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추공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추공양전》은 《춘추》에 대한 세 가지 주석서 중 하나로, 공자의 사회 정치적 사상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며, 텍스트의 숨겨진 의미를 문답 형식으로 해석하는 독특한 체제를 갖춘 유교 경전이다. 저자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공자의 제자 자하에게서 시작되어 여러 사람을 거쳐 한나라 경제 시대에 현재의 형태로 정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공양학은 한무제 시대에 유교가 국가 이념으로 채택되면서 크게 발전했으나, 이후 좌전학에 밀려 쇠퇴했다. 청나라 시대에 다시 주목받아 상주학파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현대에도 정치, 사회 질서에 대한 논의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조선 시대 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정치적 명분 형성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역사책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투키디데스가 기록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아테네와 스파르타 간의 전쟁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서술하여 서양 역사 서술과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완의 역사서이다.
  • 기원전 5세기 역사책 - 춘추
    춘추는 기원전 5세기에 쓰여진 중국의 연대기로, 노나라의 역사를 간결하게 기록하고 국가 주요 사건을 기술하며, 공자의 저술 관여 여부에 대한 논쟁과 다양한 주석서가 존재하고, 중국 지성사와 춘추 시대 명명에 영향을 미쳤다.
  • 십삼경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 십삼경 - 시경
    《시경》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 305편의 시가를 국풍, 아, 송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으며, 유교 경전으로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춘추공양전
서지 정보
제목공양전 (公羊傳)
원어 제목春秋公羊傳
로마자 표기Chunchu Gongyangjeon
영문 표기Gongyang's Commentaries
일반 정보
종류경전 주석
대상 경전춘추
언어 정보
원어한문
관련 정보
경학금문경학

2. 구성

《춘추》는 노나라 은공 원년(기원전 722년)부터 애공 14년(기원전 481년)까지 242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편년체 사서이다. 약 16,000자 분량으로, 연대순으로 사건을 기록하며, 주로 정치, 전쟁, 외교, 제사, 자연 현상 등을 다룬다. 《춘추》의 기록은 매우 간략하여 해석이 어려웠기 때문에, 후대에 《좌전》(左傳), 《공양전》, 《곡량전》(穀梁傳) 등 세 가지 주석서, 즉 '춘추삼전(春秋三傳)'이 등장했다.[1] 이 중 《공양전》은 《춘추》의 문구 하나하나에 담긴 의미를 문답 형식으로 해석하는 독특한 체재를 취한다.[1]

《공양전》은 《춘추》의 개별 기록에서 문자의 운용에 따른 의미 차이를 밝히고, 비교와 귀납을 통해 그 서법의 규칙을 밝혀 《춘추》의 대의를 설명한다. 때로는 한 번의 의론을 통해 여러 사례를 포괄하기도 한다.[1]

《공양전》의 《춘추》에 대한 주석은 한 글자 한 글자를 문답 형식으로 논하는 체재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부분인 은공 원년의 "원년, 춘왕정월"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1]


  • 元年者何|원년자하|원년이란 무엇입니까?중국어
  • 君之始年|군지시년|군주의 첫해입니다.중국어
  • 春者何|춘자하|춘이란 무엇입니까?중국어
  • 歲之始也|세지시야|한 해의 시작입니다.중국어
  • 王者孰謂|왕자숙위|왕이란 누구를 말하는 것입니까?중국어
  • 謂文王也|위문왕야|주나라 문왕을 말합니다.중국어
  • 曷爲先言王而後言正月|갈위선언왕이후언정월|어째서 먼저 왕이라 말하고, 뒤에 정월이라 말하는 것입니까?중국어
  • 王正月也|왕정월야|주나라 왕의 역법에 따른 정월이기 때문입니다.중국어
  • 何言乎王正月|하언호왕정월|어째서 왕의 정월이라고 말하는 것입니까?중국어
  • 大一統也|대일통야|일통을 존중하기 때문입니다.중국어
  • 公何以不言卽位|공하이불언즉위|은공은 어째서 즉위를 말하지 않는 것입니까?중국어
  • 成公意也|성공의야|은공의 뜻을 이루기 위함입니다.중국어
  • 何成乎公之意|하성호공지의|어째서 은공의 뜻을 이루는 것입니까?중국어
  • 公將平國而反之桓|공장평국이반지환|은공은 나라를 평정한 뒤에 그 자리를 환공에게 돌려주려 하기 때문입니다.중국어

