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나이의 술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브루나이 술탄 목록 (1368년-현재)
- 2.1. 초기 술탄 (1368년-1660년)
- 2.1.1. 무하마드 샤 (1363/1368년-1402년)
- 2.1.2. 압둘 마지드 하산 (1402년-1408년)
- 2.1.3. 아흐마드 (1408년-1425년)
- 2.1.4. 샤리프 알리 (1425년-1432년)
- 2.1.5. 술라이만 (1432년-1485년)
- 2.1.6. 볼키아 (1485년-1524년)
- 2.1.7. 압둘 카하르 (1524년-1530년)
- 2.1.8. 사이풀 리잘 (1530년-1581년)
- 2.1.9. 샤 베루나이 (1581년-1582년)
- 2.1.10. 무하마드 하산 (1582년-1598년)
- 2.1.11. 압둘 잘릴 울 아크바르 (1598년-1659년)
- 2.1.12. 압둘 잘릴 울 자바르 (1659년-1660년)
- 2.2. 브루나이 내전과 그 이후 (1660년-1906년)
- 2.2.1. 무하마드 알리 (1660년-1661년)
- 2.2.2. 압둘 하쿨 무빈 (1661년-1673년)
- 2.2.3. 무히딘 (1673년-1690년)
- 2.2.4. 나사루딘 (1690년-1710년)
- 2.2.5. 후신 카마루딘 (1710년-1730년, 1737년-1740년)
- 2.2.6. 무하마드 알라우딘 (1730년-1737년)
- 2.2.7.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1세 (1740년-1778년)
- 2.2.8. 무하마드 타주딘 (1778년-1807년)
- 2.2.9.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1세 (1804년)
- 2.2.10. 무하마드 칸줄 알람 (1807년-1826년)
- 2.2.11. 무하마드 알람 (1826년-1828년)
- 2.2.12.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 (1828년-1852년)
- 2.2.13. 압둘 모민 (1852년-1885년)
- 2.2.14. 하심 자릴룰 알람 아카마딘 (1885년-1906년)
- 2.3. 현대의 술탄 (1906년-현재)
- 2.1. 초기 술탄 (1368년-1660년)
- 3. 술탄의 전용기
- 4. 초기 브루나이 역사 기록의 불확실성
- 참조
1. 개요
브루나이의 술탄은 1368년부터 현재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하는 군주를 의미한다. 브루나이 술탄들은 무하마드 샤를 시작으로 14세기부터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19세기에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현재는 하사날 볼키아가 1967년부터 술탄으로 재위하고 있으며, 절대 군주로서 브루나이를 통치하고 있다. 초기 브루나이 역사는 기록 부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다양한 역사 자료와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루나이 술탄 - 하사날 볼키아
하사날 볼키아는 1967년부터 브루나이를 통치하며 1984년 독립 이후 총리, 국방장관, 재무장관, 외무장관 등을 역임하고, 200억 달러의 개인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 브루나이 술탄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이슬람 교육 장려, 헌법 제정 추진, 석유 산업 발전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며, 브루나이 독립을 위해 노력하다 1986년에 사망했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브루나이의 술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왕조 칭호 | 술탄 |
국가 | 브루나이 |
토착어 명칭 | (술탄 댄 양 디-페르투안 네가라 브루나이 다루살람) |
유형 | 군주 |
문장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ersonal_Emblem_of_the_Sultan_of_Brunei.svg |
현재 통치자 | 하사날 볼키아 |
즉위일 | 1967년 10월 5일 |
후계자 | 왕세자 알-무타디 빌라 |
첫 번째 군주 | 술탄 무함마드 샤 |
건국일 | 1368년 |
거주지 | 이스타나 누룰 이만, 반다르 세리 베가완 |
정치 | |
정치 체제 | 기타 |
기타 정보 | |
