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자왕 가오가이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자왕 가오가이가'는 선라이즈가 제작하고 타카라가 완구를 홍보한 '용자'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슈퍼 로봇과 리얼 로봇의 요소를 결합하여 제작되었다. 이야기는 외계 생명체와 거대 로봇 간의 전투를 중심으로, 용기와 기적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1997년에 방영되었으며, 이후 OVA, 소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참전을 통해 인지도를 높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KBS 2TV에서 '사자왕 가오가이거'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봇 애니메이션 등장인물 - 아야나미 레이
아야나미 레이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에 등장하는 14세의 에반게리온 0호기 파일럿으로,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내성적인 성격과 릴리스의 영혼을 지닌 이카리 유이의 클론이라는 복잡한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주인공 이카리 신지와의 관계 변화가 두드러지는 인물이다. - 로봇 애니메이션 등장인물 - 이카리 신지
이카리 신지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주인공이자 네르프 소속 에반게리온 초호기 파일럿으로,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성격에 아버지와의 불화, 조종 부담감, 주변 인물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고뇌하는 인물이다. - 용자 시리즈 - 황금용자 골드런
황금용자 골드런은 1995년 일본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으로, 초등학생 삼총사가 황금 용자 골드런과 함께 파워스톤을 찾아 모험을 펼치며 악당과 대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용자 시리즈 - 용자지령 다그온
용자지령 다그온은 브레이브 성인에게 용자의 힘을 받은 5명의 고등학생이 용자 다그온으로 변신하여 우주 감옥에서 탈출한 죄수들에 맞서 싸우는 선라이즈의 용자 시리즈 일곱 번째 TV 애니메이션이다. - 1997년 애니메이션 - 심슨 가족
《심슨 가족》은 미국 중산층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스프링필드라는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미국 사회를 풍자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성인용 풍자와 패러디를 담고 있어 미국 성인용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되지만,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 1997년 애니메이션 - 사자에상
하세가와 마치코가 1946년부터 1974년까지 연재한 만화 사자에상은 전후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이소노 가족의 일상을 그린 작품이자, 장기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최장수 애니메이션 TV 시리즈"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될 정도로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용자왕 가오가이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메카 |
원작자 | 하지메 야타테 |
TV 애니메이션 | |
감독 | 요시토모 요네타니 |
프로듀서 | 카코 히토시 요코야마 토시노리 (나고야 TV) 코하라 마미 (도큐 에이전시) 료스케 타카하시 (선라이즈) |
각본가 | 요시타케 스즈키 |
음악가 | 다나카 코헤이 |
제작사 | 선라이즈 |
라이선스 | 북미: 디스코텍 미디어 동남아시아: 뮤즈 커뮤니케이션 |
방송사 | ANN (TV 아사히, NBN) |
최초 방송일 | 1997년 2월 1일 |
최종 방송일 | 1998년 1월 31일 |
에피소드 수 | 49화 (25화 더빙) |
에피소드 목록 | The King of Braves GaoGaiGar의 에피소드 목록 |
게임 | |
제목 | BLOCKADED NUMBERS |
개발사 | 타카라 |
배급사 | 타카라 |
장르 | 액션, 비주얼 노벨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
출시일 | 1999년 4월 8일 |
소설 | |
제목 | Queen of Leo: Leon Reine |
