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왕전은 1987년 요미우리 신문사와 일본쇼기연맹의 계약으로 발족된 일본 쇼기계의 최고 공식전이다. 십단전을 계승하여 명인전과 동등한 격으로 시작되었으며, 5연패 또는 통산 7회 우승 시 영세용왕 칭호를 얻는다. 6개의 클래스로 구성된 랭킹전을 통해 도전자를 선발하며, 용왕과 도전자는 7번의 대국을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용왕전은 4,400만 엔의 우승 상금을 제공하며, 와타나베 아키라가 최다 11회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쇼기 기전 - 명인전 (쇼기)
명인전은 종신 명인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1937년 도입된 일본 쇼기의 실력제 기전으로, 순위전 우승자가 명인에게 도전하는 7번기 승부로 진행되며, 통산 5회 이상 우승자에게는 영세 명인 칭호가 수여되는 오랜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대회이다. - 쇼기 기전 - 왕장전
왕장전은 마이니치 신문사와 스포츠 닛폰 신문사가 주최하는 일본 쇼기 기전으로, 모든 프로 기사에게 개방되어 예선과 도전자 결정 리그를 거쳐 왕장 칭호 보유자와 도전자가 7번기를 통해 새로운 왕장을 결정하며, 오야마 야스하루와 하부 요시하루는 영세왕장 칭호를 획득했다.
용왕전 | |
---|---|
기본 정보 | |
분류 | 타이틀전 |
옛 명칭 | 9단전・10단전 (전신) |
종류 | 용왕 |
주최 | 요미우리 신문사, 일본 쇼기 연맹 |
협찬 | 노무라 홀딩스 (특별 협찬), 도큐, UACJ, 헤벨하우스, 안신재단, JRA |
웹사이트 | 용왕전:일본 쇼기 연맹 |
일정 | |
개최 시기 | 예선: 전년 12월 - 5월, 본전: 6월 - 9월, 타이틀전: 10월 - 12월 |
최초 개최 | 1988년도 (제1기) |
진행 방식 | |
제한 시간 | 7번 승부: 8시간 (2일제/스톱워치 방식), 본전: 5시간 (스톱워치 방식), 랭킹전: 5시간 (체스 시계 사용), 출전자 결정전: 5시간 (체스 시계 사용), 승급자 결정전: 5시간 (체스 시계 사용), 잔류 결정전: 3시간 (체스 시계 사용) |
승부 방식 | 7번 승부 |
상금 | |
우승 상금 | 4,400만 엔 |
타이틀 보유자 및 영세 자격 | |
전기 우승자 | 후지이 소타 (제37기) |
영세 자격 | 와타나베 아키라 (영세 용왕 자격), 하부 요시하루 (영세 용왕 자격) |
최다 우승 | 와타나베 아키라 (11기) |
최다 연패 | 와타나베 아키라 (9연패) |
2. 역사
1987년 10월, 요미우리 신문사와 일본쇼기연맹의 계약 조인으로 십단전이 발전적으로 해소되고, 새로운 쇼기계 최고 공식전 '용왕전'이 발족되었다.[160] 요미우리 신문사는 1987년 10월 1일자 신문 1면에 "쇼기계 최고의 공식전 창설"이라는 기사를 게재했고, 같은 해 10월 8일에 계약 조인식이 열렸다.[160]
명인전을 능가하는 격을 가진 기전 창설에 대해 역대 명인의 승낙을 얻을 필요가 있었다. 나카하라 마코토 (당시 명인)는 연맹에 일임했으나, 오야마 야스하루 (15세 명인, 당시 연맹 회장)와 마스다 코조 (실력제 4대 명인)는 반대했다. 협상 끝에, 상금액 1위를 공표해도 좋지만 (기전의 서열은 상위), 타이틀 홀더로서의 서열은 명인과 동격으로 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정리되었다.
용왕전은 이전의 십단전(十段戦, jū-dan sen) 타이틀 토너먼트를 계승한 것이다. 십단전(1962–1987) 자체는 구단전(九段戦, 1956–1961)과 그 이전의 전일본선수권전(1948–1955) 토너먼트를 계승한 것으로, 모두 동일한 요미우리 신문사가 후원했다. 전일본선수권전은 1950년에 타이틀 토너먼트가 되었고, 타이틀은 구단(九段) 타이틀로 알려졌다. (당시 쇼기의 최고 단은 현재의 랭킹 시스템과는 달리 8단이었다.) 이러한 계보를 고려할 때, 용왕전은 명인전에 이어 두 번째로 역사적인 타이틀이자 가장 오래 지속된 타이틀 토너먼트이다.
1987년 - 1988년에 열린 제1기는 용왕전의 전신이 십단전이었던 관계로, 마지막 십단이 된 "제26기 십단"과, 영세 십단 자격자 2명의 총 3명이 본선에 시드되었다. 랭킹전의 1-6조의 조 편성은 십단전 종료 1기 전의 "제25기 십단"과 십단 이외의 타이틀 보유자를 우선으로 하고, 이하, "제46기 순위전"의 순위 서열로 결정되었다. 본선은 14명에 의한 토너먼트로, 2개의 준결승은 3번기, 결승은 7번기로 진행되었고, 결승에서 승리한 시마 아키라 6단이 초대 용왕이 되었다.
== 기전명 ==
'용왕전'이라는 명칭은 두 가지 근거에서 유래한다. 첫째, 용왕은 예로부터 중국에서 황제의 심벌로, 고귀한 것을 상징한다. 둘째, 쇼기 기물 중 용왕은 최강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160] ''류오''(ryūō)는 기본적으로 말을 승진시킨 룩을 의미한다. 쇼기에서 가장 강력한 두 말 중 하나로, 한 턴 동안 룩(''히샤'' 飛車)과 실버(''긴쇼'' 銀将) 모두 움직일 수 있다.
새로운 기전명 후보로는 "기신전(棋神戦)", "최고봉전(最高峰戦)", "거인전(巨人戦)", "거성전(巨星戦)", "기보전(棋宝戦)", "달인전(達人戦)", "용왕전", "쇼기도코로" 등이 제시되었다.[160] 이 중 "神"이 들어가는 이름은 종교적 색채를 띠고, "巨"가 들어가는 이름은 야구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약칭인 교진(巨人)과 혼동을 줄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다른 후보들이 소거되었다.[160] 다마루 노보루[50]에 따르면, 「기신전」은 종교 관련 문제가 있었고, 「거인」은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혼동하기 쉬웠다. 야마다 후미오[51]에 따르면, 「용왕전」은 주니치 드래건스를 연상시킨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용왕은 가장 강한 말이지만, 가장 가치가 높은 말은 왕(王)이므로, 왕위전 위에 용왕전을 설치하는 것은 격언에 반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최종적으로 후보를 하나씩 없애고, 마지막까지 남은 「용왕전」이 기전명으로 결정되었다.