소유격 | 그의 |
2. 브루나이 술탄 목록 (1368년-현재)
1368년부터 현재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한 술탄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2]
초상화 | 이름 | 재위 시작 | 재위 종료 | 비고 | |
---|---|---|---|---|---|
1 | 무하마드 샤 / 아왕 알락 베타타르 | 1363/1368[3] | 1402 |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브루나이강 근처에 새로운 행정 중심지를 설립했다. 조호르 술탄과의 혼인 동맹으로 이슬람교로 개종, 힌두-불교 군주국에서 이슬람 술탄국으로 변화했다. | |
2 | 압둘 마지드 하산 / 마하라자 카르나 | 1402 | 1408 | 영락제에게 사절을 파견하여 충성을 표했다. 난징에서 사망하여 보니 왕의 무덤에 매장되었다. | |
3 | 아흐마드 / 아왕 파테 베르바이 | 1408 | 1425 | 명나라에 조공 사절단을 파견하여 충성을 맹세하고 선물을 바쳤다. | |
4 | 샤리프 알리 / 술탄 바르카트 (축복받은 술탄) | 1425 | 1432 | 마므룩 술탄국의 메카 샤리프 출신으로, 전임자의 사위였고 이슬람에 정통했기 때문에 선출되었다. | |
5 | 술레이만 | 1432 | 1485 | 코타 바투 건설을 감독하면서 이슬람 확산을 장려했다. 1485년 아들 볼키아에게 술탄 자리를 양위하고 파두카 세리 베가완 술탄이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 |
6 | 볼키아 / 나코다 라감 (노래하는 선장) | 1485 | 1524 | 브루나이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사라왁, 사바, 마닐라, 술루 군도 등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술루 술탄국과 루손 왕국에 대한 군사적 성공으로 브루나이의 영향력과 부를 증대시키고 이슬람 확산을 촉진했다. | |
7 | 압둘 카하르 | 1524 | 1530 | 조르제 드 메네제스가 브루나이를 방문한 후 포르투갈 제국과 무역 관계를 수립했다. 피티스라는 새로운 화폐를 도입하고 1530년에 퇴위했다. | |
8 | 사이풀 리잘 | 1530 | 1581 | 카스티야 전쟁으로 수도를 일시 점령당했으나, 이후 수도를 재건하고 군대를 강화했다. | |
9 | 샤 브루나이 | 1581 | 1582 | 술탄 사이풀 리잘의 장남. | |
10 | 무하마드 하산 | 1582 | 1598 | 궁궐과 다리 건설을 통해 인프라를 개선하고 교회법을 제정하여 법전에 영향을 미쳤다. | |
11 | 압둘 찰릴 울 악바르 | 1598 | 1659 | 스페인 제국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브루나이와 필리핀 간의 무역을 촉진했다. 네덜란드 상인 올리버 반 누르트와 영국 사업가 헨리 미들턴이 방문했다. | |
12 | 압둘 찰릴 울 자바르 | 1659 | 1660 | 술루 무왈릴 와시트 1세의 지원으로 형을 전복시키고, 아버지의 샤리아 형법을 유지했다. | |
13 | 무하마드 알리 | 1660 | 1661 | 브루나이 법전을 시행했다. 아들의 살해에 대한 복수로 압둘 하쿨 무빈에게 암살당해 브루나이 내전이 발발했다. | |
14 | 압둘 하쿨 무빈 | 1661 | 1673 | 무하마드 알리를 살해하고 술탄으로 선포되었으나, 브루나이 내전으로 이어졌다. 풀라우 체르민에서 포위되어 패배하고 처형당했다. | |
15 | 무히딘 | 1673 | 1690 | 브루나이 내전 이후 캄퐁 아예르에서 통치하며 브루나이를 안정시키고 대외 관계를 강화하려 노력했다. | |
16 | 나스루딘 | 1690 | 1710 | 마닐라와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파가루융 왕국과 유대를 강화했다. | |
17 | 후신 카말루딘 | 1710 | 1730 | 브루나이 피티스 화폐를 계속 사용하고 금 피티스 동전을 도입했다. 1730년 술탄 자리에서 물러났다. | |
18 | 무하마드 알라우딘 | 1730 | 1737 | 살실라 라자-라자 브루나이 (브루나이 술탄의 계보)를 쓰도록 지시했다. | |
(17) | 후신 카말루딘 | 1737 | 1740 | 술탄 무히딘의 계보를 잇기 위해 다시 술탄 자리에 올랐다. | |
19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1세 | 1740 | 1778 | 마닐라를 탈환하고 영국의 지원을 요청했으나, 재정 문제로 영국은 철수했다. 1778년 아들에게 술탄 자리를 양위했다. | |
20 | 무하마드 타주딘 | 1778 | 1804 | 바투 타르실라 (석판)을 새기도록 명령했다. | |
