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지개송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지개송어는 농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북아메리카 태평양 유역이 원산지이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도입되어 양식 및 낚시 대상어로 활용된다. 다양한 아종이 존재하며, 담수형(레인보우 트라우트)과 바다로 나가는 강해형(스틸헤드)으로 구분된다. 무지개송어는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높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토착 어종과의 경쟁 및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는 외래종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일부 아종은 개체수 감소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용으로도 널리 이용되어 양식 기술이 발달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어속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연어속 - 산천어
    산천어는 몸길이 약 40cm로 검은 반점과 나뭇잎 모양의 얼룩무늬를 가지며, 맑고 차가운 물에서 서식하고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으며, 튀김, 소금구이 등으로 요리되고 지자체의 어류로 지정되기도 한다.
  • 캐나다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캐나다의 물고기 - 북대서양대구
    북대서양대구는 북대서양 북부에 서식하며 대구와 유사하나 위턱과 아래턱 길이가 거의 같고, 은색에 짙은 녹색을 띠며, 작은 눈과 곧은 측선을 가진 상업적 어획 대상 어종이다.
  • 1792년 기재된 물고기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1792년 기재된 물고기 - 돛새치
    돛새치는 몸길이가 최대 3.3m에 달하고 위턱이 뻗어 있으며 제1 등지느러미가 크게 발달한 어종으로, 체색 변화를 통해 사냥과 신호를 하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류를 먹고, 일부 지역에서 어획되거나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하며, 사육이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무지개송어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Oncorhynchus mykiss
명명자Walbaum, 1792
이전 학명Salmo mykiss Walbaum, 1792
Parasalmo mykiss (Walbaum, 1792)
Salmo purpuratus Pallas, 1814
Salmo penshinensis Pallas, 1814
Parasalmo penshinensis (Pallas, 1814)
Salmo gairdnerii Richardson, 1836
Fario gairdneri (Richardson, 1836)
Oncorhynchus gairdnerii (Richardson, 1836)
Salmo gairdnerii gairdnerii Richardson, 1836
Salmo rivularis Ayres, 1855
Salmo iridea Gibbons, 1855
Salmo gairdnerii irideus Gibbons, 1855
Salmo irideus Gibbons, 1855
Trutta iridea (Gibbons, 1855)
Salmo truncatus Suckley, 1859
Salmo masoni Suckley, 1860
Oncorhynchus kamloops Jordan, 1892
Salmo kamloops (Jordan, 1892)
Salmo rivularis kamloops (Jordan, 1892)
Salmo gairdneri shasta Jordan, 1894
Salmo gilberti Jordan, 1894
Salmo nelsoni Evermann, 1908
일반 정보
무지개송어 수중 촬영 클로즈업
성체 무지개송어
상태G5
상태 시스템TNC
영명Rainbow trout
일본어명니지마스 (虹鱒), 레인보트라우토 (육봉형), 텟토 (鉄頭), 테츠, 스치루헤도 (강해형)
특징
크기0.5 ~ 2.5 kg (1 ~ 5 lb)
최대 크기약 9 kg (20 lb)
서식
서식지담수
기타
워싱턴 주의 상징워싱턴 주의 상징

2. 분류

무지개송어의 학명은 ''Oncorhynchus mykiss''이다.[4] 1792년 독일 박물학자이자 분류학자인 요한 율리우스 발바움이 캄차카 반도에서 채집된 모식표본을 바탕으로 최초로 명명했다. 발바움이 붙인 종명 ''mykiss''는 캄차달어 ''mykizha''에서 유래했다. 속명은 그리스어 ''ὄγκος'' (''ónkos'') "덩어리, 굽음, 갈고리"와 ''ῥύγχος'' (''rhúnkhos'') "주둥이"에서 유래되었는데, 수컷의 번식기에 나타나는 갈고리 모양 턱을 가리킨다.[9]

1836년 스코틀랜드 박물학자 존 리처드슨 경은 컬럼비아 강의 포트 밴쿠버에서 근무하던 허드슨 베이 회사 의사 메러디스 게이드너를 기려 ''Salmo gairdneri''라는 이름을 붙였다.[5] 1855년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윌리엄 P. 기번스는[6] 한 개체군에 ''Salmo iridiala'' (라틴어: 무지개)라는 이름을 붙였다가 ''Salmo irideus''로 수정했다. 그러나 이 이름들은 발바움의 모식표본과 동종임이 밝혀지면서 우선성의 원칙에 따라 사라졌다.[7]

1989년,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태평양의 송어가 대서양의 ''Salmo'' 속 어종보다 Oncorhynchus 속인 태평양 연어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8] 이에 따라 무지개송어, 컷쓰로트 송어 등은 ''Oncorhynchus'' 속으로 이동되었고, 발바움의 이름이 우선권을 가져 ''Oncorhynchus mykiss''가 무지개송어의 학명이 되었다. 이전 종명 ''irideus''와 ''gairdneri''는 각각 해안 무지개송어와 컬럼비아 강 레드밴드 송어의 아종명으로 채택되었다.[9] 강하성 어류 형태의 해안 무지개송어 (''O. m. irideus'') 또는 컬럼비아 강 레드밴드 송어 (''O. m. gairdneri'')는 일반적으로 스틸헤드로 알려져 있다.[4]

2. 1. 아종

어류 생물학자 로버트 J. 벤크(2002)가 설명한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영어)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10]

지리적 그룹일반 명칭학명서식지이미지
형 아종캄차카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mykiss (Walbaum, 1792)서태평양: 캄차카 반도, 캄차카 동쪽의 코만도르 제도에서 기록되었으며, 오호츠크 해에서도 드물게 발견되며 아무르강 하구까지 분포한다.
연안형연안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irideus (Gibbons, 1855)알래스카의 알류샨 열도부터 남부 캘리포니아주까지의 태평양 지류. 강으로 돌아가는 형태는 스틸헤드로, 담수 형태는 무지개송어로 알려져 있다.


연안 무지개송어의 바다(일명 "스틸헤드") 및 담수 형태
O. m. irideus
비어즐리 송어Oncorhynchus mykiss irideus var. beardsleei (연안 무지개송어의 유전적으로 독특한 호수 거주 변종) (Jordan, 1896)[75]워싱턴주 크레센트 호수에 고립되어 있다.
레드밴드형컬럼비아강 레드밴드 송어Oncorhynchus mykiss gairdneri (Richardson, 1836)몬태나주, 워싱턴, 아이다호주컬럼비아강과 지류에서 발견된다. 강으로 돌아가는 형태는 레드밴드 스틸헤드로 알려져 있다.

