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1914년 브루나이에서 태어나 1967년 퇴위할 때까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통치했다. 그는 이슬람 교육을 장려하고, 브루나이의 헌법 제정을 추진했으며, 석유 산업 발전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또한, 말레이시아 합병 문제와 1962년 반란을 겪었으며, 브루나이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퇴위 후에도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으며, 1986년 사망했다. 그는 "현대 브루나이의 건축가"로 불리며,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는 그의 유산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의 무슬림 - 하사날 볼키아
    하사날 볼키아는 1967년부터 브루나이를 통치하며 1984년 독립 이후 총리, 국방장관, 재무장관, 외무장관 등을 역임하고, 200억 달러의 개인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브루나이 술탄 - 하사날 볼키아
    하사날 볼키아는 1967년부터 브루나이를 통치하며 1984년 독립 이후 총리, 국방장관, 재무장관, 외무장관 등을 역임하고, 200억 달러의 개인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브루나이 술탄 - 브루나이의 술탄
    브루나이의 술탄은 1368년 무하마드 샤부터 이어져 오는 브루나이의 군주로, 볼키아 왕조에서 세습되며 초기 술탄들은 중국과의 외교, 볼키아 통치 기간에는 영토 확장을 통해 국가의 위상을 높였다.
  • 무슬림 군주 -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쿠웨이트의 제16대 에미르로서, 여러 장관직과 왕세자를 거쳐 2020년 즉위하여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난관에 직면했으며 2023년 사망하였다.
  • 무슬림 군주 -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쿠웨이트의 제10대 국장으로, 재무부 장관 시절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 전쟁을 겪었고, 전후 여성 참정권 인정 등 개혁을 추진했으며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다 2006년 사망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기본 정보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의 공식 초상화 (1967년 퇴위 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의 공식 초상화 (1967년 10월 4일 퇴위 전)
출생명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사둘 카이리 와딘
출생일1914년 9월 23일
출생지Istana Kota, 브루나이 타운, 브루나이
사망일1986년 9월 7일
사망지Istana Darussalam,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매장일1986년 9월 8일
매장지Kubah Makam Di Raja,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브루나이 술탄재위: 1950년 6월 4일 – 1967년 10월 5일
대관식: 1951년 5월 31일
이전: 아흐마드 타주딘
이후: 하사날 볼키아
정치 경력
국방부 장관재임: 1984년 1월 1일 – 1986년 9월 7일
군주: 하사날 볼키아
이전: "신설"
이후: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왕립군 총사령관재임: 1984년 1월 1일 – 1986년 9월 7일
군주: 하사날 볼키아
이전: "신설"
이후: 하사날 볼키아
가문
왕가볼키아
부친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
모친펭이란 아낙 시티 파티마
배우자
배우자다양 시티 아민 (1937년 결혼, 1944년 이혼)
펭이란 아낙 다밋 (1941년 결혼, 1979년 사망)
펭이란 아낙 하지 살하 (1980년 결혼)
자녀
자녀하사날 볼키아
모하메드 볼키아 왕자
수프리 볼키아 왕자
제프리 볼키아 왕자
마스나 볼키아 공주
노라인 볼키아 공주
우미 칼숨 알-이슬람 볼키아 공주
아말 라키아 볼키아 공주
아말 나시바 볼키아 공주
아말 제프리아 볼키아 공주
서명

2. 생애 초기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어린 시절부터 이슬람 교육과 왕족으로서의 소양을 쌓는 데 힘썼으며, 이는 훗날 그의 통치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36년 말레이아에서 돌아온 그는 영국 거주민 롤랜드 에블린 터너 경의 초청으로 쿠알라 벨라이트의 산림청에서 사관생도로 일했다. 쿠알라 벨라이트에서 일주일을 보낸 후, 부킷 푸안으로 거처를 옮겨 석 달 동안 산림 보호구역을 조사했다. 그는 두순족, 벨라이트족, 투통족, 이반족 노동자들과 함께 일하며 임업에 대해 배웠다. 그 후 부킷 사왓, 펭갈란 시옹, 쿠알라 멜라얀, 수캉, 멜리라스, 인가이 등 여러 지역에서 일했다.[2]

1937년 사법부로 전근을 갔고, 1938년에는 영국 공무원이 되었다. 1939년 범선을 타고 라와스로 여행했다. 쿠알라 벨라이트의 영국 부거주관인 휴즈 할릿의 지시를 받아 당시 브루나이에서 시행되고 있던 형사소송법을 검토했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의 브루나이 점령 기간 동안 주정부 장관 이브라힘 빈 모하마드 자파르 휘하에서 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 주 의회 의원과 샤리아 법원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7월 15일, 형인 아마드 타주딘 술탄으로부터 ''두리 양 테라마트 무리아 파두카 세리 펭기란 벤다하라 세리 마하라자 퍼르마이수아라''라는 와지르(총리) 칭호를 받았다. 와지르로 임명된 후, 브루나이 내륙 지역을 자주 여행하며 국민의 생활 환경과 관습을 파악했다.

그의 초기 중요한 공헌 중 하나는 브루나이의 이슬람 행정을 정규화한 것이다. 1948년 무슬림 종교 고문들로 구성된 종교 평의회를 구성하고, 스스로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1948년 1월 31일 첫 회의를 가진 이 평의회는 말레이 반도의 이슬람 관련 법률을 검토하여 브루나이 종교 행정에 관한 새로운 제안을 했다.[3]

2. 1. 출생과 가족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1914년 9월 23일 브루나이 타운 구 술탄 마을(Kampong Sultan Lama) 이스타나 코타(Istana Kota)에서 술탄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와 라자 이스테리 파티마 사이의 10남매 중 일곱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2] 출생 후, 그의 언니 펭기란 아낙 푸테리 베사르와 함께 펭기란 샤르바눈 빈티 펭기란 무하마드가 그를 양육했다. 다른 브루나이 왕족 자녀들처럼 그는 궁궐에서 이슬람 관습, 예절 등을 중심으로 교육받았다.

가정부들은 이슬람 원칙을 중심으로 브루나이 정신과 궁중 예절을 가르쳤다. 이러한 어린 시절의 양육은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의 행동과 특성이 어린 시절부터 이슬람 가르침과 밀접하게 일치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그는 10세에 코란 읽는 법을 배워 40번의 공식 암송을 수행하며 학업을 마쳤다. 왕족의 왕자와 공주들은 여러 코란 학자들 밑에서 축복과 호의를 받는 것이 관례였다. 십 대에 그는 종교 교육을 계속하여 이슬람 법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였다. 압둘 묵티 나사르(Abdul Mokti Nasar)의 가르침은 그에게 큰 영향을 미쳐 브루나이의 종교 기관을 현대화하고 통치에서 이슬람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그의 비전을 형성했다.

어린 시절부터 오마르 알리는 이슬람 규칙과 왕족 전통 및 의식에 대해 가르치는 어른들에게 맡겨졌다. 그의 정규 교사에는 이슬람 관습과 의식 전문가이자 신앙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펭기란 하지 압둘 라힘 빈 펭기란 마하라자 렐라 펭기란 아낙 압둘 카하르가 포함되었다.

그는 궁궐에서 영어, 종교 지식, 관습 및 전통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그의 가정교사 중에는 펭기란 하지 압둘 라힘, 샤이크 하지 압둘 할림, T. F. 스탈리가 있었다. 그는 궁궐에서 훈련받는 동안 저녁 식사 후 매일 "디키르(Dikir) 브루나이"를 공부하여 전문가가 되었다.