작가 | 유이치로 타케다 |
삽화가 | 타카히로 키무라 세이이치 나카타니 |
출판사 | 미디어 팩토리 |
대상 독자 | 남성 |
레이블 | MF Bunko J |
발매일 | 2003년 12월 1일 |
관련 작품 |
2. 역사
2. 1. 제작 배경
'용자왕 가오가이가'는 선라이즈가 제작하고 타카라가 완구를 홍보한 ''용자''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홍보되었다.[1] 감독 요네타니 요시토모는 시리즈 이름을 "용자왕 갓가티"로 명명했으며, "가르가이가", "GO 가이거"와 같은 다른 제안들을 거쳐 최종 이름이 채택되었다.[1] 시리즈의 전반적인 주제는 설화 ''가구야 공주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으며, "용기가 있다면 어떤 기적이라도 부를 수 있다"는 메시지를 내러티브에 녹여냈다.[1]이 시리즈는 다른 ''용자'' 시리즈와 차별화하기 위해, 슈퍼 로봇 컨셉과 함께 리얼 로봇 용어와 컨셉을 내러티브에 엮어, 실행에 있어 더욱 야심찬 모습을 보였다.[1] 내러티브는 열혈 만화와 유사하게 제작되었으며, 강력한 외계 생명체와 인간 과학의 정수를 모은 거대 로봇 간의 전투를 중심으로, 시리즈 전체에 걸쳐 기계적 요소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포함했다.[1] 이러한 현실적인 메카 디자인은 완구 개발에도 영향을 미쳐, 시리즈에서 묘사된 메카와 상품화된 완구 사이에 격차가 발생했다.[2][3] 그 결과, 검과 총과 같은 무기, "슈퍼 합체" 형태의 파워업과 같이 ''용자'' 시리즈에서 "표준"으로 여겨지는 요소들은 이 시리즈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를 균형 있게 하기 위해, 시리즈와 완구 모두에서 각 메카의 기믹과 개성이 더욱 부각되었다.[2][3]
기획은 선라이즈에서 담당하였다.[1] 원작은 야타테 하지메가 담당하였다.[1] 시리즈 구성은 고무 후미토시가 담당하였다.[1] 캐릭터 디자인은 키무라 타카히로가 담당하였다.[1] 메카닉 디자인은 오오카와라 쿠니오가 담당하였다.[1] 스페셜 컨셉터는 노자키 토오루가 담당하였다.[1] 디자인 웍스는 시오야마 노리오, 스즈키 타츠야, 센센이 담당하였다.[1] 미술은 오카다 유키아키가 담당하였다.[1] 색채 설계는 시바타 아키코가 담당하였다.[1] 촬영은 세키도 히로키, 쿠로키 야스유키가 담당하였다.[1] 음향은 치바 코이치가 담당하였다.[1] 음악은 타나카 코헤이가 담당하였다.[1] 오프닝 애니메이션은 스즈키 타쿠야가 담당하였다.[1] 감독은 요네타니 요시토모가 담당하였다.[1] 프로듀서는 카코 히토시, 요코야마 토시키 (나고야 TV), 코하라 아사미 (도큐 에이전시), 타카하시 료스케 (선라이즈)가 담당하였다.[1] 제작은 나고야 TV, 도큐 에이전시, 선라이즈에서 담당하였다.[1]
2. 2. 방영 목록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 감독 | 방송일 |
---|---|---|---|---|---|---|
1화 | 우주에서 온 소년 | 스즈키 요시타케/鈴木 義剛일본어 | 요네타니 요시토모/米たにヨシトモ일본어 | 타니구치 고로/谷口 悟朗일본어 | 1997년 2월 1일 | |
2화 | 사이보그 영웅 가이 | 스즈키 요시타케 | 스기시마 쿠니히사/杉島 邦久일본어, 요네타니 요시토모 | 스기시마 쿠니히사 | 1997년 2월 8일 | |
3화 | 성스런 왼팔 | 스즈키 요시타케 | 야마구치 유지/山口 祐司일본어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2월 15일 | |
4화 | 도망자 | 히라노 야스시/平野 靖士일본어 | 키쿠치 카즈히토 | 키쿠치 카즈히토 | 1997년 2월 22일 | |
5화 | 용기있는 영웅들 | 야마구치 히로시/山口 宏일본어 | 하마츠 마모루 | 하마츠 마모루 | 1997년 3월 1일 | |
6화 | 그의 이름은 선더바이킹 | 타케다 유이치로/武田 裕一郎일본어 | 하마츠 마모루 | 타니구치 고로 | 1997년 3월 8일 | |
7화 | 폭주기관차 | 스즈키 요시타케 | 스기시마 쿠니히사 | 스기시마 쿠니히사 | 1997년 3월 15일 | |
8화 | 태양이 사라진 날 | 히라노 야스시 | 요네타니 요시토모 | 미나미 야스히로 | 1997년 3월 22일 | |
9화 | 젠타 바이러스의 습격 | 야마구치 히로시 | 타카마츠 신지/高松 信司일본어 | 타카마츠 신지 | 1997년 3월 29일 | |
10화 | 빛이 닿지 않는 세계 | 스즈키 요시타케 | 카세 아츠코 | 야마나카 에이지 | 1997년 4월 5일 | |
11화 | 이졸데의 문 | 타케다 유이치로 | 하마츠 마모루 | 하마츠 마모루 | 1997년 4월 12일 | |
12화 | 내일이 없는 지구 | 요네타니 요시토모 | 요네타니 요시토모 | 요네타니 요시토모 | 1997년 4월 19일 | |
13화 | 카인의 유산 | 타케다 유이치로 | 스기시마 쿠니히사 | 스기시마 쿠니히사 | 1997년 4월 26일 | |
14화 | 한별이 구출작전 | 야마구치 히로시 | 키쿠치 카즈히토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5월 3일 | |
