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안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안석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사상가, 문학가로, 1021년에 태어나 1086년에 사망했다. 그는 진사 출신으로 지방관을 거쳐 신종 황제의 측근이 되었으며, 부국강병을 목표로 청묘법, 균수법 등을 포함한 신법(新法)을 추진했다. 그의 개혁은 기득권 세력의 반발과 구법당과의 대립으로 좌절되었지만, 그의 사상은 '경공신학'으로 불리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왕안석은 문학가로서도 뛰어났으며, 당송팔대가 중 한 명으로, 자연과 사회를 아우르는 시를 썼고, 대표 작품으로 '만언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송의 관료 - 호안국
호안국은 북송과 남송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로, 이정의 문인이며 호굉과 함께 호상학파를 창시했고, 경학 연구에 매진하여 《춘추전》을 저술했으며, 채경의 모함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고종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역임했다. - 송나라의 동중서문하평장사 - 구준
구준은 북송 시대의 인물로, 과거 급제 후 뛰어난 연설과 비판적인 시각으로 송 진종의 친정을 주장하여 전연의 맹을 맺는 데 기여했으며, 재상으로 복직했으나 모함으로 좌천되어 유배되었고, 사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 송나라의 동중서문하평장사 - 설거정
설거정은 오대십국 시대에서 북송 초기의 관료이자 역사가로, 후당에서 진사로 급제한 후 후주에서 형부시랑을 지냈으며, 송나라 건국 후에는 여러 요직을 거쳐 사공에 이르렀고, 특히 《오대사》 편찬을 주도하여 송나라가 천명을 받았음을 강조했다.
왕안석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왕안석 |
로마자 표기 | Wang Anshi |
중국어 간체 | 王安石 |
중국어 번체 | 王安石 |
병음 | Wáng Ānshí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Wang2 An1-shih2 |
민난어 | Ông An-se̍k |
광둥어 | Wòhng Ōn-sehk |
국제음성기호(표준중국어) | /waŋ²¹ a̠n⁵⁵ ʂʅ³⁵/ |
국제음성기호(광둥어) | /wɔːŋ²¹ ɔːn⁵⁵ sɛk²³/ |
국제음성기호(중세 중국어) | /ɦʉɐŋ ʔan-d͡ʒiɐk/ |
자 | 介甫 |
호 | 반산노인 |
시호 | 문공 |
작위 | 형국공 |
출생일 | 1021년 12월 8일 |
출생지 | 린촨, 송 |
사망일 | 1086년 5월 21일 |
사망지 | 장닝 |
직업 | 경제학자, 철학자, 시인, 정치인 |
아버지 | 왕이 |
재상 재임 기간 | 1070년 ~ 1074년; 1075년 ~ 1076년 |
군주 | 송 신종 |
이미지 | |
![]() | |
![]() |
2. 생애
왕안석은 1021년 12월 8일 린촨(푸저우, 장시성)에서 진사(進士) 출신 가문의 후손으로 태어났다.[6] 1042년 궁시(宮試)에서 4등으로 진사가 된 후, 회남(淮南)(양저우, 장쑤성) 부군사(副軍事) 사무실 서기(前書)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음현(鄞縣)(닝보, 저장성) 현령(縣令)으로 승진하여 수리 시설을 재정비해 농민들의 칭송을 받았고, 사주(歙州)(첸산, 안후이성) 통판(通判)을 역임했다.[6] 1060년 개봉(開封)으로 가 군무사(群牧司) 보좌관, 장주(常州) 지주(知州), 강남동(江南東) 재판관(提點刑獄公事), 삼사도지관(三司度支官), 조서관(撰旨稿)을 역임했다.[6]
1063년부터 1066년까지 어머니 상례를 치렀고, 1067년 강녕(江寧)(난징) 지사(知事)가 되었다.[6]
2. 1. 가문 및 초기 생애