18세에 영국 거주민(British Resident) T. F. 케리의 추천으로 사촌인 펭기란 아낙 모하메드 알람과 펭기란 아낙 압둘 카하르와 함께 1932년부터 1936년까지 말레이시아 페락(Perak), 영국령 말레이아(British Malaya)의 말레이 컬리지 쿠알라 캉사르(Malay College Kuala Kangsar)(MCKK)에 입학했다. 펭기란 하지 압둘 라힘도 그와 함께 대학에 갔다. 그는 외국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최초의 브루나이 술탄이 되었다.

2. 2. 교육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1914년 9월 23일 브루나이 타운 구 술탄 마을(Kampong Sultan Lama) 이스타나 코타에서 태어났다.[2]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 술탄과 라자 이스테리 파티마 사이의 10남매 중 일곱 번째 자녀였다. 다른 브루나이 왕족 자녀들처럼 궁궐에서 이슬람 관습, 예절 등을 교육받았다.

가정부들은 이슬람 원칙을 중심으로 브루나이 정신과 궁중 예절을 가르쳤다. 10세에 가정교사 지도하에 코란을 읽기 시작하여 40번의 공식 암송을 수행하며 학업을 마쳤다. 왕자와 공주들은 여러 코란 학자들에게 축복과 호의를 받는 것이 관례였다. 십 대에 종교 교육을 계속하여 이슬람 법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였다. 압둘 묵티 나사르(Abdul Mokti Nasar)의 가르침은 브루나이의 종교 기관 현대화와 통치에서 이슬람의 역할 강화에 대한 비전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어린 시절부터 이슬람 규칙과 왕족의 전통과 의식을 가르치는 어른들에게 맡겨졌다. 이슬람 관습과 의식 전문가이자 신앙에 대해 잘 아는 펭기란 하지 압둘 라힘 빈 펭기란 마하라자 렐라 펭기란 아낙 압둘 카하르가 정규 교사였다.

궁궐에서는 영어, 종교 지식, 관습 및 전통을 교육받았다. 펭기란 하지 압둘 라힘, 샤이크 하지 압둘 할림, T. F. 스탈리가 가정교사였다. 궁궐 훈련 동안 저녁 식사 후 매일 "디키르(Dikir) 브루나이"를 공부하여 전문가가 되었다.

18세에 영국 거주민(British Resident) T. F. 케리의 추천으로 사촌인 펭기란 아낙 모하메드 알람과 펭기란 아낙 압둘 카하르와 함께 1932년부터 1936년까지 말레이시아 페락(Perak), 영국령 말레이아(British Malaya)의 말레이 컬리지 쿠알라 캉사르(Malay College Kuala Kangsar)(MCKK)에 입학했다. 펭기란 하지 압둘 라힘도 함께 대학에 갔다. 그는 외국 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최초의 브루나이 술탄이 되었다.

3. 통치 기간

1962년 12월에 촬영된 새로 건설된 브루나이 공항


1962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가 새로 창설된 브루나이 왕립 말레이 연대 군악대를 시찰하는 모습


188x188px


1962년 다룰 하나 궁전(Istana Darul Hana)에서 브루나이 라디오 텔레비전(Radio Television Brunei, Radio Brunei)을 통해 티타(titah, 술탄의 칙령)를 전달하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브루나이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처럼 영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950년대 전후로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1957년 말레이시아가 먼저 독립한 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말레이시아 가입을 결정했고, 초기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를 환영했다.[11][12]

1962년 최초의 총선거에서 브루나이 인민당이 압승했지만, 반(反)말레이시아 성향이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가입을 추진하자 인민당이 폭동을 일으켰고, 계엄령 선포 후 국회 해산 및 인민당 불법화가 이루어졌다.[13] 결국 1963년, 브루나이는 말레이시아 가입 결정을 철회했다.

1950년부터 1967년까지 브루나이는 석유 산업의 급속한 성장을 경험했다. 1952년 세리아 해상에 브루나이 최초의 석유 시추 플랫폼이 건설되었고, 3년 후 1400만브루나이 달러 규모의 가스 파이프라인 설비가 개장되었다. 1954년 브루나이 쉘 석유(BSP)가 해상 및 육상 유전에 대한 탐사 작업을 수행했고, 1956년까지 생산량은 하루 114,700배럴(bpd)에 달했다. BSP는 1957년에 설립되었다.

1953년에 시작된 첫 번째 국가개발계획(RKN)은 5년 동안 진행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도움으로 말라리아 퇴치 노력이 이루어져 환자 수가 감소했고, 공중위생 개선, 배수시설 개선, 상수도 공급으로 사망률이 감소했다.

1962년에 시작된 두 번째 RKN은 브루나이의 경제 개발과 사회 변화를 목표로 했다. 상업적 벼농사 전환으로 농업 부문이 개선되고 해외 쌀 수입 의존도가 줄었으며, 육류와 계란 생산량이 증가했다. 어업 부문은 계획 기간 동안 생산량이 25% 증가했다.

1962년 8월 30일과 31일, 브루나이 최초의 주 선거인 1962년 브루나이 지구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술탄은 정부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유지했다. 1963년 대규모 석유 및 가스전이 발견되면서 액화천연가스(LNG)가 중요해졌고, 석유 및 가스 부문 개발이 계속되어 원유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1964년 10월 28일, 세리아 유전 해안 앞바다 해저에서 10인치 파이프라인 운송 원유 파이프라인 첫 운송이 시작되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이슬람 교육 발전을 위해 학생들이 아랍어만 배우는 학교를 설립했다. 1964년 9월 24일, 하사날 볼키아 소년 아랍 고등학교(Hassanal Bolkiah Boys' Arabic Secondary School) 기공식에서 이슬람 지식, 샤리아, 아랍어, 현대 과학을 가르치는 교육 정책 목표를 설명했다.

1965년 6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워싱턴 D.C.에서 흑인 미국인(Afro-American) 강도를 만났지만 지팡이로 물리쳤다. 1966년 5월 22일, 종교 교사 훈련을 위해 1년 동안 주 5일 야간 종교 훈련 세션이 시작되었다.

1950년부터 1967년까지 17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는 빠르게 발전했다. 국가 발전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의 복지와 삶의 질이 향상되었고, 이슬람 신앙 확산을 위해 전국에 모스크, 수라우(기도실), 종교관, 정부 청사, 학교가 건설되었다.

1967년 10월 4일,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장남 하사날 볼키아에게 자발적으로 왕위를 물려주었다.

3. 1. 즉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즉위 후 국가의 이슬람 지도자가 되었으며,[3] 국내 학생들의 수준 향상을 위해 해외 유학을 장려했다. 1950년 말레이시아 5학년 학생 3명이 싱가포르 알주네이드 아랍 학교로 유학을 간 것을 시작으로, 매년 유학생 수가 증가했다. 1963년에는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를 졸업한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장학금을 받고 졸업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총 3명의 브루나이 학생이 이 대학교를 졸업했다.

