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시바 리이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시바 리이치는 일본의 만화가이다. 와세다 대학교 만화 연구회에서 만화를 시작하여, 1991년 치바 테츠야 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데뷔했다. 그의 작품은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작풍과 민속학,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한 것이 특징이며, 주요 작품으로는 《디스커뮤니케이션》, 《유메츠카이》, 《수수께끼 그녀 X》 등이 있다. 작품은 사랑, 존재와 같은 철학적 주제를 다루며, 동성애, 근친상간 등의 다양한 형태의 연애를 묘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만화가 - 마쓰모토 레이지
마쓰모토 레이지는 《은하철도 999》, 《우주전함 야마토》 등 SF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일본의 만화가로, 고단샤 출판문화상, 쇼가쿠칸 만화상 등을 수상하며 SF 애니메이션 분야에 큰 업적을 남겼으며, 2023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 일본의 만화가 - 데즈카 오사무
일본의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는 700권이 넘는 작품을 남기고 일본 만화와 애니메이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무시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 1969년 출생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 1969년 출생 - 윌리엄 루이스 (언론인)
윌리엄 루이스는 잉글랜드 출신의 언론인으로, 파이낸셜 타임스, 데일리 텔레그래프 등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다우존스 앤 컴퍼니의 CEO를 거쳐 2023년 워싱턴 포스트의 CEO 겸 발행인으로 임명되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우에시바 리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2. 약력
어릴 때부터 낙서를 즐겨 했으며, 후쿠오카 현립 지쿠시가오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수를 거쳐 와세다 대학 제1문학부에 입학했다. 만화 연구회에 소속되어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1991년 와세다 대학 2학년 봄방학에 투고한 『디스커뮤니케이션』이 치바 테츠야 상 일반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모닝』 24호에 게재되어 만화가로 데뷔했다. 수상작의 속편은 『월간 애프터눈』(1992년 2월호)에서 연재를 시작하여 대표작이 되었다. 당시 집필 활동으로 졸업 논문에 신경 쓰지 못해 유급을 반복하다 중퇴했다. 이후 주로 『월간 애프터눈』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디스커뮤니케이션』은 1996년에 라디오 드라마화되었고, 『유메츠카이』는 2006년에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 단편 작품이었던 『수수께끼 그녀 X』가 『월간 애프터눈』에서 연재되었고, 이 작품 역시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12] YMO의 팬으로, 그 영향이 작품에 나타난다. 마작을 좋아하며, 필명은 마작 탁자 천판의 녹색에서 착안하여 '우에시바'(잔디를 심은 듯한 녹색), '리이치'는 리치에서 따왔다.
2. 1. 데뷔 전
어린 시절부터 낙서를 좋아했다. 후쿠오카 현립 지쿠시가오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수를 거쳐 와세다 대학 제1문학부에 입학했다. 만화 연구회에 소속되어 이 시기부터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1991년 와세다 대학 2학년 봄방학에 투고한 『디스커뮤니케이션』이 치바 테츠야 상 일반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모닝』 24호에 게재되어 만화가로 데뷔했다.[12]
2. 2. 데뷔 및 활동
어릴 때부터 낙서를 즐겨 했으며, 후쿠오카 현립 지쿠시가오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수를 거쳐 와세다대학 문학부에 진학하여 만화연구회에서 본격적으로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만화 연구회 소속으로 활동하던 1991년, 대학 2학년 봄방학에 투고한 『디스커뮤니케이션』이 치바 테츠야 상 일반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모닝』 24호에 게재되어 만화가로 데뷔했다.수상작의 속편은 『월간 애프터눈』(1992년 2월호)에서 연재를 시작하여 대표작이 되었다. 당시 집필 활동으로 졸업 논문에 신경 쓰지 못해 유급을 반복하다 중퇴했다. 이후 주로 『월간 애프터눈』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디스커뮤니케이션』은 1996년에 라디오 드라마화되었고, 『유메츠카이』는 2006년에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 단편 작품이었던 『수수께끼 그녀 X』가 『월간 애프터눈』에서 연재되었고, 이 작품 역시 TV 애니메이션화되었다.[12]
YMO의 팬으로, 그 영향이 작품에 나타난다. 마작을 좋아하며, 필명도 마작 탁자 천판의 녹색에서 착안하여 잔디를 심은 듯한 녹색을 뜻하는 '우에시바', 리치에서 그대로 '리이치'를 따와 지었다.
