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국립공원은 워싱턴주에 위치한 국립공원으로, 광대한 자연을 보존하고 국민의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지정되었다. 다양한 식물과 동물, 해안선, 산악 지형, 온대 우림 등 다채로운 자연환경을 포함하며, 특히 올림픽마멋과 같은 고유종이 서식한다. 공원은 해안 트레킹, 등산, 겨울 스포츠 등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제공하며, 엘와 강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를 통해 댐을 제거하고 연어 개체 수 회복을 시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국립공원 - 올림퍼스산 (워싱턴주)
올림푸스산은 미국 워싱턴주 올림픽 국립공원에 있는 올림픽 산맥의 최고봉으로, 여러 빙하가 존재하며 1890년 탐험대가 정상에 도달했고 국립 기념물을 거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나, 현재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감소하고 있다. - 워싱턴주의 국립공원 - 노스캐스케이드 국립공원
노스캐스케이드 국립공원은 워싱턴주에 위치하며 험준한 산악 지형과 다양한 생태계를 보존하는 국립공원으로, 빙하, 호수, 야생 동식물을 품고 야외 활동을 제공하지만 기후 변화와 외래종 침입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미국의 세계유산 - 레드우드 국립공원
레드우드 국립공원은 300피트가 넘는 거대한 레드우드 나무 숲과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미국의 국립공원이다. - 미국의 세계유산 -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은 킬라우에아 산과 마우나로아 산을 포함하는 미국의 국립공원으로, 다양한 생태계와 하와이 원주민 문화유적을 보존하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및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올림픽 국립공원 | |
---|---|
기본 정보 | |
![]() | |
![]() | |
![]() | |
위치 | 워싱턴주 제퍼슨, 클랠럼, 메이슨, 그레이스 하버 카운티 |
가장 가까운 도시 | 포트앤젤레스 |
설립일 | 1938년 6월 29일 |
면적 | 922,650 에이커 (1,370 제곱마일, 3,734 제곱킬로미터) |
방문객 수 | 2,432,972명 (2022년) |
관리 주체 | 국립공원관리청 |
웹사이트 | 올림픽 국립공원 |
유네스코 세계유산 ID | 151 |
등재 연도 | 1981년 |
등재 기준 | 자연: vii, ix |
지리 | |
특징 | 다양한 생태계 (빙하 산, 온대우림, 해안선) |
기타 | |
생물권 보전지역 | 유네스코 지정 |
2. 공원 지정 목적
미국 전역에서 최고의 시트카 가문비나무, 서양 노송나무, 더글러스 전나무, 서양 측백나무의 원시림을 포함한 광대한 자연 공원을 국민의 이익, 이용 및 향유를 위해 보존하고, 지역 고유종인 엘크(Roosevelt elk영어) 무리와 기타 야생 동물에게 적합한 월동지와 영구적인 보호를 제공하며, 수많은 빙하와 만년설, 그리고 주변의 푸른 숲의 일부와 아름다운 워싱턴 해안을 따라 좁은 지대를 포함한 이 뛰어난 산악 지대를 국민의 레크리에이션 이용을 위해 보존하고 제공하는 것이 올림픽 국립공원의 목적이다.[12]
올림픽 국립공원의 중심에는 올림픽 산맥이 솟아 있으며, 산비탈과 능선은 거대한 고대 빙하로 덮여 있다. 이 산맥은 후안데푸카 판의 섭입대와 관련된 부가체가 융기하여 형성되었다. 지질 구성은 현무암질과 퇴적암질이 섞인 멜란주(mélange)이다.
3. 자연사 및 지질학적 역사
산맥의 서쪽은 올림푸스 산(해발 2428m)이 우뚝 솟아 있으며, 많은 눈이 내려 북부 캐스케이드 산맥을 제외한 미국 본토에서 화산 이외의 지역 중 가장 큰 빙하 작용이 일어나는 곳이다. 여러 개의 빙하 중 가장 큰 것은 호 빙하로 길이가 약 5km에 달한다.
산맥의 동쪽은 서쪽 산맥의 강수량 그림자 효과로 인해 훨씬 건조하다. 이곳에는 수많은 높은 봉우리와 바위투성이 능선이 있으며, 최고봉은 디셉션 산(해발 2374m)이다.
공원 서쪽에는 호우림과 퀴놀트 우림을 포함한 온대우림이 있으며, 미국 본토에서 가장 습한 지역이다.[44] 남미의 아마존 열대우림과 같은 열대우림과는 달리, 열대성 양치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이 아니라, 짙은 가문비나무(Picea sitchensis|시트카가문비영어), 전나무, 미국ツガ(가칭), 서양측백나무를 포함한 숲과, 이 나무들의 나무껍질을 뒤덮고 가지에서 녹색의 축축한 덩굴처럼 주렁주렁 매달리는 이끼가 보인다.
공원은 높은 산맥에 의해 남쪽 본토로부터 고립된 반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올림픽마멋처럼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많은 독특한 식물종과 동물종이 진화했다. 또한 올림픽 반도의 남서쪽 해안선은 북미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빙하가 없는 지역이며, 최종빙기에 식물이 북쪽의 빙하로 덮인 지역으로 퍼져나갈 때 일시적인 피난처가 되었다.
