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살산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살산염은 옥살산의 음이온으로, 다양한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배위 화합물을 형성하며, 자연계와 식품에도 널리 존재한다. 옥살산은 두 개의 카복실기를 가진 다이카복실산으로, 수소 이온을 잃어 수소옥살산염과 옥살산염을 생성하며 pH에 따라 존재 형태가 달라진다. 옥살산염은 시금치, 루바브 등 많은 식물에 함유되어 있으며, 과다 섭취 시 신장 결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옥살산염은 킬레이트 배위자로 작용하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다양한 착물을 형성하며, 살충제로도 사용된다. 옥살산의 과다 섭취는 고옥살산혈증 및 고옥살산뇨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드물게 신부전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응고제 - 나파모스타트
나파모스타트는 일본에서 개발된 혈액 항응고제로, 급성 췌장염과 범발성 혈관 내 응고증 치료에 사용되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능으로 주목받았으나 흡입 제형 개발은 중단되었다. - 항응고제 - 헤파린
헤파린은 1916년 개의 간에서 발견된 항응고제로, 혈전 생성 예방과 성장을 억제하며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장수술 등에 사용되지만,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과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질병 치료 연구와 저분자량 헤파린 등의 유도체가 개발되고 있다. - 카복실산 음이온 - 카복실산염
카복실산염은 카복실산이 탈양성자화되어 생성된 이온으로, 염기에 의해 쉽게 형성되고 공명 안정화되어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하며,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옥살산염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카복실산 음이온 - 다이메틸설포니오프로피오네이트
다이메틸설포니오프로피오네이트(DMSP)는 조류, 식물, 해양 생물에서 발견되는 유기 화합물로, 삼투질 조절과 황-탄소 순환에 관여하며, 분해 시 생성되는 다이메틸 설파이드(DMS)는 기후 조절에 영향을 주고 해산물 풍미에도 기여한다.
옥살산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식별 정보 | |
IUPAC 이름 | 옥살산염 |
계통 이름 | 에탄디오에이트 |
CAS 등록번호 | 338-70-5 |
UNII | PQ7QG47K6T |
ChEBI | 30623 |
ChemSpider ID | 64235 |
KEGG | C00209 |
PubChem | 71081 |
SMILES | C(=O)(C(=O)[O-])[O-] |
표준 InChI | 1S/C2H2O4/c3-1(4)2(5)6/h(H,3,4)(H,5,6)/p-2 |
표준 InChIKey | MUBZPKHOEPUJKR-UHFFFAOYSA-L |
InChI | 1S/C2H2O4/c3-1(4)2(5)6/h(H,3,4)(H,5,6)/p-2 |
InChIKey | MUBZPKHOEPUJKR-UHFFFAOYSA-L |
Beilstein 등록번호 | 1905970 |
Gmelin 등록번호 | 2207 |
속성 | |
화학식 | C2O4(2−) |
짝산 | 옥살산수소염 |
구조 | |
점군 | D2h |
관련 화합물 | |
기타 작용기 | 사산화 이질소 |
기타 작용기 설명 | 등전자성 |
2. 옥살산과의 관계
옥살산(옥살산/Oxalic acid영어)은 두 개의 카복실기를 가진 다이카복실산이며, 단계적으로 양성자를 잃어 수소옥살산염(hydrogenoxalate)과 옥살산염을 생성한다.[30] 옥살산의 양성자 해리 과정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다른 다양성자산과 마찬가지로, 단일 양성자의 손실은 일가 수소옥살산 음이온(HC₂O₄⁻)을 생성한다. 이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은 때때로 산성 옥살산염, 일염기성 옥살산염 또는 수소 옥살산염이라고 불린다. 첫 번째 양성자 손실에 대한 평형 상수(''K''a)는 5.37×10⁻² (p''K''a = 1.27)이다. 두 번째 양성자의 손실은 옥살산 이온을 생성하며, 그 평형 상수는 5.25×10⁻⁵ (p''K''a = 4.28)이다.[3]