1952년 5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을 방문하여 셸던 파크 호텔에서 크로이던(Croydon)까지 산책했다. 1953년 6월 2일에는 런던(London)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에서 열린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식에 참석했고, 6월 9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서 세인트 마이클 및 세인트 조지 최고 훈장 기사 사령관(KCMG) 훈장을 받았다.[6]

1954년 브루나이 정부는 교육 문제에 1065만브루나이 달러를 지출하고 처음으로 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이 정책은 중등학교, 성인 교육, 직업 훈련 기관 설비를 규정하고 30개 학교 설립을 목표로 했으며, 1953년 11월부터 각 학교에서 무료 급식을 시작했다. 1957년 브루나이 타운에 영어 수업을 하는 라자 이스테리 여고가 완공되었으나 3학년까지였다. 학생들은 하위 중등 자격 시험 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칼리지(Sultan Omar Ali Saifuddien College)에서 4, 5학년 과정을 이수했다. 1966년에는 브루나이 타운의 술탄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중학교, 투통 지구(Tutong District)의 무다 하심 중학교, 템부롱 지구(Temburong District)의 술탄 하산 중학교가 완공되었다.

1954년 7월 1일, 술탄은 국가 행정 문제를 감독하는 종교부를 설립했고,[7] 같은 해 9월 25일 조호르(Johor)에서 두 명의 종교 관계자를 초청했다. 1956년 9월부터는 저녁 종교 학교를 운영하고, 학생들에게 이집트(Egypt) 카이로(Cairo)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 말레이시아 클랑(Klang (city))의 이슬람 칼리지, 싱가포르(Singapore)의 알주네이드 이슬람 학교(Madrasah Aljunied Al-Islamiah) 해외 유학 장학금을 지원했다.

1956년 10월 11일, 브루나이에 7개 종교 학교가 설립되었고, 조호르 주 출신 종교 교사 9명이 종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종교 학교는 오후에 문을 열고 종교부가 운영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브루나이 서면 헌법 초안 작성을 위해 위원회를 구성했다. Jawatankuasa Menyiasat Perlembagaan|label=nonems(JKPP) 또는 Tujuh Serangkai라 불린 7인 위원회는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술탄에게 자문했으며, 1954년 3월 23일 50페이지 분량의 말레이어 보고서를 제출했다.

앤서니 아벨 경과 동료들이 작성한 브루나이 헌법 초안은 1954년 12월 16일부터 17일까지 이스타나 다룰 하나(Istana Darul Hana)에서 영국 거주민 존 오먼 길버트(John Orman Gilbert)와 회담을 통해 수정, 영국 식민청(Colonial Office)에 제출되어 승인받았다.

1955년 네 개 지구마다 지방 자문위원회가 설립되었다. 1956년 A. M. 아자하리(A. M. Azahari)의 브루나이 인민당(Brunei People's Party, PRB)은 독립을 추진하며 술탄의 헌법 군주 지위를 지지했다. 술탄이 영국 제안에 반대하면서 헌법 초안은 큰 변화를 겪었다.

1957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 정부와 헌법 협상을 위해 런던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1958년 브루나이에서 1957년 런던 협상이 재검토되었고, 11월 2일 술탄 고문 주재 특별 회의에서 추가 헌법 협상을 위한 런던 대표단 파견이 결정되었다.

알란 렉스-보이드(Alan Lennox-Boyd)와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1959년 런던 브루나이 협정 서명식


1959년 3월 14일,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런던 헌법 회담을 위해 출발, 4월 6일 브루나이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수상(Menteri Besar) 임명과 단계적 시행 조치 채택을 충족시켰다.

1959년 라파우(Lapau)에서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가 브루나이 첫 수상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모습


1959년 9월 29일, 브루나이 헌법(constitution of Brunei)이 브루나이 타운에서 술탄과 동남아시아 총독 로버트 스콧 경에 의해 서명되었고,[8] 영국 정부(British Government)는 헌법 초안을 승인했다.[9]

헌법에 따라 술탄은 국가 최고 수장, 브루나이는 내정 담당, 영국은 외교 및 국방 문제만 담당하게 되었다. 거주민(Resident)직은 폐지되고 영국 고등판무관(British High Commissioner)으로 대체되었다. 행정평의회, 입법평의회, 비밀평의회, 계승평의회, 국가 종교평의회 등 5개 의회가 설립되었다.

3. 2. 초기 통치와 교육 개혁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즉위 후 국가의 이슬람 지도자로서 국내 학생들의 수준 향상을 위해 해외 유학을 장려했다.[3] 1950년 말레이시아 5학년 학생 3명이 싱가포르 알주네이드 아랍 학교로 유학을 간 것을 시작으로, 매년 유학생 수가 증가했다. 1963년에는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를 졸업한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장학금을 받고 나왔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총 3명의 브루나이 학생이 알 아즈하르 대학교를 졸업했다.

1952년 5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을 방문하여 크로이던(Croydon)을 산책했고, 1953년 6월 2일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에서 열린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식에 참석했다. 6월 9일에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게서 세인트 마이클 및 세인트 조지 최고 훈장 기사 사령관(KCMG) 훈장을 받았다.[6]

브루나이 정부는 교육 문제에 1065만브루나이 달러를 투자했다. 1954년에는 중등학교, 성인 교육, 직업 훈련 기관 설비를 포함하는 교육 정책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이 계획을 통해 30개 학교 설립이 목표로 설정되었고, 1953년 11월부터 각 학교에서 무료 급식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1957년에는 브루나이 타운에 영어로 수업하는 라자 이스테리 여고가 완공되었지만 3학년까지만 운영되었다. 학생들은 하위 중등 자격 시험 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칼리지(Sultan Omar Ali Saifuddien College)에서 4, 5학년 과정을 이수했다. 1966년에는 브루나이 타운의 술탄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중학교, 투통 지구(Tutong District)의 무다 하심 중학교, 템부롱 지구(Temburong District)의 술탄 하산 중학교가 완공되었다.

1954년 7월 1일, 술탄은 브루나이의 이슬람 헌법 관련 국가 행정 문제를 감독하는 종교부를 설립했다.[7] 이 계획에는 법률 문제, 교육, 종교 메시지, 사회 행정 등 이슬람의 여러 측면이 포함되었다. 1954년 9월 25일, 조호르(Johor)에서 두 명의 종교 관계자가 브루나이로 초청되었다. 이들은 하지 이즈마일 빈 오마르 압둘 아지즈와 하지 오스만 빈 모하마드 사이다였다. 1956년 9월부터 브루나이 정부는 저녁 종교 학교 운영을 시작했다. 또한, 정부는 제한된 수의 학생들에게 이집트(Egypt) 카이로(Cairo)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 말레이시아 클랑(Klang (city))의 이슬람 칼리지, 싱가포르(Singapore)의 알주네이드 이슬람 학교(Madrasah Aljunied Al-Islamiah)에서 해외 유학을 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지원했다.

1956년 10월 11일, 브루나이에는 말레이시아 학교와 영어 학교 건물을 활용하여 7개의 종교 학교가 설립되었다. 조호르 주에서 초청된 9명의 종교 교사가 종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종교 학교는 주후르(Zuhur) 이후 오후에 운영되었으며, 종교부 최고위 관리자가 학교 책임자 및 관리자를 맡았다.