컬럼비아강 레드밴드 송어
O. m. gairdneri
애서배스카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spp., 벤크는 Oncorhynchus mykiss gairdneri의 한 형태로 간주하지만, 1994년에 발표된 연구에서 온타리오 자원부 수생 생태계 연구 섹션의 생물학자 L. M. 칼과 동료들은 별개의 아종으로 간주했다.[11]애서배스카강 시스템의 원류 전체에 분포한다. 앨버타주
맥클라우드강 레드밴드 송어Oncorhynchus mykiss stonei (Jordan, 1894)샤스타산 남쪽, 캘리포니아주 북부의 맥클라우드강, 미들 폭포 상류 및 그 지류에 서식한다.
십헤븐 크릭 레드밴드 송어Oncorhynchus mykiss spp.캘리포니아주, 시스키유군의 십헤븐 크릭에 서식한다. 십헤븐 크릭 레드밴드는 1972년과 1974년에 스왐프 크릭으로, 1977년에는 트라우트 크릭으로 이식되었다.
그레이트 베이슨 레드밴드 송어Oncorhynchus mykiss newberrii (Girard, 1859)그레이트 베이슨 주변의 오리건주 남동부와 캘리포니아주 및 네바다주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이글 호수 송어Oncorhynchus mykiss aquilarum (Snyder, 1917)캘리포니아주, 라센군의 이글 호수 고유종이다.
캠룹스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kamloops strain (Jordan, 1892)특히 캠룹스 호수와 쿠테니 호수를 포함한 여러 개의 큰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호수에 서식한다. 매우 큰 크기로 알려져 있다.
번강 골든 송어골든 송어Oncorhynchus mykiss aguabonita (Jordan, 1892)골든 트라우트 크릭(번강 지류), 볼케이노 크릭(골든 트라우트 크릭 지류) 및 번강 남부 지류에 서식한다.

번강 골든 송어
O. m. aguabonita
번강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gilberti (Jordan, 1894)캘리포니아주, 툴라레군의 번강과 지류에 고유종이다. 현재 서식지는 역사적 서식지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다. 남은 개체군은 듀르우드 크릭 상류의 번강, 어퍼 나인마일, 래틀스네이크, 오사 크릭, 그리고 어퍼 페퍼민트 크릭에 서식한다.
리틀 번 골든 송어Oncorhynchus mykiss whitei (Evermann, 1906)캘리포니아주, 툴라레군의 리틀 번강과 지류에 고유종이다. 현재 서식지는 번강 유역의 5개 원류(웨트 메도우, 데드맨, 소다 스프링, 윌로우, 쉽, 피쉬 크릭)와 번강의 지류인 코요테 크릭에 이식된 개체군으로 제한되어 있다.[12]
멕시코형멕시코 무지개송어
*리오 야키, 리오 마요 및 구즈만 송어
*리오 산 로렌조 및 아로요 라 시드라 송어
*리오 델 프레시디오 송어
Oncorhynchus mykiss nelsoni (Evermann, 1908)넬슨 송어라고도 불리며, 세 개의 뚜렷한 지리적 그룹에서 발견된다. 이 송어의 분류는 진행 중인 연구의 대상이며, 이 그룹에는 상당한 형태적 다양성이 있을 수 있다.[13]
변이된 형태골든 무지개송어
또는
팔로미노 송어
소위 골든 무지개송어 또는 팔로미노 송어는 1955년 웨스트버지니아 어류 양식장에서 유래된 Oncorhynchus mykiss의 단일 변이된 색상 변종에서 사육된다.[14][15] 바나나 송어라고도 알려져 있다. 웨스트버지니아 밖에서도 방류되지만, 웨스트버지니아는 여전히 연간 5만 마리의 팔로미노를 방류하고 있다.[16] 골든 무지개송어는 전반적으로 황색을 띠며, 일반적인 녹색 바탕과 검은 반점이 없지만, 확산된 붉은 줄무늬는 유지한다.[15] 팔로미노 송어는 골든 무지개송어와 일반 무지개송어가 혼합되어 중간 색상을 띤다. 골든 무지개송어는 캘리포니아의 자연 발생 Oncorhynchus mykiss aguabonita, 번강 골든 송어와 같은 아종이 아니다.[15]

골든 무지개송어[17]


3. 형태

몸 전체에 뚜렷한 검은색 반점이 있으며, 아가미에서 꼬리 지느러미에 걸쳐 몸 측면에 붉은색 또는 적자색의 굵은 세로 줄무늬가 있다.[10] 번식기 수컷은 무지개색 광택을 띤다. 혼인색을 띄는 수컷은 매우 멋진 무지개색 광택이 발색하며, 영어 이름과 일본어 이름(虹鱒, ニジマス)은 여기서 유래했다. 프랑스어에서도 '무지개의 송어'를 의미하는 '트뤼이탈칸시엘(truite arc-en-ciel)'이라고 불린다.[10]

담수형(레인보우 트라우트)과 강해형(스틸헤드)은 크기와 외형이 다르다. 강해형은 바다에서 성장하여 더 크고 은색을 띤다.[125] 과거에는 이 둘을 다른 물고기로 생각했기 때문에 육봉형을 레인보우 트라우트, 강하형을 스틸헤드라고 불렀다. 강에 있는 일부 개체가 바다로 내려가기 위해 해양에 적응한 형태로 변태하는 것을 스몰트(은화)라고 하며, 이는 연어과 물고기 특유의 현상이다.

성어의 체장은 일반적으로 약 40cm 전후이지만, 큰 것은 60cm에서 120cm까지 성장하는 경우도 있다.[125] 담수 무지개송어 성어는 강 환경에서 평균 약 0.45kg에서 약 2.27kg 정도이며, 호수에 서식하는 개체와 회유성 개체는 약 9.07kg에 달할 수 있다. 색상은 지역과 아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성어 담수 형태는 일반적으로 몸 전체에 짙은 검은색 반점이 있는 청록색 또는 올리브 그린색을 띤다. 호수에 서식하는 개체와 회유성 개체는 보통 은색을 띠며 붉은색 줄무늬는 거의 사라진다. 어린 무지개송어는 대부분의 연어과 어린 개체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패르 마크(parr marks, 짙은 수직 막대)를 나타낸다.[18] 일부 레드밴드 및 골든 송어 형태에서는 패르 마크가 일반적으로 성어가 되어서도 유지된다.[18]

바다로 나가 다시 강으로 돌아온 스틸헤드


일부 해안 무지개송어(''O. m. irideus'')와 컬럼비아강 레드밴드 송어(''O. m. gairdneri'') 개체군 및 컷보우 잡종은 컷스로트 송어와 유사한 붉은색 또는 분홍색 목 부위를 나타낼 수 있다.[19] 많은 지역에서 양식장에서 길러진 송어는 지느러미 절단을 통해 토종 송어와 구별할 수 있다.[20] 기름 지느러미를 절단하는 것은 양식장에서 길러진 물고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관리 도구이다.[21]

속명 ''Oncorhynchus''는 연어류의 번식기에 코가 굽는 수컷의 형태에서 그리스어의 onkos(갈고리)와 rynchos(코)에서 유래하며, 종명 ''mykiss''는 독일인 박물학자 발바움이 분류에 사용한 캄차카 반도 동해안 앞바다의 코만도르스키예 제도산 표본과 현지어로 물고기를 의미하는 mykizha에서 유래했다.