왕안석은 1021년 12월 8일 린촨(푸저우, 장시성)에서 진사(進士) 출신 가문의 후손으로 태어났다.[6] 아버지는 왕익(王益)으로 지방관을 지냈으며, 식구가 많아 집안이 풍족하지는 못했다.[27] 왕안석은 어릴 때부터 책 읽기를 좋아했고, 재능이 뛰어나 기억력이 좋았다. 아버지 왕익을 따라 여러 지역을 다니며 백성들의 생활을 직접 보았다.[27]천경(慶暦) 2년(1042년) 22세에 진사에 4위로 합격했다.[6] 이후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봉급이 좋은 지방관을 역임했다. 그는 회남(淮南)(양저우, 장쑤성)의 부군사(副軍事) 사무실 서기(前書)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음현(鄞縣)(닝보, 저장성) 현령(縣令), 사주(歙州)(첸산, 안후이성) 통판(通判)을 역임했다.[6] 음현 현령으로 재직 시에는 수리 시설을 재정비하여 농민들의 칭송을 받았다.[6]
보원(宝元) 2년(1039년), 아버지 왕익은 강녕(江寧) 통판(通判)으로 재직 중 4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7] 1060년, 왕안석은 개봉(開封)으로 가서 군무사(群牧司)의 보좌관이 되었고, 이후 장주(常州) 지주(知州), 강남동(江南東) 재판관(提點刑獄公事), 삼사도지관(三司度支官), 조서관(撰旨稿)을 역임했다.[6] 1063년부터 1066년까지 어머니의 상례를 치렀고, 1067년에는 강녕(江寧)(난징) 지사(知事)가 되었다.[6]
2. 2. 신법(新法) 추진
왕안석은 21세에 진사가 된 후, 20여 년간 화남(華南) 지방에서 관직 생활을 했다. 1069년, 신종 황제의 신임을 받아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된 그는 여러 개혁 정책, 즉 신법(新法)을 추진했다. 사마광 등 구법당 인물들을 몰아내고, 재정에 밝은 강남 출신 관료들을 등용하여 신법을 밀어붙였다.[35]왕안석은 1069년 부재상으로 승진하여 신법(新法)이라 불리는 개혁안을 발표했다.[10] 신법의 주요 목표는 정부 지출을 줄이고 북방 군사력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토지 소유를 억제하고 중소 농민과 상인을 보호하여 세수를 늘리고, 관료제를 정비하여 중앙집권을 강화하고자 했다.[35]
왕안석은 백성과 정부 사이에 존재하는, 토지와 부를 독점하여 다른 사람들을 경제적, 농업적으로 종속시키는 '겸병(兼併)'을 억압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겸병에는 대토지 소유주, 향촌 사채업자, 대도시 상인, 투기꾼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관료들과 유착 관계를 맺고 있었다.
왕안석은 “재정의 훌륭한 조직은 정부의 의무이며, 재정의 조직은 공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8] 그는 부를 통해 백성을 하나로 묶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가장 하층의 사람들조차 경제를 장악하고 탐욕을 채울 것이라고 보았다.
왕안석의 신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국가 재정 및 무역, 2) 국방 및 사회 질서, 3) 교육 및 통치 개선.[35]
- 국가 재정 및 무역 관련 신법
법 이름 | 내용 |
---|---|
균수법(均輸法) | 지방 공물의 운송을 발운사라는 관청에서 통제하여 무상으로 운송하게 했다. 중간 상인들의 폭리를 막고 물자 유통을 개선하여 국가 재정을 확보하고자 했다.[35] 정부 구매 및 운송은 중국 남동부의 순환 단계 금융 기관들이 담당했다. 중앙 재무부는 저렴한 상품을 구매, 저장하여 비싼 지역으로 운송했다.[15] |
청묘법(青苗法) | 농민들에게 낮은 이자로 농자금을 빌려주어 고리대금업을 막는 정책이다. 필요한 재원은 상평창(常平倉)에서 충당했다.[35] 정부는 씨앗을 구입하거나 국영 창고에서 씨앗을 빌려주었고, 10년 평균 이자율 2%로 두 차례에 걸쳐 상환받았다.[12] |
시역법(市易法) | 자본이 적은 상인들에게 돈을 빌려주어 대상인들의 이익 독점을 막고 국가 수입을 늘리려는 정책이다.[35] 개봉(開封)에 수도 시장 교역국이 설치되었고, 다른 도시에는 21개의 시장 교역소가 설치되어 상인, 상인 조합, 중개소를 담당하며 가격을 통제했다.[16] |
모역법(募役法) | 지방행정 업무를 돕는 직역을 임의로 부과하던 부담을 줄이고자, 모든 농가에게 재산 등급별로 면역전(免役錢)을 내게 하여 직역을 응모제로 전환했다. 관리와 사원에게서 조역전(助役錢)을 징수하여 실업자들에게 품삯을 주고 역의 형평을 기하고자 했다.[35] |