2. 3. 기타
어릴 때부터 낙서를 즐겨 했으며, 후쿠오카 현립 지쿠시가오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재수를 거쳐 와세다 대학 제1문학부에 입학했다. 만화 연구회에 소속되어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12]YMO의 팬으로, 그 영향이 작품에 나타난다. 마작을 좋아하며, 필명도 마작 탁자 천판의 녹색에서 착안하여 '우에시바'(잔디를 심은 듯한 녹색), '리이치'는 리치에서 따왔다.[12]
3. 작풍
우에시바 리이치의 작품은 이야기 전개와 그림에서 독창적인 개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평가를 받는다.[1] 특히, 민속학부터 애니메이션까지 폭넓은 지식을 작품 곳곳에 담아내는 것이 특징이다.[1]
꼬마마법사 레미나 자이언트 로보 같은 애니메이션과 특수 촬영물의 영향이 캐릭터와 스토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초기 작품과 비교했을 때 그림체도 변화하였다.[1]
그림체는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가는 선으로 민속학적인 심볼이나 장난감 등을 세밀하게 그렸지만, 『꿈 사용법』부터는 다소 굵은 선을 사용했다.[1] 최근작 『수수께끼 그녀X』에서는 민속학적인 요소가 나타나지 않고, 일상 표현에 중점을 둔 작풍으로 변화했다.[1] 또한, 어시스턴트는 기본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1]
3. 1. 주제 의식
이야기의 진행이나 그림의 작풍이 매우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다. 민속학에서부터 애니메이션까지 다방면에 걸친 풍부한 현학적 지식을 작품 곳곳에 새기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작품은 주로 사랑이나 존재 등의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경향이 많으며, 이 두 가지는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거나 하나이기도 하다.‘사랑’을 담고 있을 때는 매우 독특한 형태의 사랑을 그린다. 동성애, 남장·여장, 양성구유, 근친상간, 식인, 로리콘, 쇼타콘 등의 엽기적이고 다양한 주제는 에도가와 란포와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 작품 속에서 만화를 그린 자신이나 담당 편집자가 등장할 때도 많으며, 페티시즘적 전개를 통해 자신을 변태처럼 그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소녀를 등장시킬 때가 많아, 로리콘이 아닐까 의심될 정도이지만 본인은 부정하고 있다.
‘존재’를 주로 삼을 때는 사랑과 엮인 것이 많다. 이것은 인간이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는 일반적인 법칙에서 출발하는 것이지만, 그의 작품에서는 단순히 다른 사람과의 사랑을 확인하는 것으로 존재를 확인해 끝나는 경우가 아니다. ‘왜 자신은 존재하는가’라거나 ‘어째서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것인가’ 등을 끝까지 계속 추구해 가는 것이다.
또한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의 여러 가지 신화나 민속학·심리학 등의 요소를 솜씨있게 배치해, 진리에 가까워지면서도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 수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동시에 화면의 효과로 화려하게 작용하고, 즐겁게 작품 속에 빠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사나 여우가면 등 신토와 관련된 개념을 사용한 부분도 많다.
작품의 소재는 주로 사춘기 남녀의 연애·성애이며, 작중에서는 동성애, 근친상간, 로리타 콤플렉스 등 다양한 형태의 연애가 다뤄지며, 또한 이성장 등의 페티시즘적인 성애가 다뤄지지만, 스토리 자체는 대체로 순애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 『꿈 사용법』에 이르기까지, 작품 세계에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의 민속학이나 신화의 지식·의장을 도입하여, 연애·성애의 과정을 화려한 화면 표현을 사용하여 복잡한 비의(秘蹟)와 같은 형태로 표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었다. YMO, 만화, 애니메이션, 특수 촬영 등에서의 패러디도 많다. 작가 왈, 츠게 요시하루의 『나사식』이나 사카바시 이미리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작중에서도 그것을 볼 수 있다.