15화 | 젠탈리안의 역습 | 키타지마 히로아키/北嶋 博明일본어 | 타니구치 고로 | 타니구치 고로 | 1997년 5월 10일 | |
16화 | 공포체험 12시 1분의 악마 | 야마구치 히로시 | 니시키오리 히로시/錦織 博일본어 | 하라다 나나 | 1997년 5월 17일 | |
17화 | 공간을 제압하는 자 | 스즈키 요시타케 | 와타나베 테츠야, 모리 쿠니히로 | 니시야마 아키히코 | 1997년 5월 24일 | |
18화 | 젠타 마술의 비밀 | 타케다 유이치로 | 니시모리 아키라/西森 章일본어 | 스기시마 쿠니히사 | 1997년 5월 31일 | |
19화 | 돌아온 영웅들 | 타케다 유이치로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1997년 6월 7일 | |
20화 | 금빛의 파괴신 | 키타지마 히로아키 | 타니구치 고로 | 타니구치 고로 | 1997년 6월 14일 | |
21화 | 사고뭉치 길들이기 | 야마구치 히로시 | 오치 코진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6월 21일 | |
22화 | 마이크 사운더스 13세 | 스즈키 요시타케 | 하마츠 마모루 | 하마츠 마모루 | 1997년 6월 28일 | |
23화 | 풀려버진 자물쇠 | 타케다 유이치로 | 와타나베 신이치/ワタナベ シンイチ일본어 | 니시야마 아키히코 | 1997년 7월 5일 | |
24화 | 수수깨끼 로봇은 누구? | 키타지마 히로아키, 요네타니 요시토모 | 요네타니 요시토모 | 타니구치 고로 | 1997년 7월 12일 | |
25화 | 출동 4차원의 세계로 | 키타지마 히로아키 | 니시모리 아키라 | 요시모토 타케시 | 1997년 7월 19일 | |
26화 | 기계사천왕의 대반격 | 야마구치 히로시 | 오치 코진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7월 26일 | |
27화 | 사천왕 대 영웅들 | 스즈키 요시타케 | 니시자와 스스무 | 하라다 나나 | 1997년 8월 2일 | |
28화 | 최후의 승리자들 | 타케다 유이치로 | 하마츠 마모루 | 모리 쿠니히로 | 1997년 8월 9일 | |
29화 | 탄환X 지구를 지켜라 | 타케다 유이치로 | 니시키오리 히로시 | 니시야마 아키히코 | 1997년 8월 16일 | |
30화 | 안녕,GGG | 야마구치 히로시 | 타니구치 고로 | 타니구치 고로 | 1997년 8월 23일 | |
31화 | 용감한 우주의 수호자 | 키타지마 히로아키 | 야마구치 유지, 요네타니 요시토모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8월 30일 | |
32화 | 외계에서 온 영웅들 | 타케다 유이치로 | 타카마츠 신지 | 타카마츠 신지 | 1997년 9월 13일 | |
33화 | 다시 돌아온 영웅들 | 야마구치 히로시 | 카세 아츠코 | 요시모토 타케시 | 1997년 9월 20일 | |
34화 | 윈드건과 플래시건 | 야마구치 히로시 | 타카세 세츠오 | 하라다 나나 | 1997년 9월 27일 | |
35화 | 그의 이름은 선더카이저 | 타케다 유이치로 | 타니구치 고로 | 니시야마 아키히코 | 1997년 10월 4일 | |
36화 | 카인의 아들 | 타케다 유이치로 | 히다카 마사미츠 | 타카세 세츠오 | 1997년 10월 11일 | |
37화 | 소혹성을 막아라 | 키타지마 히로아키 | 야마구치 유지, 타니구치 고로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10월 18일 | |
38화 | 7대 젠타 전사들 | 키타지마 히로아키 | 스기시마 쿠니히사 | 스기시마 쿠니히사 | 1997년 10월 25일 | |
39화 | 별을 지키는 아이들 | 야마구치 히로시 | 타카마츠 신지 | 타카마츠 신지 | 1997년 11월 8일 | |
40화 | 울려퍼지는 승전가 | 야마구치 히로시 | 혼고 미츠루/本郷 みつる일본어 | 요시모토 타케시 | 1997년 11월 15일 | |
41화 | 과거에서 돌아온 영웅들 | 야마구치 히로시 | 카세 아츠코 | 하라다 나나 | 1997년 11월 22일 | |
42화 | 선더 마커스와 선더자이언트 | 키타지마 히로아키 | 하마츠 마모루 | 니시야마 아키히코 | 1997년 11월 29일 | |
43화 | 젠타 만화 작전 | 키타지마 히로아키 | 니시모리 아키라 | 타카세 세츠오 | 1997년 12월 6일 | |
44화 | GGG 목성을 향하여 | 타케다 유이치로 | 타카마츠 신지 | 타카마츠 신지 | 1997년 12월 13일 | |
45화 | 용기있는 자 | 타케다 유이치로 | 카와무라 류지 | 미나미 야스히로 | 1997년 12월 20일 | |
46화 | 마지막승부 | 타케다 유이치로 | 야마구치 유지 | 야마구치 유지 | 1997년 12월 27일 | |
47화 | 끝나지 않은 전쟁 | 타케다 유이치로 | 히다카 마사미츠 | 요시모토 타케시 | 1998년 1월 17일 | |
최종회(48) | 다시 시작되는 전설 | 키타지마 히로아키 | 타니구치 고로 | 타니구치 고로 | 1998년 1월 24일 | |
FINAL | 언젠가 별의 바다에서 | 야마구치 히로시 | 요네타니 요시토모 | 요네타니 요시토모 | 1998년 1월 31일 |
- 8화, 21화는 다음 회 예고 형식으로 선물을 알렸다.
