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녀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어린 시기를 지칭하는 단어이다. 어원은 고대 영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시대에 따라 어린아이와 여자아이를 모두 지칭하다가 15세기 후반부터 여자아이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소녀의 지위는 문화권에 따라 여성의 지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왔으며, 교육, 성년식, 결혼 등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전 세계적으로 소녀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물학적으로는 XX 염색체를 가지며 사춘기를 거치면서 신체적 변화를 겪는다. 대중문화에서도 소녀는 다양한 형태로 묘사되며, 만화, 애니메이션, 음악 등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녀 - 톰보이
    톰보이는 전통적인 여성의 성 역할에서 벗어나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여자아이 또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의미와 개념이 변화해 왔으며, 현대에는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 소녀 - 마이코
    마이코는 교토의 화가에서 전통 예능을 수련하며 게이샤가 되기 전 견습 과정을 거치는 소녀로, 찻집에서 유래하여 예술가 면모를 갖추고 일본 문화를 알리는 활동을 하지만 미성년자 노동 및 성희롱 문제도 제기된다.
  •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 - 자매
    자매는 같은 부모 또는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여자 형제를 뜻하며, 나이에 따라 언니 또는 여동생으로 불리고, 혈연관계나 인연에 따라 이부자매, 이복자매, 의자매 등으로 구분되며, 정서적 지지와 유대감을 형성하지만 때로는 갈등을 겪기도 하고, 여성 연대의 중요한 형태로 인식되기도 한다.
  • 여성을 가리키는 용어 - 어머니
    어머니는 출산이나 입양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지칭하며, 생물학적,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모성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예술과 종교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소녀
일반 정보
성별여성
연령어린 나이
특징
설명어린 여성 인간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2. 어원

보통 소년을 젊은 남자라 할 때 소녀는 그 대의어이다. 아동복지법 제3조 1항에서는 18세 미만인 사람을,[110] 소년법 제1장 제2조에서는 19세 미만인 자를 소녀로 정의한다.[111]

고대 율령제 아래에서는 17세부터 20세의 여성을 「소녀」라고 칭했다.[112] 근대에는 1920~30년대의 근대 시장 사회, 도시형 핵가족의 완성기에 부유성, 탈질서성, 비생산성 등의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는 소녀문화가 개화했다. 소년법은 남녀를 불문하고 19세 미만의 사람을 소년으로 정의하고 있으며(「소년」은 남녀를 불문하고 그 정도의 연령의 사람을 가리킨다. 여성인 경우를 특히 「소녀」라고 한다), 여자의 소년원에 해당되는 시설은 「소녀원」이라고는 말하지 않고 「여자 소년원」이라고 한다.

「여자아이」는 여자인 아이, 즉 여아를 의미하지만, 속어로는 「젊은 여성」을 의미하기도 한다.[113] 영어 단어 걸(girl)은 보통 9~12세, 많아도 15세 이하를 의미하며(boy는 보통 18세 정도까지), 문어나 딱딱한 문장체에서는 메이든(maiden), 버진(virgin) 등으로 표현한다.[114]

영어 단어 'girl'은 1250년에서 1300년 사이 중세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고대 영어 단어 'gerle|게를레ang'(또는 'girle|기를레ang' 또는 'gurle|구를레ang')에서 유래했다.[3] 고대 영어 단어 'gerela|게렐라ang'는 '옷' 또는 '의류'를 의미하며, 어떤 의미에서는 환유어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 1400년대 후반까지 이 단어는 남녀 어린아이 모두를 의미했지만, 15세기 후반부터는 '여자아이'를 의미하게 되었다.[4]

3. 역사

고대 율령제에서는 17~20세 여성을 '소녀'라고 불렀다.[112] 1920~30년대 근대 시장 사회와 도시형 핵가족이 완성되면서, 소녀는 부유함, 탈질서, 비생산성 등의 특징을 가진 문화로 개화했다.

소년법은 성별 구분 없이 19세 미만을 소년으로 정의하며, 여성을 특별히 '소녀'라고 부른다. 여자 소년원은 '소녀원'이 아닌 '여자 소년원'으로 불린다.

근대 이전에는 기대 수명이 짧고 결혼이 빨라 소년, 소녀 시기가 명확하지 않았고, 아이에서 바로 어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10대에 이미 결혼하여 경제 활동을 시작했기에 현대 청소년기와는 차이가 크다. 역사적으로 소녀의 지위는 여성의 지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지위를 누리는 곳에서 소녀들의 필요도 더 주목받았다.

3. 1. 소녀 교육

전통적으로 여자아이들의 정규 교육은 남자아이들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겨졌다. 유럽에서는 종교 개혁으로 읽고 쓰는 능력이 널리 보급되기 전에는 여자아이들이 교육받는 경우가 드물었다. 엘리자베스 1세는 예외적인 경우로, 헨리 8세의 미망인 캐서린 파의 도움으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다. 그녀는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와 학문을 배웠다.[5] 엘리자베스 1세의 교육이 그녀가 성공적인 군주가 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6]

18세기가 되자 유럽에서는 읽고 쓰는 능력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학교가 세워졌다.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의 영향으로 프랑스 혁명 당시 여성의 3분의 1이 읽고 쓰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7] 그러나 여성 교육은 남성에 비해 덜 중요하게 여겨졌고, 19세기 후반까지 프랑스 여자아이들은 중등 교육기관에 입학할 수 없었다. 1924년 레옹 베라르의 개혁으로 프랑스 여성들도 바칼로레아 졸업장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의무 교육법이 시행되면서 유럽 전역에서 여자아이들과 젊은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졌다. 그러나 1970년대까지도 많은 유럽 국가에서 고등 교육, 특히 기술 교육 분야에서 여성의 교육 기회가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에콜 폴리테크니크 같은 명문 공학 학교는 1970년대까지 여성을 허용하지 않았다.[8]

세넨무트의 무릎에 앉아 있는 소녀 시절의 네페르레 공주. 고대 이집트의 소녀들과 고대 이집트의 여성들은 비교적 높은 사회적 지위를 누렸다.


