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시프 자드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시프 자드킨은 벨라루스 출신으로, 큐비즘 조각가로 알려진 프랑스의 예술가이다. 그는 1909년 파리로 이주하여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등과 교류하며 에콜 드 파리(파리파)의 예술가로 활동했다. 흑인 조각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스타일을 개발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로테르담 폭격을 기념하는 조각상 '파괴된 도시'가 있다. 자드킨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프랑스 시민권을 얻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으로 건너갔다가 파리로 돌아와 활동했다. 그는 1950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조각 대상을 수상하고, 1960년 프랑스 예술 국가 대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계 러시아인 - 미하일 레르몬토프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자유에 대한 갈망과 인간 심리에 대한 통찰을 담은 작품으로 러시아 문학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낭만주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이다.
  • 스코틀랜드계 러시아인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장녀로 태어나 러시아 혁명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영국 왕족의 도움으로 영국에서 말년을 보냈고, 자선 활동에 헌신하며 격변 속에서 가족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 비쳅스크 출신 - 조레스 알표로프
    조레스 알페로프는 소련과 러시아의 물리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반도체 이종구조 연구로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반도체 레이저 개발에 기여하고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요페 물리기술연구소 소장, 국가두마 의원 등을 역임하며 과학 및 정치 분야에서 활동했다.
  • 비쳅스크 출신 - 막심 네다세카우
    막심 네다세카우는 벨라루스 출신의 높이뛰기 선수로, 유럽 U20 선수권 대회 금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은메달, 하계 올림픽 동메달,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를 지지하며 2020년 벨라루스 시위를 비난하고, 우크라이나의 적대 행위를 비난하고 러시아를 지지하여 우크라이나 블랙리스트에 등재되었다.
  • 프랑스에 거주한 러시아인 - 알렉산드르 골로빈
    알렉산드르 골로빈은 러시아의 축구 선수로, 중앙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PFC CSKA 모스크바에서 프로 데뷔 후 AS 모나코로 이적, 러시아 국가대표팀 주축 선수로 활동하며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과 UEFA U-17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경험했고, 뛰어난 패스 능력과 중거리 슈팅 능력을 갖춘 선수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에 거주한 러시아인 - 바실리 쿠디노프
오시프 자드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드킨 (1914년)
자드킨 (1914년)
본명요셀 아로노비치 차드킨
출생1888년 1월 28일
출생지비테브스크, 러시아 제국 (현재 벨라루스)
사망1967년 11월 25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묘소몽파르나스 묘지
국적프랑스
분야조각, 회화, 석판화
사조입체파
아르 데코
파리 학파
러시아어 표기
러시아어Осип Алексеевич Цадкин
러시아어 (다른 표기)Иосель Аронович Цадкин
대표 작품
대표 작품파괴된 도시
참고 자료
참고 자료Bureau d’art Ecole de Paris - Ossip ZADKINE

2. 초기 생애와 교육

오시프 자드킨은 1888년 1월 28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비테브스크(현재 벨라루스)에서 유대인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Иосель Аронович Цадкин|요셀 아로노비치 차드킨ru'''이었다.[3][4] 비테브스크에서 초기 미술 교육을 받은 후, 15세 무렵 영국으로 건너가 선덜랜드와 런던에서 공부하며 조각가의 꿈을 키웠다.[7] 이후 1909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하여 1910년 정착했으며, 에콜 데 보자르에서 잠시 수학하고 큐비즘 운동에 참여하며 본격적인 예술 활동을 시작했다.[7][8] 그는 아프리카 미술과 그리스 예술 등 다양한 요소에서 영감을 받아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 양식을 발전시켜 나갔다.[8]

2. 1. 출생과 가계

자드킨은 1888년 1월 28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비테브스크(현재 벨라루스)에서 '''Иосель Аронович Цадкин|요셀 아로노비치 차드킨ru'''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3][4] 그의 아버지는 지방 대학에서 언어를 가르치는 교사였고, 유대계의 경제적으로 풍족한 가정에서 자랐다. 자드킨은 아버지가 개종한 유대인이며 어머니 지파-드보이라는 스코틀랜드 출신이라고 주장했으나,[9] 기록 보관 자료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러시아 정교로 개종하지 않았고 어머니 역시 스코틀랜드 출신이 아니며, 가족은 유대교 신자였다고 한다.[6] 자드킨에게는 누나 미라, 로자, 파냐와 형 마르크, 모세 등 다섯 명의 형제자매가 있었다.

