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정굴뚝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정굴뚝새는 호주와 뉴기니에서 발견되는 요정굴뚝새속에 속하는 12종의 조류 중 하나이다. 수컷은 밝은 파란색 깃털을 가지고 있으며, 6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숲이나 도시 공원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곤충을 주식으로 한다. 협동 번식 종으로, 여러 마리가 함께 생활하며 둥지를 짓고 새끼를 키운다. 호주 조류 관찰 및 보존 협회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2년 기재된 새 - 가시올빼미
    가시올빼미는 올빼미과에 속하는 작은 올빼미 속(Glaucidium)으로, 다양한 아종이 존재하며 곤충, 설치류 등을 먹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올빼미
    올빼미는 귀깃이 없고 야행성이며 작은 동물을 잡아먹고 사는 중형 올빼미로, 히말라야올빼미의 다른 이름이며,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된다.
  • IUCN 적색 목록 최소관심종 - 쇠황조롱이
    쇠황조롱이는 매목 매과에 속하는 소형 맹금류로, 전 세계에 9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민첩한 사냥 능력으로 소형 조류, 포유류, 곤충 등을 먹이로 하고, 서식지 파괴의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요정굴뚝새
기본 정보
잔디 사이에 앉아있는 수컷, 아종 cyanochlamys
번식기 깃털을 가진 수컷, 아종 cyanochlamys
나뭇가지 위에 있는 암컷
암컷 – 빅토리아 고원
학명Malurus cyaneus
명명자(Ellis, 1782)
상태관심 필요
IUCN 3.1
루리오스트레일리아무시クイ의 범위
루리오스트레일리아무시クイ의 범위
일반명 (영어)Superb fairywren
다른 일반명 (영어)Superb Blue-wren
Blue Wren
학명 (이전)Motacilla cyanea
아종
아종 목록6개, 본문 참조
아종M. c. cyaneus
M. c. cyanochlamys Sharpe, 188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오스트레일리아무시クイ과
오스트레일리아무시クイ속
기타
화제2021년 호주 올해의 새로 선정 화제 기사

2. 분류 및 계통

요정굴뚝새는 호주와 저지대 뉴기니에서 발견되는 요정굴뚝새속(Malurusla)에 속하는 12종[44] 중 하나이다. 이 속 내에서 요정굴뚝새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화려요정굴뚝새이며, 이 두 종은 흔히 "푸른 굴뚝새"(blue wrens영어)로 불린다. 호주 북서부의 보라왕관요정굴뚝새와도 관련이 있다.[3][45]

최초의 요정굴뚝새 표본은 1777년 제임스 쿡 선장의 세 번째 항해에 동행했던 외과 의사이자 박물학자인 윌리엄 앤더슨이 태즈메이니아 브루니 섬의 어드벤처 베이에서 채집했다. 앤더슨은 이 새의 꼬리가 유럽 할미새와 비슷하다고 여겨 할미새속(Motacillala)으로 분류하고 Motacilla cyaneala라는 학명을 붙였다. 앤더슨이 그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지 못하고 사망한 후, 그의 조수 윌리엄 엘리스가 1782년에 이 새를 기록으로 남겼다. 이후 1816년 루이 피에르 비에이요가 요정굴뚝새속(Malurusla)을 제안하며 현재의 학명인 Malurus cyaneusla를 부여했다.[4][46]

초기 시드니 포트 잭슨제1함대가 도착한 직후, 이 새는 '탁월한 솔새'(Superb Warbler영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43] 1920년대에는 유럽 굴뚝새와 비슷하다 하여 '굴뚝새'(Wren영어) 또는 '요정굴뚝새'(Fairywren영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47] 한때 '몰몬 굴뚝새'(Mormon Wren영어)라는 별명도 있었는데, 이는 한 마리의 푸른 깃털을 가진 수컷이 여러 마리의 갈색 깃털을 가진 새(당시에는 모두 암컷으로 잘못 알려짐)와 함께 관찰되었기 때문이다.[48] 머레이 강과 코롱 지역의 응아린데리족은 이 새를 waatji pulyerinay(리그넘 덤불의 작은 것이라는 의미)라고 불렀고,[49] 구나이족은 deeydgungny(긴 꼬리를 가진 작은 새라는 의미)이라고 불렀다.[50] 시드니 분지의 오라족과 다루그족에게는 muruduwinxdk으로 알려져 있었다.[51]