3. 공양전의 저자

반고의 《한서 예문지(漢書芸文志)》에는 저자가 '공양자(公羊子)'라고 기록되어 있어 구체적인 이름이나 출신은 밝히지 않았다. 후한 시대의 인물인 대굉에 의하면 공자의 제자 자하가 공양고에게 전수하여 공양고 → 공양평(公羊平) → 공양지(公羊地) → 공양감(公羊敢) → 공양수(公羊壽)에게 전해져서 전한 경제 때, 공양수가 제나라 사람인 호무생(胡毋生, 일설에는 이름이 호모생(胡母生)이라고도 한다.)과 함께 죽간에 정리하여 동중서에게 전했다고 한다. 그러나 대굉은 이 전승을 도참 사상으로 전해 오고 있어 그대로 신뢰할 수 없다고 하였다. 다만, 동중서와 호무생이 《공양전》을 전한 것은 《사기》에도 기록되어 있어서 확실한 기록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전에 기록된 서적들과 같이 수많은 사람 속에서 글이 더해져 전한 한 경제 치세에 현재의 형태로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4. 공양전의 내용 및 특징

《춘추》는 노나라의 역사 기록을 바탕으로 공자가 편찬한 책으로, 후대에 경전으로 높여졌다. 춘추대의(春秋大義)는 조선의 친명배원 정책, 북벌론, 위정척사론 등 주요 정치적 명분의 기준점이 되었으며, 선비 정신을 대변하는 역할을 했다.

《춘추》는 연도순으로 사건을 기록하며, 대부분 정치 사건, 특히 전쟁 및 회맹 기록이 많다. 제사, 혼상, 자연 현상 등도 기록되어 있지만, 기록이 지나치게 간략하여 후대에는 해설이 필요했다. 한나라 시대에는 좌씨, 공양, 곡량, 추씨, 협씨 등이 《춘추》를 해설했으나, 현재는 좌씨, 공양, 곡량의 삼전만이 전해진다.

삼전 중 《좌전》은 사학적 성격이 강하고, 《공양전》과 《곡량전》은 경학적 성격이 강하다. 《공양전》은 《춘추》의 개별 기록에서 문자의 운용에 따른 의미 차이를 밝히고, 서법의 규칙을 밝혀 대의를 설명한다. 비록 역사 고증에 소홀하고 억측이 적지 않지만, 경문에 대한 훈고와 조례를 밝힌 공로는 인정받는다. 《공양전》과 공양학은 중국 정치사, 학술사, 사상사, 경학사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청나라 시대에 인쇄된 ''공양전'' 사본


명나라 말기에 인쇄된 ''공양전'' 판본의 페이지


《공양전》은 문답 형식으로 《춘추》의 경문을 한 글자씩 해석하는 체재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은공 원년의 "원년, 춘왕정월"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원문원년, 춘왕정월
질문원년자하(「원년」이란 무엇입니까?)
답변군지시년(군주의 첫해입니다)
질문춘자하(「춘」이란 무엇입니까?)
답변세지시야(한 해의 시작입니다)
질문왕자숙위(「왕」이란 누구를 말하는 것입니까?)
답변위문왕야(주나라 문왕을 말합니다)
질문갈위선언왕이후언정월(어째서 먼저 「왕」이라 말하고, 뒤에 「정월」이라 말하는 것입니까?)
답변왕정월야(주나라 왕의 역법에 따른 정월이기 때문입니다)
질문하언호왕정월(어째서 「왕의 정월」이라고 말하는 것입니까?)
답변대일통야(일통을 존중하기 때문입니다)
질문공하이불언즉위(은공은 어째서 「즉위」를 말하지 않는 것입니까?)
답변성공의야(은공의 뜻을 이루기 위함입니다)
질문하성호공지의(어째서 은공의 뜻을 이루는 것입니까?)
답변공장평국이반지환(은공은 나라를 평정한 뒤에 그 자리를 환공에게 돌려주려 하기 때문입니다)