그는 1900년부터 1904년까지 비테브스크 시립 기술 학교에서 공부했으며,[6] 유리 펜의 미술 학교에서 훗날 유명한 예술가가 되는 마르크 샤갈(당시 모브샤 샤갈) 및 빅토르 메클러(당시 아비그도르 메클러)와 함께 미술을 배웠다.[5][6]

15세가 되던 해(1903년경), 자드킨은 아버지에 의해 영국으로 보내져 어머니의 친가가 있던 북부 선더랜드에서 영어를 배우고 공예 미술학교에서 조형학을 공부했다.[7] 이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에서 잠시 수업을 들었으나, 그곳의 교육 방식이 너무 보수적이라고 여겼다.[7] 런던 체류 중 대영 박물관에서 접한 고전 조각들은 그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조각가의 길을 걷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2. 2. 영국 유학과 초기 조형 활동

자드킨은 15세에 아버지에 의해 영어와 "좋은 매너"를 배우기 위해 영국 북부의 선덜랜드로 보내졌다.[7] 1905년 무렵 어머니의 친가가 있는 선덜랜드의 공예 미술학교에서 영어를 배우면서 조형학 공부를 시작했다. 이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에서 수업을 들었으나, 그곳의 교육 방식이 너무 보수적이라고 여겼다.[7] 런던의 대영 박물관에서 고전 조각을 접하며 깊은 감명을 받아 조각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

1909년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1910년 정착했다. 그는 에콜 데 보자르에서 6개월간 공부했으며,[7] 1911년에는 예술가 공동체인 라 루슈에서 거주하며 작업했다. 파리에서 그는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후지타 쓰구하루 등과 교류하며 에콜 드 파리(파리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14년 자드킨


자드킨은 파리에서 큐비즘 운동에 참여하여 1914년부터 1925년까지 큐비즘 양식으로 작업했다.[8] 점차 그는 아프리카 미술(특히 아프리카 조각)과 그리스 예술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개발했다.[8] 그의 작품은 때로 비인간적으로 보일 수 있는 큐비즘의 형식적 틀을 넘어서, 생명력이 넘치는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파리에서의 활동과 큐비즘

1909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한 자드킨은 에콜 드 파리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등과 교류했다. 1921년에는 화가 발랑틴 프락스와 결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40년부터 미국에서 지내다가 종전 후 파리로 돌아와 사망할 때까지 활동했다. 1950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조각 대상, 1960년 프랑스 예술 국가 대상을 수상했으며, 1962년부터 파리 에콜 데 보자르 교수를 지냈다.

그가 아내와 함께 사용했던 몽파르나스의 아틀리에 겸 자택은 1982년부터 자킨 미술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1994년 1월 14일에는 그의 공적을 기려 파리 13구에 Rue Zadkine|뤼 자드킨프랑스어(자딘느 거리)가 명명되었다.

자드킨은 후지타 쓰구하루의 주선으로 니카회 외국 회원으로서 니카전에 꾸준히 작품을 출품하는 등 일본과도 인연이 깊었다.

파리 13구에 있는 표지판

3. 1. 파리 정착과 에콜 드 파리

1909년 프랑스 파리로 건너가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후지타 쓰구하루 등과 교류하며 에콜 드 파리(파리파)의 예술가로 활동했다. 큐비즘 조각가로 알려졌지만, 아프리카 조각의 영향을 받아 이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소박하면서도 생명력 넘치는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만들어나갔다. 이는 때로 비인간적으로 보일 수 있는 큐비즘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로 평가받는다.

1920년, 옆집으로 이사 온 알제리 출신 여성 화가 발랑틴 프락스(Valentine Prax)를 알게 되었고, 다음 해인 1921년 후지타 쓰구하루를 증인으로 세워 결혼했다.