4. 생태

담수 무지개송어는 주로 작고 산소가 풍부하며 얕은 강에서 자갈 바닥을 선호하며 서식한다. 이들은 충적토나 자유석(freestone streams)이 있는 강에 서식하는데, 이는 태평양 유역의 전형적인 지류이다. 다만 도입된 무지개송어는 암반 및 용천과 같은 다른 유형의 강에서 야생 개체군을 형성하기도 한다. 호수 무지개송어는 적절한 얕은 곳과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는 식물이 있는 중간 깊이의 시원한 호수에서 발견되며, 보통 자갈 바닥의 강에 접근하여 산란한다.[23]

무지개송어는 육식성으로, 수생 곤충, 조개류, 갑각류, 물속을 흘러가거나 물 표면에 떨어지는 작은 곤충, 다른 물고기의 이나 작은 물고기, 지렁이 등을 먹는다. 사육 환경에서는 빵, 카스텔라, 오징어 젓갈, 감자 칩, 배합 사료, 남은 음식 등도 먹는다.

4. 1. 분포

무지개송어의 기종과 그 아종의 자연 분포역은 캄차카 반도에서 북아메리카 대륙 서안(태평양 연안)의 알래스카, 캐나다, 미국 서부멕시코 북서부 일부이다.[41] 본 종은 기본적으로 일생을 담수에서 보내는 하천 잔류형 어류이지만, 강하와 하천 역상(遡上)을 반복하는 개체도 있다.

강하형 개체의 자연 분포역


무지개송어는 해수 적응이 가능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는 기수역이나 바다로 내려가는 개체도 있으며, 다른 연어류처럼 바다를 회유하며 하천으로 역상한다. 강하형 개체는 특히 크게 성장하기 쉽고, 전장 1.2m, 체중 25kg 정도의 기록도 있다. 머리 윗면이 검어지는 것에서, 일본에서는 '''텟토'''(鉄頭)・'''테츠''', 영어로는 '''스틸헤드'''(Steelhead) 등으로 불린다. 이 개체가 산지 주변의 강을 역상하는 경우가 있다. 테츠는 홋카이도시레토코반도 주변의 바다에서 포획(어획)되는 경우가 있지만, 회유 범위 등 해양에서의 생태는 충분히 해명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호수나 댐호 등에서 크게 성장하여 은화한 하천 잔류형(육봉형) 무지개송어도, 육봉형 및 강하형을 불문하고 스틸헤드라고 불린다.

일본에서의 역사는 세키자와 아키요시가 1877년(메이지 10년)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도입한 것이 최초로 알려져 있다.[134] 이후, 각지의 계류와 용수 지역에서 양식 및 방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 개체 중 일부가 홋카이도 시레토코 반도, 마슈호, 호로나이강[135] 등과 같은 일부 지역[136]에서 자연 상태로 정착한 외래종이 되었다. 캘리포니아로부터의 여러 차례의 도입을 통해 원산지의 유전적 다양성을 계승하고 있다.[137]

4. 2. 생활사

무지개송어는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1월에서 6월, 남반구에서는 9월에서 11월 사이, 수온이 약 5.6°C에서 약 6.7°C 이상으로 올라가는 이른 봄에서 늦봄에 산란한다.[33] 기록된 무지개송어의 최대 수명은 11년이다.[22]

산란 장소는 일반적으로 웅덩이 위의 여울에 있는 가는 자갈밭이다. 암컷 송어는 옆으로 누워 꼬리를 위아래로 움직여 자갈에 레드(산란 둥지)를 만든다. 암컷 무지개송어는 보통 체중 1kg당 4to(-) 크기의 알을 2000~3000개 낳는다.[24] 산란 시 알은 자갈 사이로 떨어지고, 암컷은 둥지 상류 가장자리를 파서 알을 옮겨진 자갈로 덮는다.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이 옆으로 이동하여 알 위에 이리(정자)를 뿌려 수정한다. 알은 보통 약 4~7주 후에 부화하지만, 부화 시기는 지역과 서식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갓 부화한 송어는 유생 또는 앨빈이라 불린다. 약 2주 후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면 치어는 주로 동물플랑크톤을 먹기 시작한다. 무지개송어의 성장 속도는 지역, 서식지, 생활사, 먹이의 질과 양에 따라 달라진다.[25] 치어가 자라면서 측면에 "패럴" 마크(어두운 수직 줄무늬)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어린 단계의 미성숙한 송어는 이러한 표식 때문에 종종 "패럴"이라고 불린다.

자갈 속의 알과 무지개송어 앨빈


연어 회귀(바다로 나가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형태)는 산란을 위해 원래 부화한 곳으로 돌아간다. 연어와 비슷하지만, 스틸헤드는 반복 산란을 한다. 즉, 몇 달 간격으로 여러 번 산란할 수 있다. 담수와 해수를 오가며 여러 번 산란하지만, 한 번의 산란에서 다음 산란까지 살아남는 자연 산란 성어는 10% 미만이다.[29] 오대호에 도입된 개체군의 생존율은 70%에 달한다. 어린 스틸헤드가 담수에서 해수로 이동할 때 "스몰트화"라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송어가 해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생리학적 변화를 겪는 것이다.[30]

어린 스틸헤드는 스몰트화되어 바다로 이동하기 전에 1~3년 동안 강에 머물 수 있다. 개별 스틸헤드 개체군은 일 년 중 다른 시기에 바다를 떠나 담수 산란 지류로 이동한다. "여름형 스틸헤드"와 "겨울형 스틸헤드"의 두 가지 일반적인 형태가 있다. 여름형 물고기는 5월과 10월 사이에 생식 기관이 완전히 성숙되기 전에 바다를 떠나 산란지로 가는 동안 담수에서 성숙하며 봄에 산란한다. 겨울형 물고기는 바다를 떠날 때 산란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보통 11월에서 4월 사이에 담수로 돌아온 직후 산란한다. 스틸헤드가 강에 들어가 적절한 산란장에 도달하면, 서식하는 담수 무지개송어와 마찬가지로 산란한다.[33]

번식 시기는 서식 수온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가을의 고수온은 산란을 늦추지만 비교적 따뜻한 지역에서는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번식 행동이 이루어진다.[126][127] 저수온 지역(예: 마슈 호에서는 6월에 산란)에서는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번식 행동이 이루어진다.[127] 또한, 드물게 양식 환경에서는 연 2회 산란을 하는 개체도 있다.[127] 태어난 지 2~4년 사이에 성숙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연어 속 어류(시로자케 등)와는 달리, 성숙 후 1회의 번식 행동으로 죽지 않고 수년에 걸쳐 번식 행동을 한다.

