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나시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나시리는 차가타이 한국의 후손으로, 1390년 북원에서 독립하여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며 하밀국왕으로 책봉된 인물이다. 1391년 명나라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했으나 생존하여 세력을 유지했고, 1392년 명나라에 사죄하고 동생 엔케 테무르에게 통치권을 넘겨주었다. 몽골어 학습 텍스트인 『화이역어』에 등장하며, 가계는 위무서녕왕가와 하밀위 군주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왕작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중국의 왕작 - 환현 (동진)
    환현은 동진 말기에 권력을 잡고 환초를 건국했으나 유유의 반란으로 몰락한 환온의 아들이다.
  • 1392년 사망 - 호소카와 요리유키
    호소카와 요리유키는 무로마치 막부 시대의 무장이자 정치가로, 아시카가 요시미츠 쇼군 시대에 관령으로서 막부를 통치하며 시코쿠 평정에 공헌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가네요키의 정변으로 실각 후 복귀했으나 메이토쿠의 난 이후 병사했다.
  • 1392년 사망 - 지용기
    지용기는 고려 말 문신으로, 왜구 토벌 공헌과 위화도 회군 가담으로 정치적 변동에 기여했으나, 공양왕 옹립 후 중흥공신에 책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 후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외증손녀는 조선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이다.
  • 원나라의 황족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 원나라의 황족 - 아리크부카
    아리크부카는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 몽케 칸의 동생으로, 1260년 몽케 칸 사후 카라코룸에서 칸으로 추대되었으나 쿠빌라이 칸과의 제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하여 항복 후 의문사했다.
우나시리

2. 생애

차가타이 칸의 후손으로 차가타이 한국의 5대 군주 알루구의 차남 츄베이의 후손이다. 츄베이는 원나라로부터 빈왕(豳王)직을 받았고, 그의 영지는 신장 지역이었다. 츄베이의 서자로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일루쿠치의 손자이며, 무위서녕왕 부얀쿠리의 아들이다.

이루쿠치 집안은 이루쿠치가 위무서녕왕 혹은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뒤 계속 위무 또는 무위서녕왕의 직위를 계승했다. 하밀과 주변 지역 일대에서는 빈왕 추베이의 가문이 추베이 울루스를 형성하고 있었고, 일루쿠치계의 위무서녕왕가는 추베이 울루스 내의 소 지역을 통치하는 가문의 하나였다. 츄베이 울루스의 적통은 일루쿠치의 형 노무쿠리의 가계가 계승했다.

1368년 명나라 주원장이 대도를 함락했지만, 황하 이북의 땅은 원나라북원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하밀 일대의 츄베이 왕가 역시 명나라의 공격을 여러번 받았으나 유지되었다. 1388년 북원의 토구스 테무르 칸이 이수데르에게 암살되었다. 하밀에서는 명나라에 항전하거나, 명나라에 조공을 바칠 것이 의논되었다.

1390년 우나시리는 북원에서 독립, 자립하는 한편 명나라에 아슬란사와 마흐무드 샤를 파견해 을 진상했다.[2] 명 태조로부터 합밀국왕(哈密國王) 또는 합밀위무왕(哈密威武王)에 책봉되었다. 4개월 뒤 우나시리가 다른 부족과 싸운다는 보고가 명나라에 전해져, 주원장은 감숙성 일대를 군대를 보내 경계하게 했다.[3] 그해 명나라와의 불화로 길을 막고, 명나라의 변경을 공격, 유진, 송승 등은 도주했다. 1391년 명 태조는 장군 유진, 송성에게 군대를 딸려보내 신장에 배치, 이들은 야밤을 틈타 하밀을 급습하고 빈왕 빌게테무르를 비롯한 빈왕계 왕족들이 죽었다.

빌게테무르의 죽음으로 노무쿠리가계는 단절되었지만, 하밀의 다른 곳에 있던 우나시리는 계속 유지되었다. 일설에는 현장에 있던 우나시리는 3백 명의 병력을 이끌고 탈출했다 한다.[5]

1392년 우나시리는 하즈알리 등을 명나라에 보내 등을 조공으로 바쳤다.[6] 이후의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1392년 12월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명나라가 카라델 한국을 공략하고, 그는 명나라에 사죄하였다. 명 태조는 바로 합밀위를 세웠다. 그의 뒤는 동생 엔케 테무르가 이었다.