3. 3. 헌법 제정 과정

1950년대 초,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식에 참석하는 등 국제 외교 무대에 등장했다.[6] 그는 이 시기부터 브루나이의 독립과 헌법 제정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1954년 7월 1일, 술탄은 브루나이의 이슬람 헌법과 관련된 모든 국가 행정 문제를 감독하는 종교부를 설립했다.[7]

툰쿠 압둘 라흐만이 제안한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에 대해,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초기에는 긍정적이었으나, 세금 문제와 국왕 지위 문제 등에서 이견을 보이며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11][12] 그는 브루나이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

1962년 12월 8일, 브루나이 반란이 발발하면서, 북보르네오 연방 가입 논의는 중단되었다. 이 반란은 영국군의 도움으로 진압되었지만, 브루나이의 정치적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13]

결국 1963년, 브루나이는 말레이시아 연방에 가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브루나이의 석유 수입과 왕실의 지위를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연방 가입은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3. 4. 경제 성장과 인프라 개발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브루나이가 말레이시아에 가입하지 않고 독립적인 석유 부국으로 남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브루나이가 말레이시아에 가입할 경우, 석유 수익을 쿠알라룸푸르 등 다른 지역과 나눠야 한다는 점을 우려했다.[3] 특히 브루나이에 돌아올 석유 수익이 줄어들 것을 걱정했다. 또한, 말레이시아 국왕 자리가 술탄들 사이에서 순번제로 돌아가는데, 브루나이의 순서가 매우 뒤였다는 점도 독립 유지의 한 이유였다.

그는 국내 학생들의 수준 향상을 위해 해외 유학을 장려했다.[3] 1950년에는 말레이시아 학생 3명이 싱가포르의 알주네이드 이슬람 학교로 유학을 갔으며, 이후 유학생 수는 매년 증가했다. 1963년에는 알 아즈하르 대학교를 졸업한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나왔다.

1954년, 브루나이 정부는 교육 정책을 발표하고 교육 기관 설비에 10650000BND를 지출했다. 이 정책은 중등학교, 성인 교육, 직업 훈련 기관 설립을 포함했으며, 30개 학교 설립을 목표로 했다. 1953년 11월부터는 각 학교에서 무료 급식이 시작되었다. 1957년에는 브루나이 타운에 영어로 수업하는 라자 이스테리 여고가 완공되었으나, 3학년까지만 운영되었다. 학생들은 하위 중등 자격 시험 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칼리지에서 4, 5학년 과정을 이수했다. 1966년에는 술탄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중학교, 무다 하심 중학교, 술탄 하산 중학교가 완공되었다.

1954년 7월 1일, 술탄은 브루나이 종교부를 설립하여 이슬람 헌법 관련 국가 행정 문제를 감독하게 했다.[7] 1956년 9월부터는 저녁 종교 학교를 운영하고, 학생들에게 이집트 카이로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 말레이시아 클랑의 술탄 알람 샤 이슬람 칼리지, 싱가포르의 알주네이드 이슬람 학교 등에서 해외 유학을 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지원했다.

1964년 9월 24일, 그는 국내 최초의 아랍어 교육 기관인 하사날 볼키아 소년 아랍 고등학교 기공식에서 이슬람 지식, 샤리아, 아랍어뿐만 아니라 현대 과학도 가르치는 교육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50년부터 1967년까지 17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는 경제적으로 번영하고 빠르게 발전했다. 그는 국가 발전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의 복지와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슬람 신앙 확산을 위해 전국에 모스크, 수라우(기도실), 종교관, 정부 청사, 학교가 건설되었다.

3. 5. 말레이시아 합병 문제와 1962년 반란

브루나이는 이웃 나라인 말레이시아싱가포르처럼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며, 1950년대 전후로 이 지역에서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운동들이 일어났다. 1957년 말레이시아가 먼저 독립하였고, 브루나이와 그 주변 지역들은 여전히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말레이시아로의 가입을 결정했는데, 이는 초기 말레이시아 정부의 환영을 받았다.[11][12]

1962년 사상 최초의 총선거가 치러졌고, 여기서 브루나이 인민당이 압승했다. 하지만 총선에서 승리한 인민당이 반(反)말레이시아 성향이었기 때문에 큰 차질이 빚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로의 가입을 추진하였으며, 이에 인민당이 폭동을 일으키자 계엄령을 선포한 뒤 국회를 해산하고 인민당을 불법화했다.[13] 그 뒤 말레이시아로 편하게 가입할 수 있었지만, 1963년 갑자기 가입 결정을 철회하였다.



브루나이 정부가 말레이시아 가입 결정을 철회한 이유는 여러 논란이 있지만, 궁극적인 이유는 석유 때문이었다. 석유 부국인 브루나이는 석유로 경제를 유지했는데, 말레이시아에 가입하면 쿠알라룸푸르나 피낭 등 다른 지역들과 석유를 나눠 써야 했기 때문에 이 점을 가장 우려했다. 특히 자신들에게 석유가 가장 적게 돌아갈지도 모른다는 점을 걱정했다. 또한 말레이시아 내 술탄들이 돌아가면서 맡는 국왕 자리를 노렸는데, 그 순서가 뒤죽박죽인데다가 자신이 마지막에 속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 1957년 취임한 초대 국왕이 느그리슴빌란 출신이었고, 이 지역 술탄이 국왕 자리를 다시 차지한 것은 1994년이었으며 그 전에는 페락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페락 다음이 브루나이였다. 따라서 당시 시점으로 최소 30년 이상은 기다려야 했으며, 이것이 두 번째 이유였다.

말레이아 연방의 수상 툰쿠 압둘 라흐만이 싱가포르, 북보르네오(Crown Colony of North Borneo), 사라왁(Crown Colony of Sarawak), 브루나이를 합병하려는 제안을 발표했을 때,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이를 영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브루나이가 독립을 달성할 기회로 여겼다. 그는 툰쿠 압둘 라흐만에게 축하 전보를 보내 합병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브루나이는 작은 국가였기에 여전히 더 큰 국가의 보호가 필요했고, 이를 달성하는 유일한 방법은 말레이시아와 다른 주들과 합병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인민당(PRB)은 지도자 아자하리를 포함하여 합병에 반대했다. 그들은 브루나이가 연방에 가입하면 영국에서 말레이시아로 권력이 이양되는 것으로 여겨져 완전한 독립을 달성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1962년 12월 8일, PRB는 정부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싱가포르에서 파병된 영국군의 지원으로 반란은 진압되었고 PRB는 패배했다.[13] 제2 구르카 라이플 연대가 1962년 브루나이 반란이 시작될 때 브루나이에 파견되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과 그의 아들 하사날 볼키아는 디그비 윌로비와 소규모 구르카 병사들에 의해 궁전에서 구출되었고, 술탄은 이에 대해 변치 않는 감사를 표했다.[14]

반란 후, 제안된 북보르네오 연방에 가입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은 말레이시아 연대 강화 위원회(MSCC) 회의에 참석할 대표단을 파견했다. 브루나이 수상 다토 마르살 빈 마운이 위원장을 맡은 위원회는 국민들의 의견을 구했다.[15]

앵거스 맥킨토시와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이 1963년 말 브루나이 공항 건물을 떠나는 모습


1963년, 브루나이의 말레이시아 가입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그러나 세금 문제에 대한 의견 차이로 논쟁이 발생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은 툰쿠 압둘 라흐만의 제안에 불쾌감을 느껴 논의를 검토하고 신속한 결정을 보류했다. 1963년 7월 런던에서 말레이시아 협정이 체결될 때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는 참석하지 않았다. 말레이시아 연방은 1963년 9월에 수립되었지만, 브루나이는 자체적인 이유로 연방에 가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은 브루나이가 석유 생산으로 얻는 이익을 10년 동안만 유지하고 그 이후에는 연방 정부가 석유 생산 수익을 획득하도록 허용하는 연방(중앙) 정부에 동의하지 않았다. 또한, 협회의 수장이 자신을 말레이시아 양디페르투안 아궁 중 가장 낮은 지위를 가진 사람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아궁 임명을 위한 계획된 순환 구조에 반대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이 말레이시아의 양디페르투안 아궁으로 5년 동안 재임하도록 제안된 것도 브루나이 국민에게 논쟁거리였다.