여성의 교육 기회 평등은 일부 국가에서 달성되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여전히 격차가 크다.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은 "초등 교육은 의무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명시했지만, 여전히 여아의 초등 및 중등 학교 진학률은 남아보다 낮다.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세계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990년 이후 격차는 줄어들었다.[50]



영국에서는 전국 읽기 신뢰도 신탁(National Literacy Trust)의 연구에 따르면, 7세부터 16세까지 모든 학업 영역에서 소녀들의 점수가 소년들보다 꾸준히 높았다.[54] 미국에서는 2006년 전국 SAT 시험의 언어 부분에서 소녀들이 소년들보다 11점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56]

남자와 달리 진학이나 취업으로 이어지지 않는 고등여학교에서 “소녀”는 미래로부터 단절되어, 어린아이와 아내 사이의 불안정한 존재로 규정되었다. 마찬가지로 여학교에 의한 독서하는 여성의 출현이 소녀의 기원이라는 의견도 있다. 소녀 잡지가 그 이미지를 뒷받침했다. 이것은 딸을 여학교에 보내고 소녀 잡지를 사줄 수 있는 도시 신중간층(대정기에 증가한 봉급 생활자. 관공리·군인·회사원 등. 부모가 자녀 교육을 한다는 의지를 분명히 가지고 있다. 1960년대 이후 대중화)의 여성에게 한정되었다.[108]

소녀·소년 잡지 표지의 비주얼 이미지는 다음과 같이 변화해 갔다.[103]

시기소녀 잡지 표지소년 잡지 표지
1895년부터 1910년경어머니에게 보호받는 소녀공부와 스포츠를 하는 소년
1910년부터 1920년경어린아이가 아닌 소녀공부와 스포츠를 하는 소년
1920년부터 1930년경스포츠를 하는 소녀군국 소년
1930년부터 1945년군국 소녀군국 소년


3. 2. 성년식

많은 문화권에서 소녀 또는 소년의 ‘성년식’을 알리는 전통적인 관습이 있으며, 이는 성인으로의 전환을 인정하거나 아동기에서 성숙에 이르는 여정의 다른 이정표를 기념하는 것이다.

일본에는 칠고삼이라는 성년식 의례가 있다. 이는 말 그대로 "칠오삼"을 의미하며, 일본에서 3세와 7세 여자아이, 3세와 5세 남자아이를 위한 전통적인 통과의례이자 축제이다. 매년 11월 15일에 열리며, 일반적으로 가장 가까운 주말에 지낸다. 이 날, 여자아이는 전통적인 기모노를 입고 가족과 함께 절에 가서 축복 의식을 받는다. 요즘에는 정식 사진 촬영으로도 기념한다.

많은 성년식은 사춘기를 거치는 소녀, 즉 초경 또는 첫 월경을 경험하는 소녀를 인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인 아파치족의 소녀 성년식은 ''나이이이스''(일출 의식)라고 하며 나흘에 걸쳐 진행된다. 소녀들은 점토꽃가루로 몸을 칠하고 의식이 끝날 때까지 씻어서는 안 된다. 의식에는 춤과 체력을 시험하는 의례가 포함된다. 소녀들은 성, 자신감, 치유 능력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소녀들은 새벽에 동쪽을 향해, 그리고 삶의 네 단계를 나타내는 사방을 향해 기도한다. 이 의식은 수십 년 동안 미국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으나, 1978년 미국 원주민 종교 자유법에 의해 비범죄화된 후 부활했다.[9]

일부 성년식은 종교적 신념에 대한 이해와 종교 공동체 내에서 변화하는 역할을 인정하는 종교적 의식이다. 견진성사는 많은 기독교 종파에서 소년과 소녀 모두에게 일반적인 의식이며, 보통 아이가 십대일 때 이루어진다. 로마 가톨릭 공동체에서는 견진성사가 가톨릭 신자가 받을 수 있는 일곱 가지 성사 중 하나로 간주된다. 많은 국가에서 가톨릭 신자 아이들은 7세에 다른 성사인 첫 영성체를 받는 것이 전통이다. 성사는 보통 일 년에 한 번 교회에서 거행되며, 나이가 된 아이들은 특별한 의식에서 주교의 축복을 받는다. 많은 국가에서 가톨릭 소녀들이 첫 영성체 때 흰 드레스를 입고 머리에 작은 베일이나 꽃 화관을 착용하는 것이 전통이다. 흰 드레스는 영적인 순수함을 상징한다.