「'''용'''왕전」과 「'''룡'''왕전」 중 어느 쪽을 정식 기전명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 일반적인 장기 말에는 「룡왕(龍王)」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요미우리 신문사에서는 상용 한자 밖의 「룡(龍)」을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용(竜)과 룡(龍)은 이체자이지만, 용(竜)은 룡(龍)의 약자이며 신자(新字)임과 동시에 고자(古字)이기도 하다. 약자로 취급되었던 용(竜)이야말로 정통한 글자라는 근거에 의해 「용왕전」을 정식 기전명으로 했다. 이후, 일본쇼기연맹은 말의 정식 이름은 「용왕(竜王)」이며, 실재하는 말에 「룡왕(龍王)」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서체의 사정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2. 1. 기전명
'용왕전'이라는 명칭은 두 가지 근거에서 유래한다. 첫째, 용왕은 예로부터 중국에서 황제의 심벌로, 고귀한 것을 상징한다. 둘째, 쇼기 기물 중 용왕은 최강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160] ''류오''(ryūō)는 기본적으로 말을 승진시킨 룩을 의미한다. 쇼기에서 가장 강력한 두 말 중 하나로, 한 턴 동안 룩(''히샤'' 飛車)과 실버(''긴쇼'' 銀将) 모두 움직일 수 있다.새로운 기전명 후보로는 "기신전(棋神戦)", "최고봉전(最高峰戦)", "거인전(巨人戦)", "거성전(巨星戦)", "기보전(棋宝戦)", "달인전(達人戦)", "용왕전", "쇼기도코로" 등이 제시되었다.[160] 이 중 "神"이 들어가는 이름은 종교적 색채를 띠고, "巨"가 들어가는 이름은 야구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약칭인 교진(巨人)과 혼동을 줄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다른 후보들이 소거되었다.[160] 다마루 노보루[50]에 따르면, 「기신전」은 종교 관련 문제가 있었고, 「거인」은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혼동하기 쉬웠다. 야마다 후미오[51]에 따르면, 「용왕전」은 주니치 드래건스를 연상시킨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용왕은 가장 강한 말이지만, 가장 가치가 높은 말은 왕(王)이므로, 왕위전 위에 용왕전을 설치하는 것은 격언에 반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최종적으로 후보를 하나씩 없애고, 마지막까지 남은 「용왕전」이 기전명으로 결정되었다.
「'''용'''왕전」과 「'''룡'''왕전」 중 어느 쪽을 정식 기전명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 일반적인 장기 말에는 「룡왕(龍王)」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요미우리 신문사에서는 상용 한자 밖의 「룡(龍)」을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용(竜)과 룡(龍)은 이체자이지만, 용(竜)은 룡(龍)의 약자이며 신자(新字)임과 동시에 고자(古字)이기도 하다. 약자로 취급되었던 용(竜)이야말로 정통한 글자라는 근거에 의해 「용왕전」을 정식 기전명으로 했다. 이후, 일본 장기 연맹은 말의 정식 이름은 「용왕(竜王)」이며, 실재하는 말에 「룡왕(龍王)」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것은 서체의 사정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3. 영세칭호
용왕전에서 5연패 또는 통산 7회 타이틀을 획득하면 영세용왕 칭호를 얻는다.[5] 칭호 획득은 원칙적으로 은퇴 시에 이루어진다.[5] 2021년 11월 현재, 영세 용왕 자격을 가진 기사는 와타나베 아키라와 하부 요시하루 2명이다.[5]
와타나베 아키라는 2008년 12월 18일에 5연패를 달성하여 영세 용왕 칭호를 획득했다.(당시 24세 7개월)[6] (제17기 - 제21기 용왕전). 하부 요시하루는 2017년 12월 5일에 통산 7번째 타이틀을 획득하여 영세 용왕 자격을 얻었다.(당시 47세 2개월)[7] (제2기, 제5기, 제7기-제8기, 제14기-제15기, 제30기 용왕전). 두 기사 모두 은퇴 후에 공식적으로 영세 용왕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4. 대회 방식
이 기전은 6개의 클래스별 기전과 1개의 사다리 형식 챌린저 토너먼트로 구성된다.[3] 현재 활동 중인 모든 프로 기사, 자격을 갖춘 여류 기사, 수습 기사 및 아마추어는 6개의 클래스 중 하나에 배정된다.[3] 클래스 1부터 클래스 3까지는 각 약 16명의 기사가, 클래스 4와 클래스 5에는 32명의 기사가 배정되며, 나머지 모든 기사들은 클래스 6에 배정된다.[3] 이 클래스별 기전의 상위 기사들(클래스 1 상위 5명, 클래스 2 상위 2명, 클래스 3, 클래스 4, 클래스 5, 클래스 6 각 1명)은 챌린저 토너먼트에 시드 배정된다.[3] 챌린저 토너먼트 결승에 진출한 두 기사는 3경기 대결을 통해 최종 우승자를 결정한다.[3] 타이틀 매치에서 7번의 챔피언십 게임 중 4번을 먼저 승리하는 기사가 새로운 타이틀 보유자가 된다.[3]
용왕 취임식에서 전달되는 용왕배는 치치부노미야 야스히토 친왕이 기증했으며, 구단전, 십단전에서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상위 1조부터 하위 6조까지 6개의 클래스로 나뉜 토너먼트(용왕 랭킹전[52]), 결승 토너먼트(본선), 그리고 용왕전 7번 승부로 구성된다. 매년 11~12월경부터 용왕 랭킹전이 시작되어, 다음 해 6월경까지 각 조 우승자 및 본선 출전자를 결정한다. 6월 하순부터 시작되는 본선은 7월 하순부터 9월 상순에 걸쳐 진행되는 3번 승부 형식의 도전기 결정전을 통해 도전자를 결정한다. 용왕전 7번 승부는 10월부터 12월경에 걸쳐 진행된다.
"용왕 랭킹전" 결승 진출자 이외의 기사는, 각 조에서 진행되는 "승급자 결정전"(1조는 "출전자 결정전")을 치르며, 2조 이하의 "승급자 결정전" 승리자와 "용왕 랭킹전" 결승 진출자가 승급자로 다음 기에 한 단계 위의 클래스에 소속된다. 한편, "승급자 결정전"(1조는 "출전자 결정전")에서의 성적 하위자는 강급자로 다음 기에 한 단계 아래의 클래스에 소속된다.
html5 장기판[53]을 사용한 시리즈는 예왕전에 이어서 두 번째 사례이지만, 공식적으로는 adobe의 서비스 종료까지 flash 장기판이 사용되었다.
독자적인 랭킹전과 결승 토너먼트(본선)을 통해 도전자(본선 우승자)를 결정하고, 용왕과 도전자는 7번 승부를 치른다. 조가 상위일수록, 또한, 1조, 2조에서는 조 내에서의 성적 순위가 상위일수록 용왕 재위자에 대한 도전권을 얻기 쉬운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2005년에 제도가 개정되어 제18기(2005년) 이전과 제19기(2006년) 이후에 다른 부분이 있다.
4. 1. 개요
4. 2. 랭킹전
용왕전 랭킹전은 전 경기 단판 토너먼트제이며, 제한시간은 5시간(스톱워치 방식)이다.[3] 단, 4조 이하의 잔류결정전은 체스클록 방식의 3시간으로 진행된다.[3] 1조에서 6조까지 나뉘어 진행되며, 각 조의 우승자 및 상위 입상자는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하위 입상자는 하위 조로 강등된다.[76]각 조의 구성 및 승급/강급 방식은 다음과 같다.
- 1조: 16명으로 구성되며, 상위 5명(우승자, 준우승자, 3위, 4위, 5위)이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5위 결정전 1회전 패자 4명은 2조로 강등된다.[76] 우승 상금은 470만엔, 준우승 상금은 116만엔이다.(제33기 이후[54])
- 2조: 16명으로 구성되며, 우승자와 준우승자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우승/준우승자 및 준결승까지의 패퇴자들 간의 승급자 결정전을 통해 선발된 2명, 총 4명이 1조로 승급된다.[76] 랭킹전 1회전 패자 8명끼리 치러지는 승급자결정전 1회전의 패배자는 3조로 강등된다. 우승 상금은 366만엔, 준우승 상금은 94만엔이다.(제33기 이후[54])
- 3조: 16명으로 구성되며, 우승자는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승급자 및 강등자를 결정하는 방식은 2조와 같다. 우승 상금은 261만엔, 준우승 상금은 63만엔이다.(제33기 이후[54])
- 4조: 32명으로 구성되며, 우승자는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우승/준우승자 및 준결승까지의 패퇴자들 간의 승급자 결정전을 통해 선발된 2명, 총 4명이 3조로 승급된다. 랭킹전 1회전 패자 16명끼리 치러지는 승급자결정전 1회전의 패자 8명은 잔류결정전을 치르게 되고, 잔류결정전의 패자 4명은 5조로 강등된다. 우승 상금은 209만엔, 준우승 상금은 53만엔이다.(제33기 이후[54])
- 5조: 32명으로 구성되며, 우승자는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승급자 및 강등자를 결정하는 방식은 4조와 같다. 우승 상금은 157만엔, 준우승 상금은 42만엔이다.(제33기 이후[54])
- 6조: 1~5조 소속을 제외한 나머지 기사 전원 및 여류기사 4명[80], 장려회원 1명, 아마추어 5명[81]으로 구성되며, 우승자는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3] 우승/준우승자 및 준결승까지의 패퇴자들 간의 승급자 결정전을 통해 선발된 2명, 총 4명이 5조로 승급된다. 우승 상금은 94만엔, 준우승 상금은 21만엔이다.(제33기 이후[54])
각 조는 1패 시점에서 탈락하지 않고, 2패까지는 승급(1조는 본선 출전)의 가능성이 남아 있는 시스템이다. 랭킹전에서 승리한 자는 강급 대상이 되지 않고 잔류 이상이 결정된다. 랭킹전 1회전에서 패배한 기사라도 승급자 결정전(출전자 결정전)에서 1승하면 원칙적으로 잔류 이상이 결정된다.[76] 각 기 랭킹전의 조합은 전기까지의 용왕전의 성적에 따라 순위가 매겨진 비공표 순위에 의해, 상위자와 하위자가 대전하도록 조합된다.