옥살산 이온(O₂CCO₂²⁻)은 일반적으로 O-C-C-O 이면각이 약 90°에 가까운 비평면 구조를 가지며, D2d 대칭에 가깝다.[4] 그러나 양이온과 킬레이트화될 때는 평면형, D2h 구조를 취한다.[5][6] 옥살산세슘(Cs₂C₂O₄)의 경우, O-C-C-O 이면각은 81(1)°로, 두 개의 CO₂ 평면이 엇갈린 D2d 대칭 구조에 더 가깝다.[7][8] 옥살산루비듐(Rb₂C₂O₄)은 평면형과 엇갈린 옥살산 이온을 포함하는 두 가지 구조 형태가 확인되었다.[8]
옥살산염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며, 당류의 불완전한 산화에 의해 합성된다.[14] 시금치, 루바브, 메밀의 뿌리 및/또는 잎과 같은 여러 식물성 식품에는 옥살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어떤 사람들에게는 신장 결석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옥살산이 풍부한 식물에는 명아주, 괭이밥속 종, 루바브, 메밀 등이 있다.[32]
수용액에서 옥살산의 존재 형태는 pH에 따라 변화한다.[30] 1단계 양성자 해리 반응의 평형 상수는 9.1 × 10-2 (p''K''a = 1.04)로, 낮은 pH에서부터 수소옥살산이온이 생성됨을 의미한다. 수소옥살산이온과 옥살산 분자의 존재 비는 pH = 1.04에서 1:1이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옥살산 분자의 존재 비는 감소한다. 2단계 양성자 해리 반응의 평형 상수는 1.51 × 10-4 (p''K''a = 3.82)이다. 옥살산이온과 수소옥살산이온의 존재 비는 pH = 3.82에서 1:1에 도달하며, 이 pH에서는 옥살산 분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더 높은 pH의 중성 또는 알칼리성 수용액에서는 수소옥살산이온도 없어지고 거의 모두 옥살산이온으로 존재한다.[30] 이러한 값은 중성 pH의 용액에서 옥살산은 존재하지 않고 미량의 수소 옥살산염만 존재함을 의미한다.[3]
수소옥살산이온은 옥살산의 짝염기이며, 옥살산이온의 짝산이기도 하다. 수소옥살산이온을 음이온으로 포함하는 염은 산성염이며, 수소옥살산염이라고 불린다. 또한, 산성 옥살산염, 과옥살산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과옥살산이온(bioxalate ion)은 수소옥살산이온의 오래된 다른 이름이다.[31]
3. 구조
자유로운 이중 음이온 C₂O₄²⁻의 경우, 회전 장벽은 약 2~6 kcal/mol로 계산된다.[11][12][13] 이는 중심 C−C 결합이 두 CO₂⁻ 단위 사이의 최소한의 π 상호작용을 가진 단일 결합이라는 해석과 일치한다.[4] C−C 결합의 회전 장벽은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기인하며, 평면형에서 불리한 O−O 반발이 최대화되기 때문이다.
옥살산 이온의 구조는 평면형과 O–C–C–O의 이면각이 90°인 비틀림형 두 가지가 있다. X선 결정 구조 분석에 따르면, 옥살산염 결정 내에서는 대부분 평면 분자의 D2h에 가까운 분자 대칭성을 갖는다.[20] 특히, (M = Li, Na, K)의 무수물 결정에서는 옥살산 이온이 정확하게 D2h 평면 배좌를 취한다.[21][22] 그러나 수용액에서는 옥살산 이온이 비틀림형 배좌로 변화한다는 것이 진동 분광법을 통해 밝혀졌다.[20] 세슘염 무수물()에서는 결정 내에서도 O–C–C–O 이면각이 81(1)°로, 비틀림형 배좌를 취하며 구조에 가깝다.[23][24] 루비듐염 무수물()은 두 가지 다형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칼륨염과 같은 평면형, 다른 하나는 세슘염과 같은 비틀림형 구조를 갖는다.
이론 계산에 따르면, 옥살산 이온() 주위에 다른 이온이나 분자가 없을 경우 비틀림형 배좌가 평면 배좌보다 안정하며, 그 차이는 약 2–6 kcal/mol이다.[25][26][27] 이는 2개의 는 공액하고 있지 않다는 해석과 일치한다.[20] 옥살산 이온의 탄소-탄소 결합은 평면 배좌의 경우에도 보통보다 조금 길어진다.[24] 평면형이 불안정해지는 것은 산소 원자 간의 정전기적 반발이 평면형에서 최대가 되기 때문이다.
옥살산 이온은 수산화철(III)칼륨 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자의 킬레이트 배위자가 되며, 금속 원자에 배위할 때는 반드시 평면 배좌를 취한다.