3. 2. 작품 경향
이야기의 진행이나 그림의 작풍이 매우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다. 민속학에서부터 애니메이션까지 다방면에 걸친 풍부한 현학적 지식을 작품 곳곳에 새기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1]꼬마마법사 레미나 자이언트 로보 등의 애니메이션과 특수촬영의 영향이 캐릭터나 스토리 등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림체도 초기와 비교해 크게 다르다.[1]
작품은 주로 사랑이나 존재 등의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경향이 많으며, 이 두 가지는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거나 하나이기도 하다.[1]
‘사랑’을 담고 있을 때는 매우 독특한 형태의 사랑을 그린다. 동성애, 남장·여장, 양성구유, 근친상간, 식인, 로리콘, 쇼타콘 등의 엽기적이고 다양한 주제는 에도가와 란포와 유사하게 보이기도 한다.[1] 작품 속에서 만화를 그린 자신이나 담당 편집자가 등장할 때도 많으며, 페티시즘적 전개를 통해 자신을 변태처럼 그리는 경우도 있다.[1] 또한 소녀를 등장시킬 때가 많아, 로리콘이 아닐까 의심될 정도이지만 본인은 부정하고 있다.[1]
‘존재’를 주로 삼을 때는 사랑과 엮인 것이 많다. 이것은 인간이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는 일반적인 법칙에서 출발하는 것이지만, 그의 작품에서는 단순히 다른 사람과의 사랑을 확인하는 것으로 존재를 확인해 끝나는 경우가 아니다. ‘왜 자신은 존재하는가’라거나 ‘어째서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되는 것인가’ 등을 끝까지 계속 추구해 가는 것이다.[1]
또한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의 여러 가지 신화나 민속학·심리학 등의 요소를 솜씨있게 배치해, 진리에 가까워지면서도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 수법을 취하고 있다. 이는 동시에 화면의 효과로 화려하게 작용하고, 즐겁게 작품 속에 빠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사나 여우가면 등 신토와 관련된 개념을 사용한 부분도 많다.[1] 작품의 소재는 주로 사춘기 남녀의 연애·성애이며, 작중에서는 동성애, 근친상간, 로리타 콤플렉스 등 다양한 형태의 연애가 다뤄지며, 이성장 등의 페티시즘적인 성애가 다뤄지지만, 스토리 자체는 대체로 순애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1]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 『꿈 사용법』에 이르기까지, 작품 세계에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의 민속학이나 신화의 지식·의장을 도입하여, 연애·성애의 과정을 화려한 화면 표현을 사용하여 복잡한 비의(秘蹟)와 같은 형태로 표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었다.[1] YMO, 만화, 애니메이션, 특수 촬영 등에서의 패러디도 많다.[1] 작가 왈, 츠게 요시하루의 『나사식』이나 사카바시 이미리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작중에서도 그것을 볼 수 있다.[1]
그림체에 관해서는 다소 변천이 있어,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가는 선으로 민속학적인 심볼이나 장난감 등을 화면 구석구석까지 세밀하게 그려 넣었지만, 『꿈 사용법』부터 다소 굵은 선이 사용되었다.[1] 최근작 『수수께끼 그녀X』에서는, 위와 같은 민속학적인 의장도 나타나지 않게 되었고, 일상 표현에 중점을 둔 작풍이 되었다.[1] 기본적으로 어시스턴트는 사용하지 않는다.[1]
3. 3. 그림체
이야기의 진행이나 그림의 작풍은 매우 개성적이고 독창적이라고 평가받는다.[1] 민속학에서부터 애니메이션까지 다방면에 걸친 풍부한 현학적 지식을 작품 곳곳에 새기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1]그림체는 초기와 비교해 크게 다르다.[1]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가는 선으로 민속학적인 심볼이나 장난감 등을 화면 구석구석까지 세밀하게 그려 넣었지만, 『꿈 사용법』부터는 다소 굵은 선이 사용되었다.[1] 최근작 『수수께끼 그녀X』에서는 위와 같은 민속학적인 의장이 나타나지 않고, 일상 표현에 중점을 둔 작풍이 되었다.[1] 기본적으로 어시스턴트는 사용하지 않는다.[1]
4. 화풍
우에시바 리이치의 만화에는 여러 가지 신화적인 상징이나 정신분석학의 개념을 구상화한 것이 등장한다. 너무나도 낯선 그것들은 좁은 화면 속에서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 그리고 하나하나가 세심하고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 (다만 어시스턴트는 고용하지 않는다.)