3. 6. 이슬람 교육 강화

술탄은 1954년 7월 1일 브루나이의 이슬람 헌법과 관련된 모든 국가 행정 문제를 감독하는 종교부를 설립했다.[7] 이 계획에는 법률 문제, 교육 문제, 종교적 메시지 관련 활동, 사회 행정이 포함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1954년 9월 25일 조호르(Johor)에서 하지 이즈마일 빈 오마르 압둘 아지즈와 하지 오스만 빈 모하마드 사이다 두 명의 종교 관계자가 브루나이로 초청되었다.

브루나이 정부는 1956년 9월부터 저녁 종교 학교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또한 정부는 제한된 수의 학생들에게 이집트(Egypt) 카이로(Cairo)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 말레이시아 클랑(Klang (city))의 이슬람 칼리지, 싱가포르(Singapore)의 알주네이드 이슬람 학교(Madrasah Aljunied Al-Islamiah)에서 해외 유학을 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지원했다.

1956년 10월 11일, 담당자들의 조사 결과와 제안에 따라 말레이시아 학교와 영어 학교 건물을 이용하여 브루나이에 7개의 종교 학교가 설립되었다. 브루나이에서 가르치도록 초청된 조호르 주 출신의 종교 교사 9명이 종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종교 학교는 주후르(Zuhur) 이후 오후에 문을 열었다. 이 종교 학교들은 종교부에서 운영되었고, 부서의 최고위 관리자가 학교의 책임자이자 관리자였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즉위하면서 국가의 이슬람 지도자가 되었다.[3] 그는 국내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외 유학을 보내는 정책을 시행했다. 1950년에는 말레이시아 5학년 학생 3명이 싱가포르의 알주네이드 아랍 학교로 유학을 갔다. 이후 매년 유학생 수가 증가했고, 1963년에는 그의 재위 기간 중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를 졸업한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장학금 덕분에 졸업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3명의 브루나이 학생이 알 아즈하르 대학교를 졸업했다.

4. 퇴위 이후

1967년 왕위에서 물러나 하사날 볼키아에게 승계했다.[3] 하지만 그 뒤에서도 막강한 권한을 행사함으로써, 사실상 술탄으로 남아있었다. 1984년 브루나이는 독립을 쟁취했고, 1986년 서거하였다. 사후 브루나이의 국부로 추앙받았으며, 그의 이름을 딴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사원은 해외 여행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1986년 9월 7일 오후 8시 45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71세의 나이로 다루살람 궁전(Istana Darussalam)에서 서거했다.[25] 사망 전 몇 주 동안 병석에 있었다고 알려졌다.[26][27] 브루나이는 그의 서거 후 40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을 가졌다.[25] 서거 소식은 1986년 9월 8일 0시 25분에 발표되었으며, 쿠란 낭독을 포함한 정규 방송 프로그램 중단을 통해 브루나이 국민들에게 처음 전해졌다.[25] 같은 날 국장(state funeral)이 거행되었으며,[25] 그의 시신은 누룰 이만 궁전(Istana Nurul Iman)의 녹색 방에 8시간 동안 안치되었다.[25]

하사날 볼키아와 그의 형제들은 녹색 벨벳으로 덮고 쿠란의 문구가 새겨진 아버지의 관을 안치 장소로 운구했다. 수백 명의 브루나이 국민과 대통령 위 킴 위, 이현룡(Lee Hsien Loong) 준장을 포함한 국제적인 고위 인사들이 하루 종일 기도와 진심 어린 조의를 표했다.[25] 종교 지도자들이 쉬지 않고 기도하는 동안 브루나이 왕립 경찰과 군대 소속 4명의 경비병이 그의 관을 지켰다. 관은 금색 드레이프로 덮인 받침대 위 크리스탈 샹들리에 아래에 놓였으며 쿠란 서예로 장식되었다.[25]

위 대통령, 파항의 술탄 아마드 샤, 이 준장, 총리 마하티르 모하마드와 그의 장남이 관 뒤에 서서 관을 궁전 밖으로 운구했다.[25] 관은 수레에 실려 무덤으로 운구되었고, 예포(gun salute)가 발사되는 동안 수백 명의 사람들이 폭우 속에서 거리를 따라 줄지어 서 있었다.[25] 하사날 볼키아가 이끄는 장례 행렬은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왕릉(Kubah Makam Di Raja)까지 이어졌으며, 브루나이 왕립군과 왕실 의식 장비 운반자들이 함께했다. 운구자는 무하마드 볼키아 왕자와 제프리 볼키아 왕자였다.[25]

능에서 하사날 볼키아와 그의 형제들은 아버지의 시신을 그의 아내, 아버지, 할아버지, 그리고 형과 함께 매장했다.[25] 국가 카디(State Kadi) 압둘 하미드 바칼(Abdul Hamid Bakal)이 쿠란 구절을 낭독하며 장례 의식을 집행했다. 위 대통령, 파항 술탄, 툰쿠 이브라힘 이스마일이 조문객들과 함께했고, 이 준장은 그들 뒤에 앉았다.[25] 90분간의 예배 후, 술탄은 무덤에 성수를 뿌렸다. 그날 밤 궁전에서 기도회가 열렸고, 40일간의 애도 기간 동안 매일 밤 기도가 계속되었다.[25]

고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에게 조의와 기도, 마지막 존경을 표하기 위해 브루나이를 방문한 외국 고위 인사와 정치인들은 다음과 같다.[25]

국가방문자
조호르이스칸다르, 양 디-퍼르투안 아궁 8세
조호르툰쿠 푸안 자나리아(Tunku Puan Zanariah), 라자 퍼르마이스리 아궁 8세
파항아마드 샤, 파항 술탄[29]
파항텐쿠 암푸안 아프잔(Tengku Ampuan Afzan), 파항 텐쿠 암푸안
조호르툰쿠 이브라힘 이스마일, 조호르 섭정
싱가포르위 킴 위, 싱가포르 대통령[30][31]
싱가포르이광요(Lee Kuan Yew)를 대신하여 이현룡 준장[25]
말레이시아마하티르 모하마드, 말레이시아 총리
말레이시아시티 하스마 모하마드 알리(Siti Hasmah Mohamad Ali), 말레이시아 총리 배우자
인도네시아엘.비. 무르다니(L. B. Moerdani), 인도네시아 국군 사령관



조의 외에도 여러 국가 원수와 정부가 애도를 표했다. 영국 총리(British Prime Minister) 마거릿 대처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이 브루나이 역사와 그를 영국에서 알던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의 수하르토 대통령, 파키스탄의 지아울 하크 대통령, 필리핀의 코라손 아키노 대통령은 모두 그의 서거에 충격을 표명하며 브루나이에게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이라고 묘사했다. 방글라데시 대통령(President of Bangladesh) 후세인 무하마드 에르샤드(Hussain Muhammad Ershad)는 그의 국민에 대한 그의 뛰어난 공헌 외에도 그의 비전, 예지력, 현명한 지도력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명했다.[25]