북미와 유럽의 상류층과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상류층 및 앵글로색슨계 백인 개신교도 가정의 대학생(17~21세) 딸들을 위한 전통적인 성년식 의례는 "데뷔"로 알려진 데뷔 무도회, 예를 들어 뉴욕시의 국제 데뷔 무도회에서의 "커밍 아웃"이었다. 전통적으로 데뷔턴트들은 순수함과 부를 상징하는 꾸뛰르 흰색 드레스와 장갑을 착용했다.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서 ''피에스타 데 킨세 아뇨스''는 소녀의 15세 생일을 축하하는 것이다. 생일을 축하하는 소녀는 킨세아네라라고 불린다. 이 생일은 다른 생일과 다르게 축하되며, 이는 아동기에서 여성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10]

완전히 세속적인 성격이지만, 소녀의 첫 브래지어는 때때로 그녀 인생의 중요한 다음 단계로 여겨진다. 더 전통적인 성년식 관습과는 달리, 이 사건은 소녀의 삶에서 정해진 날짜가 없으며 십 대일 때 발생할 수도 있고[11] 때로는 사춘기 이전에도 발생할 수 있다.[12]

니카라과의 킨세아네라


칠고삼을 위해 차려입은 7세 소녀

3. 3. 소녀와 결혼

많은 고대 사회에서 소녀들의 양육은 미래의 아내가 되도록 준비시키는 것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많은 문화권에서 여성의 경제적 독립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소녀의 미래 행복이 경제적으로 자립적인 남성과 결혼하는 데 달려 있었던 곳에서는, 아내에게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자질이나 기술을 갖추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1936년경 예루살렘의 한 여자학교 요리 수업. 전통적으로 소녀들의 교육과 양육은 미래의 아내가 되도록 준비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3. 3. 1. 중국의 전족

중국 일부 지역에서는 남당(937~975) 시대 난징에서 시작하여,[13] 상류층 여성들 사이에서 발을 가늘게 묶는 풍습인 전족이 유행했다. 이는 여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여성과, 여성이 일할 필요가 없을 만큼 부유한 남편을 상징했다(일을 하려면 이동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하루 종일 서 있어야 했기 때문이었다).[13] 이러한 믿음 때문에, 부모들은 딸의 좋은 결혼을 바라며 5~8세경부터 발을 묶어 이상적인 모습을 만들려고 했다.[13] 발이 작을수록 미래 남편의 사회적 지위가 높다는 의미였다.[13] 이러한 관습은 20세기 초부터 쇠퇴하기 시작하여 1950년 무렵에는 거의 사라졌다.[13]

3. 3. 2. 아프리카의 여성 성기 절제

일부 문화권에서는 소녀의 사춘기 도래를 소녀의 순결에 대한 우려와 함께 바라본다.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여성 성기 절제가 소녀가 성적으로 문란해지는 것을 막는 데 필요하다는 전통적인 믿음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은 위험하며, 이를 겪은 여성들에게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이 관행은 아프리카 28개국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져 왔으며, 주로 시골 지역에서 계속되고 있다. 때로는 잘못하여 "여성 할례"로 묘사되는 이 성년식 관습은 정부에 의해 금지되고 있으며, 인권 단체 및 기타 우려하는 지역 사회 구성원들이 이 관행을 종식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소녀와 관련된 사회 문제

girl에는 멸칭으로서의 용법도 있다. 어른이든, 그 여성이 특정한 역할이나 직무가 없는 경우, 전달자 역으로 파견되는 경우, "내 쪽의 여자아이(girl)를 보내기 때문에, 그 아이에게 건네줘"라는 말투를 쓰기도 한다. 이름도 없는 채의 '여자아이'는 성인이어도 그러한 방식으로 불린다. 사내아이도 마찬가지로, 레스토랑, 호텔 등의 '보이'가 좋은 예이다.

민법상 성년 나이는 만 18세이지만, 소년법은 20세 미만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18세·19세의 여성은 성년이면서 동시에 소녀이기도 하다. 고대 율령제 하에서는 17세부터 20세의 여성을 “소녀”라고 칭했고,[106] 당시에는 “乙女(오토메)”라는 말이 있었는데, 현대의 “소녀”와 같은 의미였다. 근대에는 1920~30년대 소녀문화가 개화했다. 소년법은 남녀를 불문하고 20세 미만의 자를 소년으로 정의한다. 여자의 소년원에 해당하는 시설은 “여자소년원”이라고 한다.

“소녀”는 여자아이, 여아를 뜻하지만, 속어에서는 “젊은 여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걸(girl)은 “보통 9~12세까지, 많아도 15세 이하”로 여겨진다. 문어에서의 소녀는 메이든(maiden), 버진(virgin) 등이다.[107] 완곡하게는 매춘부를 의미한다.[107] 중국에서 “女孩(nü̆hái)”는 사춘기나 청년기에 이르기까지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산업규격에서 소녀의 정의는 “키 성장이 멈추지 않은 유아기 이외의 여자아이[109]”이며, 나이에 의한 상한선은 정해져 있지 않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소녀들은 성별 선택적 낙태, 여성 성기 절제(FGM), 아동 결혼, 아동 성 학대, 명예 살인과 같은 특정한 형태의 폭력과 학대 위험에 처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여성 성기 절제(FGM)를 "비의료적 이유로 여성의 외부 생식기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절제하거나 여성 생식기에 다른 손상을 가하는 모든 절차"로 정의한다.[76] FGM은 영아기부터 15세 사이의 소녀들에게 시행된다.[78] 아동 결혼은 특히 아프리카,[79][80] 남아시아,[81]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82][83] 중동,[84][85] 라틴 아메리카,[86] 및 오세아니아[87]에서 널리 퍼져 있다. 아동 결혼 비율이 가장 높은 10개국은 니제르, 차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방글라데시, 기니, 모잠비크, 말리, 부르키나파소, 남수단, 말라위이다.[88]

아동 성 학대(CSA)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이며,[89][90] 아동 매춘은 아동의 상업적 성 착취이다. 매년 적어도 100만 명의 아동, 대부분 소녀들이 매춘부가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91] 아동 매춘은 세계 여러 지역, 특히 동남아시아(태국, 캄보디아)에서 흔하다. 가족의 '명예'를 더럽혔다고 여겨지는 소녀들은 명예 살인 위험에 처해 있다.[92]