북서 지역 태평양 연안에는 북미큰뿔올빼미, 미국얼룩바다오리, 북미아종 로즈벨트엘크[44]와 연어의 서식지인 무지개송어 등이 서식하고 있다.[45] 과학자들은 이곳을 생물권 보호구역으로 선포하고, 독특한 종의 연구를 수행하여 동식물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더 잘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1920년대에 공원 구역으로 들여온 산양은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적어도 3종의 고유 식물이 피해를 입고 있다. 엘와강의 댐은 연어와 스틸헤드송어 등의 회유를 막았으나, 글라인즈캐니언댐과 엘와댐은 철거되었다. 2008년에는 미국검은담비의 재도입이 이루어졌다.[45]
3. 1. 해안선
올림픽 국립공원의 해안 지역은 험준한 모래사장과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는 약 96.56km에 달하지만 너비는 몇 마일에 불과하며, 호 강 어귀에는 호족이, 퀴눌트 강 어귀의 라 푸시 마을에는 퀴눌트족이 살고 있다.[13]
해변은 약 16.09km 에서 약 32.19km에 이르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황야 지역을 가지고 있다. 일부 해변은 모래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른 해변들은 거대한 바위와 돌들로 뒤덮여 있다. 무성한 덤불, 미끄러운 지면, 조수, 안개 낀 열대 우림 날씨는 도보 이동을 어렵게 만든다. 해안 지역은 올림픽 국립공원 내륙 지역보다 접근이 용이하지만, 험준한 지형 때문에 배낭 여행객들은 하루 산행 거리 이상 멀리 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다.[14]
해안 지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은 약 14.48km 길이의 오제트 루프이다. 국립공원 관리청은 이 지역의 이용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 등록 및 예약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오제트 호의 트레일 시작점에서 약 4.83km 구간은 거의 원시 상태의 해안 삼나무 습지대를 지나는 나무로 만든 산책로가 설치되어 있다. 바다에 도착하면 간조 시에는 3마일, 만조 시에는 곶 트레일을 이용해야 한다.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니어 베이의 마카 족이 선호하는 지역이었다. 약 4.83km 구간은 나무로 만든 산책로가 설치되어 루프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15][16]
모래 근처에는 울창한 나무 숲이 있어 쓰러진 나무에서 나온 통나무 조각들이 해변에 널려 있다. 공원 남쪽 끝에 있는 호 강은 자연적으로 침식된 많은 양의 목재와 다른 부유물을 방출하며, 이 부유물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해변을 풍요롭게 한다. 부유물은 종종 상당히 먼 거리에서 오며, 예전에는 콜롬비아 강이 북서 태평양 연안에 막대한 양의 부유물을 공급했다.
이 공원은 독특한 터비다이트로 유명하다. 흰색 방해석 정맥이 있는 노출된 터비다이트가 있으며, 해저에 퇴적층을 형성한다. 이 공원은 또한 강한 석유 냄새 때문에 현지인들이 '냄새 나는 바위'라고 부르는 지질학적 혼성암으로도 유명하다. 올림픽 혼성암은 집만큼 클 수 있다.
3. 2. 빙하 산맥
올림픽 산맥이 올림픽 국립공원 중앙에 우뚝 솟아 있으며, 산맥의 사면과 능선에는 거대하고 오래된 빙하들이 자리 잡고 있다. 이 산맥 자체는 후안데푸카 판 섭입대와 관련된 부가대 융기의 산물이다. 지질 구성은 현무암질 및 해양 퇴적암의 독특한 혼성암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립공원 내 빙하의 수는 1982년 266개에서 2009년 184개로 감소했다.[17][18]
산맥의 서쪽 절반은 약 2427.73m 높이의 올림푸스 산 봉우리가 지배하고 있다. 올림푸스 산은 많은 눈이 내리기 때문에 노스캐스케이드 산맥을 제외한 미국 본토의 비화산 봉우리 중 가장 빙하가 많다. 이 산에는 여러 개의 빙하가 있으며, 가장 큰 빙하는 길이 4.93km의 호 빙하이다. 동쪽으로 갈수록 서쪽 산맥의 강우량 그림자 효과로 훨씬 건조해지며, 동쪽 산맥에는 수많은 높은 봉우리와 험준한 능선이 있다. 동쪽 올림픽 산맥에서 가장 높은 정상은 약 2373.78m 높이의 디셉션 산이다.
3. 3. 온대 우림
공원의 서쪽은 온대우림으로 덮여 있으며, 연 강수량이 약 3.66m가 넘는 호우림과 퀴놀트 우림을 포함하여 아마도 미국 본토에서 가장 습한 지역일 것이다.[19][20][21]
열대우림과 다른 대부분의 온대우림 지역과는 달리, 태평양 북서부의 우림은 침엽수가 우세하며, 시트카 가문비나무, 서양 노송나무, 해안 더글러스 전나무, 서양측백나무 등이 포함된다. 이끼는 이 나무들의 나무껍질을 뒤덮고 있으며, 녹색의 축축한 덩굴처럼 가지에서 뚝뚝 떨어지기도 한다.
공원 서쪽에는 호 우림(Hoh Rainforest)과 퀴놀트 우림(Quinault Rain Forest)을 포함한 온대우림이 있으며, 미국 본토에서 가장 습한 지역이다(하와이주 카우아이섬은 더 많은 비가 내린다).