영락 2년 (1404년)에는 우나시리의 동생인 엔케 테무르가 명나라에 사자를 파견했고, 이때의 보고에 의해 우나시리가 처음에는 "위무[서녕]왕", 나중에는 "숙왕"으로 칭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엔케 테무르는 형 우나시리의 왕작을 계승하길 원했지만 영락제는 허락하지 않고, 대신 "충순왕"이라는 왕호를 내렸다.[7]

『화이역어(갑종본)』의 "납문부마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때 홍무제에게 상주한 남문 큐레겐과 엥케트라 바토르는 구나시리의 측근으로 생각되며, 이 상주를 통해 구나시리 왕의 쿰르 통치는 안도되었다. 날짜에 관해 "진년"은 무진 홍무 21년(1388년)이며, "카라 데레(합랄질렬, Qara Dele)"는 "검은 사주"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사주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측된다.[8]

3. 몽골어 학습 텍스트와의 관계

[8]

『화이역어(갑종본)』는 명나라 초기에 편찬된 몽골어 학습 텍스트로, 예문으로 명나라에서 몽골 계열 제 세력에게 보낸 외교 문서가 수록되어 있다. 이 문서들은 『원조비사』와 마찬가지로 몽골어 음을 한자로 표기한 것과 몽골 문장을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 병기되어 있어, 당시 몽골어를 아는 데 귀중한 사료가 된다. 그중 하나인 "납문부마서"에는 위에 인용된 내용과 같은 기술이 있다.

이때 홍무제에게 상주한 남문 큐레겐과 엥케트라 바토르는 우나시리의 측근으로 생각되며, 이 상주를 통해 우나시리 왕의 쿰르 통치는 안도되었다. "진년"은 무진 홍무 21년(1388년)이며, "카라 데레(합랄질렬, Qara Dele)"는 "검은 사주"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사주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4. 가계

우나시리(구나시리)는 차가타이 칸의 후손으로, 차가타이 한국의 5대 군주 알루구의 차남 츄베이의 후손이다. 츄베이는 원나라로부터 빈왕(豳王)직을 받았으며, 그의 영지는 신장 지역에 있었다. 우나시리는 츄베이의 서자로 무위서녕왕 작위를 받은 일루쿠치의 손자이며, 무위서녕왕 부얀쿠리의 아들이다.

조상이름
차가타이 칸의 후손
차가타이 한국의 5대 군주 알루구의 차남
츄베이
츄베이의 서자
무위서녕왕
일루쿠치
무위서녕왕부얀 쿨리
위무서녕왕우나시리
동생
숙왕
엔케 테무르


4. 1. 이리크치계 위무서녕왕가

차가타이 칸의 후손이자 차가타이 한국의 5대 군주 알루구의 차남 츄베이의 후손이다. 츄베이는 원나라로부터 빈왕(豳王)직을 하사받았고, 그의 영지는 신장 지역에 봉해졌다. 츄베이의 서자이자 위무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위무서녕왕 일리크치의 손자이며, 위무서녕왕 부얀 쿨리의 아들이다.

이루쿠치 집안은 이루쿠치가 위무서녕왕 혹은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뒤 계속 위무 또는 무위서녕왕의 직위를 계승했다. 하밀과 주변 지역 일대에서는 빈왕 추베이의 가문이 추베이 울루스를 형성하고 있었고, 일루쿠치계의 위무서녕왕가는 추베이 울루스 내의 소 지역을 통치하는 가문의 하나였다. 츄베이 울루스의 적통은 일루쿠치의 형 노무쿠리의 가계가 계승했다.

1368년 명나라 주원장이 대도를 함락했지만, 황하 이북의 땅은 원나라북원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하밀 일대의 츄베이 왕가 역시 명나라의 공격을 여러 번 받았으나 유지되었다. 1388년 북원의 토구스 테무르가 이수데르에게 암살되었다. 하밀에서는 명나라에 항전하거나, 명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것이 의논되었다.