방전균세법(方田均稅法) | 균전법(均田法), 또는 방전법(方田法)이라고도 불린다. 숨겨진 토지(미과세 토지)를 밝히기 위한 토지등록 사업이었다. 논밭을 정사각형으로 나누고 토질을 5등급으로 분류하여 세금을 적절하게 평가했다.[11] |
광석 차등제(礦石遞分制) | 광산 사업을 규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균전법과 유사한 사업이었다.[8] |
수리법(水利法) | 관개 시설의 지역 조직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 노동력 동원 대신 지역 재정에서 돈을 빌려주는 관리를 임명하여 주민들이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게 했다.[13] |
- 국방 및 사회 질서 관련 신법
- 교육 및 통치 개선 관련 신법
법 이름 | 내용 |
---|---|
삼사법(三舍法) | 삼전제(三殿制)라고도 불린다. 국자감에서 미래 관리들의 교육을 규제했다. 국자감을 외전, 내전, 상전의 세 전으로 나누고, 학생들은 유교 경전 중 하나와 산술, 의학도 함께 배웠다.[1] |
왕안석은 젊은 관료들을 모아 삼사제치조례사(制置三司条例司)라는 조직을 만들어 개혁을 추진했고, 1072년에는 최고 재상이 되어 본격적으로 개혁을 시작했다. 그는 심사관 10여 명에게 『주례(周禮)』, 『시경(詩)』, 『서경(書)』의 주석서 『삼경신의(三経新義)』 작성을 국가 사업으로 추진하여 1075년에 완성했고, 이는 과거(科挙) 개혁에도 영향을 미쳤다.[28]
2. 3. 신법의 배경
송 신종이 즉위하면서 왕안석의 개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신종은 대토지 소유자들의 세금 탈루로 인해 세수가 감소하고 일반 백성들의 세금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 직면했다.[7] 1069년 신종은 왕안석에게 자문을 구했고, 왕안석은 참지정사(参知政事)에 임명되었으며, 1년 후에는 재상(宰相)에 올랐다.[7]왕안석은 농민들의 고통을 완화하고 소농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대토지 소유를 억제하고자 했다. 그는 백성과 정부 사이에 있는, 토지와 부를 독점하고 다른 사람들을 경제적, 농업적으로 종속시키는 '겸병(兼併)'이라는 사회적 요소를 억압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겸병에는 대토지 소유주, 향촌 사채업자, 대도시 상인, 도시 시장 불안정에 책임이 있는 투기꾼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들은 관료들과 유착 관계를 맺고 있었다.
왕안석은 “재정의 훌륭한 조직은 정부의 의무이며, 재정의 조직은 공적 의무를 이행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8] 그는 국가가 상업, 산업, 농업 전반을 관리하여 노동 계급을 구제해야 한다고 보았다.[9] 왕안석은 부를 통해 백성을 하나로 묶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가장 하층의 사람들조차 경제를 장악하고 탐욕을 채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왕안석은 삼사제치조례사(制置三司条例司)를 설치하여 개혁을 추진했고, 1072년 최고 재상이 되어 본격적으로 개혁에 착수했다. 그의 신법은 대상인·대지주들의 이익을 제한하고 중소 농민·상인들을 보호하는 동시에 정부도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
2. 4. 개혁에 대한 반대와 좌절
왕안석의 정책은 국가와 일반 서민층인 농민과 중소 상인에게는 이로웠지만, 대상인, 대지주, 권력자 등 기득권 세력에게는 큰 반발을 불러왔다. 수많은 사대부가 대부분 이 계층 출신이었기에, 이들은 정치적으로 왕안석에 반대하는 당파를 조직했다. 개혁에 반대하는 이들을 사마광을 당수로 하는 구법파(舊法派), 개혁에 찬성하는 이들을 신법파(新法派)라고 불렀으며, 이로 인해 당쟁이 가속화되었다.[20]
희녕(熙寧) 7년(1074) 하북(河北)에 큰 가뭄이 발생하자, 구법파는 이를 신법에 대한 하늘의 분노라고 주장하며 상소했다. 당시 구법파의 배경이었던 황태후와 환관, 그리고 구법파 관료들이 지속적으로 왕안석의 퇴진을 요구하자, 신종은 어쩔 수 없이 왕안석을 해임하고 지방으로 좌천시켰다. 신법당에는 왕안석 외에 이렇다 할 인물이 없었기에, 신법파 내부에서도 내분이 일어났다.[21] 다음 해에 왕안석은 복직하지만, 1076년에 사직하고 은거한다.