요정굴뚝새는 이름과 달리 실제 굴뚝새와는 관련이 없다. 과거에는 구세계 딱새과(Muscicapidaela)[8][9][53][54]나 솔새과(Sylviidaela)[10][55]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1975년 독자적인 요정굴뚝새과(Maluridaela)로 재분류되었다.[11][52] 최근의 DNA 분석 결과, 요정굴뚝새과는 꿀빨기새과(Meliphagidaela), 파달로투스과(Pardalotidaela) 등과 함께 꿀빨기새상과(Meliphagoideala)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2][13][56][57] 2019년에는 이 종의 고품질 참조 게놈 서열 분석이 이루어졌다.[14]

2. 1. 아종

현재 6개의 아종이 확인되었다.[15] 각 아종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아종명명자 (연도)주요 서식지주요 특징
M. c. cyaneusEllis (1782)태즈메이니아 전역, 배스 해협 제도기준 아종. 호주 본토 아종보다 크고 색이 어두우며, 수컷은 더 짙은 청색을 띤다. 일부 학자들은 elizabethaesamueli 아종을 여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16][17][59][62]
M. c. samueli매튜스 (1912)플린더스 섬 (고유종)수컷의 색상이 킹 아일랜드 아종과 태즈메이니아 아종의 중간 정도이다.
M. c. elizabethae캠벨, AJ (1901)킹 아일랜드 (고유종)처음에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다. 수컷은 태즈메이니아 아종보다 더 짙은 푸른색을 띠며, 부척골(아랫다리)이 더 길다.[18][19][60]
M. c. cyanochlamys샤프 (1881)호주 본토처음에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다. 일반적으로 태즈메이니아 아종보다 작고 색이 옅다. 퀸즐랜드 지역 수컷은 머리, 귀 깃털, 등이 옅은 은청색이다.[20][63][43]
M. c. leggei매튜스 (1912)호주 남동부번식기 수컷은 가슴 띠 아래와 날개 깃에 푸른색을 띠는 점에서 cyanochlamys 아종과 구별된다.[21][19]
M. c. ashbyi매튜스 (1912)캥거루 섬 (고유종)약 9000년 동안 본토 아종과 분리되어 서식했다. 인근 본토 아종보다 몸집이 더 크고 부리가 좁으며, 깃털 색이 더 어둡다. 암컷은 본토 아종보다 더 균일한 회색 깃털을 가진다.[21][22][19]



향후 DNA 분석을 통해 아종 분류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58]

2. 2. 진화사

1982년 조류학자 리처드 쇼드(Richard Schodde)는 그의 저서에서 훌륭한 요정굴뚝새와 화려요정굴뚝새의 공통 조상이 남부 지역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했다.[2][64] 과거 어느 시점에 이 조상은 남서부(화려요정굴뚝새)와 남동부(훌륭한 요정굴뚝새) 집단으로 나뉘었다.[2][64] 당시 남서부 지역이 남동부보다 더 건조했기 때문에, 이후 기후 조건이 더 유리해지자 화려한 요정굴뚝새 형태가 내륙 지역으로 더 쉽게 퍼져나갈 수 있었다.[2] 동부에서는 훌륭한 요정굴뚝새가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낮아져 태즈메이니아 섬이 육교로 본토와 연결되었을 때 태즈메이니아로 퍼져나갔다.[2][64] 이후 해수면이 다시 상승하면서 태즈메이니아의 개체군이 고립되었고, 이것이 아종 ''cyaneus''로 분화되는 결과를 낳았다.[2][64] 베이스 해협에 서식하는 형태는 태즈메이니아에서 더 최근에 고립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아종 지위는 인정되지 않는다.[2][43]

2017년에 미토콘드리아 및 핵 DNA를 모두 분석한 유전자 연구 결과, 훌륭한 요정굴뚝새와 화려한 요정굴뚝새의 조상은 약 400만 년 전에 서로 갈라진 것으로 나타났다.[23] 또한, 이들의 공통 조상은 약 700만 년 전에 흰어깨요정굴뚝새, 흰날개요정굴뚝새, 붉은허리요정굴뚝새를 포함하는 다른 요정굴뚝새 계통으로부터 분기된 것으로 밝혀졌다.[23]

