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왕 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왕 요는 주몽왕의 손자로, 기원전 526년에 왕위에 올라 초나라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다. 그는 초나라의 요새 도시 중리를 정복하고 오자서를 등용하는 등 국력 신장을 꾀했으나, 사촌 광공자가 주최한 연회에서 전저에게 암살당했다. 요의 암살 이후 광공자는 오나라의 합려왕이 되었으며, 요의 죽음은 오나라가 춘추 시대 패권을 차지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해된 기원전 6세기 군주 - 초 겹오
    초 겹오는 중국 초나라의 왕로, 강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나 재위 4년 만에 숙부에게 살해당하고 왕위를 찬탈당했으며, 겹 땅에 장사지내진 데서 이름이 유래한다.
  • 살해된 기원전 6세기 군주 - 제 장공 (25대)
    제 장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재위 기간 동안 잦은 전쟁과 사치스러운 생활로 폭정을 자행하다 최저에게 살해당했다.
  • 오나라의 군주 - 합려
    합려는 춘추시대 오나라의 군주로, 오자서와 손무를 등용하여 국력을 강화하고 초나라를 공격해 수도를 함락시키는 등 오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월나라와의 전쟁에서 패배 후 부상을 입고 사망하며 아들에게 복수를 맹세하게 했다.
  • 오나라의 군주 - 부차 (오나라)
    부차는 춘추 시대 오나라의 제7대 왕으로, 아버지 합려의 복수를 위해 왕위에 올라 월나라를 굴복시키고 제나라를 격파하며 오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간신의 모함과 미인에게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한 결과 월왕 구천에게 패하여 자결, 오나라를 멸망시킨 와신상담 고사와 관련된 인물이다.
오왕 요
기본 정보
어복검을 모사한 연환화 속 오왕 료의 모습
어복검을 모사한 연환화 속 오왕 료의 모습
왕조오나라
재위 기간기원전 526년경 – 기원전 515년경
희료 또는 희우
사망 년도기원전 515년 4월
부친수몽
계승자합려
이름
중국어吳王僚
병음Wú Wáng Liáo
개인 정보
생년미상

2. 생애

요는 주몽왕의 손자였다. 기원전 526년에 왕위를 계승했다.[3] 왕으로 재위하는 동안 초나라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으며, 기원전 518년에는 초나라의 요새 도시인 중리를 정복했다.[1]

요의 왕위 계승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본래 왕위 계승 자격이 없었으나, 숙부 계찰[6]이 왕위를 고사하면서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사촌 은 이에 불만을 품었다.

기원전 525년, 오왕 요는 영토 확장을 위해 초나라를 공격하고, 오자서를 등용하는 등 인재 등용에도 힘썼다.[1][8] 기원전 519년에는 초나라와의 국경 분쟁에서 크게 승리하였고,[1] 기원전 516년에는 초 소왕 즉위 후 초나라를 공격했으나 고립되기도 하였다. 또한, 숙부 계찰을 진나라 등에 보내 정세를 알아보게 했다.[1]

기원전 515년, 요는 사촌 광이 보낸 자객 전제에게 암살당했다.[9] 이로써 광은 오왕 합려가 되었다.[10] 요의 암살 이후, 요의 동생 엄여와 촉용은 각각 서와 종오로 도망쳤다.[11]

2. 1. 왕위 계승

요의 아버지는 기록에 따라 다르다. 춘추공양전에는 오왕 수몽으로 기록되어 있고, 사기 및 오월춘추에는 오왕 여매로 기록되어 있다.[3] 동생으로는 엄여(掩余)와 촉용(燭庸)이 있었다.[4][5]

본래 요는 왕위에 오를 자격이 없었다. 수몽에게는 4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중 막내인 계찰[6]의 재능이 뛰어나 왕위를 계찰에게 물려주고 싶어 했다. 그러나 수몽은 왕위 계승에 대해 결정하지 못하고 죽었다. 그러나 형인 제번여제는 부왕의 마음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계찰에게 즉위하라고 권유하였다. 하지만 계찰은 형을 제쳐 놓고 즉위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사양하였고, 맏형 제번이 즉위했다. 제번 사후 왕위는 아들인 공자 에게 가지 못하고 동생인 여제가 즉위하였다. 여제가 죽고 동생 여매가 즉위하였지만, 여매가 사망하자 계찰은 다시 왕위를 고사하였다. 이 때문에 여매의 아들인 요가 오왕으로 즉위하였다.