만화 안의 칸 속에서뿐만 아니라, 표지 등에서도 같은 페이지를 계속 바라보게 만들 정도의 정보량을 담고 있다. 캐릭터는 어떤 종류의 기호적인 만화 표현과 같이 불필요한 것은 없는 가벼운 조형을 하고 있다. 작품의 소재는 주로 사춘기 남녀의 연애·성애이며, 작중에서는 동성애, 근친상간, 로리타 콤플렉스 등 다양한 형태의 연애가 다뤄지며, 또한 이성장 등의 페티시즘적인 성애가 다뤄지지만, 스토리 자체는 대체로 순애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 『꿈 사용법』에 이르기까지, 작품 세계에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등의 민속학이나 신화의 지식·의장을 도입하여, 연애·성애의 과정을 화려한 화면 표현을 사용하여 복잡한 비의(秘蹟)와 같은 형태로 표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었다. YMO, 만화, 애니메이션, 특수 촬영 등에서의 패러디도 많다. 작가 왈, 츠게 요시하루의 『나사식』이나 사카바시 이미리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작중에서도 그것을 볼 수 있다.
그림체에 관해서는 다소 변천이 있어, 『디스커뮤니케이션』에서는 가는 선으로 민속학적인 심볼이나 장난감 등을 화면 구석구석까지 세밀하게 그려 넣었지만, 『꿈 사용법』부터 다소 굵은 선이 사용되었다. 최근작 『수수께끼 그녀X』에서는, 위와 같은 민속학적인 의장도 나타나지 않게 되었고, 일상 표현에 중점을 둔 작풍이 되었다. 기본적으로 어시스턴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5. 작품 목록
-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디스코뮤니케이션일본어 (1991–1999, 애프터눈 연재, 고단샤)[2][3]
- 디스커뮤니케이션 (전 13권)
- 디스커뮤니케이션 학원편 (전 1권)
- 디스커뮤니케이션 정령편 (전 3권)
- 신장판 디스커뮤니케이션 (전 7권)
- 夢使い|유메 츠카이일본어 (드림 유저) (2001–2004, 애프터눈 연재, 고단샤)[7][8]
- 謎の彼女X|나조노 카노조 X일본어 (수수께끼 그녀 X) (2004–2014, 애프터눈 연재, 고단샤)[9][10]
- 大蜘蛛ちゃんフラッシュ・バック|오오구모 짱 플래시백일본어 (거미 아가씨 플래시백) (2017–2020, 애프터눈 연재, 고단샤)[11]
- CG 이로하의 이 (전 1권, 절판)
- 꿈을 먹는 메리 (2001년 3월호 - 2004년 2월호 연재, 전 6권)
- 가면속의 수수께끼 (1992년 ~ 2000년, 전13권)
- 가면속의 수수께끼 학원편 (전1권)
- 가면속의 수수께끼 정령편 (전3권)
- 꿈의 사도 (전6권)
참조
[1]
웹사이트
J-Novel Club Licenses Faraway Paladin, Unwanted Undead Adventurer, Sweet Reincarnation, Marginal Operation, Discommunication Manga
https://www.animenew[...]
2021-05-11
[2]
웹사이트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1)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3]
웹사이트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13)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4]
웹사이트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学園編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5]
웹사이트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精霊編(1)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6]
웹사이트
ディ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精霊編(3)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7]
웹사이트
夢使い(1)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8]
웹사이트
夢使い(6)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9]
웹사이트
謎の彼女X(1)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10]
웹사이트
謎の彼女X(6)
http://shop.kodansha[...]
Kodansha
2010-07-10
[11]
웹사이트
Riichi Ueshiba's Ōkumo-chan Flashback Manga Ends in June
https://www.animenew[...]
2021-05-11
[12]
간행물
『月刊アフタヌーン』2012年2月号(2011年12月24日発売)誌面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