- * 8화: 프로그램 특제 전화 카드 (100명)
- * 21화: 주제가 CD (100명)
- 31화 엔드 카드에서는 텔레비군에서 진행된 마이크 표정 패턴 모집 투고작을 발표했다. 이것들은 32화 극중에도 반영되었다.
- 46화는 특별 편성으로 일부 지방에서 12월 24일 11시부터 방송되었다.
- 포켓몬 쇼크 사건 후 방송된 46화, 47화는 일부 장면의 명도를 낮춰 방송되었다.
3. 등장인물
GGG(Gutsy Geoid Guard[13]/Gutsy Galaxy Guard[14]/Grand Glorious Gathering[15])는 《용자왕 가오가이가》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구이다.[12]
- 시시오 가이(가이): 주인공. 사이보그로, 갈레온과 퓨전하여 가이가가 되고, 가오 머신과 파이널 퓨전하여 가오가이가가 된다. 히야마 노부유키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아마미 마모루(강한별): 1997년 지구 근처에서 EI-01과 전투 후 남극에 강하한 걀레온이 아마미 부부에게 맡긴 아이다. 존더를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토 마이코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우츠기 미코토(리카): GGG 오퍼레이터이자 시시오 가이의 연인이다. 한바 토모에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타이가 코타로(타이거 본부장): GGG 장관(본부장)이다. 이시이 코우지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하츠노 하나(새롬): 아마미 마모루의 소꿉친구이자 여자친구이다. 요시다 코나미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카이도 이쿠미(하늘): 아마미 마모루와 하츠노 하나의 친구이자, 붉은 별의 생존자이다.
- 솔다트 J 002(J): 붉은 별의 전사로, 킹 제이더의 파일럿이다. 마도노 미츠아키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휴마 게키(아파치): GGG 작전참모총장.
- 노자키 토오루(알렉세이): GGG 오비트 베이스의 에너지 시스템 개발에 참여.
- 카인: 푸른별의 지도자이자, 아마미 마모루의 친 아버지.
- 시시오 레오(레오): 우주개발공단 고문감수이자, GGG연구부 부장.
- 시시오 라이가(라이거): 시시오 레오 박사의 형.
- 스완 화이트: GGG 연구개발부 오퍼레이터.
- 스탤리언 화이트: 스완 화이트의 오빠.
- 엔토우지 코우스케(유성): GGG 첩보부 소속 오퍼레이터.
- 우시야마 카즈오(태산): GGG 메카닉 오퍼레이터.
- 양 롱리(양유린): 중국에서 개발된 풍룡과 뇌룡의 개발 책임자.
- 아마미 이사무: 아마미 마모루의 아버지.
- 아마미 아이: 아마미 마모루의 어머니.
- 하츠노 아야메: 하츠노 하나의 사촌언니.
- 스노우 타카야스: 아마미 마모루의 급우.
- 코모리 레이코: 아마미 마모루의 급우.
- 우시야마 스에오: 아마미 마모루의 급우이자 우시야마 카즈오의 동생.