4. 자연에서의 존재
다른 식용 식물 중에서도 상당한 농도의 옥살산을 함유한 식물은 카람볼라(star fruit), 후추, 파슬리, 양귀비씨, 비름, 근대, 사탕무, 코코아 가루, 초콜릿, 대부분의 견과류, 대부분의 베리류, 피시테일 야자, 뉴질랜드 시금치, 콩류 등이 있다.
차나무 잎에는 다른 식물에 비해 가장 높은 옥살산 농도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만든 차 음료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잎의 양이 적기 때문에 옥살산 함량이 적거나 중간 정도이다.
옥살산염은 유기 광물 형태로도 존재한다. 옥살산 칼슘 (웨델라이트, 휘웰라이트, 카오키사이트), 무어라이트, 훔볼트라이트 등이 알려져 있다.
4. 1. 옥살산염 함량이 높은 식품
5. 금속 이온과의 배위 화합물
옥살산염은 '''ox'''로 약칭되기도 하며,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다양한 배위 화합물(착물)을 형성한다.[28][29] 옥살산염은 주로 이가(二價) 리간드로 작용하여 금속 이온과 5원자 고리 구조(MO2C2)를 형성한다.[28][29] 대표적인 착물로는 페리옥살산칼륨(K3[Fe(C2O4)3])이 있다. 항암제인 옥살리플라틴은 백금 기반 약물의 수용성을 향상시켜 신독성과 같은 부작용을 줄인 옥살산염 착물의 예시이다.[28][29] 옥살산과 옥살산염은 자가 촉매 반응에서 과망간산 이온에 의해 산화될 수 있다.[28][29] 옥살산의 주요 용도 중 하나는 녹 제거인데, 이는 옥살산염이 삼가철 이온과 물에 녹는 유도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6. 과다 섭취 및 관련 질환
옥살산이 풍부한 음식을 과다 섭취하면 신장결석의 위험 요소인 칼슘옥살레이트와 같은 금속 이온의 신장결석 형성과 관련이 있다.[16] '''아스페르길루스'''속의 일부 곰팡이는 옥살산을 생성한다.[17] 혈중 옥살산염 수치가 과다한 상태를 고옥살산혈증(hyperoxalemia)이라고 하고, 소변 내 옥살산염 수치가 높은 상태를 고옥살산뇨증(hyperoxaluria)이라고 한다.
체내에서는 수산 이온이 칼슘 이온(Ca2+)이나 철 이온(Fe2+) 등의 2가 양이온과 결합하여 그들의 수산염을 만들고, 소변으로 작은 결정으로 배출된다. 이 결정이 커지면 요로결석이 되어 결국 네프론을 막게 된다. 결석의 약 80%는 수산칼슘 유래라고 한다.[34] 체내 수산을 줄이는 음식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35]
통풍 환자나 통풍 위험이 높은 사람[36]은 수산이 많은 음식을 피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37]
카드뮴은 비타민 C를 수산으로 전환하는 촉매가 된다. 이것은 식사, 직업, 흡연 등으로 카드뮴 노출이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랫드에게 칼슘 보충제와 수산이 많은 음식을 주면, 장내에서 수산칼슘이 생성되어 체내 흡수가 97%의 랫드에서 억제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8][39]
분말 형태의 수산염은 양봉에서 꿀벌응애로부터 벌을 보호하기 위한 살충제로 사용된다.
누룩곰팡이속(コウジカビ属)의 일부는 수산을 생성한다.[40]
예비적인 증거로 체내 미생물을 잘 조절함으로써(プロバイオティクス) 수산의 체외 배출량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41]
옥살산을 과다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증상을 옥살산혈증(hyperoxalemia)이라고 하며, 특히 소변에 다량의 옥살산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고옥살산뇨증(hyperoxaluria)이라고 한다.
6. 1. 후천성 고옥살산뇨증
비록 드문 경우이지만, 옥살산염 섭취(예를 들어, 소엽염주나무와 같은 옥살산염 함유 식물을 동물이 뜯어먹거나, 사람이 괭이밥을 섭취하거나, 특히 과다 섭취한 홍차 섭취)는 옥살산염 중독으로 인해 신부전이나 심지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18][42]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은 하루에 16잔(약 3.8L)의 아이스티를 마신 56세 남성에게서 아이스티 과다 섭취로 거의 확실하게 발생한 급성 옥살산염 신병증을 보고했다.[18] 논문 저자들은 급성 옥살산염 신병증이 신부전의 과소 진단되는 원인이라고 가정하고, 단백뇨(소변 내 단백질 과다) 없이 설명할 수 없는 신부전 환자에게서 소변 침전물에 다량의 옥살산칼슘이 있는 경우 환자의 식이 요법 기록을 철저히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18][42] 장내 미생물의 ''옥살로박터 포르미게네스(Oxalobacter formigenes)''가 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9][43]6. 2. 선천성 고옥살산뇨증
일차성 고옥살산뇨증은 옥살산염 대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드문 유전 질환이다. 옥살산 배설이 증가하여 옥살산 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7. 한국의 관점 및 정책
참조
[1]
웹사이트
Oxalate
https://pubchem.ncbi[...]