학자들의 평가에 따르면, 좌전은 유교 의례, 공양전은 점술, 곡량전은 유교의 고전적 관점에 있어 최고이다. 동진 시대 학자 범녕(范寧중국어)은 《좌전》은 내용이 풍부하지만 마법이 많고, 《곡량전》은 명확하지만 너무 짧으며, 《공양전》은 논쟁적이고 저속한 문체라고 평가했다. 반면, 한나라 학자 하휴(何休중국어)는 《공양전》이 미묘하고 심오한 언어로 《춘추》를 평가하여 "유교의 대도(大道)"를 설명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4. 1. 핵심 사상

《공양전》은 《춘추》가 단순한 역사 기록이 아니라, 공자의 사회 정치적 질서에 대한 생각을 담은 역작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서술하여 많은 학자들의 호감을 얻었던 《좌전》과는 달리, 《공양전》은 공자와 그의 제자가 《춘추》의 미묘한 언어 뒤에 숨겨진 심오한 의미를 논하는 수업 대화와 유사한 형식으로 편집되었으며, 역사적 맥락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이론적 해석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장칭(1953년 출생)은 《공양전》을 "유교의 정치 이론 날개()"라고 칭했다.

《공양전》의 주요 가정은 공자가 당시의 정치를 비판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헌법적 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춘추》를 저술했다는 것이다. 또한 공자는 고대 학문의 전달자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천명을 받아 스스로 왕이 되었어야 할 성인()이었다고 본다. 그러나 공자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왕위를 받지 못했기 때문에, 공식 연대기에 근거하여 《춘추》를 편집했으며, 그 안에서 일관된 철학에 따라 춘추 시대의 사건과 역사적 인물을 비판()했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공양전》은 미묘한 텍스트의 층 뒤에 숨겨진 더 깊은 의미를 밝히려고 노력한다.

《공양전》의 《춘추》에 대한 해석은 고문학 학자들이 옹호하는 것보다 더 의지주의적이다.

현대 학자 장칭(蔣慶)의 『공양학개론(公羊學引論)』에 따르면, 《공양전》은 다음과 같은 주제를 포함하고 있다.

  • 인류 역사의 삼세(三世): 《공양전》은 인간 사회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며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주장한다.
  • 거란세(據亂世):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무질서가 특징.
  • 승평세(昇平世): 정당한 정치 질서의 재건으로 특징.
  • 태평세(太平世): 전 세계가 큰 조화를 경험하고 모든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완전히 실현할 수 있는 단계.
  • 우주론적 질서와 정치적 질서의 통일(대일통, 大一統)
  • 과거와 현재의 정치적 정당성의 근원 사이의 화해(통삼통, 通三統)
  • 군주 권력의 제한(천자일작, 天子一爵)
  • 정당한 정치적 책략과 현실 정치의 구분(경권설, 經權說)
  • 인간과 하늘의 상호 작용(천인감응, 天人感應)
  • 중국 문화와 비중국 문화의 구분(이하지변, (夷夏之辨)
  • 정당한 보복(대복수, 大復仇)

5. 공양학의 전개

공양학(公羊學)은 《공양전》에 근거하여 《춘추》를 해석하고, 그 안에 담긴 공자의 이상을 현실 정치에 실현하고자 하는 학문 및 정치 사상이다. 전한(前漢) 시대 동중서에 의해 형성되었고, 후한(後漢) 시대 하휴에 의해 집대성되었다.

공양전의 계보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한서에 따르면, 복상(자하)은 공자의 수제자 중 한 명으로, 전국 시대(기원전 475년~221년)에 공자의 강의 노트를 제나라의 제자 公羊高|공양고중국어에게 가르쳤다. 처음에는 구전으로 전해지던 해설은 공양고의 후손인 공양수(公羊壽)와 그의 협력자 호모생(胡母生)에 의해 초기 서한 시대에 기록되고 편집되었다. 호모생은 이후 공양전의 연구와 가르침을 담당하는 한나라 궁정의 박사(博士)가 되었다. 그와 함께 또 다른 공양전 권위자인 동중서가 있었다.