여아의 건강은 남아보다 가치가 낮게 여겨지는 문화에서 악화된다. 여아 건강의 주요 위협은 조혼이며, 이는 조기 임신으로 이어진다. 강제 결혼을 한 여아는 합병증과 모성 사망의 위험이 증가한다. 여성 성기 절제술은 여아의 건강 악화를 야기하는 또 다른 주요 원인이다.[94]

성별은 아동 노동의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 소녀들은 가정부로서 일하는 경우가 흔하며, 이는 규제가 가장 적은 직업 중 하나이다. 아동 노동은 교육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95][96]

중앙아메리카에서 아동 노동에 종사하는 소녀들

4. 1. 소녀 매매 및 거래

역사적으로, 그리고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소녀들이 가족 간의 분쟁 해결에 이용되어 왔다. 바드, 스와라, 바니와 같은 관행을 통해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범죄자 가족의 소녀는 피해자 가족에게 하녀 또는 신부로 주어진다. 또 다른 관행은 신부값과 교환하여 소녀를 파는 것이다.[15] 1956년 노예제, 노예 매매 및 노예제와 유사한 제도 및 관행 철폐에 관한 보충 협약은 "노예제와 유사한 제도 및 관행"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c) 다음과 같은 제도 또는 관행: (i) 여성이 거부할 권리 없이 금전 또는 현물로 보상을 받고 부모, 후견인, 가족 또는 다른 사람이나 집단에게 약혼하거나 시집가는 것; 또는 (ii) 여성의 남편, 그의 가족 또는 그의 씨족이 가치 있는 것을 받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다른 사람에게 그녀를 넘길 권리를 갖는 것; 또는 (iii) 여성이 남편의 사망 시 다른 사람에게 상속되는 것.[15]

신부값으로 교환된 물품


파슈툰족(Pashtuns)은 분쟁 해결을 위해 소녀를 거래하는 전통이 있다.

4. 2. 인구 통계

소년을 젊은 남자라 할 때 소녀는 그 대의어이다. 이 연령에 해당하는 것은 아동 복지법 제3조 1에서는 「18세 미만인 사람」,[110] 소년법 제1장 제2조에서는 「19세 미만인 자」라고 한다.[111]

학자들은 출생 시 인간 성비 변화의 원인에 대해 불분명하고 의견이 분분하다.[17][18] 성비가 108 이상인 국가는 일반적으로 성별 선택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출생 시 성비의 차이는 자연적인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별 선택적 낙태, 여아 살해, 여아 유기를 통한 여성에 대한 편견과 가족 자원 할당에 있어 아들을 선호하는 관행[19]남아시아, 동아시아 및 카프카스 지역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행은 중국, 인도, 파키스탄에서 주요 문제이다. 이러한 문화권에서는 여성의 지위가 낮아 여성에 대한 편견이 생긴다.[20]

중국인도는 아들 선호 현상이 매우 강하다. 중국에서는 한 자녀 정책이 성비 불균형의 주요 원인이었다. 성별 선택적 낙태와 여아 거부가 흔하다. ''죽음의 방''은 1995년 중국 국영 고아원에 관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영화로, 부모가 신생 여아를 고아원에 버리고, 직원들이 아이들을 방에 두고 목마름이나 굶주림으로 죽게 내버려 두는 모습을 보여준다. 인도에서는 지참금 관행이 아들 선호 현상의 원인 중 하나이다. 아들 선호 현상의 또 다른 징후는 여아를 출산한 어머니에게 가해지는 폭력이다.[21][22][23]

2012년 세계 출생 성비 지도


250px


중국은 성비 불균형을 겪고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한 자녀 정책으로 인한 것이다. 사진은 1982년 중국의 소녀들을 보여준다.


인도의 경우, 2011년에는 6세 미만 여아 100명당 남아 91명이었다. 2011년 인구 조사 결과[24]에 따르면, 6세 미만 여아와 남아의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 2001년 남아 1000명당 여아 927명에서 2011년 남아 1000명당 여아 918명으로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학자들이[73] 농촌 지역에서 남아 1000명당 여아 794명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지난 20년간의 출생 데이터는 매년 평균 남아 1000명당 여아 862명이 태어났음을 시사한다.[25] 워싱턴 D.C.에 있는 인구 연구소의 스티븐 모셔 회장은 "현재 중국에는 여성 부족으로 신부를 찾지 못하는 남성이 2500만 명에 달한다. [...] 젊은 남성들은 신부를 찾기 위해 해외로 이주한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지역의 성 불균형은 상업적 성매매의 성장에도 책임이 있다고 비난받고 있으며, UN의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최대 80만 명이 국경을 넘어 밀매되고 있으며, 그중 80%가 여성과 소녀라고 한다.[26]

4. 3. 소녀 폭력

세계 여러 지역에서 소녀들은 성별 선택적 낙태, 여성 성기 절제(FGM), 아동 결혼, 아동 성 학대, 명예 살인과 같은 특정한 형태의 폭력과 학대 위험에 처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여성 성기 절제(FGM)를 "비의료적 이유로 여성의 외부 생식기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절제하거나 여성 생식기에 다른 손상을 가하는 모든 절차"로 정의한다.[76] 이는 주로 서아프리카, 동아프리카 및 북동아프리카의 28개국, 특히 이집트와 에티오피아, 그리고 동남아시아와 중동 일부 지역에서 행해진다.[77] FGM은 대부분 영아기부터 15세 사이의 소녀들에게 시행된다.[78]

소녀들이 어린 나이에 결혼하는 아동 결혼(종종 강제적이며 훨씬 나이 많은 남편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음)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여전히 흔하다. 이는 특히 아프리카,[79][80] 남아시아,[81]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82][83] 중동,[84][85] 라틴 아메리카,[86] 및 오세아니아[87]에서 상당히 널리 퍼져 있다. 아동 결혼 비율이 가장 높은 10개국은 니제르, 차드,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방글라데시, 기니, 모잠비크, 말리, 부르키나파소, 남수단, 말라위이다.[88]