21 |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1세 | 1804 | 1804 | ||
(20) | 무하마드 타주딘 | 1804 | 1807 | ||
22 | 무하마드 칸줄 알람 | 1807 | 1826 | 섭정을 거쳐 술탄이 되었으나, 내부 권력 투쟁과 불만 증가에 직면했다. | |
23 | 무하마드 알람 | 1826 | 1828 | 자칭 술탄이었으나 왕실 관습을 무시하여 제2차 내전을 촉발했다. | |
24 | ![]()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 | 1828 | 1852 | 제임스 브룩에게 사라왁을 할양하고 라부안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의 영향력이 커졌다. |
25 | ![]() | 압둘 모민 | 1852 | 1885 | 외국 인물들의 압력으로 영토를 할양하고 경제 침체를 겪었다. |
26 | ![]() | 하심 자릴룰 알람 아카마딘 | 1885 | 1906 | 1888년 영국과 보호령 협정을 체결했으나 영토 손실이 계속되었다. |
27 | ![]() | 무하마드 자마룰 알람 2세 | 1906 | 1924 |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최초의 브루나이 술탄이었다. 무하마단 법령(이슬람법)과 결혼 및 이혼법을 도입했다. |
28 | ![]() | 아흐마드 타주딘 | 1924 | 1950 | 1929년 석유가 발견되었다. 일본군의 브루나이 점령을 겪었다. |
29 | ![]() |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 1950 | 1967 | 멜라유 이슬람 베라자(MIB) 철학을 개발하고 브루나이 헌법을 제정했다. 말레이시아 연방 합병으로 인한 긴장을 겪었다. |
30 | ![]() | 하사날 볼키아 | 1967 | 현직 | 198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이후 술탄이자 총리로 재임 중이다.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절대 군주 중 한 명이다. |
하사날 볼키아 현 국왕 대부터는 국왕이 수상, 국방장관, 재무장관, 외무장관을 겸임하고 있다.
초기 술탄 시대(1368년~1660년)에는 무하마드 샤가 브루나이를 건국하고 이슬람교를 도입했으며, 압둘 마지드 하산은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아흐마드는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지속했고, 샤리프 알리는 이슬람 율법을 강화했다. 술라이만은 코타 바투 건설을 감독했으며, 볼키아는 브루나이의 황금기를 열었다. 압둘 카하르는 포르투갈과 무역 관계를 맺었고, 사이풀 리잘은 카스티야 전쟁을 겪었다. 샤 베루나이는 짧게 통치했고, 무하마드 하산은 인프라를 개선하고 교회법을 제정했다. 압둘 잘릴 울 아크바르는 스페인과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압둘 잘릴 울 자바르는 샤리아 형법을 유지했다.
브루나이 내전과 그 이후(1660년~1906년)에는 무하마드 알리가 살해당하고 압둘 하쿨 무빈이 권력을 잡았으나 내전으로 처형당했다. 무히딘은 내전을 종식시키고 안정을 추구했으며, 나사루딘은 마닐라와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 후신 카마루딘은 두 차례 재위하며 금 피티스 동전을 도입했고, 무하마드 알라우딘은 술탄 계보 기록을 지시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1세는 마닐라를 탈환하고 영국의 지원을 요청했다. 무하마드 타주딘은 바투 타르실라 석판을 새겼고,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1세는 잠시 재위했다. 무하마드 칸줄 알람은 내부 권력 투쟁을 겪었고, 무하마드 알람은 왕실 관습을 무시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는 제임스 브룩에게 사라왁을 할양하고 영국의 영향력을 증대시켰다. 압둘 모민은 외세 압력으로 영토를 상실했고, 하심 자리룰 알람 아카마딘은 영국과 보호령 협정을 체결했으나 영토 손실이 계속되었다.
현대의 술탄(1906년~현재) 시대에는 무하마드 자마룰 알람 2세가 영어를 구사하고 이슬람법을 도입했으며, 아흐마드 타주딘 통치 기간에 석유가 발견되고 일본군 점령을 겪었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는 멜라유 이슬람 베라자 철학을 개발하고 헌법을 제정했으며, 하사날 볼키아는 현재까지 술탄으로 재위하며 브루나이의 독립을 이끌었다.