클래스 | 정원 | 본선 출전 | 승급 枠 (원칙) | 강급 枠 (원칙) | 상금 | |
---|---|---|---|---|---|---|
1조 | 16명 | 5명 | - | 4명 | 우승 470 | |
2조 | 16명 | 2명 | 4명 | 4명 | 우승 366 | |
3조 | 16명 | 1명 | 4명 | 4명 | 우승 261 | |
4조 | 32명 | 1명 | 4명 | 4명 | 우승 209 | |
5조 | 32명 | 1명 | 4명 | 4명 | 우승 157 | |
6조 | 1명 | 4명 | - | 우승 94 |
4. 3. 결승 토너먼트


상위 조 소속일수록, 랭킹전 성적이 좋을수록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하는 래더 방식 토너먼트이다.[3] 결승(도전자결정전)은 3번기로 치러지며, 먼저 2승을 거둔 쪽이 도전자가 된다.[3] 제1국은 후리코마로 선후를 결정하고, 제2국은 제1국과 선후를 반대로 하며, 제3국은 다시 후리코마로 선후를 결정한다.[3] 제한시간은 5시간이다.[3]
랭킹전의 조와 순위에 따라 위치가 미리 정해진 토너먼트를 진행한다. 본선 시드는 (제1기 이외) 일절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타이틀 홀더라도 랭킹전을 통과해야 본선에 출전할 수 있다.[105][106]
현행 제도(제19기 이후)에서는 1조에서 5명(우승자/2~5위), 2조에서 2명(우승자/2위), 3조 이하에서는 랭킹전 우승자 각 1명으로 총 11명이 본선에 출전한다. 같은 조에서도 순위가 높을수록, 또한 같은 순위라도 상위 조일수록 도전자 결정전 진출에 필요한 승수가 적어진다. 1조 우승자는 1승만 하면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할 수 있지만, 같은 1조에서도 2~4위는 2승, 5위는 3승을 해야 한다. 2조 2위는 도전자 결정전에 3승이 필요하며, 2조 우승 · 1조 2위보다 1회 더 많다. 1~5조 우승자는 도전자 결정전 진출에는 조 번호와 같은 승수가 필요하며, 5조와 6조 우승자는 도전자 결정전 진출에는 5승을 해야 한다.
1조의 2위와 3위는 1조 우승자와는 도전자 결정전까지 만나지 않도록 되어 있는 반면, 1조의 4위와 5위는 1조 우승자에게 이기지 않으면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할 수 없다. 이는 1조 용왕 랭킹전은 빨리 질수록 본선 출전자 결정전에서 만나는 상대가 약해져 유리해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일부러 빨리 져서 하위 통과를 노리는 기사가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1조 우승자와 도전자 결정전까지 만나지 않는 3위 이상으로 통과하기 위해서는 준결승까지 진출해야 하지만, 그 준결승에서 이기면 2위 이상이 확정되므로 일부러 지는 것은 의미가 없게 된다.
본선에서의 계시는 스톱워치 방식으로 진행한다.
도전자는 차기 1조로 승급한다. 따라서 3조 이하의 우승자가 도전자가 되는 경우, 차기 1조는 정원보다 1명 많은 17명으로 경쟁하게 된다(도전자의 당초 승급 예정 클래스에서는 결원 1명이 된다).
초기(제2기-제18기) 결승 토너먼트의 제도에서는, 1조에서는 4명(우승자/2위/3위/3위), 2-3조에서는 각 2명(우승자/2위), 4-6조는 랭킹전 우승자의 각 1명의 총 11명에 의해 겨루어졌다. 재적 클래스(조)별로 도전 자 결정전 진출에 필요한 승수가 정해져 있었으며, 1조와 2조에서는 순위에 관계없이 2승, 3조와 4조에서는 3승, 5조와 6조에서는 4승이 필요했다. 1조 3위로 본선 진출하는 2명이, 1조 3위의 출전 枠 두 개 중 어느 쪽이 될지는 추첨으로 결정되었다.
제1기 결승 토너먼트는, '''제26기 십단 타이틀 보유자''' (준결승 시드)와 '''영세 십단''' 자격자 2명(준준결승 시드)의 총 3명을 랭킹전을 면제한 '''본선 시드자'''로 하고, 제2기 이후의 본선 진출자와 마찬가지로 11명을 합한 총 14명에 의해 겨루어졌다. 결승을 7번 승부, 준결승을 도전 자 결정 3번 승부로 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조 이상으로부터의 출전자 및 3조 우승은 4회전부터 참가로 하고, 3조 2위 및 4조 이하 우승자는 파라마스 토너먼트에 의해 4회전 진출자를 결정했다.
4. 4. 도전 7번기
10월~12월에 걸쳐서 치러지고 제한시간 8시간, 이틀제 대국이다. 대국 개시 시각은 오전 9시, 중식휴게 시간은 오후 12시 30분~1시 30분, 첫날 오후 6시에 봉수를 행하게 된다. 둘째 날 오전 9시에 봉수 개봉 및 대국 재개, 중식휴게 시간은 첫날과 동일하며, 오후에는 종국시까지 휴게 없이 진행된다.제1국은 과거에 수 차례 해외에서 치러진 바 있으며 제30기(2017년)부터는 도쿄 세룰리언 타워 노가쿠도(能楽堂)에서 부분공개대국으로 진행되고 있다.
; 역대 해외 대국
다음은 역대 용왕전의 첫 번째 대국이 일본 국외에서 진행된 사례들이다.[21][22]
기 | 연도 | 장소 |
---|---|---|
3 | 1990 | 프랑크푸르트 (독일) |
4 | 1991 | 방콕 (태국) |
5 | 1992 | 런던 (영국) |
6 | 1993 | 싱가포르 |
7 | 1994 | 파리 (프랑스) |
8 | 1995 | 베이징 (중국) |
9 | 1996 | 로스앤젤레스 (미국)[23] |
10 | 1997 | 골드코스트 (호주) |
11 | 1998 | 뉴욕 (미국) |
13 | 2000 | 상하이 (중국) |
15 | 2002 | 타이베이 (대만) |
17 | 2004 | 서울 (대한민국) |
19 | 2006 | 샌프란시스코 (미국)[24] |
21 | 2008 | 파리 (프랑스) |
27 | 2014 | 호놀룰루 (미국)[25] |
용왕과 본선에서 승리한 기사가 7번 승부를 치른다. 먼저 4승을 거둔 쪽이 새로운 용왕이 된다. 7번 승부는 전국 각지의 료칸이나 호텔 등에서 개최된다. 제29기 이전의 제1국은 일본 국외에서 대국이 열린 적이 있다(아래). 제30기 이후의 제1국은 앞서 언급했듯이 세루리안 타워 노가쿠도에서 부분 공개 대국이 관례가 되었다.