- 내레이션: 작품의 많은 요소를 이야기하는 존재.[12]
3. 1. GGG
GGG(Gutsy Geoid Guard[13]/Gutsy Galaxy Guard[14]/Grand Glorious Gathering[15])는 《용자왕 가오가이가》에 등장하는 가상의 기구이다.[12]- 시시오 가이(가이): 주인공. 사이보그로, 갈레온과 퓨전하여 가이가가 되고, 가오 머신과 파이널 퓨전하여 가오가이가가 된다. 히야마 노부유키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아마미 마모루(강한별): 1997년 지구 근처에서 EI-01과 전투 후 남극에 강하한 걀레온이 아마미 부부에게 맡긴 아이다. 존더를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토 마이코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우츠기 미코토(리카): GGG 오퍼레이터이자 시시오 가이의 연인이다. 한바 토모에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타이가 코타로(타이거 본부장): GGG 장관(본부장)이다. 이시이 코우지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하츠노 하나(새롬): 아마미 마모루의 소꿉친구이자 여자친구이다. 요시다 코나미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카이도 이쿠미(하늘): 아마미 마모루와 하츠노 하나의 친구이자, 붉은 별의 생존자이다.
- 솔다트 J 002(J): 붉은 별의 전사로, 킹 제이더의 파일럿이다. 마도노 미츠아키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 휴마 게키(아파치): GGG 작전참모총장.
- 노자키 토오루(알렉세이): GGG 오비트 베이스의 에너지 시스템 개발에 참여.
- 카인: 푸른별의 지도자이자, 아마미 마모루의 친 아버지.
- 시시오 레오(레오): 우주개발공단 고문감수이자, GGG연구부 부장.
- 시시오 라이가(라이거): 시시오 레오 박사의 형.
- 스완 화이트: GGG 연구개발부 오퍼레이터.
- 스탤리언 화이트: 스완 화이트의 오빠.
- 엔토우지 코우스케(유성): GGG 첩보부 소속 오퍼레이터.
- 우시야마 카즈오(태산): GGG 메카닉 오퍼레이터.
- 양 롱리(양유린): 중국에서 개발된 풍룡과 뇌룡의 개발 책임자.
- 아마미 이사무: 아마미 마모루의 아버지.
- 아마미 아이: 아마미 마모루의 어머니.
- 하츠노 아야메: 하츠노 하나의 사촌언니.
- 스노우 타카야스: 아마미 마모루의 급우.
- 코모리 레이코: 아마미 마모루의 급우.
- 우시야마 스에오: 아마미 마모루의 급우이자 우시야마 카즈오의 동생.
- 내레이션: 작품의 많은 요소를 이야기하는 존재.[12]
3. 2. GGG 메카
- '''가오가이가''' : 가이가와 가오 머신이 파이널 퓨전한 형태. 내장 무장은 철저하게 배제하고 오로지 다양한 툴(TOOL)을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체로, 실제로 장비하고 있는 무장은 보조 무장인 드릴 니를 제외하면 오른팔의 브로큰 매그넘 뿐이다.
- '''갈레온/가이가''' : 가이가 갈레온과 퓨전한 형태. 갈레온은 우주 메카라이온으로, 내부에 다양한 오버 테크놀러지를 탑재하고 있으며, G파워를 가진 사람과 접촉하면 정보를 나타낸다. 가이가는 인간형이고 추가 무장 같은 건 없기에 오로지 격투와 팔의 가이가 클로만으로 싸워야 한다.
- '''초룡신''' : 빙룡과 염룡이 좌우 합체한 형태. GGG 기동부대에서도 최고참으로 근력만은 가오가이가보다도 위인 GGG최고치. 그러나 무장이 빈약하여 전투력은 높지 않다.
- '''빙룡''' : 크레인카 형태의 비클 머신.
- '''염룡''' : 소방차 형태의 비클 머신.
- '''격룡신''' : 풍룡과 뇌룡이 좌우 합체한 형태. 초룡신과 동형기나 원래부터 구조용였던 초룡신과 달리 이쪽은 철저하게 전투용으로 설계되었다.
- '''풍룡''' : 레미콘카 형태의 비클 머신.
- '''뇌룡''' : 덤프트럭 형태의 비클 머신.
- '''강룡신''' : 염룡과 풍룡이 심퍼레이트 200%에 도달하여 좌우 합체한 형태.
- '''환룡신''' : 빙룡과 뇌룡이 심퍼레이트 200%에 도달하여 좌우 합체한 형태.
- '''천룡신''' : 광룡과 암룡이 좌우 합체한 형태. 초룡신과 격룡신에게는 여동생으로 인식된다.
- '''광룡''' : 메이저 장갑차 형태의 비클 머신.
- '''암룡''' : 미사일 장갑차 형태의 비클 머신.
- '''빅 볼포그''' : 볼포그와 건도벨, 건글이 삼신일체한 형태.
- '''볼포그''' : 페라리 F-50형의 패트롤 카 형태 비클 머신. 섀도 카모플라주(Shadow Camouflage) 등 은밀행동을 위한 기능 및 장치들을 다수 갖고 있다.