2. 1. 초기 술탄 (1368년-1660년)
1368년 무하마드 샤가 브루나이를 이슬람 왕국으로 건국한 이후, 1660년까지 여러 술탄이 통치했다. 이 시기 브루나이는 해상 무역으로 번영했으며, 이슬람 문화가 발전했다.초기 술탄들은 볼키아 왕가 출신으로,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 이슬람 율법을 강화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샤리프 알리는 메카 출신으로 이슬람 율법을 강화했고,[4] 술라이만은 코타 바투 건설을 감독했다.[5] 볼키아는 브루나이의 황금기를 열어 영토를 확장하고 이슬람교를 전파했다.
압둘 카하르는 포르투갈과 무역 관계를 맺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이풀 리잘은 카스티야 전쟁으로 수도를 일시적으로 빼앗겼으나 재건했다.[8] 무하마드 하산은 인프라를 개선하고 교회법을 제정했으며, 압둘 잘릴 울 아크바르는 스페인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무역을 촉진했다.
2. 1. 1. 무하마드 샤 (1363/1368년-1402년)
무하마드 샤(Muhammad Shah)는 브루나이의 초대 술탄으로, 1363년(또는 1368년)부터 1402년까지 재위했다.[1] 그는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브루나이를 건국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1] 또한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1]대 | 국왕 | 출신 가문 | 재위 기간 |
---|---|---|---|
1 | 무하마드 샤 | 볼키아 왕가 | 1363년 - 1402년 |
2. 1. 2. 압둘 마지드 하산 (1402년-1408년)
압둘 마지드 하산은 볼키아 왕가 출신으로, 1402년부터 1408년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했다. 그는 명나라에 사절을 보내 충성을 맹세했으며, 난징에서 사망하여 그곳에 묻혔다.[1]2. 1. 3. 아흐마드 (1408년-1425년)
아마드는 브루나이의 제3대 술탄으로, 1408년부터 1425년까지 재위하였다. 볼키아 왕가 출신이다. 아마드는 명나라와 외교 관계를 지속하며 브루나이의 위상을 높였다.2. 1. 4. 샤리프 알리 (1425년-1432년)
샤리프 알리는 메카 출신으로, 전임 술탄 아마드의 사위로서 술탄에 올랐다. 그는 이슬람 율법을 강화했다.[4]2. 1. 5. 술라이만 (1432년-1485년)
술라이만은 1432년부터 1485년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한 술탄이다. 그는 이슬람 확산에 힘썼으며, 코타 바투 건설을 감독했다.[5] 1485년, 아들 볼키아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퇴위했다.[5]대 | 국왕 | 재위 기간 | 비고 |
---|---|---|---|
5 | 술라이만 | 1432년 - 1485년 | 퇴위 |
2. 1. 6. 볼키아 (1485년-1524년)
볼키아는 브루나이의 제6대 술탄으로, 1485년부터 1524년까지 재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브루나이의 황금기로 여겨진다. 볼키아 술탄은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이슬람교를 널리 전파하는 데 힘썼으며, 유럽 탐험가들과 교류하기도 했다.2. 1. 7. 압둘 카하르 (1524년-1530년)
압둘 카하르는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볼키아의 뒤를 이어 1524년부터 1530년까지 재위했다.[7] 그는 포르투갈과 무역 관계를 맺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새로운 화폐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 8. 사이풀 리잘 (1530년-1581년)
사이풀 리잘은 브루나이의 제8대 술탄으로, 1533년부터 1581년까지 재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브루나이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기록된다. 특히, 스페인과의 카스티야 전쟁에서 수도를 일시적으로 빼앗겼으나, 이후 수도를 재건하고 군대를 강화하는 등 브루나이의 주권과 안정을 회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8]
2. 1. 9. 샤 베루나이 (1581년-1582년)
샤 베루나이는 볼키아 왕가 출신으로, 사이풀 리잘의 장남이다. 1581년부터 1582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재위했다.2. 1. 10. 무하마드 하산 (1582년-1598년)
무하마드 하산은 브루나이의 제10대 술탄으로, 1582년부터 1598년까지 재위하였다. 그는 볼키아 왕가 출신이다. 무하마드 하산은 궁궐과 다리 건설 등 인프라를 개선하고 교회법을 제정하여 법전에 영향을 미쳤다.