1390년 우나시리는 북원에서 독립, 자립하는 한편 명나라에 아슬란사와 마흐무드 샤를 파견해 을 진상했다.[2] 명 태조로부터 합밀국왕(哈密國王) 또는 합밀위무왕(哈密威武王)에 책봉되었다. 4개월 뒤 우나시리가 다른 부족과 싸운다는 보고가 명나라에 전해져, 주원장은 감숙성 일대에 군대를 보내 경계하게 했다.[3] 그해 명나라와의 불화로 길을 막고, 명나라의 변경을 공격하여 유진, 송승 등은 도주했다. 1391년 명 태조는 장군 유진, 송성에게 군대를 딸려 보내 신장에 배치, 이들은 야밤을 틈타 하밀을 급습했고 빈왕 빌게 테무르를 비롯한 빈왕계 왕족들이 죽었다.

빌게테무르의 죽음으로 노무쿠리 가계는 단절되었지만, 하밀의 다른 곳에 있던 우나시리는 계속 유지되었다. 일설에는 현장에 있던 우나시리는 3백 명의 병력을 이끌고 탈출했다 한다.[5]

1392년 우나시리는 하즈알리 등을 명나라에 보내 등을 조공으로 바쳤다.[6] 이후의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같은 해 12월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명나라가 카라델 한국을 공략하고, 그는 명나라에 사죄하였다. 명 태조는 바로 합밀위를 세웠다. 그의 뒤는 동생 엔케 테무르가 이었다.

구나시리는 추베이의 아들인 이리크치의 손자로, 이리크치 가문은 대대로 "위무서녕왕"으로 불리는 가문이었다. 대원 울루스 시대, 하밀 일대에서는 추베이 가문을 정점으로 차가타이계 제왕들이 느슨한 연합체(추베이 울루스)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리크치계 위무서녕왕가는 그중 하나였다. 추베이 울루스 전체를 통괄하는 "빈왕가"는 이리크치의 형인 노무 크리의 가문이 계승했고, 노무 크리 가문의 하밀 통치는 원말까지 이어졌다.

지정 28년 (홍무 원년/ 1368년), 주원장은 명나라를 건국하고 홍무제로 칭했으며, 대원 울루스의 수도인 대도를 함락시켰지만, 황하 이북의 대부분 지역은 몽골의 세력권에 남아 있었다. 그 때문에, 노무 크리계 빈왕가를 정점으로 하는 추베이 울루스 역시 몇 차례 명군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존속했고, 노무 크리의 자손인 빈왕 일린친, 빈왕 빌게 테무르 등은 하밀의 통치를 유지했다.

그러나, 홍무 21년 (1388년)에 북원의 우스할 칸이 부이르 호르 전투에서 대패하고, 그 후 아리크 부케 가문의 예스데르에게 시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하밀을 둘러싼 정세는 일변했다. 우스할 칸이라는 뒷배를 잃은 하밀 일대의 차가타이계 제왕 가문들은 동요했고, 명나라에 항복하여 안정을 얻을 것인지, 명나라에 대해 철저 항전할 것인지의 두 가지 선택을 강요받게 되었다.

같은 해 (1391년), 마침내 홍무제는 군대를 파견하여 하밀을 급습했고, 기습을 당한 하밀은 함락되었다. 이때 빈왕 빌게 테무르를 비롯한 많은 왕족이 목숨을 잃었지만, 구나시리만이 새벽에 300여 명의 기병과 함께 포위망을 돌파하여, 휘하의 자들과 함께 명군의 공격을 피했다. 이 때 노무 크리계 빈왕가는 단절되었고, 이후 하밀의 지배자 및 추베이 울루스의 통괄자의 자리는 구나시리의 가문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영락 2년 (1404년)에는 구나시리의 동생인 엔케 테무르가 명나라에 사자를 파견했고, 이때의 보고에 의해 구나시리가 처음에는 "위무[서녕]왕", 나중에는 "숙왕"으로 칭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엔케 테무르는 형 구나시리의 왕작을 계승하길 원했지만 영락제는 허락하지 않고, 대신 "충순왕"이라는 왕호를 내렸다.[7] 이후, 구나시리와 엔케 테무르 형제의 자손은 대대로 "충순왕"으로 칭하며 하밀위를 통치하게 된다.