- '''건도벨''' : 오토바이 형태의 서포트 메카. 삼신일체시 빅 볼포그의 오른팔이 된다.
- '''건글''' : 보잉/시코르스키RAH-66코만치와 닯은 헬리콥터 형태의 서포트 메카. 삼신일체시 빅 볼포그의 왼팔이 된다.
- '''골디 마그''' : 골디언 해머로 변형하는 메카. 본디 가오가이가 전용의 TOOL이었던 골디언 해머는 파괴력이 지나쳐서 충격의 여파가 가오가이가에게까지 미치기 때문에 가오가이가의 팔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랐다.
- '''킹 제이더''' : 제이 아크와 제이더가 메가 퓨전한 형태.
- '''제이 아크''' : 초노급전함. 함교부분인 제이 버드가 분리 변형 한 형태인 제이더와 메가퓨전하여 자이언트 메카노이드 킹 제이더로 변형한다.
- '''제이더''' : 제이 아크에서 스탠드업한 제이 버드에 솔리타드 J가 퓨전하여 변형하는 로봇. 플라스마 윙으로 광속에 가까운 엄청난 스피드로 비행하며 근접전 위주로 싸운다.
- '''마이크 사운더스 13세''' : GGG가 개발한 로봇. 시시오 라이가 박사가 주도한 미국 연구팀이 NASA에서 개발한 우주환경대응형 로봇으로 일본의 GGG에서 제공한 G스톤을 이용하여 제작 되었다.
- '''드릴 가오(Drill Gao)''' : 지중이동용의 드릴 전차. 파이널 퓨전시 가오가이가의 양 다리가 된다.
- '''라이너 가오(Liner Gao)''' : 신칸센형의 가오 머신. 신칸센 500계 전동차가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 '''스텔스 가오(Stealth Gao)''' : 스텔스기형의 가오 머신. 가오가이가의 날개와 하완부를 구성한다.
- '''스타 가오가이가(Star GaoGaiGar)''' : 스텔스 가오의 개조로 인해 기존의 가오가이가가 기동성과 무장 면에서 더욱 강화된 형태.
- '''스텔스 가오 II(Stealth Gao II)''' : 가오가이가의 우주에서의 전투를 위해 기존 스텔스 가오의 양 날개에 울텍 엔진과 두 종류의 링을 탑재한 기종.
- '''팬텀 가오 (Phantom Gao)''' : 갈레온 대신 만들어진 가오머신.
- '''가오파 (Gaofar)''' : 에볼류더 가이와 팬텀 가오가 퓨전한 메카노이드.
- '''스텔스 가오 III(Stealth Gao III) ''' : 스텔스 가오 II에서의 울텍 엔진을 가변익 형태로 개조하고 링 또한 가오파이가 본체에서 만들어냄으로써 경량화하여 스텔스성을 되찾았다.
- '''드릴 가오 II(Drill Gao II)''' : 드릴에 날이 생기고 드릴이 세 부분으로 나뉘어 개별적으로 돌기에 공격력이 상승한다.
- '''라이너 가오 II(Liner Gao II)''' : 우주선으로 되어 있는 메카.
- '''가오파이가''' : 에볼류얼 울텍 파워에 의해 종래의 가오가이가를 훨씬 웃도는 출력을 지녔다.
- '''제네식 갈레온(Genesic Galeon)''' : G스톤의 원석인 G크리스탈에서 프로그램이 수복된 갈레온의 진정한 모습.
- '''가제트 가오(Gadget Gao)''' : 괴조 형태의 제네식 머신. 파이널 퓨전 시 제네식 가오가이가의 등 부분과 페이스 가드, 그리고 하완부를 맡는다.
- '''프로텍트 가오(Protect Gao)''' : 돌고래 형태의 제네식 머신. 파이널 퓨전 시 가오가이가의 왼쪽 어깨가 된다.
- '''스파이럴 가오(Spiral Gao)''' : 두더지 형태의 제네식 머신. 파이널 퓨전 시 가오가이가의 오른쪽 다리가 된다.
- '''브로큰 가오(Broken Gao)''' : 상어 형태의 제네식 머신. 파이널 퓨전 시 가오가이가의 오른쪽 어깨가 된다.
- '''스트레이트 가오(Straight Gao)''' : 두더지 형태의 제네식 머신. 파이널 퓨전 시 가오가이가의 왼쪽 다리가 된다.
- '''제네식 가오가이가''' : 최강의 파괴신, 용기의 궁극적 형상, 마침내 도달한 위대한 유산, 진정한 용자왕 등으로 불린다.
- '''가오가이고(GaoGaiGo)''' : 프로젝트 Z의 설정에 나오는 메카노이드.