5. 인간과의 관계

무지개송어는 낚시꾼들에게 인기 있는 어종이다. 플라이 낚시, 루어 낚시, 미끼 낚시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특히 낚시에 걸렸을 때 강하게 저항하는 특성 때문에 많은 낚시꾼들이 무지개송어를 선호한다.[105] 북미에서는 5대 스포츠 피시 중 하나로 꼽히며, 로키 산맥 서부에서는 가장 중요한 낚시 대상 어종이다.[25]

낚시꾼이 무지개송어를 들고 있는 사진
무지개송어는 플라이 낚시꾼들에게 인기 있는 대상어이다.


무지개송어는 서양 요리에서 인기 있는 식재료이며, 자연산과 양식 모두 섭취된다. 살이 부드럽고 맛이 순하며 약간 견과류 맛이 난다.[119] 자연산은 양식보다 더 강하고, 사냥감 같은 맛이 난다고 알려져 있다.[57] 한국에서는 송어회, 송어 튀김, 송어 매운탕 등 다양한 요리로 즐겨 먹는다. 특히, 강원도 평창 등 일부 지역에서는 송어 축제가 열릴 정도로 인기가 높다.

접시에 담긴 생선 필레 사진
무지개송어와 감자


앞쪽은 펼친 것. 뒤쪽 왼쪽은 필레의 훈제. 오른쪽은 마리네.


무지개송어는 건어물[164]이나 훈제 등 다양한 가공품으로도 섭취된다. 일본에서는 JR마이바라역의 "원조 마스 스시", JR신야마구치역의 "마스 스시" 등 무지개송어를 식재료로 사용한 역 도시락이 있다.

무지개송어는 때때로 수질을 나타내는 생물 지표정수 시설에서 사용되기도 한다.[113]

무지개송어가 정수 시설에 있음

5. 1. 양식

무지개송어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상업적으로 양식된다. 19세기 말부터 양식이 시작되었고,[52] 1950년대 이후 상업적 생산이 급격히 증가했다.[53] 2007년 기준 전 세계 양식 무지개송어는 604695ton으로, 약 26억달러의 가치를 지녔다.[53] 최대 생산국은 칠레이며, 칠레와 노르웨이에서는 스틸헤드(steelhead)의 해상 가두리 양식이 수출 시장을 위해 확장되었다.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덴마크, 스페인 등에서는 내륙 양식을 통해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주요 생산국으로는 미국, 이란, 터키,[54] 영국,[53] 레소토 등이 있다.[55]

1950년부터 2022년까지 FAO가 보고한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전 세계 양식 생산량(백만 톤)


미국 생산량의 약 4분의 3은 스네이크 강 지역을 포함한 아이다호에서 나오는데,[52] 이는 수질과 수온이 좋기 때문이다.[57] 캘리포니아와 워싱턴에서도 상당량의 양식 송어가 생산된다. 동부에서는 펜실베이니아, 노스캐롤라이나, 웨스트버지니아에서 양식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52][119] 무지개송어 양식은 미국에서 가장 큰 지느러미 어류 양식 산업 중 하나이며,[52] 오염이 적고 탈출 위험이 낮은 유수식 수로 또는 연못 시설에서 내륙 양식이 이루어진다. 미국 산업은 최우수 관리 관행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6] 미국 내 판매되는 양식 무지개송어의 약 15%만이 수입이며, 국내 생산량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소비된다. 미국은 전 세계 양식 송어의 약 7%를 생산한다.[52]

미국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국 어류 부화장


최근에는 유전자 선택을 통해 완전 채식 식단으로 공급할 수 있는 무지개송어 종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미국 농무부 연구 유전학자 켄 오버터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자연적인 유전적 변이를 통해 100% 식물성 식단으로 사육 가능한 무지개송어를 생산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59]

일본의 경우 1926년(다이쇼 15년) 나가노현에서 양식이 시작되었으며,[16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야마가타현, 나가노현, 시즈오카현 등에서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73년 환율 변동 이전에는 미국과 캐나다에 수출도 하였으나, 이후 국내 소비용으로 전환되었다. 2015년 기준 시즈오카현,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등이 주요 생산지이다.

2015년 일본 농림수산성 양식 무지개송어 생산량[158]
순위도도부현생산량 (톤)
1시즈오카현1,077
2나가노현767
3야마나시현702
4도치기현309
5니가타현218
6기후현201
7아이치현164
8홋카이도161
9미야기현146
10군마현130


5. 1. 1. 한국의 양식 역사

1965년 미국에서 수정란을 들여와 양식을 시작했다.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양식이 확대되었다. 현재는 전국 각지에서 양식 및 방류가 이루어지고 있다.[161]

5. 2. 교잡종

다른 연어·송어류와의 교잡종이 연구되어 양식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잡은 식미 향상, 고성장률, 내병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양식 과정에서 교잡종이 자연 생태계로 유출될 경우, 유전자 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3배체 암컷을 이용하는 등 불임화 기술이 적용된다.[138][139][140]

실제 제작 예는 다음과 같다.

; 교잡종

  • 기누히메 연어: 호우라이마스 ♀와 곤들매기 ♂ 또는 산천어 ♂를 교배한 삼배체. 아이치현 수산 시험장에서 제작. 부계에 산천어를 가진 약칭 니지아마와, 부계에 곤들매기를 가진 약칭 니지이와의 2가지 타입이 있지만, 주로 니지아마라고 불리는 종이 유통된다.[147]
  • 신슈 연어: 무지개송어 사배체 ♀와 브라운 트라우트 가짜 ♂를 교배한 삼배체. 나가노현 수산 시험장에서 제작. 무지개송어와 브라운 트라우트 양쪽의 좋은 점을 물려받은 일대 잡종(F1)으로 번식력이 없다. 식용으로만 사용 가능하며, 낚시터 방류 및 현외 유통이 금지되어 지역 브랜드로 추진 중이다.[148][149]
  • 록 트라우트, 록 서먼, 우오누마 미유키 마스: 무지개송어 ♀와 아메마스 가짜 ♂를 교배한 전 암컷 삼배체. 니가타현 내수면 수산 시험장에서 제작. "우오누마 미유키 마스"는 니가타현 무지개송어 조합의 상표 등록이다.[150]
  • 후지의 스케: 무지개송어 ♀와 킹 연어 가짜 ♂의 교잡종. 야마나시현 수산 기술 센터에서 제작하여 지역 브랜드화를 실시하고 있다.[151][152][153]
  • 배수체 무지개송어의 전 암컷 삼배체 (전 암컷: 모두 암컷): 야시오마스(도치기현 내에서 생산된 개체), 은하 연어(홋카이도카미카와군카미카와정의 양식업자), 사사가와 마스(니가타현무라카미시의 양식업자), 알프스 연어(나가노현 이다시의 양식업자)