1085년 북송 신종이 사망하고 다음 해에는 왕안석도 서거한다. 신종 사후 구법파의 황태후에 의해 재상이 된 사마광은 즉시 신법을 폐지했다. 사마광도 오래 집권하지 못하고 죽고, 신법과 구법의 당쟁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정치 혼란 탓에 송나라의 국력은 급속도로 약화되었다.
사마광은 재정적 근거 외에도 국가가 아닌 지역 엘리트 가문이 사회의 기둥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개혁에 반대했다. 왕안석은 세금을 인상하지 않더라도 수입이 충분할 것이라고 황제에게 약속했지만, 사마광은 경제가 인구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또한, 왕안석은 영토 회복과 같은 더 공격적인 대외 정책을 지지했지만, 사마광은 더 균형 잡힌 대외 정책을 선호했다. 사마광은 부의 관리가 정부의 핵심 기능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부자에게 의존하는 사람들을 돕는 것이 그들의 최선의 이익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그것을 사회 질서의 붕괴로 보고, 결국 국가의 몰락을 초래할 것이라고 보았다.[22]
녹묘법(綠苗法)과 보갑제(保甲制)는 곧 새로운 국가 사업과 군사 작전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변경되었다. 1069년 녹묘법 시행 몇 달 만에 정부는 농민들에게 제공하는 대출에 대해 연 20~30%의 이자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평준창고의 관리들은 자신들이 창출할 수 있는 수익에 따라 평가되었기 때문에, 이는 강제 대출과 재해 구호에 대한 집중력 부족으로 이어졌다.[23]
1074년, 중국 북부의 기근으로 많은 농민들이 땅을 떠났다. 왕안석의 개혁 계획에 따라 제공된 계절 대출로 인해 발생한 부채로 인해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농민들이 땅을 떠날 때 지역 관리들은 대출금 회수를 고집했다. 이 위기는 왕안석의 잘못으로 묘사되었다. 왕안석은 여전히 황제의 총애를 받았지만, 1076년 사직했다. 1085년 황제가 죽고 야당 지도자인 사마광이 복귀하면서, 향태후(向太后)의 섭정하에 신정(新政)이 폐지되었다.
3. 사상
왕안석은 정치가이자 문인일 뿐 아니라 사상가이기도 했다. 그의 사상·이론은 ‘경공신학(荊公新學)’이라 불렸다. 왕안석의 사상은 수많은 저서와 글에 걸쳐 서술되어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주관신의(周官新義)』와 『자설(字説)』이 있다. 이러한 저술들은 후대 신학파(新學派)의 주요 이론의 근거가 되었다.[30]
성설에 대해서는 “맹자, 순자, 양웅, 한유의 성설을 비판하고, 그 자신만의 독자적인 성설을 세웠다”고 평가된다.[31]
논고의 性說|성설중국어과 原性 (王安石)|원성중국어에 따르면, 그의 주장은 성정일치설이며, “성정은 모두 마음에 있는 하나의 존재로, 동질적인 것이지만, 그것이 내면에 있어 움직이지 않을 때는 성이며, 밖으로 발하여 정이 될 뿐이다”라고 하였다.[32]
4. 문학
왕안석은 두보의 진가를 처음으로 높이 평가하여 송나라 시 세계에 두보를 존경하는 풍조를 개척했다.[36] 그는 한유와 유종원이 주창한 고문운동(古文運動)의 추종자였으며, 그의 시에는 사회적 주제가 자주 포함되었다.[24]
시인으로서 용어와 구성 모두를 세심하게 고려하고, 고사를 교묘하게 사용한 지적이고 정교한 작풍이 특징이다. 특히 칠언절구는 북송 제일로 평가받았다. 또한 선대의 시구를 모아 그 이미지를 계승하거나 변화시켜 새로운 시를 짓는 기법(집구(集句))에 강한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황정견을 대표로 하는 강서시파가 주장하는 “환골탈태법”으로 계승되었다.
