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새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새매속(Butastur)은 1843년 브라이언 호턴 호지슨에 의해 흰눈매를 모식종으로 하여 소개된 매의 한 속이다. 속명은 말똥가리속(Buteo)과 매사냥매의 속명 '아스투르'(Astur)의 포트만토이며, 현재 붉은날개말똥가리, 메뚜기말똥가리, 흰눈매, 왕새매 4종을 포함한다. 왕새매는 대한민국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목 - 벌매속
벌매속은 퀴비에가 명명한 중간 크기 넓은 날개의 조류 속으로, 유럽벌매, 관머리벌매, 띠무늬벌매, 필리핀벌매 4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계통 분류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수리목 - 관수리속
관수리속은 뱀독수리류를 포함하는 조류 속으로, 여러 종이 있으며 일부는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수리과 - 벌매속
벌매속은 퀴비에가 명명한 중간 크기 넓은 날개의 조류 속으로, 유럽벌매, 관머리벌매, 띠무늬벌매, 필리핀벌매 4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계통 분류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수리과 - 두루미매
두루미매는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에 걸쳐 분포하며 물과 밀접하게 연관된 생활을 하는 새로, 독특한 발목뼈 구조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 먹이를 잡는 데 용이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위협받고 있다.
왕새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utastur |
명명자 | Hodgson, 1843년 |
모식종 | Circus teesa |
모식종 명명자 | Franklin, 1831년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수리목 |
과 | 수리과 |
하위 분류 | |
속 | 왕새매속 |
종 | Butastur teesa (Franklin, 1831) Butastur rufipennis (Cretzschmar, 1827) Butastur indicus (J. E. Gray, 1830) Butastur liventer (Temminck, 1827) |
2. 분류 및 종
왕새매속(''Butastur'')은 1843년 영국의 생물학자 브라이언 호턴 호지슨(Brian Houghton Hodgson)이 흰눈매(''Butastur teesa'')를 모식종으로 지정하여 처음 소개한 속이다.[1][2] 속명 ''Butastur''는 말똥가리속(Buteo)과 베르나르 제르맹 드 라세페드가 매사냥매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던 ''아스투르''(Astur)를 결합한 포트만토이다.[3] 이 속에는 현재 4종이 속해 있다.[4]
2. 1. 하위 종
왕새매속(''Butastur'')에는 다음 4종이 포함된다.[4]- 붉은날개말똥가리 (''Butastur liventer'')
- 메뚜기말똥가리 (''Butastur rufipennis'')
- 흰눈매 (''Butastur teesa'')
- 왕새매 (''Butastur indicus'')
2. 1. 1. 붉은날개말똥가리 (''Butastur liventer'')
붉은날개말똥가리(''Butastur liventer'')는 왕새매속에 속하는 맹금류의 일종이다.주요 서식지는 중국 남부,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으로 분류하고 있다.
2. 1. 2. 메뚜기말똥가리 (''Butastur rufipennis'')
메뚜기말똥가리(''Butastur rufipennis'')는 세네갈과 감비아에서 에티오피아 동부, 시에라리온,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 북동부, 케냐 및 탄자니아 북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이동한다. IUCN 상태는 최소관심종(LC)이다.
2. 1. 3. 흰눈매 (''Butastur teesa'')
'''흰눈매'''(''Butastur teesa'')는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의 일종이다. 1831년 프랭클린(Frankli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이 종은 왕새매속(''Butastur'')의 모식종으로, 1843년 브라이언 호턴 호지슨이 왕새매속을 설정할 때 기준이 되었다.[1][2]
주요 서식지는 이란,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IUCN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필요'(LC, Least Concern)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2. 1. 4. 왕새매 (''Butastur indicus'')
왕새매(학명: ''Butastur indicus'')는 1788년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Johann Friedrich Gmeli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4] 주요 서식지는 러시아, 중국 북부,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등 동아시아 지역이다.[4]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는 최소관심종(LC, Least Concern)으로 분류하고 있다.[4]참조
[1]
논문
Catalogue of Nepâlese birds presented to the Asiatic Society, duly named and classified by the donor, Mr. Hodgson
https://www.biodiver[...]
1843
[2]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4]
웹사이트
Hoatzin, New World vultures, Secretarybird, rapto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