2. 1. 11. 압둘 잘릴 울 아크바르 (1598년-1659년)
'''압둘 잘릴 울 아크바르'''는 볼키아 왕가 출신으로 1598년부터 1659년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한 술탄이다. 그는 스페인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무역을 촉진했으며, 네덜란드와 영국 상인들이 브루나이를 방문했다.2. 1. 12. 압둘 잘릴 울 자바르 (1659년-1660년)
압둘 잘릴 울 자바르는 브루나이의 제12대 술탄이다. 1659년부터 1660년까지 재위하였으며, 부친의 샤리아 형법을 유지했다.[1]대 | 국왕 | 출신 가문 | 재위 기간 | ||
---|---|---|---|---|---|
12 | 압둘 자일룰 자바르 | -- | 볼키아 왕가 | 1659년 - 1660년 |
2. 2. 브루나이 내전과 그 이후 (1660년-1906년)
1660년 무하마드 알리가 아들의 피살에 대한 복수로 살해당하면서 브루나이 내전이 발발했다. 내전에서 압둘 무빈이 무하마드 알리를 살해하고 14대 술탄이 되었으나, 내전은 계속되어 결국 무히딘이 15대 술탄으로 즉위하면서 종식되었다.무히딘은 내전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 대외 관계를 강화하려 노력했다. 이후 나사루딘, 후신 카마루딘 등의 술탄들이 재위했다. 후신 카마루딘은 금 피티스 동전을 도입하기도 했다. 무하마드 알라우딘은 술탄 계보 기록을 지시했고, 무하마드 타주딘은 바투 타르실라 석판을 새기도록 했다.
1807년 즉위한 무하마드 칸줄 알람의 통치 기간은 내부 권력 투쟁과 불만 증가로 특징지어졌다. 무하마드 알람은 왕실 관습을 무시해 내분을 일으켰다.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 재위 기간 동안 브루나이는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1846년 사라왁을 제임스 브룩에게 할양하고, 라부안 조약으로 영국의 영향력이 커졌다. 압둘 모민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는 외세 압력으로 영토를 상실하고 경제 침체를 겪었다.
하심 자리룰 알람 아카마딘은 1885년 영국과 보호령 협정을 체결했지만, 재위 기간 동안 영토 손실은 계속되었다.
2. 2. 1. 무하마드 알리 (1660년-1661년)
무하마드 알리는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1660년부터 1661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브루나이 법전을 시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아들이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복수로 무하마드 알리는 암살당했다. 이 사건은 결국 브루나이 내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2. 2. 2. 압둘 하쿨 무빈 (1661년-1673년)
압둘 하쿨 무빈은 브루나이의 14대 술탄이다. 그는 13대 술탄인 무하마드 알리를 살해하고 술탄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인해 브루나이는 내전에 휩싸였고, 결국 압둘 하쿨 무빈은 패배하여 처형당했다.2. 2. 3. 무히딘 (1673년-1690년)
무히딘은 브루나이의 제15대 술탄으로, 1673년부터 1690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볼키아 왕가 출신이다. 무히딘은 이전 시기에 발생했던 내전으로 혼란스러웠던 브루나이를 안정시키고 대외 관계를 강화하려 노력했다.2. 2. 4. 나사루딘 (1690년-1710년)
나사루딘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1690년부터 1710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볼키아 왕가 출신이다.2. 2. 5. 후신 카마루딘 (1710년-1730년, 1737년-1740년)
후세인 카말루딘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두 차례 재위했다. 1710년부터 1730년까지 재위한 후, 1737년부터 1740년까지 다시 술탄 자리에 올랐다. 그는 브루나이에서 피티스(pitis) 화폐를 계속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금 피티스 동전을 도입했다.대 | 국왕 | 출신 가문 | 재위 기간 | 비고 | |||
---|---|---|---|---|---|---|---|
17 | 후세인 카말루딘 | -- | 볼키아 왕가 | 1710년 | 1730년 | ||
18 | 무하마드 알라우딘 | -- | 볼키아 왕가 | 1730년 | 1737년 | ||
(17) | 후세인 카말루딘 | -- | 볼키아 왕가 | 1737년 | 1740년 |
2. 2. 6. 무하마드 알라우딘 (1730년-1737년)
무하마드 알라우딘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1730년부터 1737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브루나이 술탄의 계보를 기록하도록 지시했다.대 | 국왕 | 출신 가문 | 재위 기간 | ||
---|---|---|---|---|---|
18 | 무하마드 알라우딘 | -- | 볼키아 왕가 | 1730년 - 1737년 |
2. 2. 7.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1세 (1740년-1778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1세는 1740년부터 1778년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한 술탄이다.[1] 그는 브루나이의 볼키아 왕가 출신이다.[1]2. 2. 8. 무하마드 타주딘 (1778년-1807년)