3. 3. 적 세력
존더는 삼중련태양계의 보라별에서 만든 스트레스 소거용 프로그램이었으나, 마스터 프로그램이 폭주하면서 스트레스의 원천인 생명체를 기계생명체로 진화시키려는 목적으로 변질되었다. 존더는 생명체뿐만 아니라 무생물과도 융합할 수 있으며, 지적생명체와 융합하면 높은 지성을 지니게 된다.존더는 존더 메탈을 심어 변태를 이룬 유기체의 총칭이다. 존더 메탈을 심어진 인간은 존더 인간이 되며, 주위의 기계나 무기물과 융합하여 존더 로봇으로 거대화한다. 존더는 소립자 Z0를 방출하며, 이는 G 스톤의 G 파워와 상쇄되는 관계에 있다. 존더화된 인간은 정화를 받으면 원래 모습으로 돌아갈 수 있지만, 존더화되었던 동안의 기억은 잃어버린다.
존다리안은 존더의 첨병이자 침공 선발대의 간부급 존재이다. 기계 사천왕이 이에 해당하며, 이들 역시 기계 승화를 받은 별의 생존자가 변질된 것이다. 존다리안은 다른 무기물 등과 융합하여 존더 로봇이 되며, 소립자 Z0를 방출하고, 체내에서 다량의 존더 포자를 생산할 수 있다.
기계 31원종은 기계 문명의 근본적인 존재로, 각 개체는 인체의 부위나 내장을 본뜬 형태와 전장 100m 규모의 오브제 형태를 가지며, 독립된 인격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모두 융합하여 Z 마스터가 된다. 기계 최강 7원종은 인간을 소체로 삼아 기계 승화 대상 별에 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며, ES 윈도를 열 수도 있다. Z 마스터(마스터 프로그램)는 원래 보라색 별에서 좋은 사고를 길러내기 위한 환경 만들기의 일환으로 만들어졌으나, 마이너스 사념이 끊이지 않는 인간 자체를 악으로 간주하고 폭주하게 되었다.
기계 신종 조누다는 TV 시리즈의 최종 적수로, 모든 물질을 절연체로 변화시켜 무의 상태로 만드는 '물질 승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기계 신종은 존더와는 다른 진화한 기계 생명체의 씨앗이 인간과 융합하여 탄생한 존재이며, 작중에서는 우츠기 미코토가 기계 신종으로 변모한다.
4. 용어
G스톤은 삼중련 태양계 녹색 별의 지도자 카인이 자신의 아들 라티오(후의 아마미 마모루)의 능력을 기본으로 G 크리스탈로부터 만들어낸 무한 정보 서킷이다. 에너지 집적 및 추출 장치이자 무한 정보 서킷으로서 기능하며, 미지의 요소가 많이 숨겨져 있다. 붉은 별에서는 G스톤을 모방하여 J쥬얼을 만들었다. J쥬얼은 G스톤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지만, 에너지량은 G스톤을 능가한다. 솔다트 J 002의 생명 유지를 담당하며, G스톤의 데이터를 기초로 붉은 별에서 개량되었다.
더 파워는 목성에 존재하는 무한 에너지이다. 기계승화는 존더가 행성 전체를 기계화하는 것이다.
퓨전은 사이보그 가이와 메카 라이온 갈레온이 합체하여 메카노이드 가이가 되는 것이다. G스톤의 파워로 갈레온과 동조하며, 가이가 의식을 잃으면 갈레온이 컨트롤을 가져온다. 애니메이션 기준 합체 시간은 16초이다.
파이널 퓨전은 가이가와 가오 머신이 합체하여 가오가이가가 되는 것이다. 파이널 퓨전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드라이브 시켜야 한다. GGG 기지에서 EM 토네이도가 전개되어 필드를 형성하고, 스텔스 가오, 라이너 가오, 드릴 가오와 합체하여 가오가이가가 탄생한다. 소요 시간은 62.328초이며, 초기 성공 확률은 0%에 가까웠으나 가이는 용기로 성공했다.
GGG는 초기의 GGG는 일본 산하의 기관이기 때문에 무기를 지니는 것을 금지하는 일본 헌법의 영향으로 무기가 아닌 도구(TOOL)로서 개발하기 시작했다. 가오가이가의 디바이딩 드라이버, 초룡신의 이레이저 헤드, 카펜터즈 등이 TOOL에 해당된다.
