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무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무기는 춘추 시대 초나라의 간신으로, 초 평왕의 측근이 되어 권력을 휘두르며 태자 건과 오사 일가를 모함하여 죽음에 이르게 했다. 그는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평왕에게 진나라 공녀를 후궁으로 삼도록 권하고, 태자 건을 모함하여 좌천시키고 죽이려 했다. 또한, 오사 일족을 몰락시키고 정적들을 제거하는 등 권력을 남용했다. 이로 인해 초나라는 혼란에 빠졌고, 비무기는 결국 소왕 즉위 후 영윤 낭와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의 악행은 초나라의 쇠퇴를 초래했으며, 오자서의 복수를 통해 초나라는 멸망의 길을 걷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우맹
    우맹은 춘추시대 초나라의 재치 있는 배우로, 풍자를 통해 권력자를 비판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구현하고자 노력한 인물이다.
  • 초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초 (춘추 전국)
    초나라는 기원전 11세기부터 기원전 223년까지 존속한 춘추 전국 시대의 제후국으로, 장강 유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굴원, 춘신군, 항우 등의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열자
    열자는 전국 시대의 제자백가 철학자로,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그의 저작과 생애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인해 가상의 인물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혜시
    혜시는 전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공손룡과 함께 명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동일성과 차이의 상대성을 논하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쳤고, 장자와 교류하며 서로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위나라 혜왕과 양왕을 섬겨 재상을 지냈다.
  • 기원전 6세기 중국 사람 - 안영
    안영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세 명의 군주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능력을 발휘하여 제나라 부흥에 기여했고, 그의 청렴함과 지혜는 여러 고사성어와 일화로 남아 춘추 시대 명재상으로 평가받지만, 정치적 행보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다르다.
  • 기원전 6세기 중국 사람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비무기
기본 정보
이름비무기 (費無忌)
출생불명
사망기원전 515년
국적초나라
직업관리
활동 시기초 평왕 재위 기간
사인참수
상세 정보
주요 역할간신, 모략가
관련 인물초 평왕, 오자서, 백비
악행오자서의 아버지와 형을 모함하여 죽임
태자 건과 오자서 사이를 이간질
초 평왕에게 태자 건의 정략결혼 상대를 빼앗음
기타
평가간신배의 대명사

2. 생애

비무기는 초 평왕의 아들 태자 건의 소부(少傅, 태자의 부스승)였으며, 태부(太傅, 태자의 스승)는 오사였다. 비무기는 평왕의 명으로 태자 건의 비를 맞이하기 위해 진나라에 갔는데, 진나라 공녀가 매우 아름다워 평왕에게 공녀를 자신의 비로 삼고 태자에게는 다른 여인을 줄 것을 권했다. 평왕은 비무기의 말을 따랐다.[1]

이 일로 비무기는 평왕의 총애를 얻었으나, 훗날 태자 건이 왕위에 오르면 보복당할 것을 두려워했다. 그래서 평왕에게 태자 건을 모함하여 송나라로 망명하게 만들었다. 또한 오사와 그의 아들 오상을 모함하여 죽게 만들었고, 오자서는 오나라로 망명하여 복수를 다짐하게 되었다.[1]

비무기는 초 평왕의 총애를 받으며 권력을 휘둘렀으나, 기원전 516년 평왕이 죽고 어린 소왕이 즉위하자 백성들의 원성이 커졌다. 결국 이듬해 영윤(令尹) 낭와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비무기를 처형했다.[2]

2. 1. 태자 건 모함

초 평왕의 명으로 태자 건의 비를 맞이하기 위해 진(秦)나라에 갔던 비무기는 진나라 공녀의 미모에 욕심을 내었다. 그는 평왕에게 공녀를 자신의 비로 삼고 태자에게는 다른 여인을 줄 것을 권했다.[1] 평왕은 비무기의 말을 따랐고, 이 일로 비무기는 평왕의 총애를 얻었으나 태자 건에게는 원한을 샀다. 비무기는 태자 건이 왕위에 오르면 보복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평왕에게 태자 건을 모함했다. 평왕은 비무기의 말을 믿고 태자 건을 좌천시켰다.[1]

하지만 비무기는 태자 건이 재기할 것을 두려워하여 안심하지 못하고, 태자 건이 모반을 꾀한다고 모함하였다.[1] 평왕은 비무기의 말을 믿고 오사를 잡아 가두고 태자 건도 죽이려 했지만, 태자 건은 이를 미리 알고 송나라로 망명했다.[1]

2. 2. 오사 일가 몰살

초 평왕(楚平王)의 아들 태자 건(太子建)의 소부(少傅, 태자의 스승)였던 비무기는 태자 건이 다시 권력을 잡을 것을 두려워하여 평왕에게 오사를 모함했다.[1] 평왕은 비무기의 말을 믿고 오사를 잡아 가두었고, 그의 아들 오상도 죽였다.[1] 오사의 둘째 아들 오자서(伍子胥)는 오나라로 망명하여 아버지와 형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다짐했다.[1]

2. 3. 권력 남용과 몰락

초 평왕의 총애를 받으며 권력을 휘두른 비무기는 자신의 정적들을 모함하여 제거했다. 극완(郤宛)과 백극완(郤宛)을 모함하여 죽게 만들었다.[3][4] 오나라(춘추 시대) 등 주변국들이 초나라를 침략했고, 백성들은 비무기를 원망했다.

기원전 516년 평왕이 죽고 어린 소왕이 즉위하자 백성들의 원성은 더욱 커졌다. 결국 이듬해 영윤(令尹) 낭와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비무기를 처형했다.[3][4]

3. 오자서의 복수

오나라에서 오자서는 합려의 신임을 받아 그를 도와 요왕을 암살하고 왕위에 오르게 했다. 기원전 506년, 오자서는 합려를 설득하여 초나라를 침공하게 했다.[3] 오나라는 박거 전투에서 초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초나라 수도 영을 점령했다.[3] 소왕은 도망쳤고, 신윤술은 전사했다.[3] 춘추 시대의 강대국이었던 초나라는 이 일로 인해 이전의 힘을 회복하지 못했다.[4] 비무기가 건공자와 오사를 박해한 것은 초나라 쇠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그는 중국 역사상 최악의 악당 중 하나로 기억된다.[4]

4. 평가

비무기(費無忌)는 자신의 사리사욕을 위해 나라를 위태롭게 한 간신으로 평가된다. 그의 악행은 춘추 시대의 강대국이었던 초(楚)나라의 쇠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 역사상 최악의 악당 중 한 명으로 기록되었다.[4] 비무기의 행적은 권력자의 부정부패와 전횡이 국가에 얼마나 큰 해악을 끼치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楚世家 (House of Chu) http://www.guoxue.co[...] 2011-11-08
[2] 웹사이트 慎行 http://ctext.org/lv-[...] 2011-11-08
[3] 웹사이트 BOOK XI. DUKE DING http://www2.iath.vir[...] 2011-11-30
[4] 서적 Defining Chu: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5] 서적 사기 (역사서)
[6] 서적 춘추좌씨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