제프리 하우 경(Sir Geoffrey Howe), 네게리 셈빌란의 자파르(Ja'afar of Negeri Sembilan), 트렝가누의 이스마일 나시르딘(Ismail Nasiruddin of Terengganu), 펄리스의 푸트라(Putra of Perlis), 켈란탄의 이스마일 페트라(Ismail Petra of Kelantan), 케다의 압둘 할림(Abdul Halim of Kedah), 셀랑고르의 살라후딘(Salahuddin of Selangor), 셀랑고르의 샤라후딘(Sharafuddin of Selangor), 페락의 아즐란 샤(Azlan Shah of Perak), 무하마드 칸 주네조(Muhammad Khan Junejo), 카부스 빈 사이드(Qaboos bin Said), 아마드 자이디 아드루스(Ahmad Zaidi Adruce), 후세인 무하마드 에르샤드(Hussain Muhammad Ershad), 요르단의 후세인(Hussein of Jordan), 이사 빈 살만 알 칼리파(Isa bin Salman Al Khalifa), 칼리파 빈 하마드 알 타니(Khalifa bin Hamad Al Thani), 호스니 무바라크(Hosni Mubarak), 로널드 레이건(Ronald Reagan), 사우디아라비아의 파흐드(Fahd of Saudi Arabia), 자베르 알-아마드 알-사바(Jaber Al-Ahmad Al-Sabah), 네팔의 비렌드라(Birendra of Nepal), 하페즈 알 아사드(Hafez al-Assad), 사드 알-살림 알-사바(Saad Al-Salim Al-Sabah), 아가타 바바라(Agatha Barbara), 칼리파 빈 살만 알 칼리파(Khalifa bin Salman Al Khalifa), 히로히토(Hirohito), 푸미폰 아둔야뎃(Bhumibol Adulyadej), 자이드 리파이(Zaid Rifai), 자예드 빈 술탄 알 나얀(Zayed bin Sultan Al Nahyan),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Richard von Weizsäcker), 헬무트 콜(Helmut Kohl), 전두환(Chun Doo-hwan) 등 여러 국가 원수와 정부도 조의를 표했다.[25]

1986년 10월 20일, 누룰 이만 궁전에서 RTB를 통해 생중계된 연설에서 하사날 볼키아 술탄은 브루나이 각료회의(Council of Cabinet Ministers) 재편을 계기로 아버지의 서거를 애도하며, 아버지는 결코 대체될 수 없다고 말했다.[25]

2022년 다루살람 궁전

5. 외교 관계

브루나이는 이웃 나라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며, 1950년대 전후로 이 지역에서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1957년 말레이시아가 먼저 독립했지만, 브루나이와 그 주변 지역은 여전히 영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말레이시아로의 가입을 추진했고, 이는 초기 말레이시아 정부의 환영을 받았다.

1962년 브루나이 사상 최초의 총선거에서 브루나이 인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인민당이 반(反)말레이시아 성향이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가입이 추진되자, 인민당은 폭동을 일으켰다. 이에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를 해산한 뒤 인민당을 불법화했다. 이후 말레이시아로 편입될 수 있었으나, 1963년 갑작스럽게 가입 결정을 철회하였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국내 학생들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해외 유학을 장려했다. 1950년에는 말레이시아 5학년 학생 3명이 싱가포르의 알주네이드 아랍 학교로 유학을 갔다. 이후 매년 유학생 수가 증가했고, 1963년에는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를 졸업한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장학금 덕분에 졸업했다.

1952년 5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영국을 방문하여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식에 참석했다. 1959년 7월 6일에는 말레이시아 연방의 초대 양디 페르투안 아궁인 압둘 라만과 말레이시아의 초대 라자 페르마이스리 아궁인 툰쿠 쿠르시아의 방문을 받았다.

1959년, 에든버러 공작(왼쪽)이 이스타나 다룰 하나에서 브루나이에서 제작된 은색 담뱃갑을 감상하고 있다


압둘 라만 국왕(왼쪽)과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오른쪽), 1959년


다음은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시기 주요 외교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연도국가/인물내용
1952년 5월영국런던 방문[6]
1953년 6월 2일영국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식 참석[6]
1953년 6월 9일영국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세인트 마이클 및 세인트 조지 훈장 (KCMG) 수여[6]
1952년 10월 21일마리나 공주브루나이 방문
1956년압둘 라작 후세인브루나이 방문[34]
1957년크리스토퍼 콕 경브루나이 방문[34]
1958년 9월 25일펄리스의 시드 푸트라, 셀랑고르의 히삼무딘, 파항의 아부 바카르, 사라왁 주지사 앤서니 아벨 경술탄의 아들 할례식 참석[35]
1959년 7월 6일말레이시아 연방 초대 양디 페르투안 아궁 압둘 라만, 말레이시아 초대 라자 페르마이스리 아궁 툰쿠 쿠르시아브루나이 방문[36]
1965년 3월 1일필립 공브루나이 방문[37]
1961년 1월콜린 윌리엄 카스테어스 터너 경브루나이 방문[38]
1967년 10월데이비드 노엘 휴 타이크 소장브루나이 방문[38]


5. 1. 림방 분쟁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라부안림방을 브루나이에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3] 그는 사라왁과 사바가 오래전 브루나이에서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과 영국령 보르네오의 과거 영토를 회복하여 술탄국을 재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3] 브루나이 정부는 1950년까지 말레이시아 정부에 해당 지역의 반환을 계속 요구했다. 1973년, 브루나이 인민당(PRB)의 자이니 아마드가 다른 7명의 구금자와 함께 림방을 통해 탈출하면서 림방 분쟁이 다시 일어났다. 자이니는 말레이시아에서 정치 망명을 허가받았고 PRB 사무소도 개설할 수 있었다. 이에 브루나이 정부는 림방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다시 제기했다.[32]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림방 강을 따라 발사선을 타고 가던 중 하부 림방 주민들로부터 브루나이 합류를 희망하는 청원을 받았다. 사라왁 정부의 브루나이 반대 시위와 말레이시아 대학에 재학 중인 브루나이 학생들의 소환으로 인해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그가 퇴위한 후에도 계속되었다.[33]

6. 개인적인 삶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1937년 쿠알라 벨라이트에서 브루나이 타운으로 돌아온 후, 다양 시티 아민 빈티 아왕 하심과 결혼했으나 1944년 이혼했다.[2] 1941년 9월 6일, 반데룬 카얀궁에서 그의 사촌이자 두 번째 부인인 펭기란 아낙 다밋 빈티 ''펭기란 벤다하라'' 펭기란 아낙 압둘 라흐만과 결혼했다.[2] 왕실 결혼식은 왕실의 모든 의례적 관습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베르퉁구 투낭''(약혼자를 기다림) 관습을 포함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은 왕실 가족의 관습과 의식에 정통한 원로들로부터 다양한 관점을 얻을 수 있었다.[2]