요가 오왕으로 즉위한 것에 큰 반대는 없었지만, 공자 광은 요의 즉위에 불만이 있었다. 광은 수몽의 뜻에 따라 왕위 계승 순서는 바뀌었지만, 여매가 죽고 계찰이 왕위를 굳이 사양한 단계에서 왕위 계승권은 맏형의 아들인 자신에게 돌아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2. 2. 초나라와의 갈등

기원전 525년, 오왕 요는 오나라의 영토 확장을 위해 공자 광(公子 光)을 파견하여 초나라를 공격했다.[1] 이와 더불어 인재 등용에도 힘써, 초 평왕(楚平王)과 비무기(費無忌)에 의해 아버지와 형을 잃고 오나라로 망명해 온 오자서를 등용하였다.[8]

기원전 519년, 오나라와 초나라 국경 마을에서 양잠에 필요한 뽕잎을 두고 다툼이 벌어졌다. 처음에는 아이들 간의 다툼이었으나, 부모 간의 싸움으로 번졌고, 결국 초나라 군대가 오나라 마을을 초토화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격분한 오왕 요는 초나라 국경지대의 성을 점령하고 초나라 내부로 진격했다. 공자 광의 조언에 따라, 오왕 요는 죄수 3천 명으로 초나라의 원군인 나라와 진나라 군대를 공격하고, 우군과 좌군을 편성하여 심나라 군주와 진나라 대부를 사로잡는 등 초나라를 크게 격파하였다.[1]

기원전 516년, 초나라에서 초 소왕(楚昭王)이 즉위하자, 오왕 요는 이듬해 군대를 보내 초나라를 공격했으나, 초나라 군의 반격으로 고립되기도 하였다. 또한, 숙부인 공자 계찰(季札)을 진나라 등 중원의 여러 나라에 보내 정세를 알아보도록 하였다.[1]

2. 3. 암살

전제가 생선 요리를 바쳤고, 생선에 숨겨진 칼을 꺼내 오왕 요를 찔렀다. 요는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9] 이로써 공자 광은 오왕 합려가 되었다.[10]

오왕 요의 암살로 인하여 공자 엄여는 서로, 공자 촉용은 종오로 도망쳤다.[11] 또한, 합려는 호위병에 의해 살해된 전제의 아들을 으로 임명했다.

3. 평가

요는 주몽왕의 손자였다. 기원전 526년에 왕위를 계승했다.[1] 재위 동안 초나라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으며, 기원전 518년에는 초나라의 요새 도시인 중리를 정복했다.[2] 이후 사촌 광공자가 주최한 연회에서 전저에게 암살당했고, 광공자는 오나라의 합려왕이 되었다.

4. 가족 관계

아버지는 기록에 따라 다르다. 춘추공양전에는 오왕 수몽[3]으로 기록되고, 사기 및 오월춘추에는 오왕 여매로 기록되어 있다. 동생으로는 엄여와 촉용이 있었다[4][5]. 자식으로는 𠭯소(巣)가 있다.

5. 기타

요의 암살 사건은 훗날 오나라가 춘추시대 패권을 차지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요의 이야기는 권력 투쟁의 비정함과 국제 관계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역사에 기록되었다. 요는 주몽왕의 손자였다. 그는 기원전 526년에 왕위를 계승했으며, 재위 동안 초나라와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다. 기원전 518년, 그는 초나라의 요새 도시인 중리를 정복했다.[1] 그는 사촌 광공자가 주최한 연회에서 전저에게 암살당했고, 광공자는 이후 오나라의 합려왕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春秋左氏伝
[2] 문서 吁의 원문은 「于」偏에 「欠」으로, 吁의 고자 및 이체자.
[3] 서적 青銅器「𠭯巣編鐘」의 명문 및 『春秋左氏伝』에서는 寿夢의 서자. 『史記』呉太伯世家에서는 余昧의 자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4] 서적 『呉越春秋』 및 『東周列国志』에 따르면, 呉의 公子[[慶忌]]의 아버지가 되어, 公子慶忌의 존재를 두려워한 呉王闔閭와 모신 伍子胥에 의해 파견된 자객 石要離(要離)에 의해 참살된 설정이다.
[5] 서적 『春秋左氏伝』에서는 呉王僚와 掩余・燭庸에 대한 구체적인 친족의 혈연상의 계보 관계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6] 서적 『[[春秋公羊伝]]』에서는 僚는 季札의 서형.
[7] 서적 『[[史記索隠]]』이 인용한 [[唐]]의 [[孔穎達]]의 말에 따르면, 公子光(闔閭)은 余昧의 자식.
[8] 서적 『春秋左氏伝』에 따르면, 伍子胥는 呉王僚에게 楚를 공략하는 이점을 설파했지만, 公子光는 "(伍子胥는) 일가를 참살당했기 때문에, 그 원수를 갚기 위해 설파하는 것이니 듣지 마십시오"라고 말했다.
[9] 서적 『春秋左氏伝』에서는 鱄設諸. 専諸가 소환되었을 때 그는 "呉王僚는 시해할 수 있지만, (자신이 살해된 후의) 노모와 아들은 어떻게 됩니까?"라고 闔閭에게 물었다. 闔閭는 "나는 그대와 일심동체이다. 그대가 만약의 일이 있으면 평생 보살피겠다"라고 말했다.
[10] 서적 『史記』呉太伯世家와 『春秋左氏伝』의 기술과는 크게 다르며, 이쪽은 公子의 光(闔閭)은 "숙부"에 해당하는 呉王僚를 암살한 경위가 되어 있다.
[11] 서적 『春秋左氏伝』에서는, [[紀元前512年]]에 徐와 鍾吾의 군주는 闔閭에 의해 양 공자의 인도를 요구받았기 때문에, 경악한 양 공자는 楚에 망명하여 '''養'''을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