남미의 아마존 열대우림과 같은 열대우림과는 달리, 열대성 양치식물이 무성하게 자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짙은 가문비나무(Picea sitchensis|시트카가문비영어), 전나무, 미국ツガ(가칭), 서양측백나무를 포함한 숲과[44], 이 나무들의 나무껍질을 뒤덮고 가지에서 녹색의 축축한 덩굴처럼 주렁주렁 매달리는 이끼가 보인다.
4. 생태
A. W. 쿠흘러의 미국 잠재적 자연 식생 유형에 따르면, 올림픽 국립공원은 고산 초원 및 황무지(알파인 툰드라(52) 잠재적 식생 유형, 알파인 초원(11) 잠재적 식생 형태), 전나무/솔송나무(4) 식생 유형(태평양 북서부 침엽수림(1) 식생 형태), 삼나무/솔송나무/더글러스 전나무 식생 유형(태평양 북서부 침엽수림(1) 식생 형태), 서부 가문비나무/전나무 식생 유형(15)(록키 산맥 침엽수림(3) 식생 형태), 그리고 가문비나무/삼나무/솔송나무(1) 식생 유형(태평양 북서부 침엽수림(1) 식생 형태) 등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22]
공원은 고립된 반도에 위치하고, 남쪽 육지와는 높은 산맥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고유종 식물과 동물 종(예: 올림픽 마못, 파이퍼의 종꽃, 플렛의 제비꽃)이 서식하게 되었다. 올림픽 반도의 남서쪽 해안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비빙하 지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최후 빙기 최대기 당시 해발 고도에서 해안까지의 거리가 현재의 두 배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 지역은 빙하로 뒤덮인 북쪽 지역으로 식물이 진출할 수 있는 피난처 역할을 했다.
공원은 태평양 북서부 해안에만 서식하는 루즈벨트 엘크를 포함한 여러 종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과학자들은 이곳을 생물 보호구역으로 선포하고 고유종을 연구하여 식물과 동물의 진화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있다. 공원에는 상당한 규모의 흑곰과 검은꼬리사슴 개체군, 그리고 약 150마리의 퓨마 개체군이 서식한다.[23]
공원에는 약 의 고령림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5]
공원 서쪽의 열대우림에서는 산불이 드물지만, 2015년 여름에는 100년 만에 가장 건조한 봄 이후 심각한 가뭄과 전년 겨울의 극심한 적설량 부족으로 인해 드문 산불이 발생했다.[26][27]
4. 1. 산양 문제와 관리
1920년대에 공원 구역으로 들여온 산양은 생태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적어도 3종의 고유 식물이 피해를 보고 있다. 공원 내에 댐이 건설되었지만, 엘와강에서 연어, 스틸헤드송어 등 연어과 어류의 회유를 막는 댐은 제거 작업이 진행되었다. 높이 64m의 글라인즈캐니언댐과 33m의 엘와댐은 철거되었다. 한편, 2008년에는 미국검은담비의 재도입이 이루어졌다.[45]5. 기후
기준으로 올림픽 국립공원은 두 가지 기후로 분류된다. 서쪽 절반은 온대 해양성 기후(Cfb)이고, 동쪽 절반은 따뜻한 여름 지중해성 기후(Csb)이다.[28][29]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에 따르면, 호우 강우림 방문자 센터(Hoh Rainforest Visitor Center)의 식물 내한성 구역은 8a이며, 연평균 최저 기온은 약 -9.7°C이다.[30]
'''엘와 레인저 스테이션(Elwha Ranger Station) 기후 (1948-200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F) | 약 17.8°C | 약 19.4°C | 약 20.6°C | 약 25.6°C | 약 30.6°C | 약 33.9°C | 약 35.6°C | 약 36.1°C | 약 32.8°C | 약 24.4°C | 약 21.1°C | 약 18.3°C | 약 36.1°C |
평균 최고 기온 (°F) | 약 4.8°C | 약 7.2°C | 약 10.2°C | 약 13.8°C | 약 17.5°C | 약 20.1°C | 약 23.2°C | 약 23.4°C | 약 20.3°C | 약 13.8°C | 약 8.0°C | 약 5.6°C | 약 14.0°C |
평균 최저 기온 (°F) | 약 -0.5°C | 약 0.2°C | 약 1.2°C | 약 2.9°C | 약 5.6°C | 약 8.1°C | 약 9.9°C | 약 10.5°C | 약 8.6°C | 약 5.1°C | 약 2.1°C | 약 0.4°C | 약 4.5°C |
최저 기온 기록 (°F) | 약 -16.7°C | 약 -13.3°C | 약 -9.4°C | 약 -3.3°C | 약 -1.7°C | 약 0.0°C | 약 2.2°C | 약 2.2°C | 약 0.0°C | 약 -6.1°C | 약 -12.2°C | 약 -13.3°C | 약 -16.7°C |
강수량 (인치) | 약 22.91cm | 약 17.53cm | 약 15.29cm | 약 8.31cm | 약 4.67cm | 약 3.05cm | 약 1.91cm | 약 3.07cm | 약 4.50cm | 약 13.39cm | 약 23.29cm | 약 25.10cm | - |
적설량 (인치) | 약 18.03cm | 약 5.08cm | 약 3.05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2.79cm | 약 7.87cm | - |