자드킨의 작품 「호수」(1925년)가 그려진 벨라루스 우표

3. 2. 큐비즘과 독자적 스타일

1909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한 자드킨은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후지타 쓰구하루 등 당대의 주요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에콜 드 파리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초기에 큐비즘의 영향을 받은 조각가로 알려졌으나, 점차 아프리카 조각에서 영감을 얻어 그 기법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해석하며 소박하면서도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갔다. 자드킨은 딱딱하고 비인간적으로 흐를 수 있는 큐비즘의 형식적 틀에 얽매이지 않고, 생명력이 느껴지는 독자적인 조형 언어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4. 제1차 세계 대전과 프랑스 시민권 획득

자드킨과 그의 조각상


자드킨은 제1차 세계 대전프랑스 군에서 들것 운반병으로 복무했으며, 전투 중 부상을 입었다. 그는 1921년에 프랑스 시민권을 얻었다.[9]

5. 결혼과 개인적 삶

1920년 8월, 자드킨은 알제리 출신의 화가 발렌틴 프락스(1897–1981)와 결혼했다.[13][14] 프락스와 자드킨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15]

자드킨은 몽파르나스에서 헨리 밀러, 차임 수틴, 후지타 쓰구하루 등 여러 예술가와 교류했다.[12] 특히 헨리 밀러는 그의 소설 ''북회귀선'' (1934)에서 자드킨을 "보로프스키"라는 인물로 묘사하기도 했다.[12][16][17]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맨해튼에 거주하면서, 자드킨은 미국의 예술가 캐롤 제니웨이와 관계를 맺었으며 그녀의 초상화를 여러 점 제작했다.[18][19]

자드킨에게는 덴마크 여성 안넬리제 하슬레와의 관계에서 태어난 아들 니콜라 하슬레(1960년 출생)가 있다.[20] 정신과 의사인 하슬레는 1980년대에 자드킨으로부터 인정을 받았고, 프랑스에서 법적으로 부자 관계가 확립되었다. 그는 2009년부터 아버지의 유산을 주장하며 파리시와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21][20][22]

6. 제2차 세계 대전과 미국 망명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의 피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가 망명 생활을 시작하여 전쟁 기간 동안 미국에 머물렀으며, 종전 직후 프랑스 파리로 돌아와 사망할 때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자드킨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는 1940년 나치 독일 공군(루프트바페)에 의해 파괴된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심부를 기리기 위해 제작된 ''파괴된 도시''(1951–1953)이다. 이 조각상은 심장이 없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고 있다.[10]

전후 자드킨은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1950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조각 대상을 수상했으며, 1960년에는 프랑스 예술 국가 대상을 받아 프랑스를 대표하는 조각가로서의 명성을 확고히 했다. 1962년부터는 파리의 에콜 데 보자르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7. 전후 활동과 국제적 명성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전쟁을 피해 미국에서 지냈으나, 종전 후 프랑스 파리로 돌아와 활동을 재개했다. 그의 국제적 명성을 확립한 대표작으로는 1940년 나치 독일 공군(Luftwaffe)에 의한 네덜란드 로테르담 파괴를 형상화한 ''파괴된 도시''(1951–1953)가 있다.[10] 이 작품은 전쟁의 참상을 강렬하게 표현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후 1950년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조각 대상을 수상하고, 1960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 국가 대상을 받으며 프랑스를 대표하는 조각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7. 1. 파리 귀환과 교육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부터 전쟁 피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갔으나, 종전 직후 프랑스 파리로 돌아왔다. 이후 사망할 때까지 파리를 거점으로 정력적으로 활동했다. 1950년에는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조각 대상"을 수상했으며, 1960년에는 프랑스 "예술 국가 대상"을 받아 명실상부 프랑스를 대표하는 조각가로 인정받았다. 1962년부터는 파리의 에콜 데 보자르 (국립 미술 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도 힘썼다.

몽파르나스 중심부에 위치했던 자킨과 그의 아내 발랑틴 프락스의 아틀리에 겸 주거는 현재 자킨 미술관으로 남아 있으며, 1982년부터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또한 1994년 1월 14일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파리 13구에 Rue Zadkine|자딘느 거리fra가 신설되었다.

7. 2. <파괴된 도시>와 주요 작품



1909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한 자드킨은 파블로 피카소,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후지타 쓰구하루 등과 교류하며 에콜 드 파리 (파리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큐비즘 조각가로 알려졌지만, 아프리카 미술(African sculpture영어)의 영향을 받아 아프리카적 기법을 작품에 도입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그는 큐비즘의 형식적인 틀을 넘어서는, 생명력이 느껴지는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했다.