4. 2. 츄베이 울루스 당주

1392년 이후 구나시리의 행적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영락제 재위 2년(1404년)에 구나시리의 동생 엔케 테무르가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면서, 구나시리가 처음에는 "위무[서녕]왕"으로, 나중에는 "숙왕"으로 불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엔케 테무르는 형의 왕위를 계승하고자 했으나 영락제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충순왕"이라는 칭호를 내렸다.[7]

4. 2. 1. 원대

구나시리는 차가타이 칸의 후손으로 차가타이 한국의 5대 군주 알루구의 차남 츄베이의 후손이다. 츄베이는 원나라로부터 빈왕(豳王)직을 받았고, 그의 영지는 신장 지역에 봉해졌다. 구나시리는 츄베이의 서자로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일루쿠치의 손자이며, 무위서녕왕 부얀쿠리의 아들이다.

이루쿠치 집안은 이루쿠치가 위무서녕왕 혹은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뒤 계속 위무 또는 무위서녕왕의 직위를 계승했다. 하밀과 주변 지역 일대에서는 빈왕 추베이의 가문이 추베이 울루스를 형성하고 있었고, 일루쿠치계 위무서녕왕가는 추베이 울루스 내의 소 지역을 통치하는 가문의 하나였다. 츄베이 울루스의 적통은 일루쿠치의 형 노무쿠리의 가계가 계승했다.

1368년 명나라 주원장이 대도를 함락했지만, 황하 이북의 땅은 원나라북원의 영향력 하에 있었다. 하밀 일대의 츄베이 왕가 역시 명나라의 공격을 여러 번 받았으나 유지되었다. 1388년 북원의 토구스 테무르 칸이 이수데르에게 암살되었다. 하밀에서는 명나라에 항전하거나, 명나라에 조공을 바칠 것이 의논되었다.

1390년 구나시리는 북원에서 독립하여 자립하는 한편 명나라에 아슬란사와 마흐무드 샤를 파견해 을 진상했다.[2] 명 태조로부터 합밀국왕(哈密國王) 또는 합밀위무왕(哈密威武王)에 책봉되었다. 4개월 뒤 구나시리가 다른 부족과 싸운다는 보고가 명나라에 전해져, 주원장은 감숙성 일대에 군대를 보내 경계하게 했다.[3] 그해 명나라와의 불화로 길을 막고, 명나라의 변경을 공격하여 유진, 송승 등은 도주했다. 1391년 명 태조는 장군 유진, 송성에게 군대를 딸려보내 신장에 배치, 이들은 야밤을 틈타 하밀을 급습하고 빈왕 빌게 테무르를 비롯한 빈왕계 왕족들이 죽었다.

빌게 테무르의 죽음으로 노무쿠리 가계는 단절되었지만, 하밀의 다른 곳에 있던 구나시리는 계속 유지되었다. 일설에는 현장에 있던 구나시리는 3백 명의 병력을 이끌고 탈출했다 한다.[5]

1392년 구나시리는 하즈알리 등을 명나라에 보내 등을 조공으로 바쳤다.[6] 이후의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같은 해 12월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명나라가 카라델 한국을 공략하고, 구나시리는 명나라에 사죄하였다. 명 태조는 바로 합밀위를 세웠다. 그의 뒤는 동생 엔케 테무르가 이었다.

4. 2. 2. 하밀위 군주

차가타이 칸의 후손이자 차가타이 한국의 5대 군주 알루구의 차남 츄베이의 후손이다. 츄베이는 원나라로부터 빈왕(豳王)직을 받았고, 그의 영지는 신장 지역이었다. 우나시리는 츄베이의 서자로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일루쿠치의 손자이며, 무위서녕왕 부얀쿠리의 아들이었다.