제한 시간은 각 8시간, 계시는 스톱워치 방식이며, 1국을 2일에 걸쳐 실시하는 2일제로 진행된다. 첫째 날이 끝나면 봉수를 하고, 둘째 날 시작까지 다음 수를 생각하여 유리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
최근에는 제6국까지 결착이 났을 경우, 용왕이 남은 대국 장소로 예정되었던 곳을 방문하여 전야제 대신에 축하회를 여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4. 4. 1. 역대 해외 대국
다음은 역대 용왕전의 첫 번째 대국이 일본 국외에서 진행된 사례들이다.[21][22]기 | 연도 | 장소 |
---|---|---|
3 | 1990 | 프랑크푸르트 (독일) |
4 | 1991 | 방콕 (태국) |
5 | 1992 | 런던 (영국) |
6 | 1993 | 싱가포르 |
7 | 1994 | 파리 (프랑스) |
8 | 1995 | 베이징 (중국) |
9 | 1996 | 로스앤젤레스 (미국)[23] |
10 | 1997 | 골드코스트 (호주) |
11 | 1998 | 뉴욕 (미국) |
13 | 2000 | 상하이 (중국) |
15 | 2002 | 타이베이 (대만) |
17 | 2004 | 서울 (대한민국) |
19 | 2006 | 샌프란시스코 (미국)[24] |
21 | 2008 | 파리 (프랑스) |
27 | 2014 | 호놀룰루 (미국)[25] |
5. 역대 7번기 결과
기 | 연도 | 우승자 | 전적 | 준우승자 | 비고 |
---|---|---|---|---|---|
1 | 1988 | 시마 아키라 | OOOO | 요네나가 쿠니오 | align=left| |
2 | 1989 | 하부 요시하루 | X持XOOOXO | 시마 아키라 | 하부 통산 첫 번째 타이틀 획득 |
3 | 1990 | 타니가와 코지 | OOOX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4 | 1991 | 持OXXOOO | 모리시타 타쿠 | align=left| | |
5 | 1992 | 하부 요시하루 | X千XOOOXO | 타니가와 코지 | align=left| |
6 | 1993 | 사토 야스미츠 | XOXOO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7 | 1994 | 하부 요시하루 | OOOXXO | 사토 야스미츠 | align=left| |
8 | 1995 | XOOOXO | align=left| | ||
9 | 1996 | 타니가와 코지 | XOOO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10 | 1997 | OOOO | 사나다 케이이치 | align=left| | |
11 | 1998 | 후지이 타케시 | OOOO | 타니가와 코지 | align=left| |
12 | 1999 | OOOXO | 스즈키 다이스케 | align=left| | |
13 | 2000 | OXOOXX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
14 | 2001 | 하부 요시하루 | OXOOO | 후지이 타케시 | align=left| |
15 | 2002 | 千千OOXXXOO | 아베 타카시 | 본래 천일수는 당일 재대국이 원칙이나 1국에서 2회 연속 천일수 발생으로 대국장 사정 상 무승부 처리 | |
16 | 2003 | 모리우치 토시유키 | OOO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17 | 2004 | 와타나베 아키라 | OXXOOXO | 모리우치 토시유키 | align=left| |
18 | 2005 | OOOO | 키무라 카즈키 | 와타나베 역대 최연소 9단 승단 | |
19 | 2006 | XXOOOXO | 사토 야스미츠 | align=left| | |
20 | 2007 | OXOOXO | align=left| | ||
21 | 2008 | XXXOOOO | 하부 요시하루 | 와타나베 영세용왕 자격 획득. 쇼기 기전 사상 최초의 3연패 후 4연승 | |
22 | 2009 | OOOO | 모리우치 토시유키 | align=left| | |
23 | 2010 | OOXXO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
24 | 2011 | OOXOO | 마루야마 타다히사 | align=left| | |
25 | 2012 | OOOXO | 와타나베 9연패 | ||
26 | 2013 | 모리우치 토시유키 | OOXOO | 와타나베 아키라 | 모리우치 용왕명인 등극 |
27 | 2014 | 이토다니 테츠로 | OOXOO | 모리우치 토시유키 | align=left| |
28 | 2015 | 와타나베 아키라 | XOOOO | 이토다니 테츠로 | align=left| |
29 | 2016 | OXXOOXO | 미우라 히로유키 ↓ 마루야마 타다히사 | 쇼기소프트 부정사용의혹 사건으로 도전자결정3번기 패자인 마루야마로 도전자 교체 | |
30 | 2017 | 하부 요시하루 | OOXOO | 와타나베 아키라 | 하부 영세용왕 자격 획득. 영세7관 달성 |
31 | 2018 | 히로세 아키히토 | XXOOXO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32 | 2019 | 토요시마 마사유키 | OOOXO | 히로세 아키히토 | 토요시마 역대 4명째의 용왕·명인 등극 |
33 | 2020 | OXOOO | 하부 요시하루 | align=left| |
전적은 우승자 기준으로 O = 승, X = 패, 千 = 천일수, 持 = 지쇼기를 나타낸다.
6. 기록
와타나베 아키라는 용왕전에서 통산 11회 타이틀을 획득하여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4년부터 2012년까지 9회 연속 타이틀을 획득하는 기록도 세웠다.[7][20] 하부 요시하루는 타이틀 재탈환 4회, 타이틀 획득 간 가장 긴 공백(15년, 2003–2017), 최고령 타이틀 획득(47세 2개월), 최연소 타이틀 획득(19세 2개월)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7][20]
최다 기록 | 최장 연속 기록 | 최연장 기록 | 최연소 기록 | |
---|---|---|---|---|
용왕 획득 | 와타나베 아키라 통산 11기 | 와타나베 아키라 연속 9기(제17-25기) | 하부 요시하루(제30기) 47세 2개월 | 하부 요시하루(제2기) 19세 2개월 |
용왕 방어 | 와타나베 아키라 통산 9기 | 와타나베 아키라 연속 7기(제18-24기) | 타니가와 고지(제10기) 35세 7개월 | 후지이 소타(제35기) 20세 4개월 |
번승부 출장 | 하부 요시하루 통산 16기 | 와타나베 아키라 연속 10기(제17-26기) | 하부 요시하루(제33기) [136]50세 12일 | 하부 요시하루(제2기) [137]19세 21일 |
도전 | 하부 요시하루 통산 9기 | 2기 연속 사토 야스미츠 (제19-20기) 마루야마 타다히사 (제24-25기) | ||
결승 T 진출 | 하부 요시하루 통산 27기 | 와타나베 아키라 연속 10기(제17-26기) | 오야마 야스하루(제2기) [138] 66세 4개월 | 후지이 소타(제30기) [139] 14세 11개월 |
결승 T 진출 | 하부 요시하루 통산 20기 | 쿠보 토시아키 연속 6기(제29-34기) | ||
1조 재적 | 하부 요시하루 통산 34기 | 하부 요시하루 연속 32기(제6-37기) | 오야마 야스하루(제5기) [140] 69세 4개월 | 하부 요시하루(제2기) 19세 91일 |
7. 상금 및 대국료
용왕전은 타이틀전 중에서 가장 높은 상금을 자랑한다.[59][60][54][55] 제36기 우승 상금은 4,400만 엔[54][55], 준우승 상금은 1,650만 엔[55]이다. 본선 이후의 대국료도 공개되어 있으며, 용왕의 7번기 대국료는 632만 엔[55], 도전 결정전 진출자의 3번기 대국료는 460만 엔[55]이다.