3. 형태

호주 빅토리아 주 Ensay에 있는 한 쌍




요정굴뚝새는 길이가 14cm이고[2][43] 몸무게는 8g에서 13g 사이이며,[65] 수컷이 평균적으로 암컷보다 약간 더 크다.[66] 평균 꼬리 길이는 5.9cm로,[67] 요정굴뚝새속 중에서 가장 짧은 편이다.[68] 부리는 비교적 길고 좁으며 뾰족하고 기저부가 더 넓다. 평균 부리 길이는 태즈메이니아 아종 ''cyaneus''에서 9mm, 대륙 아종 ''cyanochlamys''에서 8mm이다.[43] 깊이보다 넓은 부리는 주변 환경에서 곤충을 찾거나 쪼아서 먹는 다른 새들의 부리와 모양이 비슷하다.[25][69]

다른 요정굴뚝새와 마찬가지로, 요정굴뚝새는 현저한 성적 이형성으로 유명하다. 수컷은 검은색과 회색 갈색과 대조되는 밝은 광택 파란색의 매우 눈에 띄는 번식 깃털을 가지며, 밝게 색칠된 머리 윗부분과 귀 털은 번식 행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70] 번식하는 수컷은 밝은 파란색 이마, 귀 덮개, 등 및 꼬리, 갈색 날개, 검은색 목, 눈 띠, 가슴 및 부리를 가지고 있다. 암컷, 미성숙 개체 및 비번식 수컷은 밝은 배를 가진 옅은 황갈색이며, 꼬리 색은 황갈색(암컷 및 미성숙 개체) 또는 칙칙한 회색 파란색(수컷)이다. 암컷과 어린 개체는 갈색 부리를,[26][71] 수컷은 첫 번째 겨울 이후 검은색 부리를 가진다.[72] 미성숙 수컷은 부화 후 첫 번째 번식기에 번식 깃털로 털갈이를 하지만, 불완전한 털갈이는 때때로 1~2년이 걸리는 잔류 갈색 깃털을 남긴다.[73] 암수 모두 번식 후 가을에 털갈이를 하며, 수컷은 비번식 깃털(이클립스)을 갖게 된다. 그들은 겨울이나 봄에 다시 혼인 깃털로 털갈이를 한다.[43][72]

번식하는 수컷의 파란색 깃털, 특히 귀 덮개는 섬모의 평평하고 뒤틀린 표면 때문에 광택이 매우 강하며,[74] 구조색을 나타낸다. 이 파란색 깃털은 자외선 빛을 강하게 반사하므로, 색상 시야가 자외선 영역까지 확장되는 다른 요정굴뚝새에게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27][75]

  • -대륙 아종 ''M. c. cyanochlamys'']]
  • -태즈메이니아 아종 ''M. c. cyaneus'']]
  • -대륙 아종 ''cyanochlamys'']]
  • -태즈메이니아 아종 ''M. c. cyaneus'']]

4. 분포 및 서식지

샘손베일 묘지, 퀸즐랜드 남동부


요정굴뚝새는 비교적 습하고 비옥한 호주 대륙 남동부 지역 대부분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서식 범위는 남호주 남동부(캥거루 섬과 애들레이드 포함)와 에어 반도 끝자락에서 시작하여 빅토리아주, 태즈메이니아, 해안 및 해안 인근 뉴사우스웨일스주를 거쳐 퀸즐랜드까지 이어진다. 브리즈번 지역을 지나 내륙으로 도슨 강 북쪽, 블랙컬 서쪽까지 분포한다. 시드니, 멜버른, 캔버라와 같은 대도시 교외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43]

주로 덤불이 많은 숲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도시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토종 식물 덤불이 있는 정원이나 도시 공원에서도 서식한다.[30][80] 시드니 도심의 하이드 파크와 로열 보타닉 가든에서도 요정굴뚝새 무리를 발견할 수 있다.[32][84] 다른 굴뚝새 종류와 달리 도시 환경에서 이점을 얻는 것으로 보이며, 캔버라호주 국립 대학교에서 진행된 한 연구에서는 요정굴뚝새가 도입된 외래종인 집참새보다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83]

