국에서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휴대용 레코드 플레이어인 미스터 디스크(Mister Disc)를 판매하기도 했다.
AV 액세서리 분야에서는 HDMI 케이블, 헤드폰 앰프, 액티브 스피커, AV 셀렉터, 마이크로폰 믹싱 앰프 등을 생산한다. 소재에 신경 쓴 무산소 동(OFC) 선재 연결 케이블이나 '클리니카'(Clinica) 상품명의 클리닝 키트 등 유지보수 용품도 취급한다. 경쟁사인 소니, 파나소닉, JVC켄우드, 온쿄&파이오니아 등과 비교하면 소규모 회사이지만, 전국 각지의 가전 양판점에서 헤드폰 시청기나 AV 액세서리 전시를 볼 수 있다.
3. 2. 기타 기술
2005년, 오디오 테크니카는 "유니가드(Uniguard)"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휴대폰, 블루투스 장치, 무선 컴퓨터 네트워크 및 무전기 등에서 발생하는 전파 간섭(RFI)에 강한 마이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니가드 기술 구현에는 13개의 특허가 관련되었으며, 회사 엔지니어들은 마이크 구조와 작동 방식의 여러 부분을 개선했다. 이 기술 개발 이후, 50개 이상의 기존 오디오 테크니카 마이크 모델이 새로운 RFI 방지 기술을 적용하여 업그레이드되었다.[15][16][17]4. 사회 공헌 및 문화 활동
2009년부터 공익 재단법인 오디오 테크니카 장학회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그래미상, 섬머소닉 등 국내외 주요 음악 행사에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며 문화 행사를 지원한다. 이 행사들에서는 오디오 테크니카에서 제작한 마이크가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http://eu.audio-tech[...]
2009-11-25
[2]
웹사이트
Audio-Technica
http://www.gearogs.c[...]
2016-03-03
[3]
웹사이트
AUTECのヒストリー
https://www.autec.jp[...]
2022-03-24
[4]
웹사이트
Why Did One of Japan's Longest-Lived Audio Companies Start Making Sushi Robots?
https://medium.com/i[...]
[5]
간행물
Continuous metal casting
https://patents.goog[...]
[6]
웹사이트
Audio-Technica AT4050 ST
https://www.soundons[...]
2019-12-03
[7]
웹사이트
Audio–Technica AT4060A
https://www.soundons[...]
2019-12-03
[8]
웹사이트
Article about Audio-Technica's 2012 CES presence
http://www.tested.co[...]
Tested.com
2012-01-12
[9]
웹사이트
Audio Technica 2012 CES Press Release about ATH-CKS55i Headphones
http://www.audio-tec[...]
Audio-technica.com
2013-12-01
[10]
웹사이트
Audio-Technica's ATH-DSR9BT Pure Digital Drive Wireless Headphones and AT-ART1000 Direct Power System Phono Cartridge Win CES 2017 Innovation Honoree Awards
http://www.audio-tec[...]
2017-08-23
[11]
웹사이트
Dnote Technology, 'Pure Digital' Audio
https://www.trigence[...]
2017-08-23
[12]
웹사이트
About Audio-Technica
https://eu.audio-tec[...]
2019-12-03
[13]
웹사이트
GRAMMY Awards Show Uses Audio-Technica Microphones
https://www.avnetwor[...]
2013-02-13
[14]
웹사이트
Audio-Technica: capturing the sound of MotoGP™
https://www.motogp.c[...]
2019-12-03
[15]
웹사이트
Sound & Video Contractor, January 1, 2006. John McJunkin. ''Audio-Technica UniPoint Line'': New improvements to a solid and reliable line of microphones
Svconline.com
2013-12-01
[16]
웹사이트
Audio Courses dot com. ''Audio-Technica Provides UniGuard RFI Protection for New Engineered Sound Integ''
http://www.audiocour[...]
2008-09-07
[17]
웹사이트
Audio Technica. ''Audio-Technica's UniGuard technology'': Protection from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http://www.audio-tec[...]
Audio-technica.com
2013-12-01
[18]
웹사이트
訃報 オーディオテクニカ創業者の松下秀雄代表取締役相談役が死去
BCN
2013-03-12
[19]
뉴스
"カートリッジみたい?」オーディオテクニカ新本社が完成
町田経済新聞
2016-01-12
[20]
뉴스
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ニュースリリース
https://www.audio-te[...]
2018-01-29
[21]
문서
日産自動車系の特装車メーカーやカスタマイズカーも「日産モータースポーツ&カスタマイズ|オーテック」を名乗るが無関係で、スペルも異なる(AUTECHAUTEC'''H''')。
[22]
뉴스
【あの有名企業の異分野進出】音響メーカーのオーディオテクニカが『寿司』で成功した理由
http://next.rikunabi[...]
2015-01-09
[23]
웹사이트
遠藤享とオーディオテクニカの歴史に見る、企業とデザイナーの尊重し合う関係性
https://always-lis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