무하마드 타주딘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1778년부터 1807년까지 재위하였다. 그는 바투 타르실라 석판을 새기도록 명령했다.무하마드 타주딘 | |
---|---|
-- | |
출신 가문 | 볼키아 왕가 |
재위 기간 | 1778년 - 1807년 |
2. 2. 9.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1세 (1804년)
Muhammad Jamalul Alam Ims은 브루나이의 술탄이었다. 그는 1804년에 잠시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재위했다.2. 2. 10. 무하마드 칸줄 알람 (1807년-1826년)
무하마드 칸줄 알람은 브루나이의 제22대 술탄으로, 1807년부터 1826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21대 술탄인 무하마드 자말룰 아말 1세의 뒤를 이어 술탄이 되기 전 섭정으로 활동했다.무하마드 칸줄 알람의 통치 기간은 내부 권력 투쟁과 불만 증가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은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 내에서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
2. 2. 11. 무하마드 알람 (1826년-1828년)
무하마드 알람은 브루나이의 23대 술탄으로, 1826년부터 1828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스스로 술탄을 자칭했으나, 왕실 관습을 무시하여 내분을 일으켰다.대 | 국왕 | 출신 가문 | 재위 기간 | 비고 | ||
---|---|---|---|---|---|---|
23 | 무하마드 알람 | -- | 볼키아 왕가 | 1826년 - 1828년 |
2. 2. 12.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 (1828년-1852년)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2세는 볼키아 왕가 출신으로 1828년부터 1852년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브루나이는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특히, 1846년에는 영국의 제임스 브룩에게 사라왁을 할양하였고, 라부안 조약을 통해 영국의 영향력을 증대시켰다.2. 2. 13. 압둘 모민 (1852년-1885년)
- -은 브루나이의 제25대 술탄으로, 1852년부터 1885년까지 재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브루나이는 제임스 브룩을 비롯한 외세의 압력으로 인해 많은 영토를 상실하고 경제적으로 침체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2. 2. 14. 하심 자릴룰 알람 아카마딘 (1885년-1906년)
Hashim Jalilul Alam Aqamaddin|하심 자릴룰 알람 아카마딘영어은 1885년 5월 29일부터 1906년 5월 10일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한 술탄이다. 그는 영국과 보호령 협정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재위 기간 동안 영토 손실이 계속되었다.2. 3. 현대의 술탄 (1906년-현재)
1906년 하심 자리룰 알람 아카마딘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무하마드 자마룰 알람 2세가 뒤를 이었다. 1924년에는 아흐마드 타주딘이, 1950년에는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가 술탄 자리에 올랐다. 1967년 10월 5일부터는 하사날 볼키아가 현재까지 술탄으로 재위 중이다.2. 3. 1. 무하마드 자말룰 알람 2세 (1906년-1924년)
는 1906년 5월 10일부터 1924년 9월 11일까지 브루나이를 통치한 술탄이다. 그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최초의 브루나이 술탄이었으며, 이슬람법을 도입했다.2. 3. 2. 아흐마드 타주딘 (1924년-1950년)
Ahmad Tajuddin영어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1924년 9월 11일부터 1950년 7월 4일까지 재위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브루나이에서는 석유가 발견되었고, 2차 세계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점령을 겪었다.2. 3. 3.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3세 (1950년-1967년)
Omar Ali Saifuddien III영어는 1950년 7월 4일부터 1967년 10월 5일까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재위했다. 그는 멜라유 이슬람 베라자 철학을 개발하고 헌법을 제정했으며, 말레이시아 연방 가입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2. 3. 4. 하사날 볼키아 (1967년-현재)
1967년 10월 5일부터 현재까지 브루나이의 술탄으로 재위 중이다. 술탄이자 총리, 국방장관, 재무장관, 외무장관을 겸임하고 있다. 하사날 볼키아는 브루나이의 독립을 이끌었으며, 세계적인 부호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3. 술탄의 전용기
술탄은 1979년부터 보잉 747-8(V8-BKH), 보잉 767-200(V8-MHB), 보잉 787-8(V8-OAS)[4] 등을 포함한 사설 VIP 항공기들을 보유해 왔으며, 시코르스키 S70 및 S76과 같은 헬리콥터도 운용하고 있다.