평균 강수일수 (≥ .01 in) | 17 | 15 | 16 | 13 | 11 | 9 | 5 | 6 | 8 | 14 | 18 | 17 | - |
'''호우 강우림 방문자 센터(Hoh Rainforest Visitor Center) 기후 (1981-201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F) | 약 7.1°C | 약 8.8°C | 약 10.8°C | 약 13.2°C | 약 16.6°C | 약 18.6°C | 약 21.6°C | 약 22.3°C | 약 19.7°C | 약 14.9°C | 약 9.4°C | 약 6.6°C | 약 14.2°C |
평균 기온 (°F) | 약 4.3°C | 약 5.1°C | 약 6.4°C | 약 8.2°C | 약 11.2°C | 약 13.4°C | 약 15.8°C | 약 16.3°C | 약 14.2°C | 약 10.4°C | 약 6.2°C | 약 3.8°C | 약 9.6°C |
평균 최저 기온 (°F) | 약 1.6°C | 약 1.3°C | 약 2.0°C | 약 3.2°C | 약 5.8°C | 약 8.2°C | 약 10.1°C | 약 10.3°C | 약 8.7°C | 약 5.9°C | 약 3.1°C | 약 1.0°C | 약 5.1°C |
강수량 (인치) | 약 52.30cm | 약 36.70cm | 약 37.54cm | 약 26.92cm | 약 16.23cm | 약 11.89cm | 약 5.49cm | 약 7.01cm | 약 10.54cm | 약 33.30cm | 약 57.28cm | 약 48.44cm | 약 343.64cm |
평균 상대 습도 (%) | 85.1 | 76.0 | 76.8 | 74.1 | 71.9 | 73.9 | 68.8 | 69.9 | 69.0 | 74.2 | 83.0 | 83.1 | 75.5 |
평균 이슬점 (°F) | 약 2.1°C | 약 1.2°C | 약 2.6°C | 약 3.9°C | 약 6.3°C | 약 8.8°C | 약 10.1°C | 약 10.8°C | 약 8.6°C | 약 6.1°C | 약 3.6°C | 약 1.2°C | 약 5.4°C |
'''워싱턴주 엘와 레인저 스테이션(Elwha Ranger Station, Washington) 기후 (1991~2020년 평균, 극값 1942~2017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F) | 약 17.8°C | 약 19.4°C | 약 21.1°C | 약 26.7°C | 약 30.6°C | 약 33.9°C | 약 35.6°C | 약 36.1°C | 약 32.8°C | 약 24.4°C | 약 21.1°C | 약 18.3°C | - |
평균 최고 기온 (°F) | 약 10.6°C | 약 11.1°C | 약 15.6°C | 약 21.4°C | 약 25.4°C | 약 28.1°C | 약 30.9°C | 약 30.6°C | 약 26.4°C | 약 19.5°C | 약 13.0°C | 약 9.9°C | 약 32.6°C |
평균 최저 기온 (°F) | 약 -4.3°C | 약 -4.2°C | 약 -1.9°C | 약 -0.4°C | 약 1.8°C | 약 4.7°C | 약 6.8°C | 약 7.2°C | 약 4.8°C | 약 0.3°C | 약 -2.7°C | 약 -4.7°C | 약 -7.3°C |
최저 기온 기록 (°F) | 약 -16.7°C | 약 -13.3°C | 약 -9.4°C | 약 -3.3°C | 약 -1.7°C | 약 0.0°C | 약 -0.6°C | 약 2.2°C | 약 0.0°C | 약 -6.1°C | 약 -12.2°C | 약 -13.3°C | - |
강수량 (인치) | 약 22.53cm | 약 15.60cm | 약 17.63cm | 약 8.33cm | 약 4.85cm | 약 3.53cm | 약 1.88cm | 약 2.90cm | 약 4.14cm | 약 14.86cm | 약 25.55cm | 약 25.20cm | - |
평균 강수일수 (≥ .01 in) | 17.8 | 15.4 | 18.2 | 13.8 | 11.5 | 9.5 | 4.9 | 4.8 | 8.0 | 15.0 | 18.6 | 18.4 | - |
적설량 (인치) | 약 2.54cm | 약 1.27cm | 약 0.51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00cm | 약 0.51cm | 약 0.25cm | 약 5.08cm |
평균 적설일수 (≥ .1 in) | 0.4 | 0.2 | 0.1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0.2 | 0.5 | - |
6. 인류 역사
유럽 정착민들이 이주하기 전 올림픽 국립공원 지역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주로 어업과 사냥을 하며 생활했다. 그러나 최근의 고고학적 조사에 따르면, 원주민들은 이전의 통념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이 지역, 특히 아고산 초원 지대를 활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유럽에서 유래된 질병 등의 요인으로 인해, 원주민 문화는 이미 큰 타격을 입은 상태였다.[34]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정착민들이 나타나면서 북서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는 목재 수확을 중심으로 한 채취 산업이 급증했다. 1920년대, 사람들이 벌채된 산비탈을 목격하면서 벌채에 대한 대중의 반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자동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올림픽 반도와 같이 이전에는 외딴 곳으로 여겨지던 지역으로의 여행이 활발해진 시기이기도 하다.
