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범은 재료, 형태, 제품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 기술 및 도구이다. 주요 유형으로는 블로우 성형, 분말 야금 및 소결, 압축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적층, 반응 사출 성형, 매트릭스 성형, 회전 성형, 스핀 캐스팅, 트랜스퍼 성형, 건식 성형 섬유, 열성형, 트윈 시트 열성형, 진공 성형, FRP 성형, 핸드 레이업 성형, 수지 이송 성형, 진공 보조 수지 이송 성형, 블래더 성형, 섬유유리 스프레이 레이업 공정 등이 있다. 청동기 시대 유물에서 용범이 발견되었으며, 고대 한국과 일본에서 금속 주조 및 다양한 제품 생산에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조 - 다이캐스팅
다이캐스팅은 금속을 금형에 고압으로 주입하여 정밀한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주조 방식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자동차 부품 일체형 성형 기술로 발전하고 있고,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이 사용되며, 다이 준비, 충전, 이젝션, 셰이크아웃의 4단계를 거쳐 무공극, 진공 보조 고압 다이캐스팅 등 특수 기술로 품질과 효율성을 높인다. - 주조 - 주괴
주괴는 금속을 녹여 주형에 부어 냉각시킨 덩어리 형태의 금속 제품으로, 투자, 산업, 재료 가공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공정 무역을 통해 생산된 귀금속 주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옻칠
옻칠은 우루시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 수지로 만든 도료로, 동아시아에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마감재이며, 단단하고 견고하며 아름다운 광택을 내는 특징이 있으며, 가구, 그릇, 악기 등 다양한 생활용품과 예술품 제작에 사용되고, 옻칠은 우수한 내구성과 방수성을 지니지만, 자외선에 약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서울특별시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용범 | |
---|---|
개요 | |
정의 | 액체 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더 단단한 틀에 맞춰 모양을 만드는 것 |
관련 분야 | |
관련 분야 | 주조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축 성형 회전 성형 열성형 퍼프 성형 적층 제조 |
2. 유형
용범은 사용되는 재료, 형태의 수, 제품을 만드는 방법 등 여러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재료로 용범이 제작되었다. 유럽에서는 초기에 돌이나 점토로 만든 용범이 사용되었고, 이집트와 인도에서는 밀랍을 이용한 용범 제작 기술이 발달하여 동물이나 인물 형상을 주조하였다. 중국에서는 용산문화 시기부터 청동기 제작에 사질토(砂質土)를 주로 사용한 용범이 만들어졌다. 은대까지는 주로 흙이나 돌로 만든 용범이 많이 이용되었으나, 주대에는 밀랍으로 만든 용범도 사용되었다.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에 주로 돌로 만든 용범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뉴세문경, 동검, 동과, 동모, 동부, 동포(銅泡), 동조침(銅釣針) 등을 제작한 흔적이 발견된다. 해방 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는 청동기를 주조했던 활석으로 만든 용범이 일괄적으로 출토되어 현재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유물들은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출토지에 대해서는 영암군 서호면 독천리라는 전통적인 설과 함께 최근 영암군 내 다른 곳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에 청동기 제조 기술과 함께 용범이 전래되었으며, 돌, 점토, 밀랍, 금속 등을 재료로 사용하였다. 초기에는 양면의 두 외형을 조합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후에는 안쪽 틀(내형)과 바깥 틀(외형)을 조합하고 그 틈새에 금속을 흘려 넣는 '중자법'이 사용되어 동탁이나 용기 등을 주조하였다.[6] 역사 시대에 들어서면서 화폐나 불상, 불구(佛具)의 주조를 위한 용범으로도 활용되었다.
또한, 제품을 만드는 성형 방법 자체도 용범을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며, 매우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5]
2. 1. 주조
주조는 다양한 성형 방법 중 가장 오래된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5] 특히 금속을 포함한 광범위한 재료를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2. 2. 블로우 성형
블로우 성형은 다양한 성형 방법[5] 중 하나이다.2. 3. 분말 야금 및 소결
분말 야금 및 소결은 금속 분말을 압축 성형한 후 고온에서 소결하여 제품을 만드는 성형 방법 중 하나이다.[5]2. 4. 압축 성형
압축 성형은 다양한 성형 방법 중 하나이다.[5]2. 5. 압출 성형
압출 성형은 재료를 금형의 작은 구멍으로 밀어내어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성형 방법 중 하나이다.2. 6. 사출 성형
사출 성형은 녹인 재료를 금형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반응 사출 성형도 이에 포함된다.[5]2. 7. 적층
적층2. 8. 반응 사출 성형
반응 사출 성형은 액체 상태의 재료를 금형에 주입한 후, 화학 반응을 통해 고체화시켜 원하는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 성형 방법이다.[5] 이는 사출 성형이나 FRP 성형의 한 종류로 분류되기도 한다.[5]2. 9. 매트릭스 성형
매트릭스 성형은 다양한 성형 방법 중 하나이다.[5]2. 10. 회전 성형 (로토몰딩)
회전 성형 (또는 로토몰딩)은 성형 방법의 한 종류이다.[5]2. 11. 스핀 캐스팅
스핀 캐스팅은 다양한 성형 방법 중 하나이다.[5]2. 12. 트랜스퍼 성형
트랜스퍼 성형은 성형 방법의 한 종류이다.[5]2. 13. 건식 성형 섬유/건식 성형
건식 성형 섬유 또는 건식 성형은 건조된 섬유를 사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방법이다.[5] 이는 여러 성형 기법 중 하나로 분류된다.[5]2. 14. 열성형
열성형은 열을 가해 부드럽게 만든 플라스틱 시트를 금형에 밀착시켜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성형 방법이다.[5] 열성형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트윈 시트 열성형과 진공 성형 등이 있다.[5]2. 14. 1. 트윈 시트 열성형
트윈 시트 열성형은 열성형의 한 종류이다.[5] 이 방식은 두 장의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열성형 공정이다.2. 14. 2. 진공 성형
