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현 (동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현은 동진 시대의 인물로, 환온의 아들이자 남군공이었다. 그는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여러 차례 반란에 가담하고, 사마도자 부자를 살해한 후 동진의 실권을 장악했다. 403년 초왕으로 즉위하고, 이듬해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초로 정했지만, 유유의 반격으로 3개월 만에 살해당했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가졌으나, 과도한 권력욕과 잔혹함으로 인해 몰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4년 사망 -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아일리아 에우독시아는 서로마 제국 군사령관의 딸이자 동로마 제국 황후로서, 아르카디우스와 결혼하여 국정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요한 크리소스토무스와 갈등을 겪었고, 사후에는 《디너 파티》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 동진의 시중 - 동진 간문제
동진 간문제는 동진 원제의 아들로 371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372년까지 재위했으며, 총명했으나 정치적 수완이 부족했고 환온의 권력에 불안감을 느끼다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동진의 시중 - 사안
사안은 동진 시대의 정치가이자 군사 전략가로서, 비수 전투에서 승리하며 동진의 실권을 장악하고 북벌을 추진했으나, 사마도자의 방해로 좌절된 인물이다.
환현 (동진) | |
---|---|
기본 정보 | |
휘 | 환현 (桓玄) |
자 | 경도 (敬道) |
시호 | 무도황제 (武悼皇帝) (환진(桓振)에 의해 추증) |
생년 | 태화 4년 (369년) |
몰년 | 영시 2년 5월 26일 (404년 6월 19일) |
가계 | |
부친 | 환온 |
모친 | 마씨 (馬氏) |
배우자 | 황후 유씨 |
통치 정보 | |
왕조 | 환초 (桓楚) |
재위 기간 | 403년 - 404년 |
연호 | 영시 |
묘호 | 없음 |
추가 정보 | |
풀네임 | 성: 환(桓), 이름: 현(玄) |
사후 칭호 | 무도황제 (武悼皇帝) |
2. 초기 생애 및 경력
환현은 369년 환온(桓溫)과 그의 아내인 남강공주(南康公主) 사마흥남(司馬興男) 사이에서 태어났다. 일설에는 환온의 첩인 마부인(馬夫人)에게서 태어났다고도 한다.[7] 마부인은 원진 소속의 가기였다.[7] 373년, 아버지 환온이 사망하자 환현은 남군공(南郡公) 작위를 이어받았다.[7]
환현은 398년 연주자사(兗州刺史) 왕공(王恭)과 형주자사(荊州刺史) 은중감(殷仲堪)이 병사를 일으키자 이에 호응했다. 왕공이 자신의 부하 유뢰지(劉牢之)에게 살해당하자 조정은 환현을 강주자사(絳州刺史)로 임명했다. 399년, 조정의 이간책으로 형주사군(荊州四郡)을 다스리게 되었고, 은중감과 양전기(楊佺期)를 살해했다. 이후 형주와 강주의 자사(刺史)를 겸임하며 형주와 사주(司州) 등 여덟 주(州)를 다스리게 되었다. 그는 심복 부하들을 요직에 배치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
402년, 환현은 회계왕(會稽王)의 세자(世子) 사마원현(司馬元顯)을 토벌하고, 건강(建康)을 공격해 사마도자(司馬道子) 부자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했다.[9] 이듬해인 403년, 스스로 초왕(楚王)으로 즉위하고 구석(九錫)을 받았다.[9] 같은 해 12월, 동진 안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초(楚), 연호를 영시(永始)로 정했다.[9]
환현은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치적 야망을 가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젊은 시절부터 박학다식함으로 알려졌으며, 아버지 환온의 후계자로 지목될 만큼 재능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아버지 환온이 동진을 찬탈하려 했던 전력 때문에 한동안 관직에 나아가지 못했다.
환현의 아버지는 진의 대사마 환온이며, 어머니는 사마싱난(남강공주)이다. 정실 부인은 사마싱난이나, 일설에는 가기 마씨에게서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환현의 부인은 황후 유씨이며, 자녀는 환승이다. 환승은 399년에 출생하여 403년에 예장왕으로 봉해졌지만, 404년에 처형되었다.
{{둘러보기 상자
[1]
서적
Huan Xuan's biography in Jin Shu
Jin Shu
처음에 환현은 태자선마(太子洗馬)에 임명되었다가, 이후 의흥태수(義興太守)가 되었다. 하지만 환현은 자신의 능력에 비해 낮은 직책이라 여겨 사임하고 봉국으로 돌아갔다.[7] 그는 "아버지는 (동진) 전토의 패자가 되었는데, 아들인 나는 고작 오호(태호)의 장 정도인가"라고 한탄했다. 이후 효무제에게 아버지 환온의 공적을 주장하며 불만을 표출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효무제는 이를 무시했다.[7]
젊은 시절부터 환현은 박학다식함으로 알려졌으며, 23세에 태자 세마가 되었지만, 아버지가 동진을 찬탈하려 했던 인물이었기에 파면되어 한동안 관직 없이 지냈다.