한편, 호주에서 문제가 되는 외래종 잡초인 란타나(''Lantana camara'')나 도입된 침입종인 블랙베리는 교란된 지역에서 요정굴뚝새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31][81][82]

그러나 울창한 숲이나 고산 환경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85] 소나무유칼립투스 조림지와 같이 하층 덤불이 없는 곳은 서식에 적합하지 않다.[86]

5. 생태 및 행동

아종 ''cyaneus'']]

요정굴뚝새는 매우 활동적이며 끊임없이 먹이를 찾아다니는 새로, 주로 땅 위나 키 낮은 덤불 속에서 먹이를 찾는다. 움직일 때는 짧고 둥근 날개를 이용해 경쾌하게 뛰어다니거나 통통 튀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길고 위로 세워진 꼬리로 균형을 잡는다.[87] 날개는 먼 거리를 날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짧은 거리를 빠르게 이동하는 데 유용하다.[88]

봄과 여름에는 먹이가 풍부하여 낮 동안 활발히 활동하며 노래를 부르고, 먹이를 찾는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무리는 더운 시간에는 함께 덤불 속에 숨어 쉬기도 한다. 반면 겨울에는 먹이를 찾기 어려워 하루 종일 먹이를 찾아다녀야 한다.[89]

요정굴뚝새는 협동 번식을 하는 새로 알려져 있다. 보통 3~5마리가 한 무리를 이루어 작은 영역을 함께 지키며 살아간다.[33][34] 무리는 번식하는 암수 한 쌍과 함께, 이전에 그 영역에서 태어난 다른 새들(주로 수컷)이 '도우미 새' 역할을 하며 구성된다. 이 도우미 새들은 영역을 지키고 새끼에게 먹이를 주며 양육하는 것을 돕는다.[92] 무리 내의 새들은 빽빽한 덤불 속에서 서로 가까이 붙어 잠을 자고, 서로의 깃털을 골라주는 털 고르기 행동을 하기도 한다.[2]

주요 포식자로는 호주까치, 부처버드(''Cracticus'' spp.), 웃음물총새, 쿠라웡(''Strepera'' spp.), 까마귀류(''Corvus'' spp.), 모즈딱새류(''Colluricincla'' spp.) 등이 있으며, 붉은여우, 고양이, 검은쥐와 같은 외래 포유류도 위협이 된다. 요정굴뚝새는 둥지에 새끼가 있을 때 포식자가 나타나면, 포식자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설치류 달리기'(rodent-run)라는 독특한 행동을 한다. 이때 머리와 목, 꼬리를 낮추고 날개를 편 채 깃털을 부풀려 빠르게 달려가면서 계속해서 경고음을 낸다.[35]

또한, 캔버라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요정굴뚝새는 다른 새의 소리를 학습하는 능력이 있다. 시끄러운 마이네(Noisy Miner)가 많은 지역에 사는 요정굴뚝새는 마이네의 경고음을 듣고 피하는 방법을 배웠지만, 마이네가 없는 지역의 요정굴뚝새는 그 소리에 반응하지 않았다. 이는 요정굴뚝새가 주변 환경에 맞춰 다른 종의 소리를 구별하고 그 의미를 학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36]

5. 1. 구애 행동

수컷의 구애 행동 중 하나인 '얼굴 부채'. 파란색 귀 깃털을 부풀려 과시한다.
대륙 아종 ''cyanochlamys''


수컷 요정굴뚝새는 여러 가지 독특한 구애 행동을 보인다. 대표적인 것으로 '해마 비행'과 '얼굴 부채', 그리고 꽃잎 선물이 있다.
해마 비행(sea horse flighteng)은 해마처럼 물결치듯 움직이는 모습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37][98] 이 과장된 비행을 할 때, 수컷은 목을 길게 빼고 머리 깃털을 세운 채 몸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기울인다. 그런 다음 천천히 땅으로 내려와 착지하고, 곧바로 날개를 빠르게 퍼덕이며 다시 위로 솟아오른다.[37][98]
얼굴 부채(face faneng) 행동은 공격적이거나 성적인 과시 행동의 일부로 보인다.[99] 이때 수컷은 귀 주변의 밝은 파란색 깃털을 한껏 곤두세워 부풀린다.[99]