아동 성 학대(CSA)는 성인이나 나이 많은 청소년이 아동을 성적 자극을 위해 사용하는 아동 학대의 한 형태이다.[89][90] 아동 매춘은 아동이 경제적 이익을 위해 매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동의 상업적 성 착취이다. 매년 적어도 100만 명의 아동, 대부분 소녀들이 매춘부가 되는 것으로 추산된다.[91] 아동 매춘은 세계 여러 지역, 특히 동남아시아(태국, 캄보디아)에서 흔하며, 부유한 국가의 많은 성인들이 이러한 지역으로 여행하여 아동 성 관광에 참여한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가족의 '명예'를 더럽혔다고 여겨지는 소녀들, 즉 주선된 결혼을 거부하거나, 결혼 전 성관계를 갖거나, 부적절하다고 여겨지는 방식으로 옷을 입거나, 심지어 강간 피해자가 된 소녀들은 가족에 의해 명예 살인 위험에 처해 있다.[92]

4. 4. 소녀 건강

여아의 건강은 남아보다 가치가 낮게 여겨지는 문화에서 악화된다. 여아 건강의 주요 위협은 조혼이며, 이는 종종 조기 임신으로 이어진다. 강제로 아동 결혼을 하게 된 여아는 결혼 후 곧 임신하는 경우가 많아 합병증과 모성 사망의 위험이 증가한다. 어린 나이에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이러한 합병증은 개발도상국 청소년 여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93] 세계 여러 지역에서 행해지는 여성 성기 절제술은 여아의 건강 악화를 야기하는 또 다른 주요 원인이다.[94]

4. 5. 소녀와 아동 노동

성별은 아동 노동의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 소녀들은 소년들보다 더 어린 나이에 가정에서 더 많은 가사일을 하도록 가족들로부터 요구받는 경향이 있다. 유급 가정부로서의 고용은 소녀들에게 가장 흔한 아동 노동의 형태이다. 동아시아동남아시아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부모들이 종종 가정부로서의 일을 결혼에 대한 좋은 준비로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가정부 일은 모든 직업 중에서 규제가 가장 적은 것 중 하나이며, 근로자들이 외부 세계로부터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고용주로부터 폭력, 착취 및 학대와 같은 심각한 위험에 노출된다. 아동 노동은 교육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녀들은 교육을 중단하거나, 교육을 계속하는 경우에도 종종 집 밖의 일, 부모 집의 가사일, 학교 공부라는 이중 또는 삼중의 부담을 겪는다. 이러한 상황은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흔하다.[95][96]

5. 소녀의 권리 보호를 위한 국제적 노력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은 "초등 교육은 의무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명시했지만, 여전히 여아의 초등 및 중등 학교 진학률은 남아보다 약간 낮다(70%:74%, 59%:65%).[50]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세계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밀레니엄 개발 목표 등), 1990년 이후 격차는 줄어들었다.[50]

유엔아동권리협약(1988)과 새천년개발목표(2000)는 모든 남녀 아동의 교육 접근성 향상과 초등 및 중등 교육 수준에서의 성 불평등 해소를 촉진했다. 전 세계적으로 여아의 취학률과 읽기 쓰기 능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되었다. 2005년 전 세계 초등 순취학률은 여아의 경우 85%로, 15년 전 78%보다 증가했다. 중등 교육 수준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여아의 취학률이 10% 증가하여 57%에 달했다.[49]

CAMFED와 같은 여러 국제 비정부기구(NGO)들은 식량, 의료, 교육 등 여아의 필수품 접근성 격차 해소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플랜 인터내셔널(PLAN International)의 "나는 소녀이기에" 캠페인은 이러한 노력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플랜 인터내셔널은 국제 소녀의 날(International Day of the Girl Child) 제정을 위한 캠페인도 시작했다. 2011년 3월, 캐나다 의회는 캐나다가 유엔에서 국제 소녀의 날 선포 계획을 주도하도록 요청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유엔 총회는 2011년 12월 19일 국제 소녀의 날(International Day of the Girl Child)을 제정했다. 첫 번째 국제 소녀의 날은 2012년 10월 11일이다.

플랜 인터내셔널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지역사회에서 남성의 역할을 다루는 프로젝트를 조정하고, 성차별을 줄이는 활동에 남성을 참여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정치, 종교 및 지역 사회 지도자는 대부분 남성이기 때문에 남성과 소년은 여아의 삶을 개선하고 성평등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99]

6. 생물학

여자아이는 부모로부터 각각 X 염색체 하나씩, 총 두 개의 X 염색체(XX)를 물려받아 태어날 때 여자아이로 확인된다. 여자아이 1,000명 중 약 1명은 47,XXX 카리오타입을, 2,500명 중 1명은 45,X 카리오타입을 갖는다.