''펭기란 샤반다르'' 펭기란 무하마드 살레가 쓴 ''샤이르 라키스''(라키스 시), ''페힌 시라자 카티브'' 아왕 압둘 라작이 쓴 ''샤이르 양 디-퍼르투안'', 펭기란 다밋 시키트리 빈 펭기란 사리풀이 쓴 시, ''샤이르 아왕 세마운'', 그리고 작가를 알 수 없는 몇 편의 ''샤이르 라장'' 등이 매일 밤 열리는 관습적인 ''이스타닷 베르자가-자가''에서 낭송되었다.[2]

1941년 2월 림방 펭기란과 술탄 아마드 타주딘의 대표와의 초기 회의 후, 맥브라이언은 양측과 효과적으로 합의를 이끌어내어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이 결혼 선물로 2000USD를 받게 했다.[2]

6. 1. 가족 관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1914년 9월 23일 브루나이 타운 구 술탄 마을(Kampong Sultan Lama) 이스타나 코타에서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 술탄과 라자 이스테리 파티마 사이의 10남매 중 일곱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2] 그는 펭기란 샤르바눈 빈티 펭기란 무하마드와 그의 언니 펭기란 아낙 푸테리 베사르에게 양육되었다.[2]

6. 2. 개인적인 관심사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이슬람교에 대한 깊은 신앙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그의 통치 철학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삶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궁궐에서 이슬람 관습, 예절을 중심으로 교육받았다.[2] 그는 10세에 엄선된 가정교사의 지도하에 코란을 배우기 시작하여 40번의 공식 암송을 수행하며 학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3] 십 대 시절에도 종교 교육을 계속하여 이슬람 법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였다.[2]

그의 멘토 중 한 명인 압둘 묵티 나사르(Abdul Mokti Nasar)의 가르침은 오마르 알리에게 큰 영향을 미쳐 브루나이의 종교 기관을 현대화하고 통치에서 이슬람의 역할을 강화하려는 비전을 형성했다.[2] 또한, 궁궐에서 훈련받는 동안 저녁 식사 후 매일 "디키르(Dikir) 브루나이"를 공부하여 전문가가 되었다.[2]

그는 1937년 쿠알라 벨라이트에서 브루나이 타운으로 돌아온 후, 다양 시티 아민 빈티 아왕 하심과 결혼했으나 1944년 이혼했다.[2] 1941년 9월 6일, 반데룬 카얀궁에서 그의 사촌이자 두 번째 부인인 펭기란 아낙 다밋 빈티 펭기란 벤다하라 펭기란 아낙 압둘 라흐만과 결혼하여 10명의 자녀를 두었다.[2]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의 자녀
이름출생
술탄 하사날 볼키아1946년[39]
무하마드 볼키아 왕자1947년[40]
마스나 볼키아 공주1948년
노르아인 볼키아 공주1950년
수프리 볼키아 왕자1952년
제프리 볼키아 왕자1954년[41]
아말 우미 칼툼 알-이슬람 공주1956년[42]
아말 라키아 볼키아 공주1957년[43]
아말 나시바 볼키아 공주1958년
아말 제프리아 볼키아 공주1964년



1979년 그의 부인 펭기란 아낙 다밋이 사망한 후, 그는 마지막으로 그의 올케이기도 한 펭기란 비니 펭기란 아낙 하자 살라 빈티 펭기란 벤다하라 펭기란 아낙 압둘 라흐만과 결혼했다.[2]

7. 유산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1967년 왕위에서 물러나 하사날 볼키아에게 승계했지만, 그 뒤에도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사실상 술탄으로 남아있었다. 1984년 브루나이 독립 이후, 1986년에 사망할 때까지 브루나이의 국부로 추앙받았다.[3] 그의 이름을 딴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는 해외 여행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그는 생전에 이슬람 지도자로서 국내 학생들의 수준 향상을 위해 해외 유학을 장려했다.[3] 1950년에는 말레이시아 학생 3명이 싱가포르 알주네이드 아랍 학교로 유학을 갔고, 이후 매년 유학생 수가 증가했다. 1963년에는 알 아즈하르 대학교(Al-Azhar University)를 졸업한 최초의 브루나이 학생이 나왔다.[3]

1952년 영국 방문 시 크로이던(Croydon)을 산책했고,[6]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식에 참석하여 세인트 마이클 및 세인트 조지 최고 훈장 기사 사령관(KCMG) 훈장을 받았다.[6]

1954년에는 종교부를 설립하여 법률 문제, 교육 문제 등 이슬람 관련 국가 행정을 감독하게 했다.[7] 또한 종교 학교를 설립하고 해외 유학 장학금을 지원했다.

그는 친영파(Anglophile)로 알려져 있으며, 윈스턴 처칠 경을 존경하여 그의 이름을 딴 박물관을 설립하기도 했다. 이 박물관은 1992년 브루나이 왕실 유물 건물(Royal Brunei Regalia Building)이 되었고, 2017년 왕실 유물 박물관(Royal Regalia Museum)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시설과 도로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1970년 10월 4일, 브루나이 타운(Brunei Town)은 반다르스리브가완으로 변경.[48]
  • 푸삿 반다르(Pusat Bandar)의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거리(Jalan Sultan Omar 'Ali Saifuddien)[49]
  • 세리아의 술탄 오마르 알리 거리(Jalan Sultan Omar Ali)[50]
  • 베라카스 캠프(Berakas Camp)의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거리(Jalan Sultan Omar Ali Saifuddien)[51]
  • 1958년에 완공된 주립 모스크인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45]
  • 캄퐁 카티마하르의 파두카 스리 브가완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Paduka Seri Begawan Sultan Omar Ali Saifuddien Mosque)[52]
  • 파두카 스리 브가완 술탄 과학대학[53][54]
  • 바투 사투의 세리 브가완 종교 교사 대학(교원 양성 대학)[55][56]
  • 브루나이 무아라 구와 템부롱 구(Temburong District)를 연결하는 술탄 하지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다리. 2020년 7월 14일 명명.[57]
  • 2010년 9월 30일 설립된 브루나이 다루살람 대학교의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이슬람 연구 센터(Sultan Omar 'Ali Saifuddien Centre for Islamic Studies)[58]
  • 1951년 10월 15일에 설립된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대학[59]
  • 푸삿 반다르의 에코 코리도어 공원(Eco-Corridor Park)에 위치한 술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보행자 다리(Sultan Omar Ali Saifuddien Pedestrian Bridge)[60]
  • 타만 하지 시르 무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61]