상금 및 대국료는 여러 번 변경되었다.[56][57][58] 제31기(2018년)부터 노무라 홀딩스가 특별 협찬으로 참여했다.[67] 제30기(2017년)부터 도큐 그룹이 7번기 제1국을 협찬하여 자사 소유의 세르리안 타워 지하의 노가쿠도를 대국장으로, 취위식(就位式) 장소를 제공하고 있으며, 제31기(2018년)부터는 용왕전 전체를 협찬하고 있다. 메이지의 "메이지 요구르트 R-1"이 제31기(2018년)부터 협찬하고 있다.[69] 제33기부터 UACJ, 아사히카세이 홈즈(제36기까지)가 협찬[70], 제34기부터 안심 재단, JRA가 협찬[71], 제36기에는 니토리가 협찬에 각각 참여했다.[72]
8. "전 용왕" 칭호
전기 용왕전의 승리 기사가 당기 용왕전에 패배하면 전 용왕이 되며, 다른 타이틀이 없을 경우 차기 용왕전 종료까지 타이틀에 준하는 칭호로서 "전 용왕"이라고 칭할 수 있었다. 기사의 서열로서는 "전 명인"과 동일한 위치였다.
제1기 용왕 시마 히카루, 제2기 용왕 하부 요시하루, 제6기 용왕 사토 야스미츠 3명이 용왕 실관 후에 전 용왕을 칭했다. 하지만 제10기 용왕 타니가와 고지[73] 이후, 후지이 맹 (제13기 용왕), 모리우치 토시유키 (제26기 용왕)[74], 이토다니 테츠로 (제27기 용왕), 하부 요시하루 (제30기 용왕), 히로세 아키히토 (제31기 용왕) 등은 전 용왕 칭호를 사퇴했다. "전 명인"과 함께 20년 이상 칭한 사람이 없는 실정을 감안하여 2020년 2월에 일본 장기 연맹은 "전 용왕" 칭호를 "전 명인"과 함께 폐지한다고 발표했다.[75]
9. 용왕과 명인
용왕과 명인은 다른 타이틀과는 격이 다른 취급을 받는다.
10. 승단
용왕전의 실적에 따른 승단은 현행 규정에서 다음과 같이 정해져 있다.[107]
현행 승단 규정 | |||||||
---|---|---|---|---|---|---|---|
5단 승단 | |||||||
6단 승단 | |||||||
7단 승단 | |||||||
8단 승단 | |||||||
9단 승단 | |||||||
{{리스트 | 원칙적으로, 동일 연도 내에 2회 이상 승단하는 일은 없다.(※용왕전에 의한 승단은 제외) | 용왕 랭킹전 우승에 의한 승단에 대해서는 승단 전의 우승도 승단의 조건이 된다. | 연속 2회 승급에 따른 승단에 대해서는 강급 직후의 연속 승급은 제외한다.(2016년 5월 추가) | {{리스트 | 원칙적으로, 동일 연도 내에 2회 이상 승단하는 일은 없다. | 용왕 랭킹전 우승에 의한 승단에 대해서는 승단 전의 우승도 승단의 조건이 된다. |
원칙적으로, 동일 연도 내에 2회 이상 승단하는 일은 없다. (용왕전에 의한 승단은 제외)[117][118] 용왕 랭킹전 우승에 의한 승단에 대해서는 승단 전의 우승도 승단의 조건이 된다. 연속 2회 승급에 따른 승단에 대해서는 강급 직후의 연속 승급은 제외한다. (2016년 5월 추가)[119]
11. 에피소드
용왕전은 젊은 기사, 아마추어, 여류 기사에게도 기회가 있는 타이틀전이다.[123] 실제로 시마 아키라, 하부 요시하루, 사토 야스미츠, 후지이 맹, 와타나베 아키라, 이토야 테츠로 등, 첫 타이틀 획득이 용왕위였던 경우도 다수 있다.[124]
기전 창설 이래 오랫동안 1조 우승자가 도전자가 된 적이 없어, "장기계의 7가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졌다.[126] 그러나 제31기에서 1조 우승자인 히로세 아키히토가 용왕을 획득하며 이 징크스는 깨졌다.
제7기 6조 랭킹전 1회전에서는 여류 기사 나카이 히로에가 기사 이케다 슈이치를 꺾고 여류 기사 최초로 공식전에서 승리했다.[127]
제21기에서는 와타나베 아키라가 하부 요시하루를 상대로 3연패 후 4연승으로 역전 방어하며 초대 영세 용왕 자격을 획득했다. 이는 타이틀전 7번 승부 최초의 3연패 후 4연승이었다.[128]
용왕전에서는 은퇴가 확정된 기사가 승급자/잔류자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현역 마지막 대국을 백승으로 장식하는 경우가 있다. 제23기의 오오우치 노부유키, 아리요시 미치오, 제28기의 아와지 히사시가 이에 해당한다.[129]
제29기에서는 미우라 히로유키의 장기 소프트웨어 부정 사용 의혹으로 인해 도전 기사가 마루야마 타다히사로 변경되었다.[26][27] 일본 장기 연맹은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조사하였고, 조사 결과 미우라에게 제기된 부정행위에 대한 의혹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30]
제30기 6조 1회전에서는 최연소 기사 후지이 소타(14세 5개월)와 최연장 기사 가토 히후미(76세 11개월)의 대국이 이루어졌다.[130] 이 대국은 장기 공식전 사상 최대 나이 차 대국이었으며, 후지이 소타가 승리했다.
제30기에서 하부 요시하루는 용왕 통산 7기를 달성하며 영세 용왕 자격을 취득, 영세 칠관을 달성했다.
제31기 랭킹전 6조 마키노 미츠노리 대 나카오 토시유키 전에서는 전후 최장 수인 420수로 지쇼기가 성립되었다.[132]
제31기에서 하부 요시하루는 히로세 아키히토에게 패배하여 타이틀 통산 100기 달성에 실패하고 27년 만에 무관이 되었다.[133]
제37기에서는 장려회원 야마시타 카즈키 삼단이 6조 결승에 진출하여 장려회원 최초로 5조 승급을 달성했다.[135]
12. 방송 및 중계
NHK에서 '쇼기 용왕전'이라는 프로그램명으로 NHK에서 텔레비전 방송되었다.[149] ABEMA·쇼기 채널에서 7번 승부의 완전 생중계가 진행되고 있다.[149] 2019년까지는 니코니코 생방송에서도 배포되었다.[149] 2022년 제35기 용왕전 7번 승부는, 용왕전 사상 처음으로 텔레비전 CM이 제작되어 니혼 TV와 BS 닛테레에서 방송되었다.[149]
참조
[1]
뉴스
Fujii wins shogi's Ryuo crown, youngest to hold 4 major titles
https://mainichi.jp/[...]
2021-11-13
[2]
웹사이트
Ryūō Rankingusen・Kesshō Tōnamento ni tsuite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3]
웹사이트
Ryūōsen: Ryūō Rankigu Kesshō Tōnamento ni Tsuite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
웹사이트
Yūshō Shōkin Yonsensanbyakunijūmanen, Amachua demo Sankadekiru 「Ryūōsen」 no Shikumi towa?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2017-09-07
[5]
웹사이트
Purokisen no Kitei ni Kansuru Goshitsumon - Q: Eisei Shōgō no Kitei wa Dō Natteiru no Deshōka
http://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6]
웹사이트
Watanabe Akira Ryūō no Kyōdō Kisha Kaiken
http://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2008-12-19
[7]
웹사이트
Habu Yoshiharu Ōi ga Ryūōi wo Dakkaishi, Shijōhatsu no 「Eisei Nanakan」 no Shikaku wo Kakutoku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2017-12-05
[8]
뉴스
Itodani Shin-Ryūō ga Tanjō, Taitoru Hatsuchōsen de Dasshu
http://www.nikkei.co[...]
2014-12-04
[9]
뉴스
Watanabe Kiō ga Ryūō Kaerizaki, Tsūsan Jikkime
http://www.asahi.com[...]
2015-12-03
[10]
뉴스
Ryūōsen, Watanabe Nikan ga Bōei, Maruyama ni Yonshō Sanpai
http://mainichi.jp/a[...]