자드킨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겪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프랑스 군에서 들것 운반병으로 복무하다 부상을 입었으며[9],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전쟁을 피해 미국에서 지냈다.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은 ''파괴된 도시''(1951–1953)이다. 이 조각상은 1940년 나치 독일 Luftwaffe에 의한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심부 파괴라는 비극적인 사건을 기리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도시의 파괴와 고통을 상징하는 듯 심장이 없는 남자의 모습을 형상화했다.[10]

전후 파리로 돌아온 자드킨은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1950년에는 베네치아 비엔날레에서 조각 대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1960년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예술 국가 대상을 받으며 프랑스를 대표하는 조각가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교육에도 힘써, 1958년까지 그랑드 쇼미에르 아카데미에서 조각을 가르쳤으며[11], 1962년부터는 파리의 에콜 데 보자르 (국립 미술 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그의 제자 중에는 예술가 귈라 다간(1925–2008), 군나르 오고르 앤더슨, 제네비에브 페제 등이 있다.[11]

후지타 쓰구하루의 주선으로 니카회 외국 회원으로서 니카전에 작품을 출품하기도 했으며, 이로 인해 그의 작품 다수가 일본에서도 소장되어 있다. 몽파르나스에 위치했던 자드킨과 그의 아내 발랑틴 프락스(Valentine Prax프랑스어)의 아틀리에 겸 주거는 1982년부터 자킨 미술관으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1994년 1월 14일, 파리 13구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자딘느 거리(Rue Zadkine영어)가 만들어졌다.

7. 3. 수상 경력

8. 사망과 유산

자드킨은 복부 수술을 받은 후 1967년 파리에서 79세의 나이로 사망했고,[10] 몽파르나스 묘지매장되었다.

몽파르나스 중심부에 위치했던 자킨과 그의 아내 발랑틴 프락스의 아틀리에 겸 주거는 현재 자킨 미술관으로 남아 있으며, 1982년부터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1994년 1월 14일에는 파리 13구에 자킨을 기리기 위한 Rue Zadkine|뤼 자드킨프랑스어 (자딘느 거리)가 새로 만들어졌다.

9. 주요 작품

작품명제작 연도재료/형식위치/소장비고이미지
모성1913페인트 칠한 느릅나무, 81cm1914년 파리 독립 살롱 전시. Montjoie (1914) 게재.--
바이올린을 든 여인 Femme au violonfra1918피에르 츄모프의 사진으로 기록됨.--
비너스1920'Action: Cahiers individualistes de philosophie et dart'' (1920년 7월) 게재.--
일하는 여인 La Belle Servantefra1920요코하마시 나카구 야요이초 요코하마 오도리 공원
프로메테우스c. 1930–1940나무 조각--
메신저1937도쿄도 주오구 주오 대교1937년 파리 만국 박람회 출품작. 이후 주조된 작품이 당시 파리 시장 자크 시라크에게 증정되어 설치됨.
죄수들 Die Gefangenendeu1943청동 조각--
파괴된 도시 De Verwoeste Stadnld1951–1953[25]청동 조각로테르담네덜란드의 국가 기념물(Rijksmonument) 등록됨. 1956년 주조됨.--
여인의 토르소 Torse de Femefra1955오사카시 주오구 아와지마치 파소나 오사카 빌딩 앞 (미도스지 조각 거리)
오르페우스1956청동 조각--
인간의 숲1957자킨 미술관
로토파지1961–1962청동 조각텔아비브 미술관, 텔아비브--
아코디언 연주자 L'accordéonistefra1962오사카시 주오구 혼마치 미도 빌딩 앞 (미도스지 조각 거리)
삼미신 Les Torse Bellesfra1963도쿄도 지요다구 칸다 스루가다이 신 오차노미즈 빌딩
주거 La Demeurefra1963도쿄도 미나토구 시로카네다이 도쿄 정원 미술관네덜란드어 위키백과에 관련 문서 존재.
빈센트와 테오 반 고흐1963–1964청동 조각네덜란드 젠더르트영어 위키백과에 관련 문서 존재.--
들판을 걷는 반 고흐오베르 쉬르 우아즈 반 고흐 공원
블롬 하우스 부조부조브뤼셀 블롬 하우스건축가의 도구들을 묘사함.--


10. 작품 소장처

오시프 자드킨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주요 공공 컬렉션은 다음과 같다.