5. 평가 및 영향
'용자왕 가오가이가'는 기존 용자 시리즈와는 달리 청소년과 성인 팬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었다. 용자 시리즈의 주요 대상층인 저연령 아동층에게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 시리어스한 전개와 강렬한 연출로 청소년, 성인 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으며 DVD 등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는 기존 용자 시리즈와는 다른 팬층을 형성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도 참전하여 게임 팬들에게도 인지도를 높였다. 특히 제3차 슈퍼로봇대전 알파에 등장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TV 시리즈의 후속편 OVA인 '용자왕 가오가이가 FINAL'은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발매되어[8] 솔 11 유성주와의 싸움을 다루며 팬들의 호응을 얻었다.[16] 또한, 2017년에는 OVA에서 다루지 못한 이야기를 보완한 소설 '패계왕 ~가오가이가 대 베터맨~'이 발표되기도 했다.[11]
6. 한국 방영
1999년 1월 21일부터 7월 7일까지 KBS 2TV를 통해 '사자왕 가오가이거'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더빙 연출은 김웅종 PD가 담당했다. 주제가는 이승희가 작사, 작곡, 편곡을 맡고, 무정이 불렀다.
6. 1. 한국어 더빙 성우진
강수진, 최재호 - 가이이선, 김정애 - 강한별
임은정, 이미향 - 새롬, 리카, 마모루의 어머니
윤현정 - 새롬
이정구 - 타이거 본부장
이광수 - 타이거 본부장, 카인, 골디 마그
김익태 - 카인, 레오, 라이거, 환룡신, 마모루의 아버지
이상훈 - 라이거
홍승섭 - 알렉세이, 스탤리언 화이트, 격룡신
김혜미 - 스완 화이트, 마모루의 급우로 집안
최한 - 스탤리언 화이트, 마모루의 아버지, 내레이션
오인성, 위훈 - 엔토우지 코우스케, 염룡 소방차, 빙룡 레미콘카, 초룡신, 강룡신, 카즈오의 동생
한상덕 - 양유린, 골디 마그
이원찬 - 태산, 양유린, 염룡 소방차, 빙룡 레미콘카, 초룡신
위훈 - 크레인, 뇌룡덤프트럭, 격룡신, 카즈오의 동생
전숙경 - 광룡 장갑차
이미향 - 암룡 미사일 장갑차, 마모루의 어머니
송준석 - 마이크 사운더스 13세
김옥경 - 마모루의 급우로 이른바 여왕님
이정구, 내레이션
무정 - 유성
무정 - 아파치
사유리, 김혜미 - 하늘, 마모루의 어머니
이영아 - 하늘, 스완 화이트
이정구, 송준석 - 솔다트 J 002
참조
[1]
서적
勇者シリーズメモリアルブック 超勇者伝承
Shinkigensha
2004-11-13
[2]
서적
大勇者伝説 サンライズ・ロボットトイ・コレクション[勇者・エルドラン編]
[3]
서적
大勇者伝説 サンライズ・ロボットトイコレクション[勇者・エルドラン編]
MediaWorks (publisher)
2007-05-15
[4]
웹사이트
Anime on DVD News Archive - April 2007
http://www.animeondv[...]
[5]
Facebook
https://www.facebook[...]
2022-03
[6]
웹사이트
Discotek Licenses Aim for the Ace!, GaoGaiGar Series & Final OVA
https://www.animenew[...]
2023-08-28
[7]
웹사이트
クリエイターインタビュー 第8回 米たにヨシトモ<前編>
https://sunrise-worl[...]
バンダイナムコフィルムワークス
2022-01-11
[8]
웹사이트
クリエイターインタビュー 第8回 米たにヨシトモ<後編>
https://sunrise-worl[...]
バンダイナムコフィルムワークス
2022-01-20
[9]
웹사이트
SPECIAL|勇者王ガオガイガー
http://www.gaogaigar[...]
サンライズ
[10]
간행물
アニメディア 1997年7月号 TV STATION NETWORK
1997-07
[11]
Twitter
【覇界王~ガオガイガー対ベターマン~】竹田裕一郎/著。ファン待望の新作小説が矢立文庫でWEB連載決定!
https://twitter.com/[...]
矢立文庫Twitter
2016-08-24
[12]
문서
"우리들은, 이 뜨거운 용자들의 전설을 잊어선 안된다. 우리들은, 평화를 사랑하는 용기있는 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우리들 한사람이 한사람이, 긍지있는 용자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13]
문서
존더 EI-01 (파스다)와의 전투까지 존재하던 기구로 이후 해체된다.
[14]
문서
파스다와의 전투 이후 타이거 장관에 의해 새로이 조직된 기구이다. 용자왕 가오가이가 FINAL에서 이 명칭을 사용한다.
[15]
문서
용자왕 가오가이가 FINAL GGG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다.
[16]
문서
DVD 발매 당시 7화까지 만들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