2016-12-22
[11]
뉴스
Japanese shogi pro Habu becomes first to qualify for 7 lifetime titles
https://mainichi.jp/[...]
2017-12-05
[12]
뉴스
Hirose Shinryūō ga Tanjō, Habu Zenryūō wa Nijūnananenburi Mukan
https://www.yomiuri.[...]
2018-12-21
[13]
뉴스
Shogi star Habu loses Ryuo title, holds no major crown for 1st time in 27 years
https://mainichi.jp/[...]
2018-12-21
[14]
뉴스
Toyoshima Meijin ga Hatsu no Ryūō Shōgi, Nikan ni Fukki
https://www.sankei.c[...]
2019-12-07
[15]
뉴스
Toyoshima Masayuki Ryūō ga Taitoru Hatsubōei Habu Kudan ni Yonshō Ippai
https://www.nikkansp[...]
2020-12-06
[16]
뉴스
Shōgi・Fujii Sankan ga Ryūō Dasshu Sainenshō Jūkyusai de Yonkan
https://www.nikkei.c[...]
2021-11-13
[17]
뉴스
Fujii Sōta Ryūō ga Ryūō Hatsu Bōei Hatasu Watanabe Akira Meijin no Motsu Ryūō-i Sainenshō Bōei Kiroku wo Kōshin
https://hochi.news/a[...]
2022-12-03
[18]
뉴스
Fujii Sōta Ryūō Sanrenpa, Hachikan Hatsuboei...Itō Takumi Nanadan ni Yon Renshō
https://www.yomiuri.[...]
2023-11-11
[19]
뉴스
Shōgi 「Ryūōsen」 Fujii Sōta Nanakan Sasaki Yūki Hachidan ni Kachi Taitoru Bōei
https://www3.nhk.or.[...]
2024-12-13
[20]
뉴스
Habu Yoshiharu ga Ryūōsen de Shori, Shijohatsu 「Eisei Nanakan」ni
http://www.huffingto[...]
2017-12-05
[21]
웹사이트
Kaigai Taikyoku no Reikishi
http://kifulog.shogi[...]
Yomiuri Shimbun and Japan Shogi Association
2014-10-17
[22]
웹사이트
Dai Nijūnanaki Ryūōsen Nanaban Shōbu
http://live.shogi.or[...]
Yomiuri Shimbun and Japan Shogi Association
[23]
뉴스
Shogi Makes a Move: Stars of Chess-Like Japanese Game Play Tourney Round in L.A.
https://www.latimes.[...]
1996-10-18
[24]
뉴스
Venerable Japanese game's high-stakes battle / Shogi players vie for title and $300,000 -- contest brought to U.S. to boost interest
http://www.sfgate.co[...]
2006-10-12
[25]
뉴스
Professional Shogi Tournament to Kick Off in Isles
http://www.pressread[...]
2014-10-14
[26]
뉴스
Top 'shogi' player suspected of cheating pulls out of title match
http://www.asahi.com[...]
2016-10-13
[27]
뉴스
Top shogi player banned amid cheating allegations
http://mainichi.jp/e[...]
2016-10-13
[28]
웹사이트
Daisansha Chōsaiinkai Sechi no Ochirase
http://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2016-10-27
[29]
뉴스
Shogi association to set up investigative team to look into cheating allegations
http://mainichi.jp/e[...]
2016-10-22
[30]
뉴스
Inquiry clears top 'shogi' player Hiroyuki Miura of cheating
http://www.asahi.com[...]
2016-12-27
[31]
뉴스
Chief of 'shogi' body reinstates top player, apologizes over cheating charge
http://www.japantime[...]
2016-12-29
[32]
뉴스
Shogi player cleared, criticizes association
https://www3.nhk.or.[...]
2016-12-27
[33]
뉴스
Head of shogi association resigns after top player cleared of cheating
http://mainichi.jp/e[...]
2017-01-18
[34]
뉴스
Tanigawa Kaichō to Shima Riji no Jinin Shōnin Rinji Rijikai
http://mainichi.jp/a[...]
2017-01-19
[35]
뉴스
3 shogi board members sacked over mishandling of software 'cheating' scandal
http://mainichi.jp/e[...]
2017-02-28
[36]
뉴스
Shōgi Renmei no Riji Sannin wo Kainin Sofuto Fusei Sōdō no Taiō Mondai Kaishiin
http://www.asahi.com[...]
2017-02-27
[37]
뉴스
Miura Kudan to Wakai Sofuto Mondai de
https://mainichi.jp/[...]
2017-05-24
[38]
뉴스
Miura Kudan to Shōgi Renmai ga "Shōgi Sofuto Fusei Giwaku" de Wakai Isharyō wa Hikōkai (Kaiken Shōhō)
http://www.huffingto[...]
2017-05-24
[39]
웹사이트
Kishi Dētābēsu
http://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0]
웹사이트
Ryūō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1]
웹사이트
Dai Sanjūnhakki Ryūōsen [Rokkumi] Rankingu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2]
웹사이트
Dai Sanjūhakki Ryūōsen [Ichikumi] Rankingu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3]
웹사이트
Dai Sanjūnhakki Ryūōsen [Nikumi] Rankingu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4]
웹사이트
Dai Sanjūhakki Ryūōsen [Sanumi] Rankingu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5]
웹사이트
Dai Sanjūhakki Ryūōsen [Yonkumi] Rankingu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6]
웹사이트
Dai Sanjūhakki Ryūōsen [Gokumi] Rankingusen
https://www.shogi.or[...]
Japan Shogi Association
[47]
문서
2021년 현재, 용왕전 중계 블로그의 톱 페이지에는 주최로서 양자가 병기되어 있으며, 일본장기연맹의 사이트에서도 “일본장기연맹 주최 기전 일람” 페이지에 용왕전을 싣고 있다.
[48]
웹사이트
羽生善治、谷川浩司、森内俊之、そして豊島将之 将棋界の頂点を極めた「竜王・名人」の系譜(松本博文) - 個人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2019-12-08
[49]
웹사이트
【今日は何の日?】29年前の11月13日、第1期竜王戦が開幕|将棋コラム|日本将棋連盟
https://www.shogi.or[...]
2016-11-13
[50]
웹사이트
竜王戦が誕生した成り立ちと棋戦名の由来: 田丸昇公式ブログ と金 横歩き
http://tamarunoboru.[...]
[51]
웹사이트
竜王戦誕生秘話
https://shogipenclub[...]
[52]
문서
승급자·강급자 결정전을 포함한다.
[53]
웹사이트
第31期竜王戦七番勝負第5局 ライブ中継
https://web.archive.[...]
www.yomiuri.co.jp
[54]
웹사이트
竜王戦の賞金(竜王ランキング戦・決勝トーナメントについて)日本将棋連盟
https://www.shogi.or[...]
[55]
웹사이트
【動画】挑戦者の本命は“研究仲間”、対抗は「左の山」の若手3人…藤井竜王が本戦を展望 : 読売新聞オンライン
https://www.yomiuri.[...]
2022-06-24
[56]
문서
예를 들어, 제9기는 우승 상금 3200만엔, 준우승 상금 800만엔, 용왕 대국료 1350만엔, 도전자 대국료 675만엔, 도전자 결정 3번 승부의 대국료 330만엔. 제19기는 우승 상금 3200만엔, 준우승 상금 800만엔, 용왕 대국료 1450만엔, 도전자 대국료 700만엔, 도전자 결정 3번 승부의 대국료 330만엔. 제22기·제23기는, 용왕 대국료 3900만엔, 준우승 상금 1500만엔, 도전자 결정 3번 승부의 대국료 350만엔.
[57]
웹사이트
제22기 결승 토너먼트 (일본 장기 연맹)
https://www.shogi.or[...]
[58]
웹사이트
「と金ドリーム」が叶う竜王戦は優勝賞金が3900万円: 田丸昇公式ブログ と金 横歩き
http://tamarunoboru.[...]
2009-10-05
[59]
리스트
近代将棋 1989年1月号
https://dl.ndl.go.jp[...]