올림픽 반도에 국립공원을 조성하자는 제안은 1890년대 조셉 P. 오닐(Joseph P. O'Neil) 중위와 제임스 위커샴(James Wickersham) 판사의 탐험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올림픽 야생 지역 탐험 중 만나, 해당 지역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치적 노력을 함께 했다. 1897년 2월 22일, 그로버 클리블랜드(Grover Cleveland) 대통령은 올림픽 삼림 보호구역(Olympic Forest Reserve)을 설립했고, 이는 1907년에 올림픽 국유림(Olympic National Forest)이 되었다.[34] 1909년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은 올림픽 산맥 국립 기념물(Mount Olympus National Monument)을 설립하여, 주로 올림픽 산맥에 서식하는 루스벨트 엘크(Roosevelt elk) 무리의 아고산 분만 장소와 여름 서식지를 보호했다.
이 지역을 보존하려는 대중의 요구가 커지면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은 1938년 국립공원을 설립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그러나 국립공원 지정 이후에도 공원 내에서는 불법 벌목이 계속되었고, 공원 경계 내의 귀중한 목재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37]
6. 1. 원주민 역사
유럽인들이 이주하기 전, 올림픽 반도에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주로 사냥과 어업을 하며 살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올림픽 산맥과 기타 북서부 산맥에 대한 기록 조사 및 체계적인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원주민들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이 지역, 특히 아고산 초지를 이용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부분의 북서 태평양 연안 지역 원주민 문화권은 유럽인들이 이주하기 훨씬 전에 유럽에서 유입된 질병(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킴) 등의 요인으로 인해 큰 악영향을 받았다.[34] 따라서 유럽인들이 목격하고 기록한 것은 이미 상당히 쇠퇴한 이후의 원주민 문화였다. 현재 올림픽 산맥에서는 많은 문화 유적이 확인되었고, 중요한 유물들도 발견되고 있다.
6. 2. 유럽인 정착과 벌목
유럽 정착민들이 이주하기 전, 올림픽 국립공원 지역에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반도에서 어업과 사냥을 하며 생활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와 고고학적 조사에 따르면, 원주민들은 이전의 통념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이 지역, 특히 아고산 초원 지대를 활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34] 하지만 북서 태평양 연안의 거의 모든 원주민 문화는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기 훨씬 전에 전염병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크게 쇠퇴했다. 따라서 유럽인들이 처음 목격하고 기록한 것은 이미 상당히 축소된 원주민 문화였다. 현재 올림픽 산맥에서는 다수의 문화 유적지와 중요한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34]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정착민들이 나타나면서 북서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는 목재 수확을 중심으로 한 채취 산업이 급격히 성장했다. 1920년대에 이르러 사람들은 벌채로 인해 황폐해진 산비탈을 목격하면서 벌목에 대한 대중적 반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자동차의 보급으로 인해 사람들의 야외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전에는 외딴 지역으로 여겨졌던 올림픽 반도로의 여행이 증가하던 때이기도 했다.[34]
올림픽 반도에 국립공원을 조성하자는 제안은 1890년대 조셉 P. 오닐(Joseph P. O'Neil) 중위와 제임스 위커샴(James Wickersham) 판사의 탐험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올림픽 야생 지역 탐험 중 만나, 이 지역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치적 노력을 함께 했다. 1897년 2월 22일, 그로버 클리블랜드(Grover Cleveland) 대통령은 올림픽 삼림 보호구역(Olympic Forest Reserve)을 설립했고, 이는 1907년에 올림픽 국유림(Olympic National Forest)이 되었다.[34] 1900년대 초 워싱턴 주 의회에서 이 지역을 추가로 보호하려는 시도는 실패했지만, 1909년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은 올림픽 산맥(Mount Olympus National Monument) 국립 기념물을 설립하여 루스벨트 엘크(Roosevelt elk) 무리의 아고산 분만 장소와 여름 서식지를 보호했다.[34]
이후에도 이 지역을 보존하려는 대중의 요구는 계속되었고, 결국 1938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이 국립공원 설립 법안에 서명하면서 올림픽 국립공원이 탄생했다. 그러나 국립공원 지정 이후에도 공원 내에서는 불법 벌목이 계속되었고, 공원 내의 귀중한 목재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37] 올림픽 반도에서는 여전히 벌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공원 내부에서는 벌목이 허용되지 않는다.[37]
6. 3. 국립공원 지정과 보존 노력
유럽 정착민들이 이주하기 전, 올림픽 국립공원 지역에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어업과 사냥을 하며 반도를 이용했다. 그러나 최근 연구와 고고학적 조사에 따르면, 원주민들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특히 아고산 초원 지대를 이용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유럽에서 유래된 질병 등의 요인으로 인해, 민족지학자, 사업가, 정착민들이 도착하기 훨씬 전에 원주민 문화는 이미 큰 타격을 입은 상태였다.[34] 현재 올림픽 산맥에서는 다수의 문화 유적지와 중요한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정착민들이 나타나면서 태평양 북서부 지역에서는 목재(timber) 수확을 중심으로 한 채취 산업이 급증했다. 1920년대, 사람들이 벌채된 산비탈을 목격하면서 벌목(logging)에 대한 대중의 반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야외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동차(automobile) 보급이 증가하면서, 올림픽 반도(Olympic Peninsula)와 같이 이전에는 외딴 곳으로 여겨지던 지역으로의 여행이 활발해진 시기이기도 하다.