8. 서거

1986년 조용히 서거하였다.[3] 사후 브루나이의 국부로 추앙받았으며, 그의 이름을 딴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는 해외 여행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Architect of Modern Brunei, A King with a Citizen Soul (Malay version) http://www.pelitabru[...] Department of Publications, Prime Minister's Office, Brunei Darussalam 2011-10-09
[2] 서적 Southeast Asian Affair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87
[3]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Brunei Taylor & Francis 2022
[4] 웹사이트 Catalysing Independent Malay Islamic Monarchy (MIB Series) http://bruneiresourc[...] 2017-10-09
[5] 서적 Bandar Seri Begawan Walking Tour https://www.bruneito[...] bruneitourism
[6] 서적 The Genesis of Konfrontasi: Malaysia, Brunei, Indonesia, 1945–1965 https://books.google[...] Crawford House 1998
[7] 서적 A Comparative Assessment Of Islamic Reform And Revival In Brunei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20th Century https://fass.ubd.edu[...] FASS, UBD
[8] 웹사이트 Brunei Darussalam's Constitution of 1959 with Amendments through 2006 http://www.agc.gov.b[...] www.agc.gov.bn 2021-03-31
[9] 웹사이트 Constitution – Volume 603: debated on Thursday 9 April 1959 https://hansard.parl[...]
[10]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11] 웹사이트 Creating "Greater Malaysia" : decolonization and the politics of merger http://eservice.nlb.[...]
[12] 웹사이트 PMO Speech by Mr Lee Kuan Yew, Minister Mentor, at the Sultan Sir Haji Omar Ali Saifuddien Memorial Lecture, 25 February 2009, 4:55 pm at Bandar Seri Begawan https://www.pmo.gov.[...] 2018-12-24
[13] 서적 Singapore: The Unexpected Na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8
[14] 웹사이트 Negara Brunei Darussalam: obituary 2008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2009-01-01
[15] 웹사이트 Chairman of Malaysia Solidarity Consultative Committee … https://www.nas.gov.[...]
[16] 서적 Brunei Darussalam, the Road to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Brunei History Centre, Ministry of Culture, Youth, and Sports 1998
[17] 뉴스 Brunei celebrates Golden Jubilee: What to know about Sultan Hassanal Bolkiah https://www.straitst[...] 2017-10-05
[18] 서적 Report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Brunei Press 1972
[19] 웹사이트 The Birth of a Monarch snd a Leader https://www.mindef.g[...]
[20] 웹사이트 A look back at Brunei's first National Day http://thescoop.co/2[...] 2018-02-23
[21] 웹사이트 MINDEF – Introduction https://www.mindef.g[...]
[22] 뉴스 Omar Ali Saifuddin; Former Brunei Sultan https://www.nytimes.[...] 1986-09-11
[23] 웹사이트 Egypt https://www.mfa.gov.[...]
[24] 서적 Brunei Darussalam https://books.google[...] Broadcasting and Information Department, Prime Minister's Office 1985
[25] 뉴스 Omar Ali Saifuddin; Former Brunei Sultan https://www.nytimes.[...] 1986-09-11
[26] 뉴스 Omar Ali Saifuddin; Former Brunei Sultan https://www.nytimes.[...] 1986-09-11
[27] 뉴스 Omar Ali Saifuddin; Former Brunei Sultan https://www.nytimes.[...] 1986-09-11
[28] 웹사이트 Borneo History: Omar Ali Saifuddien III https://borneohistor[...] 2017-01-26
[29] 서적 Our king Jabatan Pusat Sejarah, Kementerian Kebudayaan, Belia dan Sukan 1996
[30] 서적 Brunei Darussalam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Information, Ministry of Culture, Youth and Sports, Brunei Darussalam 1985
[31] 서적 Brunei Darussalam Newsletter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Information, Prime Minister's Office 1989
[32] 서적 Dictionary of the Modern Politic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
[33] 간행물 Pelita Brunei 1974-02-06
[34] 뉴스 JAWAPAN SO'ALAN2 PELITA BRUNEI KELUARAN TAHUN 2: NO. 4 DIMUKA 7 https://www.pelitabr[...] 1957-04-15
[35] 뉴스 Allah Selamatkan Sultan Dan Raja Isteri Serta Putera Puteri Baginda https://www.pelitabr[...] 1958-09-15
[36] 웹사이트 Pusat Sejarah Brunei - Peristiwa dan Tempat Bersejarah http://www.history-c[...] 2022-10-04
[37] 뉴스 Y.T.M. Prince Philip Melawat Brunei https://www.pelitabr[...] 1965-03-03
[38] 웹사이트 Negara Brunei Darussalam: obituary 2014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2023-08-12
[39] 웹사이트 Prime-Minister https://www.pmo.gov.[...] Prime Minister's Office 2024-07-04
[40] 서적 ASEAN Forecast https://books.google[...] Executive Publication Pte 1985
[41] 뉴스 Istiadat Berkhatan Bagi Dua Orang Putera2 Baginda Di-Langsongkan Hari Ini https://www.pelitabr[...] 1967-08-02
[42] 뉴스 AL-ISLAM DZAHIR https://www.pelitabr[...] 1956-02-15
[43] 뉴스 KEDZAHIRAN PUTERI DI-RAJA YANG KE-8 https://www.pelitabr[...] 1957-04-15
[44] 웹사이트 Chapter 6 (The Reign of Sultan Omar Ali Saifuddien III 1950–1967) https://www.scribd.c[...] 2022-10-04
[45] 웹사이트 The Majestic 40 Years http://sultanate.com[...] 2024-05-18
[46] 웹사이트 The Jewel of Brunei: Sultan Omar Ali Saifuddin Mosque https://voice7news.t[...] 2024-05-18
[47] 서적 Background notes, Brunei Darussalam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Public Affairs, Office of Public Communication, Editorial Division 1985
[48] 웹사이트 Brunei Darussalam In Brief https://www.informat[...] 2024-05-18
[49] 웹사이트 Penutupan sementara sebahagian Jalan Sultan Omar 'Ali Saifuddien https://www.pelitabr[...] 2024-07-22
[50] 서적 Brunei Labor Laws and Regulations Handbook Volume 1 Strategic Information and Basic Laws https://books.google[...] Lulu.com 2017
[51] 웹사이트 Web Map https://geoportal.su[...] 2024-09-05
[52] 서적 Ristaan 1400 Hijrah di-Brunei https://books.google[...] Jabatan Hal Ehwal Ugama, Brunei 1979
[53] 서적 Fieldwork and the Self: Changing Research Style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1
[54] 서적 The Handbook of Asian English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
[55] 웹사이트 Meaningful meeting of alumni 1984–2014 MPUSB https://www.pelitabr[...] 2024-08-06
[56] 서적 Future Directions for Inclusive Teacher Educ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57] 뉴스 Sultan urges ministries to work together in face of pandemic https://web.archive.[...] 2020-07-14
[58] 웹사이트 SOASCIS – Sultan Omar 'Ali Saifuddien Centre for Islamic Studies https://soascis.ubd.[...] 2024-05-18
[59] 웹사이트 History of Sultan Omar 'Ali Saifuddien (SOAS) College https://web.archive.[...] 2017-09-05
[60] 서적 An Encyclopaedia of World Bridges Pen and Sword Transport 2022
[61] 웹사이트 Taman Haji Sir Muda Omar Ali Saifuddien - Brunei Tourism Official Site https://www.bruneito[...] 2024-05-18
[62] 웹사이트 Brunei Currency Board – Coins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2008-04-25
[63] 서적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Modern Issues, 1961–Date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03
[64] 서적 Brunei: The Amazing Quiz Book https://books.google[...] Changder Outline 2023
[65] 웹사이트 Brunei Ringgit https://www.banknote[...] 2024-07-22
[66] 서적 A Year Book of the Commonwealth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1974
[67] 웹사이트 Sir Muda Omar 'Ali Saifuddien Sa'adul Khairi Waddien, Sultan of Brunei – National Portrait Gallery https://www.npg.org.[...] 2023-08-07
[68] 간행물 London Gazette 1951-05-01
[69] 간행물 London Gazette 1953-05-26
[70]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58. http://www.istiadat.[...]
[71] 뉴스 Anugerah untok pembesar2 https://eresources.n[...] Berita Harian 1961-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