이루쿠치 집안은 이루쿠치가 위무서녕왕 혹은 무위서녕왕의 작위를 받은 뒤 계속 위무 또는 무위서녕왕의 직위를 계승했다. 하밀과 주변 지역 일대에서는 빈왕 추베이의 가문이 추베이 울루스를 형성하고 있었고, 일루쿠치계의 위무서녕왕가는 추베이 울루스 내의 소 지역을 통치하는 가문의 하나였다. 츄베이 울루스의 적통은 일루쿠치의 형 노무쿠리의 가계가 계승했다.

1368년 명나라 주원장이 대도를 함락했지만, 황하 이북의 땅은 원나라북원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하밀 일대의 츄베이 왕가 역시 명나라의 공격을 여러 번 받았으나 유지되었다. 1388년 북원의 토구스 테무르 칸이 이수데르에게 암살되었다. 하밀에서는 명나라에 항전하거나, 명나라에 조공을 바칠 것이 의논되었다.

1390년 우나시리는 북원에서 독립하여 자립하는 한편 명나라에 아슬란사와 마흐무드 샤를 파견해 을 진상했다. 명 태조로부터 합밀국왕(哈密國王) 또는 합밀위무왕(哈密威武王)에 책봉되었다. 4개월 뒤 우나시리가 다른 부족과 싸운다는 보고가 명나라에 전해져, 주원장은 감숙성 일대에 군대를 보내 경계하게 했다. 그해 명나라와의 불화로 길을 막고, 명나라의 변경을 공격하여 유진, 송승 등은 도주했다. 1391년 명 태조는 장군 유진, 송성에게 군대를 딸려보내 신장에 배치, 이들은 야밤을 틈타 하밀을 급습하고 빈왕 빌게테무르를 비롯한 빈왕계 왕족들이 죽었다.

빌게테무르의 죽음으로 노무쿠리 가계는 단절되었지만, 하밀의 다른 곳에 있던 우나시리는 계속 유지되었다. 일설에는 현장에 있던 우나시리는 3백 명의 병력을 이끌고 탈출했다고 한다.

1392년 우나시리는 하즈알리 등을 명나라에 보내 등을 조공으로 바쳤다. 이후의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같은 해 12월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명나라가 카라델 한국을 공략하고, 그는 명나라에 사죄하였다. 명 태조는 바로 합밀위를 세웠다. 그의 뒤는 동생 엔케 테무르가 이었다.

지정 28년 (홍무 원년/ 1368년), 주원장은 명나라를 건국하고 홍무제로 칭했으며, 대원 울루스의 수도인 대도를 함락시켰지만, 황하 이북의 대부분의 지역은 몽골의 세력권에 남아 있었다. 그 때문에, 노무 크리계 빈왕가를 정점으로 하는 추베이 울루스 역시 몇 차례 명군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존속했고, 노무 크리의 자손인 빈왕 일린친, 빈왕 빌게 테무르 등은 하밀의 통치를 유지했다.

그러나, 홍무 21년 (1388년)에 북원의 우스할 칸이 부이르 호르 전투에서 대패하고, 그 후 아리크 부케 가문의 예스데르에게 시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하밀을 둘러싼 정세는 일변했다. 우스할 칸이라는 뒷배를 잃은 하밀 일대의 차가타이계 제왕 가문들은 동요했고, 명나라에 항복하여 안정을 얻을 것인지, 명나라에 대해 철저 항전할 것인지의 두 가지 선택을 강요받게 되었다.

홍무 23년 (1390년)에는 처음으로 구나시리가 아르슬란 샤(아사란사), 마흐무드 샤(마흑목사) 등을 명나라에 파견하여 말을 헌상했다.[2] 그 4개월 후에는 "구나시리가 다른 부족과 다투고 있다"는 보고가 명나라에 접수되었고, 홍무제는 감숙 방면의 군대에 경계할 것을 통달했다.[3] 또한, 홍무 24년 (1391년)에는 연안, 수덕, 평량, 영하에서 마시(말 시장)를 열 것을 명나라에 요청했지만, 구나시리의 태도를 경계한 홍무제의 지시에 의해 허락되지 않았다.[4]