여자아이는 일반적으로 여성 생식기계를 가지지만, 생식기가 모호한 간성(intersex) 아동 중 일부는 여자아이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트랜스젠더 청소년은 여자아이로서의 성 정체성을 갖는다.[27][28][29]

여자아이의 신체는 사춘기 동안 점진적인 변화를 겪는다. 사춘기는 뇌에서 생식샘으로 보내는 호르몬 신호에 의해 시작되며, 이 신호에 반응하여 생식샘은 성욕과 뇌, 뼈, 근육, 혈액, 피부, 모발, 유방, 성기의 성장, 기능, 변형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생성한다. 신장과 체중의 성장은 사춘기 전반기에 빨라지며, 성인의 신체가 되면 완료된다. 사춘기 이전의 남녀 아동의 신체적 차이는 생식기뿐이다. 사춘기는 보통 10세에서 16세 사이에 일어나지만, 개인마다 다르다. 여성 사춘기의 주요 징후는 초경(初經), 즉 월경의 시작이며, 평균 12세에서 13세 사이에 일어난다.[30][31] 2010년 캐나다 연구에 따르면, 월경 시작 연령은 거주 지역, 가구 소득, 가족 유형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32]

인형을 들고 있는 독일 소녀. 전통적으로 여성스러운 장난감이다. (20세기 초 헤르만 카프스(Hermann Kapps)의 사진)


헤라이아 게임(Heraean Games)의 우승자. 경주 시작 부근에 묘사되어 있다. 역사를 통틀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소녀에게 허용되는 활동에 대한 생각이 달랐다.

7. 성별과 환경

생물학적 성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 작용한다.[33] 출생 시 분리되어 수십 년 후 재회한 일란성 여자 쌍둥이는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모두 보여주었다.[34] 2005년 에모리 대학교의 킴 월렌 교수는 "나는 '본성 대 양육'이라는 질문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것들을 독립적인 요소로 취급하는 반면, 사실 모든 것은 본성과 양육이기 때문입니다."라고 언급했다.[35]

2011년 캐나다 매장의 분홍색 여자아이 장난감 진열대.


여성성은 일반적으로 여자아이와 여성과 관련된 속성, 행동 및 역할의 집합이다. 여성성은 사회적으로 구성되지만 사회적으로 정의된 요소와 생물학적으로 만들어진 요소 모두로 구성된다.[36][37][38] 이것은 남성과 여성 모두 여성적인 특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생물학적 여성의 정의와는 구별된다.[39][40]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특성에는 온화함, 공감, 민감성이 포함되지만,[41][42][43] 여성성과 관련된 특성은 위치와 맥락에 따라 다르며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44]

젠더 중립은 차별을 피하기 위해 정책, 언어 및 기타 사회 제도가 사람들의 성별에 따라 역할을 구분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을 설명한다. 유니섹스는 어떤 성에도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것을 말한다. 유니섹스 장난감 캠페인에는 ''Let Toys Be Toys''가 포함된다.

8. 대중문화

일상에서 'girl'은 연령,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여성을 의미하며, 아랫사람에게 요청할 때도 사용된다. 'woman'보다 정신적 미성숙함을 암시하기도 한다. 성인 여성들은 자신이나 친구를 'gir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자12악방은 성인 여성 그룹이지만, 영어 이름은 '12 Girls Band'이다. 성인 여성 패션 매체에서도 '여자아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소녀시대가 멤버 전원 성인이 되었을 때, 이름에 대한 특별한 화제는 없었다.

아프가니스탄 소녀


성별 분리는 생물학적 에 따라 사람들을 물리적, 법적, 문화적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많은 사회에서 사춘기 이후 시행된다. 푸르다(Purdah)는 남아시아의 일부 무슬림힌두교 공동체에서 여성 격리 관습이다.[65] 성별 분리가 흔한 문화에서는 단성교육이 주된 교육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서구 문화의 예술과 문학에서 소녀는 순수, 순결, 미덕, 희망의 상징으로 묘사되었다. 이집트 벽화에는 왕족 소녀들을 묘사한 초상화가 있다. 사포의 시에는 소녀들에게 바치는 연애시가 있다.

유럽에서는 페트루스 크리스투스의 「젊은 소녀의 초상」(약 1460년), 후안 데 플란데스의 「젊은 소녀의 초상」(약 1505년),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라스 메니나스」(1656년),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진주 귀걸이 소녀」 등이 소녀를 그린 초기 그림이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진주 귀걸이 소녀」


유럽 아동 문학에는 어린 여성 주인공이 등장하는 작품이 많다. 전통 동화에는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 《라푼젤》, 《콩쥐팥쥐》, 《빨간 모자》 등이 있다. 소녀에 대한 아동 도서로는 《헤이디》, 《빨강 머리 앤》, 《비밀의 화원》, 《오즈의 마법사》 등이 있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성냥팔이 소녀》, 《인어 공주》 등은 비극적인 주제를 다룬다.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는 앨리스라는 여주인공을 등장시켜 큰 인기를 얻었다.[100]

20세기에는 허구 속 소녀 묘사가 이상적인 묘사를 버렸다.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1955), 레이몽 퀘노의 《지하철의 자지》(1959) 등이 대표적이다.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소녀


미국의 ''리틀 루루'', 영국의 ''미니 더 밍크스'' 등 소녀를 주인공으로 한 만화가 많다. 슈퍼히어로 만화에서는 원더우먼의 조력자 에타 캔디가 초기 소녀 캐릭터였다. 찰스 슐츠의 ''피너츠''에는 페퍼민트 패티, 루시 밴 펠트 등 소녀 캐릭터가 등장한다.

일본 애니메이션만화에서는 소녀가 주인공인 경우가 많다. 미야자키 하야오 영화 대부분에는 소녀 영웅이 등장한다. 소녀 대상 쇼조 만화에는 ''벽장 속의 꽃미남'', ''세레스 천상의 전설'' 등이 있다.