近代将棋社/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6-11-13
[60]
리스트
近代将棋 1989年10月号
https://dl.ndl.go.jp[...]
近代将棋社/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17-09-07
[61]
웹사이트
行方尚史四段(当時)「羽生さんの世代に続くのは僕だ、とアピールするいい機会だと思います」 | 将棋ペンクラブログ
https://shogipenclub[...]
2020-08-25
[62]
리스트
第18期竜王戦七番勝負 : 竜王戦 : 囲碁・将棋 : YOMIURI ONLINE(読売新聞)
http://www.yomiuri.c[...]
2005-10-19
[63]
리스트
第23期決勝トーナメント以降
http://live.shogi.or[...]
[64]
리스트
第29期決勝トーナメント以降
http://live.shogi.or[...]
[65]
리스트
第30期決勝トーナメント以降
https://www.yomiuri.[...]
[66]
리스트
第36期決勝トーナメント以降
https://www.yomiuri.[...]
[67]
뉴스
[将棋]第31期竜王戦 野村ホールディングスの特別協賛が決定
https://www.shogi.or[...]
日本将棋連盟
2017-12-18
[68]
웹사이트
第30期竜王戦七番勝負 日程・開催地の発表について|将棋ニュース|日本将棋連盟
https://www.shogi.or[...]
[69]
웹사이트
협찬 음료
https://kifulog.shog[...]
2018-08-14
[70]
웹사이트
2020년 10월 9일~10월 10일 7번 승부 제1국 토요시마 마사유키 용왕 대 하부세 요시하루 9단|제33기 용왕전
http://live.shogi.or[...]
[71]
웹사이트
2021年10月8日~10月9日 七番勝負 第1局 豊島将之竜王 対 藤井聡太王位・叡王・棋聖|第34期竜王戦
http://live.shogi.or[...]
[72]
뉴스
小樽で歓迎の声…歴史的建物「銀鱗荘」で竜王戦第4局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3-05-13
[73]
문서
谷川は竜王失冠直後「前名人・前竜王」の称号を名乗ることができたが、いずれの称号も辞退した。なお、それ以前に谷川は前名人の称号を名乗ったことはある。
[74]
문서
森内は竜王失冠直後「前名人・前竜王」の称号を名乗ることができたが、いずれの称号も辞退した。
[75]
웹사이트
将棋の「前竜王」や「前名人」の肩書廃止…20年以上、誰も名乗らず
https://www.yomiuri.[...]
2020-02-18
[76]
문서
第19期からの本戦については、2005年9月5日の読売新聞紙面上で公表された。また読売新聞のよみくま氏がネット掲示板「竜王戦@将棋パイナップル」に書き込みをしている
https://web.archive.[...]
[77]
문서
昇降級枠について、3組以下からの挑戦により1組が定員超過した期には、1組の降級枠が本来の3名から4名となった(第2期、3期、5期、11期、18期)。また、引退・死去により各組で欠員がある場合には都度、昇降級枠の人数調整が行なわれている(事例多数)。
[78]
웹사이트
第24期竜王戦ランキング戦
https://www.shogi.or[...]
2011-06-01
[79]
웹사이트
竜王戦について
http://www.shogi.or.[...]
2003-08-11
[80]
문서
第29期・第30期・第31期の加藤桃子や第32期の西山朋佳ら、女流タイトル保持者の奨励会員が女流枠から出場する場合もある。
[81]
웹사이트
「一昨年から規定上アマチュア枠4名でやっており、HPの竜王戦規定は更新を忘れていたとのことでした。したがって、今後も支部名人は竜王戦に出場できないようです。」
https://twitter.com/[...]
2023-01-05
[82]
웹사이트
竜王戦ランキング戦の定員について
https://web.archive.[...]
2007-09-21
[83]
웹사이트
竜王ランキング戦・決勝トーナメントについて(第26期)
https://web.archive.[...]
[84]
웹사이트
竜王ランキング戦・決勝トーナメントについて(第27期)
https://web.archive.[...]
[85]
문서
第21期では、4組(真部一男の死去による)と5組(小野修一の引退による)で欠員が生じていたが、4組の欠員解消を優先したため、第22期では、5組は欠員のままとなった。さらに1組でも欠員が生じた(中原誠の引退による)ため、1組の降級者枠を減らしたほか、3組と4組で追加の昇級者決定戦が組まれたが、すでに欠員があった5組では昇級者枠の追加がなかったため、第23期は4組で欠員が生じた。(5組は6組で昇級者の追加があったため、欠員が解消された。)
[86]
웹사이트
森内俊之竜王の就位式と竜王戦の対局料システム
http://tamarunoboru.[...]
2023-03-18
[87]
서적
瀬川晶司はなぜプロ棋士になれたのか
河出書房新社
2006-03-20
[88]
문서
60歳以上で順位戦C級2組から降級した棋士を含む。
[89]
문서
順位戦C級2組からの降級・棋士編入試験の合格・奨励会三段リーグで次点(リーグ3位)2回獲得によりフリークラスに編入した棋士が対象となる。
[90]
문서
なお、竜王戦以外の棋戦についても同様に当該棋戦のみ参加可能な特例があるが、2020年時点で竜王戦以外での適用例はない。
[91]
뉴스
青野照市「勝負師たちの系譜」 順位戦の思い出(上)転機になった村山聖八段の死 どんな将棋を指すのか楽しみになった瞬間から急に勝ちだし、A級復帰
https://www.zakzak.c[...]
夕刊フジ
2024-03-30
[92]
문서
棋士 (将棋)#引退を参照のこと。なお、2009年度に引退が決定したにもかかわらず同年度の竜王戦5組への「残留」を果たした大内延介と有吉道夫は、この規定による現役延長に1年度の差で間に合わなかった。
[93]
문서
藤倉・桐山は残留決定戦も敗れ、6組降級相当の結果となった。
[94]
문서
次点2回による昇段者が発生した場合はその次位の者。
[95]
문서
過去には支部名人戦準優勝者が出場資格を得る例(第28期竜王戦)もあった。また前期竜王戦で優れた成績を残したアマチュアが連続出場する場合もある。
[96]
문서
第34期以降枠削減となる支部名人枠で未出場の支部名人2名が第33期にともに出場。
[97]
간행물
竜王戦6組でアマ・女流が昇級した場合
将棋世界
2009-04
[98]
문서
2022年12月開始の第36期竜王戦では、アマチュアとして出場した小山怜央が、並行して行われていた棋士編入試験に2023年2月に合格し同2023年4月1日付での四段昇段が決まっていた。勝ち進めば竜王戦棋戦進行中に四段昇段者となる初の例となるところであったが、小山アマは3月に行われた6組ランキング戦4回戦で敗退したため第36期はこの時点で終了となり、竜王戦勝ち残り中の四段昇段とはならなかった。
[99]
문서
泉正樹八段、門倉啓太五段、出口若武四段、西山朋佳女流三冠に勝利。
[100]
문서
当時の西山朋佳女流二冠は女流棋士ではなく奨励会三段であったが、組み合わせ決定時に女王位と女流王座位の女流タイトル保持者であることによる女流棋士枠で出場した。
[101]
문서
小林宏七段、田中寅彦九段、青野照市九段、長谷部浩平四段に勝利するが、準決勝で星野良生四段に敗れた。
[102]
문서
小林康太郎アマ、浦野真彦八段、今泉健司五段、長沼洋八段、瀬川晶司六段、井出隼平五段に勝利。藤本渚五段に敗れた。
[103]
문서
次点獲得者が昇段した場合は違う。第34期に参加した横山友紀は次点を持っていない。
[104]
문서
ただし、進行中の三段リーグで降段点を取った場合は竜王戦での次点は取り消される
[105]
웹사이트
第13期竜王戦 決勝トーナメント・七番勝負
https://www.shogi.or[...]
日本将棋連盟
[106]
서적
週刊将棋 1988年10月12日号
https://book.mynavi.[...]