왕안석은 후세의 소설, 희곡에서 악역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34]
4. 1. 대표 작품
왕안석은 문학자로서도 뛰어났으며, 그의 작품은 《임천집(臨川集)》에 정리되어 있다. 산문가로서는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24] 두보(杜甫)의 진가를 처음으로 높이 평가하여 그 후 송나라 시 세계에 두보를 존경하는 풍조를 개척했다.[36]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는 북송 제일로 평가되며, 구법당(舊法黨)의 인물인 오양수(歐陽脩)나 소식(蘇軾)과 같은 인물들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36]대표적인 시로는 다음 작품들이 있다.
- 매화
- 설날
“홍일점(紅一點)”은 왕안석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시 "석류(石榴)"의 “만록총중일점홍(万緑叢中一点紅), 인을 감동시키는 봄빛은 반드시 많을 필요가 없다”라는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 현행본 《임천집》에는 확인되지 않으며, 일설에는 당나라 사람의 작품이라고도 한다.[33]
또한, 한자의 유래를 서술한 《자설(字說)》을 저술했다.
5. 평가
중국 정치인들과 역사가들은 왕안석(王安石)의 개혁이 원칙적이고 신중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잘못되고 파괴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해 계속해서 논쟁해 왔다.
20세기 중국 군벌 옌시산(閻錫山)은 산시성(山西)에서 제한적인 형태의 지역 민주주의를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왕안석의 개혁을 인용했다. 옌시산은 왕안석 개혁의 초점과 의도가 단순히 봉사하는 것이 아니라, 평범한 중국인들이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설득하여 송나라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믿었다. 옌시산이 왕안석의 철학을 통해 정당화한 "민주적" 정부 시스템은 주로 실질적인 권력을 가지지 않고 옌시산 자신의 인기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군사 독재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이 된 적은 없었다.[25] 반면, 유명한 학자 린위탕(林語堂)은 왕안석의 라이벌 소동파(蘇東坡)의 전기에 왕안석을 공산주의 전체주의 정부와 동일시했다.[26]
6. 저서
참조
[1]
text
[2]
text
[3]
서적
History of China
https://archive.org/[...]
[4]
서적
Man and the Universe: Japan, Siberia, China
https://books.google[...]
Carmelite House
[5]
서적
State Power in China, 900-132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6-07-19
[6]
text
[7]
웹사이트
Wang Anshi 王安石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8]
웹사이트
Reforms of Wang Anshi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9]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hinese
[10]
웹사이트
Wang Anshi | Chinese author and political reformer | Britannica.com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5-10-23
[11]
웹사이트
junshuifa 均税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2]
웹사이트
qingmiaofa 青苗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3]
웹사이트
shuilifa 水利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4]
웹사이트
muyifa 募役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5]
웹사이트
junshufa 均輸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6]
웹사이트
shiyifa 市易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7]
웹사이트
baojia 保甲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8]
웹사이트
zhijiangfa 置將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19]
웹사이트
Sanshefa 三舍法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
논문
[21]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2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Imperial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
[23]
서적
The Sung Dynasty and its Precursors, 907–1279, Part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Dictionary of Oriental Literatures: East Asia
Charles Tuttle
[25]
text
[26]
서적
Gay Genius: The Life and Times of Su Tungpo
John Day
[27]
서적
王安石評傳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21-05-14
[28]
서적
宋代思想の研究
関西大学出版部
2009年3月18日
[29]
서적
宋代思想の研究
関西大学出版部
2009年3月18日
[30]
서적
宋代政治史
[31]
서적
大思想エンサイクロペヂア
https://books.google[...]
春秋社
2021-05-14
[32]
서적
支那哲学史概論
https://books.google[...]
早稲田大学出版部
2021-05-14
[33]
text
[34]
서적
東洋政治経済思想淵源
https://books.google[...]
平凡社
2021-05-14
[35]
서적
송사(宋史), 왕안석전
[36]
서적
글로벌세계대백과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