올림픽 반도에 국립공원을 조성하자는 제안은 1890년대 조셉 P. 오닐(Joseph P. O'Neil) 중위와 제임스 위커샴(James Wickersham) 판사의 탐험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올림픽 야생 지역 탐험 중 만나, 해당 지역을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치적 노력을 함께 했다. 1897년 2월 22일, 그로버 클리블랜드(Grover Cleveland) 대통령은 올림픽 삼림 보호구역(Olympic Forest Reserve)을 설립했고, 이는 1907년에 올림픽 국유림(Olympic National Forest)이 되었다.[34] 1900년대 초 워싱턴 주 의회에서 추가적인 보호 시도가 실패한 후,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대통령은 1909년 올림픽 산맥(Mount Olympus National Monument) 국립 기념물을 설립하여, 주로 올림픽 산맥에 서식하는 루스벨트 엘크(Roosevelt elk) 무리의 아고산 분만 장소와 여름 서식지를 보호했다.

이 지역을 보존하려는 대중의 요구가 커지면서, 프랭클린 D.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대통령은 1938년 국립공원을 설립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민간보존단(Civilian Conservation Corps)은 공공사업국(Public Works Administration)의 자금으로 1939년 올림픽 국립공원 본부 사적지구(Olympic National Park Headquarters Historic District)를 건설했으며, 이곳은 현재 국립사적지(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에 등재되어 있다.[35] 1953년에는 퀴츠(Queets) 강과 호(Hoh) 강 사이의 태평양 해안선, 퀴츠 및 보가치엘(Bogachiel) 계곡 일부를 포함하여 47,753에이커(약 193.4㎢)가 공원에 추가되었다.[36]
그러나 국립공원 지정 이후에도 공원 내에서는 불법 벌목(illegal logging)이 계속되었고, 공원 경계 내의 귀중한 목재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올림픽 반도에서는 벌목이 계속되고 있지만, 공원 내부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37] 1988년 연방 정부는 올림픽 국립공원 내 877,000에이커(약 3,550㎢)를 올림픽 야생 지역(Olympic Wilderness)으로 지정했다. 이 지역은 2017년, 1988년 법안을 공동 발의한 대니얼 J. 에반스(Daniel J. Evans) 주지사 겸 상원의원을 기리기 위해 대니얼 J. 에반스 야생 지역(Daniel J. Evans Wilderness)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0] 2022년에는 125,000에이커(약 506㎢) 규모의 야생 지역 확장 제안이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38]
7. 레크리에이션
올림픽 국립공원에는 여러 도로가 있지만, 내륙 깊숙이 들어가는 도로는 없다. 공원에는 등산로 네트워크가 있지만, 공원의 규모가 크고 외진 곳에 위치해 있어 내륙 고지대까지 가려면 보통 주말 이상이 걸린다. 7월, 8월, 9월에는 긴 건조기간이 자주 있어 여행 중 비를 만날 가능성이 적지만, 비가 올 경우 무성한 식물과 수십 가지 녹색 색조를 띠는 열대우림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올림픽 국립공원의 특징 중 하나는 해변을 따라 배낭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원의 해안선 길이는 여러 날 여행에 충분하며, 하루 종일 해변을 따라 걸을 수 있다. 산비탈을 오르는 것보다 한가롭지만, 조수를 주의해야 한다. 해변이 가장 좁은 곳에서는 만조 때 절벽까지 물이 차올라 통행이 막힌다. 몇몇 곶은 진흙투성이의 가파른 길과 고정된 로프를 함께 이용하여 힘들게 넘어야 한다.
엘와 강과 호 강에서 래프팅을 즐길 수 있다. 오제트 호, 크레센트 호, 퀴놀트 호에서는 보트를 타는 것이 일반적이다.[39] 오제트 강, 퀴츠 강(츠레츠시 크릭 아래), 호 강, 퀴놀트 강(노스쇼어 퀴놀트 강 다리 아래), 퀼레이유트 강 및 디키 강에서 낚시가 허용된다.[39] 공원에서 낚시를 하려면 낚시 허가증이 필요하지 않다. 산송어와 돌리 바든 송어 낚시는 허용되지 않으며, 우연히 잡히더라도 놓아주어야 한다.[40]
올림픽 국립공원의 태평양 연안을 따라 펼쳐진 좁고 긴 지역은, 기복이 심하고 안개가 자주 끼는 광활한 모래사장과 인접한 작은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이는 117.5km(폭은 불과 수km)에 달하며, 주요 강 하구 두 곳에서만 끊어져, 그곳에는 원주민 마을이 있다. 호족은 호강에, 퀼리웃족은 퀼레이웃강 하구의 라푸시 마을에 거주한다. 호족은 퀼리웃족의 일파이다. 약 16.09km~약 32.19km에 걸쳐 이어지는 이 자연 지역은, 익숙한 것과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종종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어떤 해변은 고운 모래사장이지만, 어떤 해변은 다루기 힘든 무거운 바위와 거대한 바위투성이이다. 숙련된 하이커조차도 덤불, 무성한 식물, 미끄러운 지형, 조수 간만의 차, 온대우림 기후 때문에 빠르게 걷기 어렵다. 올림픽 국립공원 내륙과 달리 해안선을 따라서는 접근이 용이하지만, 가벼운 당일치기 하이킹 거리를 넘어서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보이는 것보다 훨씬 어려운 지역이다.