그리고 같은 해 (1391년), 마침내 홍무제는 군대를 파견하여 하밀을 급습했고, 기습을 당한 하밀은 함락되었다. 이때 빈왕 빌게 테무르를 비롯한 많은 왕족이 목숨을 잃었지만, 구나시리만이 새벽에 300여 명의 기병과 함께 포위망을 돌파하여, 휘하의 자들과 함께 명군의 공격을 피했다.[5] 이 때 노무 크리계 빈왕가는 단절되었고, 이 이후 하밀의 지배자 및 추베이 울루스의 통괄자의 자리는 구나시리의 가문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홍무 25년 (1392년), 구나시리는 하지 알리(하지난) 등을 명나라에 파견하여 말을 헌상하고, 명나라와 친교를 맺었다.[6] 이 이후 구나시리의 행적에 대해서는 불명이다. 영락 2년 (1404년)에는 구나시리의 동생인 엔케 테무르가 명나라에 사자를 파견했고, 이때의 보고에 의해 구나시리가 처음에는 "위무[서녕]왕", 나중에는 "숙왕"으로 칭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엔케 테무르는 형 구나시리의 왕작을 계승하길 원했지만 영락제는 허락하지 않고, 대신 "충순왕"이라는 왕호를 내렸다.[7]

참조

[1] 서적 現存する『高貴系譜』の写本では誤ってکوناشیرین(Kūnāshīrīn)と記されているが、この人名はサンスクリット語Guṇa s̀riの転訛であり、『[[勝利の書なる選ばれたる諸史]]』に記されるکوناشیری(Kūnāshīrī)という表記の方が原型に近い 2007
[2] 간행물 『明太祖実録』巻202, 洪武二十三年五月乙未条「哈梅里王兀納失里遣長史阿思蘭沙・馬黒木沙、来貢馬」
[3] 간행물 『明太祖実録』巻204, 洪武二十三年九月戊申条「上以哈梅里王兀納失里与別部互相讎殺、遣使諭都督宋晟訓練涼州甘粛等処兵馬備之」
[4] 간행물 『明太祖実録』巻207, 洪武二十四年二月戊午朔条「西域哈梅里王兀納失里遣使請於延安・綏徳・平涼・寧夏以馬互市、陝西都指揮使司以聞。上曰、夷狄黠而多詐、今求互市安知其不覘我中国乎利。其馬而不虞其害所喪必多。宜勿聴自今至者悉送京師」
[5] 간행물 『明太祖実録』巻211, 洪武二十四年八月乙亥条「命左軍都督僉事劉真・宋晟、率兵征哈梅里。先是、西域回紇来朝貢者、多為哈里梅王兀納失里所阻遏、有従他道来者、又遣人邀殺之、奪其貢物。上聞之、乃遣真等往征之。真等由涼州、西出哈梅里之境、乗夜直抵城下、四面囲之、知院岳山夜縋城降、黎明兀納失里駆馬三百餘匹、突囲而出、我軍争取其馬、兀納失里以家属随馬後遁去。真等遂攻破其城、斬豳王列児怯帖木児・国公省阿朶児只等千四百人、獲王子別列怯部属千七百三十人・金印一・銀印一・馬六百三十匹」
[6] 간행물 『明太祖実録』巻223, 洪武二十五年十二月辛未条「哈梅里兀納失里王遣回回哈只阿里等来貢馬四十六匹・騾十六隻。詔賜使者白金・文綺、有差」
[7] 간행물 『明太宗実録』巻32, 永楽二年六月甲午条「封哈密安克帖木児為忠順王。時安克帖木児遣使来朝、表請賜爵。上命礼部尚書李至剛、会太子太傅成国公朱能等議。至剛等議奏。『安克帖木児兄忽納失里。元封威武王、改封粛王。忽納失里卒、安克帖木児継為粛王。今既内属、宜仍王爵而改封之』。上曰、『前代王爵不足再論、今但取其能帰心朝廷、而封之。使守其地、綏撫其民可也』。遂封為忠順王。遣指揮使霍阿魯禿等齎勅封之、並賜之綵幣」
[8] 문서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