将棋情報局
2018-04-12
[107]
웹사이트
昇段規定
http://www.shogi.or.[...]
2004-10-17
[108]
문서
過去に在籍歴がない組への初昇級のみが対象。過去に在籍・降級歴がある組への再昇級は対象外。
[109]
문서
この規定による六段昇段者は4名(第2期の羽生善治、第10期の真田圭一、第12期の鈴木大介、第17期の渡辺明)。昇段日は挑戦決定後の10月1日付。
[110]
문서
この規定による七段昇段者は2名(第27期の糸谷哲郎、第36期の伊藤匠)。昇段日は挑戦決定の対局日の日付。
[111]
문서
竜王挑戦すれば自動的に1組に昇級するので1組昇級による昇段と本質的には変わらない。
[112]
문서
この規定による七段昇段者は2名(第6期の佐藤康光、第11期の藤井猛)。昇段日は挑戦決定後の10月1日付。
[113]
문서
この規定による八段昇段者は1名(第27期の糸谷哲郎)。糸谷は初挑戦(七段昇段)での竜王位獲得(直ちに八段昇段)により、六段から七段、七段から八段へと同一年度に2回昇段している。
[114]
문서
飛び付き昇段・同一年度の複数回数昇段はなく、該当者は各年10月1日付で該当段位まで年々段位1つずつの昇段となる。第2期挑戦者の羽生善治五段(当時)、第17期挑戦者の渡辺明五段(当時)は竜王挑戦により六段昇段(挑戦決定後の10月)、竜王挑戦・獲得により七段昇段(獲得翌年の10月)している。
[115]
문서
七段の棋士が竜王を獲得し、その翌期に防衛して連覇した場合、肩書としての八段を名乗ることなく九段に昇段する。2018年時点で、藤井猛と渡辺明の2名が達成している。
[116]
문서
七段の棋士が2期目のタイトル(竜王以外)を獲得し、その直後の竜王戦で竜王を獲得した場合、肩書としての八段を名乗ることなく九段に昇段する。
[117]
웹사이트
昇段規定
http://www.shogi.or.[...]
2005-12-10
[118]
웹사이트
昇段規定
http://www.shogi.or.[...]
2006-05-15
[119]
웹사이트
昇段規定
http://www.shogi.or.[...]
2016-05-08
[120]
웹사이트
昇段規定
http://www.shogi.or.[...]
2003-08-11
[121]
웹사이트
第29期竜王戦七番勝負挑戦者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shogi.or[...]
日本将棋連盟
2016-10-12
[122]
서적
令和3年版 将棋年鑑 2021
https://books.google[...]
日本将棋連盟/マイナビ出版
[123]
문서
棋士以外の出場者
[124]
문서
歴代七番勝負および本戦出場者
[125]
뉴스
同世代対決を制した伊藤五段が6組優勝 第35期竜王戦
https://book.mynavi.[...]
日本将棋連盟
2023-08-20
[126]
웹사이트
知られていなかった棋界七不思議のうちの一つ 将棋ペンクラブログ
https://shogipenclub[...]
将棋ペンクラブログ
2022-06-25
[127]
뉴스
【将棋名勝負プレイバック】1993年12月9日、中井広恵女流名人、女性で初めて男性棋士に公式戦勝利
https://news.yahoo.c[...]
松本博文
2022-01-06
[128]
웹사이트
羽生vs渡辺、100年に1度の大勝負。12月18日は初永世竜王が誕生した日
https://www.shogi.or[...]
日本将棋連盟
2023-08-16
[129]
문서
有吉は当対局終了時点で第60回NHK杯本戦第1回戦(高橋道雄戦)及び第36期棋王戦予選第4回戦(矢倉規広戦)への出場権を残し、残留者決定戦後に行われた当該2局に敗れて引退となったため、現役最後の対局を白星で飾るには至らなかった。
[130]
문서
6組ランキング戦1回戦は関東所属棋士同士、関西所属棋士同士が対戦するのが慣例である。しかし第30期は関東所属棋士と関西所属棋士の対戦が加藤一二三対藤井聡太戦含め2つあった。
[131]
문서
ただし棋王戦とNHK杯戦は加藤は関東、藤井は関西所属である関係上、別々のブロックに組まれており、両者が当たるためには共に予選を通過し本戦に進出することが絶対条件だった。結局、加藤は共に初戦で敗れたため再び顔を合わせることはなかった。(藤井は共に本戦に進出した。)
[132]
웹사이트
将棋で史上最長の420手!中尾五段対牧野五段戦が19時間の死闘
http://www.hochi.co.[...]
スポーツ報知
2018-03-04
[133]
웹사이트
広瀬新竜王終盤力 将棋界戦国時代
https://www.yomiuri.[...]
www.yomiuri.co.jp
2019-02-01
[134]
문서
第33期以降は、再び羽生世代のうち一人以上が決勝トーナメントに進出している。
[135]
Twitter
将棋世界
https://twitter.com/[...]
[136]
문서
タイトル戦第1局目1日目時点。最終局2日目時点では1970-09-27 ~ 2020-12-06
[137]
문서
タイトル戦第1局1日目時点。
[138]
문서
決勝トーナメント1局目時点。決勝トーナメント敗退時は1923-03-13 ~ 1989-08-25
[139]
문서
決勝トーナメント1局目時点。
[140]
문서
逝去時点。大山は1組在籍のまま第6期のエントリー前に逝去。
[141]
문서
6組昇級者決定戦1回戦対局時点
[142]
문서
6組ランキング戦1回戦対局時点
[143]
뉴스
山下三段 中学生では藤井王将以来7年ぶり竜王戦勝利 三段リーグ1位で出場、アマ強豪破る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芸能
2023-12-26
[144]
웹사이트
関西奨励会成績表
https://www.shogi.or[...]
日本将棋連盟
2022-07-19
[145]
문서
羽生善治はこの間に一旦佐藤康光から竜王を奪われている(詳細はこの項目に後述)
[146]
문서
渡辺明は、森内からの竜王奪取し森内に竜王奪取されるまでの間、竜王を9連覇(最長記録)し保持し続けていた
[147]
웹사이트
竜王戦1組・順位戦C級2組の棋士は何人いる? 在籍クラスの「ギャップ」が生じる理由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2-01-02
[148]
문서
竜王戦史上初となる、ランキング戦からの勝ち上がりでの同一年度内無敗を記録
[149]
웹사이트
【動画】藤井聡太竜王と広瀬章人八段が駒をビシッ! 第35期竜王戦七番勝負のCMが完成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2-09-30
[150]
문서
第26期十段リーグで陥落相当の成績に終わった有吉道夫九段は、A級8位で1組に組み分けされた
[151]
문서
第26期十段リーグで陥落相当の成績に終わった泉正樹五段は、C級2組8位で4組に組み分けされた
[152]
문서
関屋喜代作六段。第1期が行われた当時は、順位戦#フリークラス|フリークラスの制度が存在していなかった
[153]
문서
第1期は未就学児を含む小学生以下。第2期は小学生のみ。第3期は年齢制限が無くなった
[154]
웹사이트
ポケモン竜王戦
http://www.pokemon.c[...]
株式会社ポケモン
[155]
웹사이트
『ポケモン竜王戦』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c[...]
株式会社ポケモン
[156]
웹사이트
「第3回 ポケモン竜王戦」公式サイト
http://www.pokemon.c[...]
株式会社ポケモン
[157]
웹사이트
ポケモン竜王戦 決勝大会レポート
https://www.shogi.or[...]
日本将棋連盟
2014-03-26
[158]
문서
シード権付与に加え、旅費・交通費主催者負担となる
[159]
웹인용
竜王ランキング戦・決勝トーナメントについて
https://www.shogi.or[...]
2019-10-19
[160]
웹인용
2010年12月27日 (月) 竜王戦が誕生した成り立ちと棋戦名の由来
http://tamarunoboru.[...]
2019-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