번식기가 되면 수컷 요정굴뚝새는 자신의 화려한 깃털과 색상 대비가 뚜렷한 노란색 꽃잎을 꺾어 암컷에게 보여준다. 이는 다른 오스트레일리아굴뚝새속 새들에게서도 관찰되는 행동이다.[100] 꽃잎은 구애 행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수컷은 자신의 영역 안이나 혹은 다른 영역에 있는 암컷에게 꽃잎을 선물한다. 때로는 번식기가 아닐 때에도 수컷이 자신을 알리고 매력을 어필하기 위해 영역 밖의 암컷에게 꽃잎을 보여주기도 한다.[100]

5. 2. 번식

어린 새끼에게 먹이를 구걸하는 암컷. 시드니, 노던 비치에서


번식은 봄부터 늦여름까지 이루어진다. 둥지는 빽빽한 초목 속, 땅에서 1m 이내 높이에 느슨하게 엮인 풀과 거미줄로 만든 둥근 돔 형태이며, 입구는 한쪽 면에 있다. 번식기가 길기 때문에 한 해에 두 번 이상 번식할 수도 있다. 한 번에 3~4개의 무광 흰색 알을 낳으며, 알에는 붉은 갈색 반점과 점이 있다. 알의 크기는 약 12mm × 16mm이다.[38][103]

암컷이 14일 동안 알을 품고 나면, 24시간 이내에 부화한다. 갓 태어난 새끼는 눈을 감고 붉은색이며 깃털이 없지만, 깃털이 자라면서 점차 어두워진다. 5~6일째에 눈을 뜨고, 10일째에는 깃털이 완전히 자란다. 무리의 모든 구성원은 10~14일 동안 새끼에게 먹이를 주고 배설낭을 둥지 밖으로 옮겨 처리한다.

둥지를 떠난 새끼는 40일 정도 지나면 스스로 먹이를 먹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다른 무리로 이동하거나 원래 무리에서 우두머리 자리를 차지하기 전까지 1년 이상 가족 무리에 남아 조력자(helper) 역할을 수행한다. 이 기간 동안 어린 새들은 다음 세대의 새끼들에게 먹이를 주고 돌보며, 뻐꾸기나 다른 포식자들을 함께 쫓아낸다.

요정굴뚝새는 다른 새의 탁란 대상이 되기도 한다. 주로 호스필드청동뻐꾸기의 숙주가 되며, 드물게는 빛나는청동뻐꾸기와 부채꼬리뻐꾸기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6. 문화적 묘사

수컷 요정굴뚝새는 호주 조류 관찰 및 보존 협회(Bird Observation & Conservation Australia)의 상징으로 사용된다.[40][106]

1964년에는 당시 '푸른 굴뚝새'(Blue Wreneng)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요정굴뚝새가 2실링 5펜스(2s.5d.) 우표에 등장했으나, 오스트레일리아의 10진법 통화 도입으로 인해 단종되었다.[42][108]

1999년 8월 12일, 오스트레일리아 우체국(Australia Post)에서 발행한 45센트짜리 우표에는 원래 화려한 요정굴뚝새 또는 보라오스트레일리아굴뚝새를 묘사하려 했으나, 실수로 요정굴뚝새가 그려졌다.[41][107]