5. 3. 외래종 문제

무지개송어는 도입된 지역에서 토착 어종과 경쟁하거나 유전자 오염을 일으켜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69] 특히 컷스로트송어가 서식하는 수역에 도입된 양식 무지개송어는 컷스로트송어와 교배하여 '커트보우'라는 번식력이 있는 잡종을 낳는다.[69] 웨스트슬로프 컷스로트송어의 경우, 도입된 무지개송어 및 옐로스톤 컷스로트송어와의 교배로 인해 유전체적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70]

일본에서는 1877년 세키자와 아키요시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처음 도입한 이후,[134] 각지에서 양식 및 방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 상태로 정착하여 외래종이 되었다.[136] 무지개송어가 산란장을 형성할 때 토착종인 열목어 등의 산란장을 파헤치거나 먹이 경쟁을 하여 생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태계 피해 방지 외래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28] 그러나 현재도 공적 기관 주도로 양식 사업을 위해 일본 각지에 도입되고 있으며, 일부 낚시 단체가 사적으로 방류하는 경우도 있다.[154] 홋카이도에서는 1920년 시코츠호에 방류된 것을 시작으로 현재 72개 수계에 정착해 있으며,[155] 시레토코 반도의 몇몇 하천에서는 무지개송어의 침입으로 인해 토착종인 시로코마가 서식지를 빼앗겨 생존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156] 혼슈 이남의 많은 하천에서는 방류해도 정착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있지만, 세계의 침략적 외래종 최악의 100 및 일본의 침략적 외래종 최악의 100에 모두 선정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무지개송어는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최소 45개국에 식용 또는 유어용으로 이식되었으며, 미국, 남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토착 연어류 및 아종을 위협하고 있다.

5. 3. 1. 한국의 외래종 문제

무지개송어는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지역에서 토착 어종과의 경쟁이 확인되고 있다.[69] 특히 멸종 위기 종인 열목어 서식지에 무지개송어를 방류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TU와 같은 여러 비영리 단체가 원산 무지개송어 및 스틸헤드 개체군을 보호, 보존, 복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63] 이러한 단체들은 시민단체, 전문가 등과 협력하여 서식지 복원, 서식지 손실 방지, 원산 송어 개체군에 대한 위협 인식 제고 등의 프로젝트를 후원한다.[64]

더불어민주당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무지개송어와 관련된 생태계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5. 4. 보존

Trout Unlimited영어(TU)는 북미 담수 하천 및 관련 고지대 서식지를 송어, 연어, 기타 수생 생물 및 사람들을 위해 보존하는 비영리 단체이다.[63] TU의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서식지 복원, 서식지 손실 방지, 원산 송어 개체군에 대한 위협 인식 제고를 위한 서클 크릭 어도 프로젝트가 있다.[64] 와일드 연어 센터(Wild Salmon Center)는 러시아, 캐나다, 미국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 연합으로, 러시아 적색 자료집(Red Data Book of Russia)에 등재된 캄차카 스틸헤드("미키자")의 현황을 연구하고 보존하기 위한 20년(1994–2014) 과학 프로그램인 캄차카 스틸헤드 프로젝트를 후원한다.[65] 이외에도 무지개송어 보존에 관련된 주요 단체로는 캘리포니아 물에서 야생 송어 및 기타 연어과 어류를 보호하는 캘리포니아 송어(California Trout),[66]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야생 연어과 안녕을 증진하는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스틸헤드 협회가 있다.[67] 1997년에는 미국 및 멕시코 기관의 어류학자, 생물학자, 박물학자 약 40명이 협력 그룹인 트루차스 멕시카나스(Truchas Mexicanas)를 결성하여 대부분 ''O. mykiss''영어의 아종으로 간주되는 멕시코 원산 송어의 다양성을 연구했다.[68]

연어형을 포함한 많은 무지개송어 아종의 개체수는 과도한 포획, 서식지 손실, 질병, 침입종, 오염, 다른 아종과의 잡종화로 인해 원산지에서 감소했으며, 한때 건강했던 일부 도입된 개체군도 같은 이유로 감소했다. 그 결과, 특히 원산지 내 연어형을 포함한 일부 무지개송어 개체군은 연방 또는 주 기관에 의해 멸종 위기 종, 위협받는 종, 특별 관리 대상 종으로 분류되었다.[61] 무지개송어 및 그 아종은 현재 미국 환경 보호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이 승인한 급성 담수 독성 검사의 지표 종이다.[62]

스틸헤드는 자연 및 인위적 요인에 의해 서식지 일부에서 개체수가 감소했다. 알래스카와 브리티시 컬럼비아 해안을 따라 서식하는 개체군은 건강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캄차카와 미국 서부 해안 일부 개체군은 감소 추세에 있다. 미국 국립 해양 어업국은 워싱턴 주, 오리건 주, 캘리포니아에 15개의 개별 개체군을 식별했다. 이 개체군 중 11개는 미국 멸종 위기 종 보호법에 따라 위협종, 10개는 위협받는 종, 1개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지정되었다.[97] 오리건 해안의 개별 개체군 중 하나는 미국의 관심 대상 종으로 지정되었다.[97][98]

2011년에 멸종 위기로 지정된 남부 캘리포니아의 개별 개체군은 댐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 콘크리트 채널 내 하천 제한, 수질 오염, 지하수 펌핑, 도시 열섬 효과, 기타 도시화의 부산물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99] 캄차카 반도의 스틸헤드는 특히 불법 어로 및 잠재적인 개발로 인해 남획의 위협을 받고 있으며, 희귀 및 멸종 위기 종을 기록하는 ''러시아 적색 자료집''에 등재되어 있다.[100]