[2]
웹사이트
oxalate(2−) (CHEBI:30623)
https://www.ebi.ac.u[...]
2019-01-02
[3]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4]
논문
The Oxalate Dianion, C2O42-: Planar or Nonplanar?
[5]
논문
Sodium oxalate structure refinement
http://journals.iucr[...]
[6]
논문
The structure of lithium oxalate
[7]
문서
[8]
논문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Alkali Oxalates: First Proof of a Staggered Oxalate Anion in the Solid State
[9]
논문
CSD Entry WUWTIR: Di-cesium oxalate
Cambridge Crystallographic Data Centre
2003-01-01
[10]
논문
CSD Entry QQQAZJ03: Di-potassium oxalate
Cambridge Crystallographic Data Centre
2003-01-01
[11]
논문
Conformational preferences of 34 valence electron A2X4 molecules: An ''ab initio'' Study of B2F4, B2Cl4, N2O4, and C2O42−
[12]
논문
Structure of the oxalate ion
[13]
논문
Ab Initio Investigation of Electron Detachment in Dicarboxylate Dianions
[14]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https://archive.org/[...]
Macmillan
1976
[15]
서적
Urolithiasis, A Medical and Surgical Reference
W.B. Saunders Company
[16]
논문
Dietary oxalate and kidney stone formation
2019-03-01
[17]
논문
Aspects of oxalosis associated with aspergillosis in pathology specimens
[18]
논문
A Case of Iced-Tea Nephropathy
2015-04-02
[19]
논문
The role of Oxalobacter formigenes colonization in calcium oxalate stone disease
2013-06-01
[20]
논문
The Oxalate Dianion, C2O42−: Planar or Nonplanar?
[21]
논문
Sodium oxalate structure refinement
[22]
논문
The structure of lithium oxalate
[23]
문서
[24]
논문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s of Alkali Oxalates: First Proof of a Staggered Oxalate Anion in the Solid State
[25]
논문
Conformational preferences of 34 valence electron A2X4 molecules: An ab initio Study of B2F4, B2Cl4, N2O4, and C2O42−
[26]
논문
Structure of the oxalate ion
[27]
논문
Ab Initio Investigation of Electron Detachment in Dicarboxylate Dianions
[28]
논문
微量金属の触媒作用
https://doi.org/10.2[...]
日本化学会
[29]
논문
高校化学指導上の問題点 : 現場の先生方の指摘に答える(<特集>新しい高校学習指導要領に加えられた化学の諸概念)
https://doi.org/10.2[...]
日本化学会
[30]
서적
化学便覧 基礎編
丸善出版
[31]
서적
分析化学
丸善
[32]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Macmillan
1976
[33]
서적
Urolithiasis, A Medical and Surgical Reference
W.B. Saunders Company
[34]
논문
Kidney stone disease
[35]
논문
Biodegradation of oxalic acid from spinach using cereal radicles
[36]
웹사이트
UMMC Condition Guide: Gout
http://umm.edu/healt[...]
2016-06-24
[37]
웹사이트
UPMC Article, Low Oxalate Diet
http://www.upmc.com/[...]
2016-06-24
[38]
논문
Gastrointestinal oxalic acid absorption in calcium-treated rats
[39]
논문
Milk and calcium prevent gastrointestinal absorption and urinary excretion of oxalate in rats
[40]
논문
Aspects of oxalosis associated with aspergillosis in pathology specimens
[41]
논문
Use of a probiotic to decrease enteric hyperoxaluria
[42]
논문
A Case of Iced-Tea Nephropathy
2015-04-02
[43]
논문
The role of Oxalobacter formigenes colonization in calcium oxalate stone disease
2013-06-01
[44]
웹사이트
oxalate(2−) (CHEBI:30623)
https://www.ebi.ac.u[...]
2019-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