참조

[1] 간행물 "''Malurus cyaneus''" 2016
[2] 웹사이트 Superb fairywren crowned 2021 Australian bird of the year winner in hotly contested vote https://www.theguard[...] 2021-10-08
[3] 논문 Relationships within the Australo-Papuan Fairy-wrens (Aves: Malurinae): an evaluation of the utility of allozyme data
[4] 서적 Analyse d'une Nouvelle Ornithologie Élémentaire https://archive.org/[...]
[5] 웹사이트 Aboriginal perspectives in science http://www.aborigina[...]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hildren's Services –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07-09-21
[6] 서적 Aboriginal flora and fauna names of Victoria: As extracted from early surveyors' reports http://www.vaclang.o[...] Victorian Aboriginal Corporation for Languages 2007-09-21
[7] 서적 The Sydney language Jakelin Troy
[8] 서적 Catalogue of the Passeriformes, or perching bi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Cichlomorphae, part 1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9] 서적 Catalogue of the Passeriformes, or perching bi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Cichlomorphae, part 4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10] 서적 A handlist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birds Vol. 4 British Museum
[11] 서적 Interim List of Australian Songbirds: passerines RAOU
[12] 논문 A phylogenetic hypothesis for passerine birds; Taxonom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an analysis of nuclear DNA sequence data
[13] 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rgest avian radiation
[14] 논문 Genome of an iconic Australian bird: High-quality assembly and linkage map of the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2020
[15] 웹사이트 Lyrebirds, scrubbirds, bowerbirds & Australasian wren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7-12-02
[16] 서적 An authentic narrative of a voyage performed by Captain Cook and Capt. Clarke in His Majesty's Ships Resolution and Discovery during the years 1776, 1777, 1778, 1779 and 1780: Vol 1 G. Robinson, J. Sewell and J. Debrett
[17] 서적 The Fairy-wrens: A Monograph of the Maluridae Landsdowne Press
[18] 논문 On a new species of blue wren from King Island, Bass Strait https://www.biodiver[...]
[19] 서적 The Directory of Australian Birds: Passerines. A Taxonomic and Zoogeographic Atlas of the Biodiversity of Birds in Australia and its Territories CSIRO Publishing
[20] 논문 Untitled
[21] 논문 A Reference-List to the Birds of Australia https://www.biodiver[...] 1912
[22] 논문 Adaptive divergence in the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a mainland versus island comparison of morphology and foraging behaviour 2006
[23] 논문 Supermatrix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the Australasian Meliphagides radiation (Aves: Passeriformes) 2017
[2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Australia Collins
[25] 논문 Bill size and shape in honeyeaters and other small insectivorous birds in Western Australia
[26]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Australia Viking O'Neil
[27] 논문 Ultraviolet vision in birds: what is its function?
[28] 논문 "A novel context for bird vocalization: predator calls prompt male singing in the kleptogamous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29] 논문 Embryonic Learning of Vocal Passwords in Superb Fairy-Wrens Reveals Intruder Cuckoo Nestlings
[30] 논문 The vegetation requirements of Superb Fairy-wrens (''Malurus cyaneus'') in non-urban edge and urbanised habitats http://www.publish.c[...] 2008-10
[31] 논문 Territory quality and group size in the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32] 서적 Birdwatcher's Guide to the Sydney Region Kangaroo Press
[33] 논문 The Life History of the Superb Blue Wren
[34] 논문 The Influence of group size and habitat on reproductive success in the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35] 논문 "'Rodent-run' distraction display by a passerine, the Superb Blue Wren ''Malurus cyaneus'' (L.)"
[36] 논문 A Micro-geography of Fear: Learning to Eavesdrop on Alarm Calls of Neighbouring Heterospecifics
[37] 논문 Splendid Wren with flower petal
[38] 서적 Australian Birds: Their Nests and Eggs self
[39] 서적 Food of Australian Birds: Vol. 2 – Passerines CSIRO
[40] 웹사이트 Home Page – Bird Observation & Conservation Australia http://www.birdobser[...] Bird Observation & Conservation Australia 2007-10-13
[41] 논문 Note: Birds error October–December 1999
[42] 웹사이트 Australia's Decimal Currency Stamps 1966 http://www.gibbonsst[...] Stanley Gibbons Ltd. 2006-02