참조

[1] 웹사이트 Rainbow Trout https://explorer.nat[...] 2016-05-10
[2] 웹사이트 Synonyms of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http://www.fishbase.[...] Fishbase 2014-02-06
[3] 웹사이트 Symbols of Washington State http://www.leg.wa.go[...] Washington State Legislature 2013-11-29
[4]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5] 웹사이트 Fauna Boreali-Americana, or, The Zoology of the Northern Parts of British America: Containing Descriptions of the Objects of Natural History Collected on the Late Northern Land Expeditions, Under Command of Captain Sir John Franklin, R.N. (1829) Part Third: The Fish https://archive.org/[...] Richard Bentley
[6] 웹사이트 Invertebrate Zoology and Geology http://research.cala[...]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13-12-16
[7] 논문 Relationships of the Far Eastern Trout, ''Salmo mykiss'' Walbaum
[8] 논문 The Classification and Scientific Names of Rainbow and Cutthroat Trouts https://deepblue.lib[...]
[9]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10]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11] 웹사이트 Status of the Athabasca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n Alberta http://esrd.alberta.[...] Government of Alberta-Fish and Wildlife Division 2013-11-29
[12] 웹사이트 Little Kern Golden Trout http://caltrout.org/[...] California Trout 2014-01-02
[13] 논문 Mexican native trouts: A Review of Their History and Current Systematic and Conservation Status https://webspace.ute[...]
[14] 뉴스 50 Years Later, Golden Rainbows Still 'a Treat' for Mountain State Fishermen https://www.wvgazett[...] 2013-05-11
[15] 웹사이트 Golden Rainbow Trout http://www.fish.stat[...] Pennsylvania Fish and Boat Commission FAQ 2013-11-28
[16] 웹사이트 Palomino Trout: The Lure of the Golden Mutants https://www.outdoorl[...] Outdoor Life 2023-04-17
[17] 웹사이트 Golden Rainbow Trout http://www.thejump.n[...] 2013-11-28
[18]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19]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20] 웹사이트 Rainbow Trout Fin Clips http://www.minnesota[...] Minnesot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13-12-30
[21]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Fin Clip Fishery in Hills Creek Reservoir https://nrimp.dfw.st[...] Oreg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13-12-01
[22] 웹사이트 List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records for ''Oncorhynchus mykiss'' http://www.fishbase.[...] Fishbase 2014-02-23
[23] 웹사이트 Steelhead Fishing in Lake Erie Tributaries http://www.dec.ny.go[...]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2014-02-03
[24] 논문 Mechanisms Controlling Egg Size and Number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25] 웹사이트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ttp://www.fws.gov/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0-05
[26] 웹사이트 Wisconsin Trout Fishing: Trout Stream Classifications http://dnr.wi.gov/to[...] Wisconsi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14-01-03
[27] 웹사이트 Steelhead/Rainbow Trout Species Profile http://www.adfg.alas[...]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2013-08-26
[28] 웹사이트 Mariculture in Tasmania Ocean Trout http://www.mesa.edu.[...] Marine Education Association of Australasia 2014-02-23
[29]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30] 논문 The Genetic Basis of Smoltification-Related Traits in ''Oncorhynchus mykiss'' 2008-07
[31] 논문 Evaluating Adaptive Divergence Between Migratory and Nonmigratory Ecotypes of a Salmonid Fish, ''Oncorhynchus mykiss'' 2013-08
[32] 웹사이트 Recreational Salmon Fishing Salmon/Steelhead Species Information Steelhea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ttp://wdfw.wa.gov/f[...]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14-01-07
[33]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34] 논문 Growth negatively impacts the life span of mammals 2002
[35] 논문 Increased susceptibility to oxidative damage as a cost of accelerated somatic growth in zebrafinches 2007
[36] 논문 Early-age changes in oxidative stress in brown trout, Salmo trutta 2010
[37] 논문 Age-related changes in mitochondrial membrane composi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heart and brain 2012
[38] 웹사이트 Oncorhynchus mykiss (Coast rainbow trout) https://animaldivers[...]
[39] 논문 Predation and ingestion of a barred grass snake Natrix helvetica by a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n Lot, France http://www.stevenall[...] 2021
[40] 웹사이트 BC Fish Facts-Steelhead http://www.env.gov.b[...]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isheries 2013-11-28
[41]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42]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43] 서적 Nonindigenous Fishes Introduced into Inland Waters of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American Fisheries Society
[44] 웹사이트 A Century of Fish Conservation (1871–1971) http://nctc.fws.gov/[...]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9-05-21
[45] 서적 About Trout: The Best of Robert J. Behnke from Trout Magazine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46] 웹사이트 Fish and Aquatic Conservation http://www.fws.gov/f[...]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3-11-28
[47] 웹사이트 Conservation-Salmon Hatcheries Overview http://wdfw.wa.gov/h[...] Washington Department of Fish and Wildlife 2013-11-28
[48] 웹사이트 The Cherokee Tribal Fish Hatchery http://www.ourstate.[...] Our State magazine 2013-11-28
[49] 웹사이트 Trout Profile http://www.agmrc.org[...] Agricultural Resource Marketing Center 2013-11-29
[50] 웹사이트 Farmed Rainbow Trout / Steelhead Salmon http://www.agr.gc.ca[...]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2014-08-12
[51]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52] 웹사이트 Seafood Watch Report: Farmed Rainbow Trout http://www.seafoodwa[...] Monterey Bay Aquarium 2014-01-06
[53] 웹사이트 Cultured Aquatic Species Information Programme: Oncorhynchus mykiss (Walbaum, 1792)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2014-01-09
[54] 웹사이트 Turkey produces freshwater and seawater farmed rainbow trouts https://www.tridge.c[...] Tridge 2024-03-17