이 항공기들은 국가 공군의 일부가 아니다. 747-8을 제외한 다른 두 대의 항공기는 로열 브루나이 항공의 도장을 사용하고 있다.
4. 초기 브루나이 역사 기록의 불확실성
초기 브루나이 역사는 기록이 부족하고 이슬람 중심의 역사 해석으로 인해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5] 브루나이 국왕들의 족보 기록인 『바투 타르실라(Batu Tarsilah)』는 1807년에야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 이전의 역사는 대부분 중국 자료와 전설에 의존해야 했다.[3][6][7] 초기 브루나이는 중국의 지원에 의존했던 것으로 보이며,[3][6][7] 초기 술탄들은 중국계였을 가능성도 있다.[3] 또한 초기 술탄들은 힌두교 또는 불교를 믿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초기 이름들이 이러한 종교적 기원을 나타내기도 한다.[5]
4. 1. 다양한 역사 자료와 해석
브루나이 술탄의 초기 역사 기록은 부족하여 명확하지 않다. 역사를 이슬람화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공식 역사"는 검증 가능한 외국 자료와 일치하지 않는다.[5] 1807년에 시작된 브루나이 국왕 족보 기록인 『바투 타르실라(Batu Tarsilah)』 이전의 역사는 주로 중국 자료와 전설에 의존한다.[3][6][7]16세기 말 브루나이에 거주했던 이름 없는 타갈로그어 상인의 기록은 브루나이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기록은 존 S. 캐롤(John S. Carroll)에 의해 출판되었다. 이 상인은 브루나이 사람들이 토착 비사야인을 정복한 침략자들이라고 주장하며, 기존의 관습과 경험적 증거를 명확하게 구분했다. 그는 유소 술탄이 비사야인들을 정복하고 부를 얻은 후 중국 황제로부터 권력을 부여받았다고 말했다. 그의 이야기는 지역 민속 전승으로 가득 차 있지만, 술탄 솔리만과 술탄 압둘 카하르와 같은 실존 군주들을 언급하여 신뢰성을 높였다.[8]
17세기 말 다툭 이맘 야쿠브는 『실실라(Silsilah)』를 편찬했다. 이 책은 아민 스위니(Amin Sweeney)가 개정한 두 권의 책의 초기 부분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이 부분들은 서로 모순되어 야쿠브가 술탄 아마드를 실제로 어떻게 식별했는지, 그리고 그가 중국 관리인 응 섬핑(Ong Sum Ping)을 언급했는지 아니면 술탄 무하마드의 형제를 언급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8]
19세기 말 휴 로우(Hugh Low) 경은 브루나이 역사를 기록하려는 최초의 중요한 현대적 시도를 했다. 그는 펭기란 카수마(Pengiran Kasuma)의 『실실라』 및 기타 기록에 접근할 수 있었지만, 날짜와 외부 사건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여 브루나이 역사 연대기를 추정할 수 없었다. 그는 이슬람 채택과 왕조의 건국이 1403년경에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더 이전에 일어났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8]
1970년 도널드 브라운(Donald Brown)은 그의 연구 "브루나이: 보르네오 말레이 술탄국의 구조와 역사(Brunei: The Structure and History of a Bornean Malay Sultanate)"에서 마무드 샤와 마하모샤(Ma-ha-mo-sha) 사이의 연관성을 제기하여 무하마드 샤의 통치가 14세기 초에 시작되었을 수 있음을 암시했다. 그러나 브라운은 또한 루이 드 브리토 파탈림(Rui de Brito Patalim)의 서신에 대한 P. 마누엘 테이셰이라(P. Manuel Teixeira)의 분석을 인용했는데, 이 분석은 브루나이가 이교도와 무슬림 두 가지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했다.[8]
4. 2. 역사 해석의 논쟁
브루나이 술탄들의 초기 역사 기록은 부족하고, 역사를 이슬람화하려는 노력으로 인해 "공식 역사"가 검증 가능한 외부 자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5] 1807년에 시작된 브루나이 국왕들의 족보 기록인 『바투 타르실라(Batu Tarsilah)』 외에, 초기 역사 해석은 주로 중국 자료와 전설에 의존했다.[3][6][7] 초기 술탄들은 중국계였거나,[3] 힌두교 또는 불교 신자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5]최근 브루나이의 역사 서술은 술탄들의 공식 재위 기간과 역사적 사실 간의 차이 때문에 재검토되었다. 1590년 이전 브루나이에 거주했던 익명의 타갈로그족 상인이 브루나이 역사를 처음 기록하려 시도했고, 존 S. 캐롤(John S. Carroll)이 그의 저술을 출판했다. 이 상인은 브루나이인들이 토착 비사야인을 정복한 침략자들이었다고 주장하며, 기존의 통념과 다른 주장을 펼쳤다.[8]