  •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로스앤젤레스
  • 자드킨 미술관, 파리
  • 뮤지엄 데 푼다티에, 졸레, 네덜란드
  • 뉴욕 현대 미술관, 뉴욕
  • 미국 국립 미술관, 워싱턴 D.C.
  • 테이트 미술관, 런던
  • 텔아비브 미술관, 이스라엘
  • 반 아베 미술관,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다음은 그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작품명제작/주조 연도소장처/설치 장소비고
메신저1937년도쿄도 주오구 주오 대교파리 만국 박람회 출품작. 이후 주조된 작품이 당시 파리 시장 자크 시라크에게 증정되어 설치됨.
파괴된 도시1951년 (1956년 주조)
들판을 걷는 반 고흐오베르 쉬르 우아즈 반 고흐 공원
인간의 숲1957년자드킨 미술관
La demeure humainefra
빈센트 & 테오 반 고흐 조각상
L'accordéoniste|아코디언 연주자fra1962년오사카시 주오구 혼마치 미도 빌딩 앞
Torse de Femme|여인의 토르소fra1955년오사카시 주오구 아와지마치 파소나 오사카 빌딩 앞미도스지 조각 스트리트
La Belle Servante|일하는 여인fra1920년요코하마시 나카구 야요이초 요코하마 오도리 공원
Les Trois Belles|삼미신fra1963년도쿄도 지요다구 칸다 스루가다이 신 오차노미즈 빌딩
La Demeure|주거fra1963년도쿄도 미나토구 시로카네다이 도쿄 정원 미술관


참조

[1] 웹사이트 Ossip ZADKINE https://ecoledeparis[...] 2019-01-05
[2] 웹사이트 Zadkine Research Center https://www.zadkine.[...]
[3] 웹사이트 Une enfance en Russie http://www.zadkine.p[...] 2013-03-19
[4] 웹사이트 Людмила Хмельницкая. Витебское окружение Марка Шагала http://chagal-vitebs[...]
[5] 간행물 Yehuda Pen, The Sholem Aleichem of Painting https://www.liverpoo[...] 2024-06-23
[6]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Лисов. Цадкин и Витебск http://chagal-vitebs[...]
[7] 웹사이트 Ossip Zadkine, 1888–1967 https://www.sculptur[...]
[8] 웹사이트 La source grecque, l'enracinement d'une "terre" http://www.zadkine.p[...] 2012-05-14
[9] 웹사이트 Ossip Joselyn Zadkine Facts http://biography.you[...] YourDictionary
[10] 뉴스 Sculptor Dies https://news.google.[...] 2010-04-20
[11] 웹사이트 Paris: Le Messager, une oeuvre monumentale d'Ossip Zadkine – Quai d'Orsay – VIIème https://www.parislad[...] 2020-06-12
[12] 웹사이트 Musée Zadkine https://www.artistst[...] 2020-06-12
[13] 서적 Women Artists in Interwar France: Framing Femininities Routledge
[14] 서적 Modern Figurative Paintings: The Paris Connection Schiffer Publishing
[15] 서적 Prax, Valentine Henriette
[16] 웹사이트 Musée Zadkine http://www.millerwal[...]
[17] 서적 Renegade: Henry Miller and the Making of "Tropic of Cancer" Yale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Art of Carol Janeway: A Tile & Ceramics Career with Georg Jensen Inc. and Ossip Zadkine in 1940s Manhattan Friesen Press
[19] 웹사이트 Philadelphia Museum of Art - Collections Object : Carol Janeway with Zadkine Sculpture http://philamuseum.o[...] 2017-04-13
[20] 웹사이트 Paris Must Justify Right To Sculptor Ossip Zadkine's Estate https://www.artforum[...] 2020-06-12
[21] 웹사이트 The Art Newspaper http://www.theartnew[...]
[22] 웹사이트 Ossip Zadkine: Who Owns the Sculptor's Estate? https://itsartlaw.or[...] 2020-06-12
[23] 뉴스 Ossip Zadkine – Obituary https://news.google.[...] 2010-04-20
[24] 웹사이트 Zadkine college https://www.zadkine.[...]
[25] 웹사이트 Rijksmonumenten https://monumentenre[...]
[26] 웹사이트 Zadkine Research Center https://www.zadk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