[55] 뉴스 Trout farming in land-locked Lesotho is an export success https://www.bbc.com/[...] 2014-11-02
[56] 웹사이트 Seafood Watch: Rainbow Trout http://www.seafoodwa[...] Monterey Bay Aquarium 2014-01-06
[57] 뉴스 Trout as Wild as All Outdoors, Almost https://www.nytimes.[...] 2014-01-06
[58] 웹사이트 Enteric Redmouth Disease of Salmonids LSC http://www.lsc.usg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59] 웹사이트 Vegan rainbow trout could hit market soon https://www.aquacult[...] 2021-10-06
[60] 웹사이트 Fact Sheet-Oncorhynchus mykiss https://nas.er.usgs.[...] U.S. Geological Survey 2013-11-30
[61] 웹사이트 Species Profile: Steelhead http://ecos.fws.gov/[...]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3-11-29
[62] 웹사이트 Whole Effluent Toxicity http://water.epa.gov[...]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3-11-29
[63] 서적 Deep Trout: Angling in Popular Culture Berg
[64] 웹사이트 Circle Creek Fish Passage Project http://www.tu.org/tu[...] Trout Unlimited 2014-01-04
[65] 웹사이트 Steelhead Project Report http://www.wildsalmo[...] Wild Salmon Center 2013-12-01
[66] 웹사이트 About Us http://caltrout.org/[...] California Trout 2013-12-01
[67]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steelhead[...] The Steelhead Society of British Columbia 2013-12-01
[68] 웹사이트 Truchas Mexicanas http://truchasmexica[...] 2014-02-12
[69] 논문 Weight, Length, and Growth in Cutbow Trout (O. m. x clarkii) http://precedings.na[...] 2014-01-04
[70] 논문 Intercrosses and the U.S. Endangered Species Act: Should Hybridized Populations be Included as Westslope Cutthroat Trout? http://academic.regi[...] 2014-01-12
[71] 간행물 Montana's Redband Trout http://fwp.mt.gov/mt[...] Montana Fish, Wildlife & Parks 2013-11-29
[72] 간행물 Trouts of the Upper Kern River Basin, California, with Reference to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Western North American Salmo
[73] 웹사이트 Kern River Rainbow Trout http://caltrout.org/[...] Cal Trout 2014-03-03
[74] 웹사이트 California Golden Trout http://caltrout.org/[...] Cal Trout 2014-03-03
[75] 간행물 Summary of Fisheries and Limnological Data for Lake Crescent, Washington
[76] 웹사이트 Whirling Disease Initiative: Final Report http://whirlingdisea[...] Montana Water Center, Montana State University 2009-10
[77] 웹사이트 Trout impact on distributional patterns of native fish species http://blogs.sun.ac.[...] 2021-09-20
[78] 웹사이트 Whirling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 A Summary of Progress in Research and Management 2009 http://fwp.mt.gov/fw[...] Whirling Disease Foundation, Trout Unlimited 2013-12-31
[79] 문서 Whirling Disease in Feral Trout Populations in Colorado Colorado Cooperative Fish and Wildlife Research Unit 1996-02-06
[80] 문서 Whirling Disease – the Montana Experience, Madison River Colorado Cooperative Fish and Wildlife Research Unit 1996-02-06
[81] 웹사이트 What Is Whirling Disease? http://www.ncrac.org[...] North Central Regional Aquaculture Center and Michigan State University Extension 2004-12
[82] 웹사이트 Scientific Breakthrough Helps Combat Trout Disease http://www.fws.gov/m[...]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Whirling Disease Foundation News Release 1997-01-13
[83] 웹사이트 Montana's Wild Trout http://www.montanatr[...] The Trout Conservancy
[84] 간행물 Whirling Disease and Salmonid Fish: Life Cycle, Biology, and Disease
[85] 웹사이트 Datasheet: Potamopyrgus antipodarum (New Zealand mudsnail) https://www.cabi.org[...]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 2012-12-04
[86] 간행물 First Record of the New Zealand Mud Snail ''Potamopyrgus antipodarum'' (Gray 1843) from Iraq: the Start of Expansion to Western Asia? http://www.aquaticin[...]
[87] 간행물 Northern Range Expansion and Coastal Occurrences of the New Zealand Mud Snail ''Potamopyrgus antipodarum'' (Gray, 1843) in the Northeast Pacific https://www.research[...]
[88] 웹사이트 New Zealand Mudsnail: Potamopyrgus antipodarum http://cars.er.usgs.[...] 2006-05-04
[89] 간행물 Poor growth of rainbow trout fed New Zealand mud snails ''Potamopyrgus antipodarum'' 2008
[90] 웹사이트 "Potamopyrgus antipodarum" https://nas.er.usgs.[...] U.S. Geological Survey 2013-05-25
[91] 웹사이트 Aquatic Nuisance Project Fact Sheet: New Zealand Mudsnail (Potamopyrgus antipodarum) http://www.aquaticnu[...] Aquatic Nuisance Species Project 2014-01-03
[92] 웹사이트 DPIPWE - Didymo (Rock Snot) http://dpipwe.tas.go[...] Tasmania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2014-08-12
[93] 웹사이트 Is Didymo an Exotic Species? http://www.biosecuri[...] Biosecurity New Zealand 2007-08
[94] 웹사이트 Invasive Aquatic Species-Didymo https://www.invasiv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3-12-16
[95] 간행물 MFR Paper 1296 Enteric Redmouth Disease (Haggerman Strain) http://spo.nmfs.noaa[...] 1978-03
[96] 웹사이트 Native Trout Are Returning to America's Rivers http://www.smithsoni[...] 2016-05-03
[97] 웹사이트 Steelhead Trout (Oncorhynchus mykiss) http://www.nmfs.noaa[...] NOAA Fisheries, Office of Protected Resources 2013-11-28
[98] 웹사이트 Appendix D Evolutionarily Significant Units, Critical Habitat, and Essential Fish Habitat http://www.water.ca.[...] California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2013-11-29
[99] 웹사이트 South-Central/Southern California Coast Steelhead Recovery Planning Domain 5-Year Review: Summary and Evaluation of Southern California Coast Steelhead Distinct Population Segment http://www.westcoast[...]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12-03
[100] 웹사이트 Bountiful Breed: Kamchatka Siberia's Forbidden Wilderness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ystem (PBS) 2013-12-04
[101] 간행물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Ancestry of Oncorhynchus mykiss Populations Above and Below Dams in South-central California http://www.westcoast[...] 2014-01-03
[102] 보고서 Population Genetics of Oncorhynchus mykiss in the Santa Clara Valley Region, Final Report to the Santa Clara Valley Water District Santa Clara Valley Water District 2008-03
[103] 간행물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Diversity of Trout (Oncorhynchus mykiss) Above and Below Natural and Man-made Barriers in the Russian River, California http://cahatcheryrev[...] 2011-06-12