'소녀'는 대중음악 가사에서 널리 사용되며, 대부분 젊은 성인 여성이나 십대 여성을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irl https://www.dictiona[...] 2008-01-02
[2] 웹사이트 Girl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4-06-04
[3] 서적 girl http://dictionary.di[...]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1913) 2008-01-02
[4] 웹사이트 girl http://www.etymonlin[...] 2008-01-02
[5] 라디오 방송 The childhood and education of Elizabeth I https://www.bbc.co.u[...] 2012-08-30
[6] 웹사이트 BBC - History - Elizabeth I: An Overview http://www.bbc.co.uk[...] 2020-10-15
[7] 서적 The Rise of the Public in Enlightenment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1958 to today https://www.polytech[...] 2022-04-15
[9] 뉴스 Coming of age: Apache twins Fayreen and Farren Holden are welcomed into adulthood in a four-day tribal ceremony http://www.tucsoncit[...] 2011-10-23
[10] 웹사이트 Fifteen Questions on the Quinceañera http://www.usccb.org[...] 2017-07-31
[11] 뉴스 Younger girls are getting into undergarments - but they're going for a fun style, not sexy https://www.newspape[...] 2024-06-04
[12] 뉴스 Are Push-Up Bras, Thongs OK for Teens? https://www.newspape[...] 2024-06-04
[13] 웹사이트 Foot-Binding https://www.worldhis[...] 2022-04-15
[14]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The Essential Reference to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Checkmark Books
[15] 웹사이트 Supplementary Convention on the Abolition of Slavery http://www.ohchr.org[...] Ohchr.org 2016-07-18
[16] 간행물 Age Data C13 Table (India/States/UTs ) http://www.censusind[...] Ministry of Home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3
[17] 논문 Hypothesis:Evidence that Mammalian Sex Ratios at birth are partially controlled by parental hormonal levels around the time of conception 2008-07
[18] 서적 A Sharp Increase in Sex Ratio at Birth in the Caucasus. Why? How? http://www.cicred.or[...] Committe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National Research in Demography
[19] 웹사이트 Son Preference http://www.stopvaw.o[...]
[20] 뉴스 Case Study: Female Infanticide http://www.gendercid[...] 2000
[21] 뉴스 Afghan woman is killed 'for giving birth to a girl' - BBC News https://www.bbc.com/[...]
[22] 뉴스 23-year-old woman killed for giving birth to twin daughters | Bareilly News - Times of India http://timesofindia.[...]
[23] 뉴스 56 killed for giving birth to girl child in Pakistan https://www.deccanch[...]
[24] 간행물 CHILD SEX RATIO IN INDIA http://www.actionaid[...] 2011
[25] 웹사이트 Gender Statistics Highlights from 2012 World Development Report http://databank.worl[...] World DataBank, a compilation of databases by the World Bank 2012-02
[26] 뉴스 Infanticide, Abortion Responsible for 60 Million Girls Missing in Asia https://www.foxnews.[...] 2011-10-11
[27] 웹사이트 Transgender Children & Youth: Understanding the Basics https://www.hrc.org/[...] 2022-10-01
[28] 웹사이트 What's intersex? https://plannedparen[...] 2022-10-01
[29] 서적 Ethics And Intersex https://books.google[...]
[30] 문서 (Tanner, 1990)
[31] 논문 Relative weight and race influence average age at menarche: results from two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of US girls studied 25 years apart 2003-04
[32] 논문 Age at menarche in Canada: result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Children & Youth
[33] 웹사이트 A mind of their own http://dir.salon.com[...] 2008-01-02
[34] 뉴스 Twins reunited, after 35 years apart http://news.bbc.co.u[...] 2008-01-02
[35] 웹사이트 The Academic Exchange http://www.emory.edu[...] 2022-07-16
[36] 서적 Reinventing the sexes: the biomedical construction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Race, gender, and scienc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06-03
[37] 서적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 MMPI-2 and MMPI-A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11-06-03
[38] 서적 Sexual polit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1-06-03
[39] 서적 Sociology: A Global Perspective Thomson Wadsworth 2010-01-01
[40] 웹사이트 Gender, Women and Health: What do we mean by "sex" and "gender"? https://web.archive.[...]
[41] 문서 "Femininity," "masculinity," and "androgyny": a modern philosophical discussion
[42] 서적 Encyc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Volume 1 Elsevier
[43] 서적 Recent Theories of Human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44] 서적 Feminist Metaphysics: Explorations in the Ontology of Sex, Gender and Identity Springer
[45] 학술지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leading causes of death in teenage girls in developing countries
[46] 학술지 Poor obstetric performance of teenagers: Is it age- or quality of care-related?
[47] 학술지 Adolescent pregnancy: Are there biological barriers for pregnancy outcomes?
[48] 뉴스 Young mothers face stigma and abuse, say charities https://www.bbc.co.u[...] 2014-02-25
[49] 웹사이트 Paying the Price: The economic cost of failing to educate girls http://plan-internat[...] PLAN International 2011-10-11
[50]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04 - Girls, Education and Development https://web.archive.[...] UNICEF
[51] 뉴스 The Girl Who Wanted To Go To School http://www.newyorker[...] The New Yorker 2012-10-10
[52] 웹사이트 Women's work? https://web.archive.[...] 2005-09-01
[53] 웹사이트 Nature vs. nurture https://web.archive.[...] 1998-10-20
[54] 웹사이트 Literacy achievement in England, including gender split https://web.archive.[...]
[55] 뉴스 Group Seeks to Alter S.A.T. to Raise Girls' Scores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97-03-14