3. 권력 장악 과정
396년 효무제의 죽음 이후, 발달 장애를 겪고 있던 안제 대신 그의 삼촌인 사마도자가 섭정을 맡게 되었다.[9] 사마도자는 무능했고, 그의 측근인 왕국보와 왕서는 부패를 통해 부를 축적했다.[9] 환현은 혼란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고 은중감이 왕공의 군사 행동에 참여하도록 부추겼다.[9]
400년 무렵, 형주에 대홍수가 발생하자, 환현은 은중감의 식량 부족을 틈타 공격하여 그와 양전기를 죽이고, 동진 영토의 3분의 2를 차지했다.[9] 402년, 회계왕(會稽王) 사마도자의 아들 사마원현(司馬元顯)이 군사를 일으켜 환현을 토벌하려 하자, 환현은 군사를 이끌고 동쪽으로 내려가 건강(建康)을 공격했다. 사마도자와 사마원현 부자를 죽이고 정권을 장악한 환현은 유뢰지의 군사 지휘권을 박탈했다. 이에 유뢰지는 반란을 일으키려다 부하들에게 버림받고 자살했다.
같은 해, 사마도자 등의 압정에 대항하여, 오두미도 계열의 도사 손은이 이끄는 민중 반란이 일어났다.[10] 이 혼란을 틈타 환현은 군사를 이끌고 장강을 내려와 수도 건강에 육박했다.[10] 환현은 사마도자 부자를 살해하고 총백궤·시중·도독중외제군사·승상·록상서사·양주목 등의 지위를 얻었다.[10] 이때, 지금까지 병용되던 죽간과 헝겊 공문서를 폐지하고 모두 종이로 된 공문서로 통일했다고 한다.[10]
4. 환초 건국과 몰락
황제가 된 환현은 신하들에게 과도한 업무를 부과하고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여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9] 그는 사소한 일에 온종일 매달리도록 강요했고, 백성들에게 큰 부담을 주는 대규모 궁궐 건설 사업을 시작했다.[9]
404년, 유유, 유의(劉毅), 하무기(何無忌) 등이 경구(京口)에서 거병하여 환현을 토벌했다.[9] 환현은 공황 상태에 빠졌고, 그의 사촌 환겸(桓謙)이 신야공(新野公)이 유유에게 패하자, 안제를 데리고 서쪽으로 도주하여 유유의 연합군에게 건강을 넘겨주었다. 유유가 수도에 도착하자, 동진의 재건을 선포했다. 환현은 강릉(江陵)에 도착하여 신하들이 더 이상 자신을 존경하지 않을까 두려워 더욱 가혹한 처우를 가했고, 이는 부하들 사이에서 더욱 큰 소외를 낳았다. 결국, 환현은 서쪽으로 도주하다가 익주(益州)의 병사 풍천(馮遷)에게 살해당했다.[9]
사후, 환진(桓振)에 의해 무도황제(武悼皇帝)라는 시호를 받았다.[10]
5. 평가
환현은 권력을 잡은 후 종이 공문서를 사용하도록 하여 행정 개혁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나친 권력욕과 잔혹함으로 인해 결국 몰락했다. 그는 사마도자, 사마원현 부자를 살해하고, 자신에게 내통했던 유뢰지를 제거하는 등 권력을 강화해 나갔다. 결국 안제로부터 제위를 선양받아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초(楚)로 정했지만, 3개월 만에 유유의 쿠데타로 인해 살해되었다.
환현의 집권은 동진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유유의 남조 송(南朝 宋) 건국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한때 전원시인으로 유명한 도연명이 환현의 막료를 지내기도 했다.
6. 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환온 진의 대사마, 시호는 선무황제 어머니 사마싱난 (남강공주) 진 명제의 딸, 시호는 선황후, 일설에는 가기 마씨 부인 황후 유씨 404년 추존 자녀 환승 399년 출생, 예장왕 (403년 봉해짐, 404년 처형)
7. 둘러보기
| 이름 = 진 (위진)나라의 황제
| 제목 = 사마진 황제
|제목모양 = background:gold;
|윗글모양 = background:khaki;
|묶음모양 = background:khaki;
| 묶음1 = 서진
| 내용1 = {{둘러보기 상자|중첩
| 묶음모양 = background:#E9D66B; width:2em;
| 묶음1 = 추존
| 내용1 = 선제경제문제
| 묶음2 = 통치
| 내용2 = 무제혜제조왕혜제(복위)회제민제
}}
| 묶음2 = 동진
| 내용2 = {{둘러보기 상자|중첩
| 묶음모양 = background:#E9D66B; width:2em;
| 묶음2 = 통치
| 내용2 = 원제 · 명제 · 성제 · 강제 · 목제 · 애제 · 폐제 · 간문제 · 효무제 · 안제 · 공제
}}
| 묶음3 = 환초
| 내용3 = {{둘러보기 상자|중첩
| 묶음모양 = background:#E9D66B; width:2em;
| 묶음1 = 추존
| 내용1 = 선무제
| 묶음2 = 통치
| 내용2 = 무도제신안군왕환진환석수
}}
|아랫글=
|아랫글모양 = background-color:gold;
}}
참조
[2]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3]
문서
renwu day of the 5th month of the 3rd year of the Yuanxing era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문서
renchen day of the 12th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Yuanxing era
[6]
웹사이트
中央研究院
http://www.sinica.ed[...]
[7]
간행물
Xu Jin Yang Qiu annotation in Yiwen Leiju, vol.01
Yiwen Leiju
[8]
문서
renwu day of the 11th month of the 2nd year of the Yuanxing era
[9]
서적
晋書
[10]
서적
資治通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