해안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은 약 14.48km의 오제트 루프이다. 오제트 호 산책로의 출발점에서 처음 약 4.83km 구간은 원시적인 해안의 미국 삼나무 습지를 지나는 나무 데크 산책로를 따라 걷는다. 일단 해변에 도착하면, 다음 약 4.83km 구간에서는 훌륭한 원주민 해안 거주지를 따라 만조 시 횡단을 위한 곶길을 걷게 된다. 3번째 약 4.83km의 나무 데크 산책로 구간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무빙워크가 없으면 걷기 매우 힘들다. 나무 데크 산책로와 아름다운 해변 산책이 오제트의 인기를 높이고 있다.
모래 바로 가까이까지 나무가 빽빽한 숲이 있으며, 그 결과 많은 쓰러진 나무들이 해변에 흩어져 있다. 태평양 연안의 좁고 긴 지역 남쪽 끝으로 흐르는 전설적인 호강은 매우 거친 강으로, 엄청난 양의 부패한 나무와 기타 표류물을 바다로 밀어낸다. 그 후 표류물은 대부분 북쪽으로 흘러가 해변을 풍요롭게 한다. 강과 해변에서의 표류목 제거는 북미 전역에서 주요 자연 길들이기 방법이었다. 즉, 자연적으로 쌓인 표류물은 외관뿐만 아니라 생물학적으로도 장엄한 모습을 이루고 있으며, 이 지역에는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있지만, 이전 해변 사진에는 놀라울 정도로 많은 표류목이 찍혀 있다. 표류물은 상당히 먼 곳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 대하천인 콜럼비아 강은 과거 태평양 북서부 해안으로 표류목을 밀어내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올림픽 국립공원 해안의 좁고 긴 지역은 반도 중앙부의 훨씬 더 큰 공원 주요 지역과 연결되어 있지도 않다.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은 좁고 긴 회랑 모양의 공원 지역을 지정하여 이들을 연결하려고 했지만, 정치적 세력이 그렇게 되지 않도록 막았다.
7. 1. 허리케인 릿지
겨울에는 허리케인 릿지에서 다양한 겨울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다. 허리케인 릿지 겨울 스포츠 클럽은 비영리 알파인 스키장인 허리케인 릿지 스키 및 스노보드 지역을 운영하며, 스키 강습, 장비 대여 및 저렴한 리프트권을 제공한다. 이 작은 알파인 지역은 두 개의 로프 견인 장치와 하나의 포마 리프트로 운영된다. 허리케인 릿지 도로가 열려 있을 때 스키어, 스노보더 및 기타 백컨트리 여행객이 이용할 수 있는 광대한 백컨트리 지형이 있다. 현재 허리케인 릿지 도로의 겨울 접근은 날씨가 허락하는 경우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로 제한되어 있다. 허리케인 릿지 겨울 접근 연합은 허리케인 릿지 도로(겨울철 알파인 지형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공원 도로)를 통해 일주일 내내 접근할 수 있도록 복원하기 위한 지역 사회의 노력이다.허리케인 릿지 전망대에서 올림픽 국립공원의 전망을 볼 수 있다. 허리케인 릿지 방문자 센터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도로에는 여러 피크닉 장소와 등산로 입구가 있다. 허리케인 힐 트레일이라고 불리는 포장된 길은 각 방향으로 약 약 2.57km 길이이며, 고도 상승은 약 약 213.36m이다. 7월 말까지도 등산로에 눈이 있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다양한 거리와 난이도의 다른 비포장 도로가 허리케인 힐 트레일에서 갈라진다. 피크닉 장소는 여름에만 개방되며 화장실, 물, 포장된 피크닉 테이블 접근로가 있다.
2023년 5월 7일 허리케인 릿지 방문자 센터가 화재로 소실되었다.[41] 1950년대에 건설된 이 센터에는 올림픽의 3D 지형도, 지역의 자연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는 미디어 센터, 기타 해설 전시물 및 기프트숍이 있었다.[41] 센터를 언제 대체할지에 대한 시점은 현재 없다. 롯지를 재건하고 임시 방문자 센터를 설립하는 프로젝트에는 2023년 말 8000만달러의 연방 자금이 배정되었다.[42]

8. 엘와 강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엘와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는 에버글레이즈 다음으로 미국 국립공원관리청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높이 약 64.01m의 글라인스 협곡 댐과 그 저수지인 밀스 호를 제거하고, 높이 약 32.92m의 엘와 댐과 그 저수지인 앨드웰 호를 엘와 강에서 제거하는 작업으로 구성되었다.[43] 댐 제거 후 공원에서는 침식을 방지하고 생태계 회복을 가속화하기 위해 사면과 강바닥에 식생을 복원할 예정이다.[43]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은 95년 이상 댐으로 인해 상류 약 104.61km의 서식지에 접근하지 못했던 엘와 강의 연어목 어류인 태평양 연어와 스틸헤드의 개체 수를 회복하는 것이다. 댐 제거 작업은 2014년에 완료되었다.[43]
9. 대중문화
- 애런 엘킨스의 1983년 소설 ''어두운 숲'' (The Dark Place영어)
- 스테파니 메이어의 2005년~2008년 소설 시리즈 ''트와일라잇'' (Twilight영어) — 2008년부터 영화화되어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참조
[1]
NPS area
2013-03-07
[2]
웹사이트
Annual Park Ranking Report for Recreation Visits in: 2022
https://irma.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7-23
[3]
웹사이트
Directions and Transportation
http://www.nps.gov/o[...]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1
[4]
웹사이트
The Economy of the Olympic Peninsula and Potential Impacts of the Draft Congressional Watershed Conservation Proposal
http://headwaterseco[...]