[43] 간행물 "''Malurus cyaneus''" http://www.iucnredli[...] IUCN
[44] 문서
[45] 논문 Relationships within the Australo-Papuan Fairy-wrens (Aves: Malurinae): an evaluation of the utility of allozyme data http://www.publish.c[...] 2010-05-07
[46] 서적 Analyse d'une Nouvelle Ornithologie Elementaire https://archive.org/[...]
[47] 문서
[48] 문서
[49] 웹사이트 Aboriginal perspectives in science http://www.aborigina[...]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hildren's Services–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07-09-21
[50] 서적 Aboriginal flora and fauna names of Victoria: As extracted from early surveyors' reports http://www.vaclang.o[...] Victorian Aboriginal Corporation for Languages 2007-09-21
[51] 서적 The Sydney language Jakelin Troy
[52] 서적 Interim List of Australian Songbirds: passerines RAOU
[53] 서적 Catalogue of the Passeriformes, or perching bi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Cichlomorphae, part 1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54] 서적 Catalogue of the Passeriformes, or perching bird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Cichlomorphae, part 4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55] 서적 A handlist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birds Vol. 4 British Museum
[56] 논문 A phylogenetic hypothesis for passerine birds; Taxonom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an analysis of nuclear DNA sequence data
[57] 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rgest avian radiation http://www.tc.umn.ed[...] 2007-10-12
[58] 문서
[59] 서적 An authentic narrative of a voyage performed by Captain Cook and Capt. Clarke in His Majesty's Ships Resolution and Discovery during the years 1776, 1777, 1778, 1779 and 1780: Vol 1 G. Robinson, J. Sewell and J. Debrett
[60] 논문 On a new species of blue wren from King Island, Bass Strait
[61] 문서
[62] 서적 The Fairy-wrens: A Monograph of the Maluridae Landsdowne
[63] 논문 no title
[64] 문서 The fairywrens: a monograph of the Maluridae Lansdowne Editions, Melbourne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논문 Bill size and shape in honeyeaters and other small insectivorous birds in Western Australia
[70] 문서
[71] 서적 Field Guide to the Birds of Australia Viking O'Neil
[72] 문서 Rowley and Russell, p. 144
[73] 문서 Rowley and Russell, p. 45
[74] 문서 Rowley and Russell, p. 44
[75] 논문 Ultraviolet vision in birds: what is its function?
[76] 문서 Rowley and Russell, p. 63
[77] 문서 Rowley and Russell, pp. 65–66
[78] 간행물 Langmore NE, Mulder RA. (1992): A novel context for bird vocalization: predator calls prompt male singing in the kleptogamous superb fairy-wren,''Malurus cyaneus''. ''[[:en:Ethology (journal)|Ethology]]''90'''(2)''':143–153.
[79] 문서 Rowley and Russell, p. 68
[80] 논문 The vegetation requirements of Superb Fairy-wrens (''Malurus cyaneus'') in non-urban edge and urbanised habitats http://www.publish.c[...] 2008-10-24
[81] 문서 Rowley and Russell, p. 146
[82] 논문 Territory quality and group size in the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83] 문서 Rowley and Russell, p. 137
[84] 서적 Birdwatcher's Guide to the Sydney Region Kangaroo Press
[85] 문서 Rowley and Russell, pp. 147–48
[86] 문서 Rowley and Russell, p. 134
[87] 문서 Rowley and Russell, p. 42
[88] 문서 Rowley and Russell, p. 41
[89] 문서 Rowley and Russell, pp. 61–62
[90] 논문 The Life History of the Superb Blue Wren
[91] 논문 The Influence of group size and habitat on reproductive success in the Superb Fairy-wren ''Malurus cyaneus''
[92] 문서 Rowley and Russell, p. 99
[93] 문서 Rowley and Russell, p. 121
[94] 논문 'Rodent-run' distraction display by a passerine, the Superb Blue Wren ''Malurus cyaneus'' (L.)
[95] 서적 Food of Australian Birds: Vol. 2 –Passerines CSIRO
[96] 문서 Rowley and Russell, pp. 49–52
[97] 문서 Rowley and Russell, p. 53
[98] 논문 Splendid Wren with flower petal
[99] 문서 Rowley and Russell, p. 76
[100] 문서 Rowley and Russell, p. 75
[101] 문서 Rowley and Russell, p. 79
[102] 문서 Rowley and Russell, p. 89
[103] 서적 Australian Birds: Their Nests and Eggs self
[104] 문서 Rowley and Russell, p. 149
[105] 문서 Rowley and Russell, pp. 118–19
[106] 웹사이트 Home Page – Bird Observation & Conservation Australia http://www.birdobser[...] Bird Observation & Conservation Australia 2010-05-07
[107] 간행물 Note:Birds error 2007-10-13
[108] 웹사이트 Australia's Decimal Currency Stamps 1966 http://www.gibbonsst[...] Stanley Gibbons Ltd 2010-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