1680년에서 1690년 사이 다툭 이맘 야쿠브(Datuk Imam Ya'akub)는 『실실라(Silsilah)』를 편찬했는데, 이는 아민 스위니(Amin Sweeney)가 개정한 두 권의 책의 초기 부분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이 부분들은 서로 모순되어 야쿠브가 술탄 아마드(Sultan Ahmad)를 어떻게 식별했는지 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8]
휴 로우(Hugh Low) 경은 1880년 브루나이 역사를 기록하려는 초기 현대적 시도를 했다. 그는 『실실라』 등에 접근할 수 있었지만, 날짜와 외부 사건 언급 부족으로 연대기 추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이슬람 채택과 왕조 건국이 1403년경에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8]
무하마드 샤(Muhammad Shah)의 정확한 재위 시기는 『실실라』에 언급된 술탄 수에 대한 의견 차이, 문서 부족, 공동 통치 술탄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결정하기 어렵다. 스위니의 『실실라』 비평판은 브루나이 역사 연구를 발전시킬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텍스트 불일치로 인해 연구자들이 심층 연구를 꺼리게 되었다.[8]
1970년 브라운(Donald Brown)은 여러 역사적 관점을 수집하여 브루나이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마무드 샤(Mahmud Shah)와 마하모샤(Ma-ha-mo-sha) 사이의 연관성을 제기하여 무하마드 샤의 통치가 14세기 초에 시작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지역 학자들은 브루나이가 처음부터 무하마드 샤 치하에 무슬림 왕국으로 건국되었다는 주장을 펼쳤다.[8]
1979년에 발견된 비문은 무하마드 샤의 아들 압둘 마지드 하산(Abdul Majid Hassan)이 1048년에 사망했음을 나타내, 브루나이를 동남아시아 최초의 무슬림 왕국으로 만들고 무하마드 샤의 통치를 11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게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견해를 반박했다.[8]
1984년 브루나이 역사센터(Brunei History Centre) 설립 이후, 1987년 새로운 역사 교육 과정 의무화는 브루나이 역사의 명확성에 대한 요구를 높였다. 무하마드 샤의 통치, 벤다하라 사캄(Bendahara Sakam)의 업적, 1690년 무하마드 알리우딘(Muhammad Aliuddin)의 죽음을 둘러싼 상황 등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1988년에도 이러한 역사적 질문들은 여전히 논쟁 중이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Prime Minister
http://www.jpm.gov.b[...]
The Prime Minister's Office of Brunei Darussalam
2011-04-24
[2]
웹사이트
Sultan-Sultan Brunei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Brunei
2011-04-24
[3]
서적
The Silk Roads: Highways of Culture and Commerce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0-01-01
[4]
웹사이트
https://www.Helios.c[...]
[5]
웹사이트
Brunei
http://4dw.net/royal[...]
[6]
웹사이트
Malaysians Unplugged Uncensored: Malay History: What's Missing in Malaysian History Books
http://malaysianunpl[...]
2013-06-01
[7]
웹사이트
The golden history of Islam in Brunei
https://web.archive.[...]
[8]
논문
Some Problems of Brunei Chronology
https://www.jstor.or[...]
1989-01-01
[9]
웹인용
Royal Lineage
https://web.archive.[...]
2007-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