[104] 간행물 Behavioral Interactions Among Hatchery-reared Steelhead Smolts and Wild Oncorhynchus mykiss in Natural Streams
[105] 서적 The Fisherman's World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06] 논문 Under the Guise of 'Treaty Rights:' The Nez Perce Tribe of Idaho, Steelhead, and Gillnetting https://web.archive.[...] 2014-01-05
[107] 웹사이트 100 of the World's Worst Invasive Alien Species http://www.issg.or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ISSG) of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2013-11-28
[108] 서적 The Living River: A Fisherman's Intimate Profile of the Madison River Watershed—Its History, Ecology, Lore and Angling Opportunities Nick Lyons Books
[109] 서적 The Yellowstone Fly-Fishing Guide https://books.google[...] The Globe Pequot Press
[110] 서적 Fifty Places to Fly Fish Before You Die: Fly Fishing Experts Share The World's Greatest Destinations https://archive.org/[...] Harry M. Abrams Inc
[111] 웹사이트 Fishing New York's Great Lakes https://web.archive.[...]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2013-11-28
[112] 간행물 48-Pound Trout: World Record or Genetic Cheat? https://www.wired.co[...] 2009-09-15
[113] 보고서 Use of rainbow trout for checking water inflowing to th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plants https://web.archive.[...] Jihoceska Univerzita 2001
[114] 서적 Trout Maverick Lyons & Burford
[115] 웹사이트 The 5 Safest Fish to Eat – Salmon, Tilapia, Rainbow Trout, and More http://www.babble.co[...] Disney 2010-09-16
[116] 웹사이트 §87-6-206, Montana Code Annotated https://web.archive.[...] Montana Legislative Services 2014-01-06
[117] 웹사이트 §87-6-707, Montana Code Annotated https://web.archive.[...] Montana Legislative Services 2014-01-06
[118] 웹사이트 §87-6-101, Montana Code Annotated https://web.archive.[...] Montana Legislative Services 2014-01-06
[119] 웹사이트 Dependable, Delectable Rainbow Trout http://www.sallybern[...] Sally's Place 2013-11-28
[120] 웹사이트 Pairing Wine with Fish http://winefolly.com[...] Wine Folly 2013-05-20
[121] 뉴스 Rainbow trout can now be called salmon in China https://www.bbc.com/[...] 2018-08-14
[122] 뉴스 China rules rainbow trout can now be sold as salmon, in attempt to reduce counterfeit fish sales https://www.independ[...] 2018-08-14
[123] 뉴스 Very fishy: China rules rainbow trout can be sold as salmon https://www.theguard[...] 2018-08-14
[124] FishBase
[125] 서적 魚 小学館 2003-03
[126] 웹사이트 ニジマス - 東京都島しょ農林水産総合センター http://www.ifarc.met[...]
[127] 논문 産卵後の異なる水温環境における年2回産卵系ニジマスの成熟について 茨城県内水面水産試験場
[128] 웹사이트 要注意外来生物リスト:魚類(詳細) https://www.env.go.j[...] 環境省 自然環境局 野生生物課 外来生物対策室
[129] 웹사이트 Heritage and Wild Trout Program http://www.dfg.ca.go[...] Californi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130] 서적 Trout and Salmon of North America The Free Press
[131] 논문 Mexican native trouts: A Review of Their History and Current Systematic and Conservation Status https://webspace.ut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2] 문서 同属の[[タイワンマス]]の生息域もほぼ同緯度である。
[133] 논문 サケ科魚類のプロファイル-18 交雑魚 http://salmon.fra.af[...] 国立研究開発法人水産研究・教育機構 北海道区水産研究所 2020-03
[134] 웹사이트 日本のサケマス養殖の歴史 http://www.food.maru[...] マルハニチロホールディングス
[135] 논문 北海道幌内川において自然繁殖したニジマスの採餌および繁殖生態 https://agriknowledg[...] 日本水産學會
[136] 문서 なお、[[本州]]でも、富山県の[[立山連峰]]の[[立山カルデラ]]内にある[[泥鰌池]]や[[常願寺川]]水系の小口川の上流部にある[[祐延ダム]]のダム湖・祐延貯水池などのようないくつかの河川・湖沼やダム湖などにおいては、過去に放流された本種が自然繁殖を繰り返し定着している例がある。
[137] 웹사이트 高橋洋:AFLP法に基づく日本に定着したニジマスとテラピアの集団構造分析 https://www.esj.ne.j[...] 日本生態学会
[138] 웹사이트 試験研究は今 NO.183 http://www.fishexp.p[...] 北海道立水産試験場
[139] 논문 ニジマス四倍体との交雑による異質三倍体の作出 https://agriknowledg[...] 長野県水産試験場
[140] 웹사이트 バイテク魚の養殖特性に関する研究 https://agriknowledg[...]
[141] 서적 サケマス・イワナのわかる本 山と溪谷社 2012-07
[142] 논문 倍数体育種技術を用いたホウライマス(無斑ニジマス)の商品性向上に関する研究
[143] 간행물 ホウライマス (無斑ニジマス) の養殖について
[144] 간행물 雌性発生法による無斑遺伝子ホモ型無斑ニジマス (ホウライマス) の効率的作出
[145] 웹사이트 群馬の最高級ニジマスギンヒカリ - 群馬県ホームページ(蚕糸園芸課) https://www.pref.gun[...] 2009-04-26
[146] 웹사이트 遊漁用ニジマス ハコスチ - 群馬県ホームページ(蚕糸園芸課) https://www.pref.gun[...] 2020-02-04
[147] 웹사이트 絹姫サーモンとは? http://www.tansui.ne[...] 愛知県淡水養殖漁業協同組合 2009-04-10
[148] 웹사이트 信州サーモンってな{{~}}に?/水産試験場 https://www.pref.nag[...] 2009-04-10
[149] 간행물 信州サーモン {{〜}}地域ブランド化への取組み{{〜}} http://kantou.mof.go[...] 関東財務局長野財務事務所 2013-04-15
[150] 간행물 「魚沼美雪ます」の肉質改善(赤色の改善) http://www.pref.niig[...] 新潟県内水面水産試験場 2017-03-28
[151] 간행물 新たな県産ブランド魚「富士の介」 https://www.pref.yam[...] 2023-04-30
[152] 웹사이트 富士の介のご紹介 | 山梨県養殖漁業協同組合 https://www.nashiyou[...] 山梨県養殖漁業協同組合 2024-04-30
[153] 웹사이트 山梨県の新たなブランド魚「富士の介」について https://www.pref.yam[...] 山梨県 2024-04-30
[154] 서적 外来種ハンドブック 地人書館 2002-09-30
[155] 웹사이트 ニジマス http://bluelist.ies.[...] 北海道 2011-06-26
[156] 간행물 北海道のサケ・マス増殖河川におけるニジマスおよびブラウントラウトの生息状況 さけ・ます資源管理センター 2006-03
[157] 서적 決定版 日本の外来生物 平凡社 2008-04-21
[158] 웹사이트 平成27年漁業・養殖業生産統計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16-11-15
[159] 간행물 海洋深層水と表層海水で飼育されたニジマスOncorhynchus mykissの生残と成長および成熟
[160] 간행물 トラウトサーモンとは
[161] 웹사이트 安曇野の水を利用した産業等 http://www.city.azum[...] 長野県安曇野市 2013-02-27
[162] 웹사이트 にじますの養殖収獲量日本一|静岡県公式ホームページ https://www.pref.shi[...] 2024-07-03
[163] 간행물 魚類における微量元素の利用性に関する研究
[164] 뉴스 静岡・丸栄水産、養殖ニジマスで干物 サーモンピンクの身、淡い塩味 2021-05-24
[165] 웹사이트 平成28年漁業・養殖業生産統計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8-08-16
[166] 간행물 水産増養殖における染色体操作の現状 日本水産増殖学会
[167] 웹사이트 筋子&イクラの作り方 - 群馬県ホームページ(水産試験場) https://www.pref.gun[...] 2018-08-20
[168] 웹사이트 ニジマス基礎知識 http://www.zenmasu.j[...] 全国養鱒振興協会 2011-12-09
[169] 간행물 淡水養殖サケ・マス類のサナダムシの寄生について https://www.pref.nii[...] 新潟県内水面水産試験場 2017-03-28
[170] 웹사이트 メニュー・料理等の食品表示に係る景品表示法上の考え方について https://www.caa.go.j[...] 消費者庁 2019-07-24
[171] 뉴스 業界「おいしい名前認めて」 サーモントラウト→ニジマスの指針案見直しへ https://www.sankei.c[...] 2019-07-24
[172] 웹사이트 甲斐サーモンレッドのご紹介 | 山梨県養殖漁業協同組合 https://www.nashiyou[...] 2014-11-16
[173] 웹사이트 海峡サーモン|北彩屋 http://www.kaikyou.c[...] 北彩漁業生産組合 2015-10-14
[174] 웹사이트 讃岐さーもん {{!}} LOVEさぬきさん https://www.kensanpi[...] 一般財団法人かがわ県産品振興機構 2015-10-14
[175] 웹사이트 第32回 讃岐さーもん {{!}} LOVEさぬきさんリポート {{!}} LOVEさぬきさん https://www.kensanpi[...] 一般財団法人かがわ県産品振興機構 2015-10-14
[176] 웹사이트 地域ニュース・東部:ニジマス「市の魚」に決定 富士宮 http://www.shizushin[...] 2009-05-27
[177] 뉴스 겨울 강에서 벌이는 송어와의 짜릿한 한판승부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