서한 말기 학자 유흠(劉歆)은 좌전과 곡량전에 대한 교수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고, 그의 조언이 채택되자 공양학파는 더 이상 춘추에 대한 공식적인 해석을 독점하지 못했다. 229년부터 동오 시대와 남북조 시대 말(589년) 사이에 공양학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2]

공양학은 일본에 소개되었다. 주목할 만한 학자로는 하야시 라잔과 그의 아들 하야시 가호가 있다. 하야시 가호는 1688년에 ''공양전'' 주석본을 출판했으며, 주석은 아버지의 저작이라고 했다. 1995년, 중국 학자 장칭은 그의 저서 ''공양학 서설''을 출판했는데, 이는 현대 정치 이론가들 사이에서 ''공양전''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났음을 나타냈다.

5. 1. 한나라 시대

한 무제가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공식적으로 확립하자는 동중서의 제안을 채택하면서 공양학파의 권력과 영향력은 크게 증가했다. 이후 동중서는 춘추번로 등을 저술하여 공양전에 대한 자신의 신비주의적 해석을 대중화했다. 점술 관행이 널리 채택되면서 한나라 지식인들은 미신과 신비주의의 분위기에 휩싸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리들 사이에서 공양학파는 통치에 대한 이념적 기반과 역사적 선례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치적 고전으로 간주되었으며 정책 토론에서 인용되었다.

동중서 사후 공양학파의 지도자는 그의 두 제자인 嚴彭祖|엄팽조중국어와 안안락(顏安樂)이 되었다.[1]

공양 학자들의 몇몇 주석 단행본은 길이가 100만 자가 넘었는데, 다른 학파의 학자들은 공양학파가 춘추의 사소한 문제에 너무 집착한다고 비난했다.[2]

후한 시대부터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공양전에 대한 동중서의 해석을 비판했다. 하휴는 공양학파의 가장 열렬한 옹호자가 되었다. 그는 좌전과 곡량전을 선호하는 학자들과 격렬하게 싸웠다. 17년의 시간을 들여 그는 공양전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를 저술했는데, 이는 현대까지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하휴의 저술은 공양전의 텍스트 재구성을 위한 주요 자료가 되었으며 이후 공양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주요 원천이 되었다.

5. 2. 당나라 이후

당나라 시대에는 ''공양전'' 연구가 점차 쇠퇴하여 이 작품에 집중하는 학자들이 거의 없었다.[2]

청나라 시대에는 텍스트 비평 연구가 번성하여, 여러 학자들이 ''공양전''을 연구하고 그 사상을 되살렸다. 상주학파는 ''공양전''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청나라 말기에는 孔广森|공광삼중국어, 장촌여, 劉逢祿|유봉록중국어, 공자진, 위원, 강유위 등 학자들이 주류 학문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특히 강유위의 해석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고문경에 대한 광범위한 의구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그의 개혁주의 사상에 대한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어 백일유신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강유위 등의 무술변법파는 공양학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다.

6. 현대적 의의

공양전》은 유교 정치 사상의 핵심 텍스트 중 하나로, 현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장칭 등 현대 학자들에 의해 《공양전》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면서, 그 안에 담긴 정치, 사회 질서에 대한 이상은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6. 1. 한국에의 영향

조선의 경우, 친명배원 정책, 북벌론, 위정척사론 등 역사의 고비마다 《춘추》는 정치적 명분의 기준점이 되었고, 사회 기풍을 선도했으며, 선비 정신을 대변하는 역할을 담당했다.공양전》은 한국의 정치, 사상,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조선시대 유학자들 사이에서 《춘추》의 대의(大義)를 존중하는 풍조가 강했고, 이는 정치적 명분과 사회 기풍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1000 BCE-900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2] 간행물 Excavating the genealogy of classical studies in the western Han dynasty (206 B.C.E.-8 C.E.) 2011-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