Headwaters Economics
2023-01-11
[5]
서적
National Geographic Guide to National Park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1-01-01
[6]
웹사이트
Park Newsletter July/August 2009
http://www.nps.gov/o[...]
National Park Service
2011-07-08
[7]
웹사이트
Proclamations and Orders Volume 2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8]
웹사이트
The National Parks: Index 2009–2011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1
[9]
웹사이트
Daniel J. Evans Wilderness
https://wilderness.n[...]
2023-01-11
[10]
뉴스
Olympic Wilderness re-named for Sen. Dan Evans
http://www.spokesman[...]
The Spokesman-Review
2017-08-18
[11]
뉴스
Ceremony marks change of name to Daniel J. Evans Wilderness
http://www.peninsula[...]
Peninsula Daily News
2017-08-18
[12]
웹사이트
Foundation Document Overview: Olympic National Park, Washington
http://npshistory.co[...]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1
[13]
웹사이트
Coast
http://www.nps.gov/o[...]
National Park Service
2009-08-23
[14]
웹사이트
The best hikes in Olympic National Park offer sea stacks, waterfalls and ancient petroglyphs
https://www.lonelypl[...]
Lonely Planet
2023-01-11
[15]
웹사이트
Ozette Loop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1
[16]
웹사이트
Lake Ozette Area Brochur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1
[17]
웹사이트
Glaciers and Climate Chang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11-27
[18]
뉴스
The majestic Hoh Rain Forest is one of the natural wonders of Washington state; venture in and wander
https://www.seattlet[...]
The Seattle Times
2024-11-27
[19]
웹사이트
Weather Brochur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1
[20]
웹사이트
11 Things You Didn't Know About Olympic National Park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23-01-11
[21]
뉴스
Rainforest in Washington is the wettest in the continental US, officials say
https://www.theolymp[...]
McClatchy
2021-01-06
[22]
웹사이트
U.S.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riginal Kuchler Types, v2.0 (Spatially Adjusted to Correct Geometric Distortions)
https://databasin.or[...]
2019-07-15
[23]
뉴스
Cougar warning issued for Olympics
https://products.kit[...]
2014-01-08
[24]
웹사이트
Mountain Goats in Olympic National Park: Biology and Management of an Introduced Species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14-01-08
[25]
서적
Area of Old-growth Forests in California, Oregon, and Washington
https://catalog.hath[...]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1993-12-01
[26]
웹사이트
Paradise Fire
https://web.archive.[...]
2017-10-22
[27]
웹사이트
Current Fire Status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2
[28]
웹사이트
World Maps of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koeppen-geige[...]
[29]
웹사이트
Koppen climate classification: climatology
https://www.britanni[...]
2023-01-12
[30]
웹사이트
USDA Plant Hardiness Zone Map
https://planthardine[...]
USDA
2023-01-13
[31]
웹사이트
U.S. Climate Normals Quick Access – Station: Elwha RS, WA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2-12-10
[32]
웹사이트
xmACIS2
https://xmacis.rcc-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2-15
[33]
웹사이트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niversity
http://prism.oregons[...]
2019-07-15
[34]
웹사이트
Timeline of Human History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3-01-13
[35]
웹사이트
Olympic National Park Headquarters - Port Angeles WA
https://livingnewdea[...]
2021-08-06
[36]
웹사이트
Olympic National Park
https://www.historyl[...]
2021-11-26
[37]
서적
Olympic Battleground: The Power Politics of Timber Preservation
https://books.google[...]
Mountaineers Books
2000-08-31
[38]
뉴스
Wild Olympics wilderness expansion proposal falls short in Congress
https://www.seattlet[...]
2024-03-03
[39]
웹사이트
Boating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2-12-07
[40]
웹사이트
Fishing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1-11-06
[41]
웹사이트
Hurricane Ridge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42]
뉴스
Murray earmarks $80M to rebuild Hurricane Ridge Day Lodge
https://www.seattlet[...]
2024-03-03
[43]
웹사이트
Elwha River Restoration Project
https://www.usgs.gov[...]
U.S. Geological Survey
2022-03-04
[44]
웹사이트
Olympic Biosphere Reserv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en.unesco.or[...]
2023-02-14
[45]
웹사이트
Olympic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2023-04-27
[46]
웹인용
Olympic National Park: Directions
http://www.nps.gov/o[...]
National Park Service
2014-11-11
[47]
웹인용
The Economy of the Olympic Peninsula and Potential Impacts of the Draft Congressional Watershed Conservation Proposal
http://headwaterseco[...]
Headwaters Economics (Bozeman, Montana)
2014-11-11
[48]
웹인용
PRISM Climate Group, Oregon State University
http://prism.oregons[...]
2019-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