[56] 뉴스 Girls Achieve Rare SAT Scores https://abcnews.go.c[...] ABC News 2006-08-30
[57] 웹사이트 Girl-Dominated Classrooms Can Improve Boys’ Early School Performance https://web.archive.[...]
[58] 뉴스 India baby girl deaths 'increase' http://news.bbc.co.u[...] 2008-06-21
[59] 웹사이트 Global issues affecting women and girls | National Union of Teachers - NUT https://web.archive.[...] Teachers.org.uk 2014-06-04
[60] 웹사이트 Global Campaign For Education United States Chapter https://web.archive.[...] Campaignforeducationusa.org 2014-06-04
[61] 웹사이트 Because I am a Girl http://plan-internat[...] Plan-international.org 2014-06-04
[62] 학술지 Are Single-Sex Schools Inherently Unequal? Same, Different, Equal: Rethinking Single-Sex Schooling
[63] 서적 Gender Equality and Development: World Development Report 2012 The World Bank
[64] 학술지 Women's Education: A Global Challenge
[65] 서적 Embroidering Lives: Women's Work and Skill in the Lucknow Embroidery Industry https://archive.org/[...] SUNY Press 1999-03-25
[66]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https://web.archive.[...] UNICEF 2013-07-01
[67] 웹사이트 FGM - Where is it practiced? http://www.endfgm.eu[...] European Campaign on FGM & Amnesty International
[68] 뉴스 Tackling Female Genital Mutilation in the Kurdistan Region http://kurdistantrib[...] The Kurdistan Tribune 2013-03-04
[69] 서적 Female genital mutilation: an overview World Health Organization
[70] 서적 Female Circumcision in Southeast Asia since the Coming of Islam Brandeis University Press
[71] 논문 Should Prenatal Sex Selection be Restricted?: Ethical Questions and Their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olicy
[72] 서적 Introduction to Geography, Ninth Edition McGraw-Hill
[73] 논문 China's Excess Males, Sex Selective Abortion, and One Child Policy: Analysis of Data from 2005 National Intercensus Survey http://www.bmj.com/c[...] 2009-04-18
[74] 논문 Sex-Selective Abortions in India
[75] 서적 A Sharp Increase in Sex Ratio at Birth in the Caucasus. Why? How? Committee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National Research in Demography
[76]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2-01
[77] 웹사이트 An update on WHO's work on 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78] 웹사이트 WHO |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who.int/[...] Who.int 2014-06-04
[79] 뉴스 Child brides die young http://allafrica.com[...] 2013-08-01
[80] 간행물 Marrying too young, End child marriage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81] 간행물 Early Marriage, Child Spouses http://www.unicef-ir[...] UNICEF
[82] 뉴스 Southeast Asia's big dilemma: what to do about child marriage? https://www.plan.org[...] 2013-08-20
[83] 뉴스 PHILIPPINES: Early marriage puts girls at risk http://www.irinnews.[...] IRIN, United Nations News Service 2010-01-26
[84] 간행물 "How Come You Allow Little Girls to Get Married?" - Child Marriage in Yeme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85] 뉴스 Child marriage still an issue in Saudi Arabia http://www.sfgate.co[...] 2010-03-14
[86] 웹사이트 Child Marriage - What we know?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United States)
[87] 간행물 Early Marriage, Child Spouses http://www.unicef-ir[...] UNICEF
[88] 웹사이트 WHO | Child marriages: 39,000 every day https://web.archive.[...] Who.int 2013-03-07
[89] 웹사이트 Child Sexual Abuse https://www.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08-04-02
[90] 논문 Guidelines for psychological evaluations in child protection matters. Committee on Professional Practice and Standards, APA Board of Professional Affairs 1999-08-01
[91] 웹사이트 Child Trafficking and Prostitution https://web.archive.[...] Globalfunsforchildren.org 2014-06-04
[92] 웹사이트 Ethics - Honour crimes https://www.bbc.co.u[...] BBC 1970-01-01
[93] 웹사이트 Child marriage http://www.unfpa.org[...] UNFPA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94]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95] 웹사이트 Child labour : Are girls affected differently from boys https://web.archive.[...] Unicef.org 2014-06-04
[96] 웹사이트 Counting Cinderellas https://web.archive.[...] Paa2009.princeton.edu 2014-06-04
[97] 웹사이트 CAMFED USA: What we do https://web.archive.[...] CAMFED 2011-10-11
[98] 웹사이트 Canada Calls on Member States to Proclaim International Day of the Girl (News Release October 11, 2011) https://web.archive.[...] Status of Women Canada 2011-10-11
[99] 뉴스 'Because I am a Girl' group finds boys matter, too https://www.thestar.[...] 2011-09-17
[100] 뉴스 The Guardian view on Alice in Wonderland: a dauntless, no-nonsense heroin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11-25
[101] 논문 Coalescing: The Development of Girls' Studies
[102] 사전 『大辞泉』しょう‐じょ〔セウヂヨ〕【少女】 http://dictionary.go[...] goo
[103] 사전 『使い方の分かる類語例解辞典』 小学館
[104] 법률 児童福祉法(昭和二十二年法律第百六十四号)第四条、三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総務省行政管理局 2018-06-27
[105] 법률 少年法、第1章、第2条 https://laws.e-gov.g[...]
[106] 사전 『大辞泉』しょう‐じょ〔セウヂヨ〕【少女】 http://dictionary.go[...]
[107] 서적 『ジーニアス英和大辞典』 大修館書店 2008
[108] 서적 「少女」の社会史 勁草書房 2007
[109] 표준 JIS L 4003:1997 少女用衣料のサイズ https://jis.eomec.co[...]
[110] 법률 아동 복지법 제1장 제3조 1 http://www.law.go.kr[...] 2013-06-19
[111] 법률 소년법 제1장 제2조 http://www.law.go.kr[...] 2014-01-07
[112] 사전 『대사천』단락·서문【소녀】 http://dictionary.go[...]
[113] 웹인용 『대사림』여자아이 3 【여자아이】 http://dic.yahoo.co.[...] 2013-05-18
[114] 서적 『천재 영일 대사전』 다이슈칸 서점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