진공 성형은 열성형의 단순화된 버전으로, 진공을 이용하여 가열된 플라스틱 시트를 금형 표면에 밀착시켜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성형 방식이다.2. 15. FRP 성형
섬유유리 강화 플라스틱(FRP) 성형은 섬유유리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품을 만드는 다양한 성형 방법을 아우른다.[5] 주요 FRP 성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핸드 레이업 성형
- 수지 이송 성형
- 진공 보조 수지 이송 성형 (진공 백 성형)
- 블래더 성형
- 스프레이 업 성형 (섬유유리 스프레이 레이업 공정)
- 반응 사출 성형
2. 15. 1. 핸드 레이업 성형
FRP 성형의 한 종류이다.[5] 수작업으로 섬유와 수지를 쌓아 올려 성형하는 방법을 말한다.2. 15. 2. 수지 이송 성형
FRP 성형의 한 종류이다.[5] 금형에 섬유를 먼저 배치하고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제품을 성형한다.2. 15. 3. 진공 보조 수지 이송 성형 (진공 백 성형)
진공 보조 수지 이송 성형, 또는 진공 백 성형은 FRP 성형의 한 방법이다. 이는 진공의 힘을 빌려 수지 이송 성형 과정을 보조하는 기술을 말한다.2. 15. 4. 블래더 성형
FRP 성형의 한 종류로,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블래더를 팽창시켜 성형하는 방법이다.[5]2. 15. 5. 섬유유리 스프레이 레이업 공정 (스프레이 업 성형)
섬유유리 스프레이 레이업 공정, 또는 스프레이 업 성형은 섬유와 수지를 함께 스프레이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FRP 성형의 한 종류이다.[5]3. 역사
용범은 금속을 녹여 부어 원하는 형태의 물건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틀을 말한다. 구리가 발견되어 도구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그 제작에 일찍부터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용범이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돌, 점토, 밀랍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으며, 청동기 시대 이후 여러 지역에서 독자적인 기술 발전을 이루었다. 용범은 사용된 재질, 틀의 형태(단면/양면, 내형/외형 등), 제품 제조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6]
3. 1. 초기
구리가 발견되어 도구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그 제작에 일찍부터 각종 용범이 사용되었다. 유럽에서는 돌로 만든 용범과 함께 점토로도 만들었고, 이집트와 인도에서는 밀랍(蜜蠟)으로 만든 용범이 발명되어 동물과 인물의 형상 등을 주조하였다. 중국에서는 용산문화기(龍山文化期)부터 청동기 제조에 사질토(砂質土)를 주로 사용하여 용범이 만들어졌다. 은(殷)나라 때까지는 주로 흙이나 돌로 만든 용범이 많이 이용되었으나, 주(周)나라 때에는 밀랍으로 만든 것도 사용되었다.한반도의 청동기 시대에는 돌로 만든 용범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다뉴세문경, 동검(銅劒), 동과(銅戈), 동모(銅矛), 동부(銅斧), 동포(銅泡), 동조침(銅釣針) 등이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해방 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는 청동기를 주조하였던 활석으로 만든 용범이 일괄적으로 출토되어 현재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용범들은 모두 청동기시대 후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그 출토지는 영암군 서호면 독천리로 전해져 왔으나, 최근 영암군 내 다른 곳에서 출토되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에 청동기 제조 기술과 함께 용범이 전래되었으며, 돌, 점토, 밀랍, 금속 등을 재료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양면의 두 개의 외형을 조합한 형태가 사용되었지만, 이후에는 동탁이나 용기를 주조하기 위해 내형과 외형을 조합하고 그 틈새에 금속을 흘려 넣는 "중자법"도 사용되었다.[6] 역사 시대에 들어서면서 화폐나 불상・불구(佛具)의 주조를 위한 형으로도 사용되었다.
3. 2. 한국
청동기 시대의 한반도에서는 돌로 만든 용범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다뉴세문경, 동검, 동과, 동모, 동부, 동포(銅泡), 동조침(銅釣針) 등이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유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해방 후 전라남도 영암군에서는 청동기를 주조하는 데 사용된 활석 용범이 한꺼번에 출토되어 현재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유물들은 모두 청동기 시대 후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지는 영암군 서호면 독천리로 전해져 왔으나, 최근 영암군 내 다른 곳에서 출토되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어 추가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3. 3. 일본
일본에서는 야요이 시대에 청동기 제조 기술과 함께 용범이 전래되었다. 당시 용범은 돌, 점토, 밀랍,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졌다.초기에는 양면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외형을 합쳐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이후 기술이 발전하면서 동탁이나 용기를 만들기 위해 안쪽 틀(내형)과 바깥쪽 틀(외형)을 조합하고 그 사이 빈 공간에 녹인 금속을 부어 넣는 방식인 "중자법"이 사용되기 시작했다.[6] 역사 시대에 들어서면서 용범은 화폐나 불상, 불구 등을 만드는 데에도 널리 활용되었다.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olding – Definition of molding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2]
웹사이트
Mold – Definition of mold by Merriam-Webster
http://www.merriam-w[...]
[3]
간행물
Articulated mold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https://patents.goog[...]
2013-03-14
[4]
웹사이트
Articulated molds
http://www.terpconne[...]
[5]
서적
Materials Techn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
[6]
웹사이트
弥生時代の“ワザ”に挑む!石製鋳型を用いた銅鐸の復元制作(後編)
https://cpcp.nich.go[...]
국립문화재機構 문화재활용센터
2023-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