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시작된 우크라이나인들의 아르헨티나 이민으로 형성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약 1만에서 1만 4천 명의 우크라이나인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했으며,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에는 5만에서 7만 명으로 이민자 수가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약 5천에서 6천 명의 우크라이나인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했고, 1990년대 소련 붕괴 이후에도 약 4천 명의 이민이 있었다.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은 주로 우크라이나 가톨릭 신자(약 50%), 정교회 신자(약 30%), 개신교 신자 또는 무교(약 20%)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호세 페케르만
    아르헨티나 출신 축구 감독인 호세 페케르만은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동했으며, 유소년팀 지도자로서 아르헨티나 U-20 대표팀을 FIFA U-20 월드컵에서 세 차례 우승으로 이끌고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세사르 밀스테인
    세사르 밀스테인은 아르헨티나 출신의 생화학자로서 단일클론 항체 생산 기술인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개발하여 198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개요
미시오네스 주에서 퍼레이드 중인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미시오네스 주에서 퍼레이드 중인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언어스페인어
우크라이나어
종교우크라이나 가톨릭교
우크라이나 정교회
유대교
관련 민족우크라이나 민족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인구
출생 기준 (2023년)4,811명
혈통 기준약 1,000,000명 (아르헨티나 인구의 3.5%)
거주 지역주로 팜파스, 북부, 파타고니아
명칭
우크라이나어Українці Аргентини (우크라인치 아르헨티니)
스페인어Ucranio-argentinos (우크라니오-아르헨티노스)

2. 역사

우크라이나아르헨티나 이민은 크게 네 차례의 물결을 거쳤다. 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약 10,000명에서 14,000명,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에는 50,000명에서 70,000명,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5,000명에서 6,000명, 소련 붕괴 이후에는 약 4,000명으로 추산된다.[11]

2. 1. 초기 이민 (19세기 말 ~ 20세기 초)

우크라이나아르헨티나 이민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어 여러 차례의 이민 물결을 거쳤다. 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약 10,000명에서 14,000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11]

1920년 미시오네스주에서 마테차를 수확하는 우크라이나인


1897년, 동부 갈리시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 출신의 12~14가구가 아르헨티나로 이주하면서 첫 번째 우크라이나 이민 물결이 시작되었다.[11][12] 이들은 아르헨티나 정부에 의해 미시오네스주의 아포스톨레스에 정착했다.[12] 이는 인근 브라질의 영토 주장을 막기 위한 지역 주지사의 유럽 이민 증대 전략의 일환이었다.[13] 정착민들은 50ha의 토지를 두 개의 동일한 부지로 나누어 받았으며, 한 부지는 농업에, 다른 부지는 가축 사육에 사용되었다. 이들은 처음에는 우크라이나와 다른 기후 조건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결국 사탕수수, 쌀, 담배, 특히 마테차와 같이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작물을 재배하게 되었다. 마테차는 차와 유사한 아르헨티나 음료이다. 미시오네스주에서 처음으로 차를 재배한 사람은 우크라이나 이민자 볼로디미르 흐나티우크였다.[7] 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전까지 최소 10,000명의 갈리시아 출신 우크라이나인들이 미시오네스에 정착했으며, 약 4,000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착했다.[7]

오베라의 "우크라이나 하우스", 미시오네스주. 이 주는 아르헨티나에서 우크라이나 이민자가 가장 많이 유입된 곳 중 하나였다.

2. 2.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의 이민 (1914년 ~ 1945년)

1914년부터 1945년 사이,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 이 시기 이민자 수는 5만 명에서 7만 명 사이로 추산된다.[7] 이들은 볼히니아, 부코비나 등 우크라이나의 정교회 지역 출신이 많았으며,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도 있어 이전 이민자들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거나 정치적인 성향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7]

이 시기 이민자들의 약 절반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정착했고, 나머지는 미시오네스주의 우크라이나인 공동체를 강화하거나 차코주와 같은 다른 농업 지역에 새로운 우크라이나인 정착지를 만들었다.[7]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이민 (1945년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에서 1950년 사이에 약 5,000~6,000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공산주의를 피해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2] 이들 중 상당수는 대학교수, 군인, 숙련 노동자 또는 기술자였으며, 일부는 아르헨티나 정부의 산업화 정책에 기여했다.[2]

오베라의 우크라이나 바르비노크 발레단.


1950년대에는 약 3,000명의 고등 교육을 받은 우크라이나인들이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아 미국이나 캐나다로 떠났다. 또한, 3,000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은 "고향에서 번영하는 삶"을 약속받고 소련으로 이주했으나, 이들 중 3분의 1만이 아르헨티나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러한 인구 감소는 파라과이우루과이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하는 소수의 우크라이나인들로 보충되었다.[7]

2. 4. 소련 붕괴 이후의 이민 (1991년 ~ 현재)

소련 붕괴 이후, 1990년대에 약 4,000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2] 과거만큼 많은 수는 아니지만, 우크라이나 이민은 여전히 존재한다.[2]

3. 사회

미시오네스 주에서 열린 이민자 축제의 우크라이나 공연자들


초기 우크라이나 이민자들은 종교, 교육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직면했다. 가톨릭 신자가 많았지만, 현지 아르헨티나 가톨릭 교회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 때문에 많은 이들이 정교회로 개종하기도 했다.

이후 우크라이나인들은 스스로 교회와 학교를 설립하고, 본국에 성직자와 교사 파견을 요청하여 종교 및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 나갔다.

3. 1. 종교

아르헨티나에 정착한 초기 우크라이나인들은 대부분 갈리치아 출신의 가톨릭 신자였다. 그러나 현지 아르헨티나 가톨릭 교회는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 설립에 반대하여, 초기 정착민들은 사제 없이 지내야 했고, 폴란드 가톨릭 신자들의 선교 활동을 겪었다. 이에 많은 이들이 정교회로 개종했다.

이후 우크라이나인들은 스스로 교회와 사제관을 짓고 본국에 사제 파견을 요청하여, 1908년 브주호프스키 신부가 파견되었다. 1922년에는 안드레이 셉티츠키 대교구장이 방문했고, 1940년대에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가 건립되었다. 1978년에는 자체 교구가 설치되었고, 안드리 사펠리아크가 초대 주교가 되었다.

세계 대전 사이에는 우크라이나에서 정교회 이민자들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 교구를 설립하였다.[7] 1920년대에는 볼린 출신 침례교 신자들이 이주해 오기도 했다.

현재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종교비율
우크라이나 가톨릭50%
정교회30%
개신교 또는 무종교20%


3. 1. 1.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아르헨티나에 정착한 최초의 우크라이나인들은 갈리치아 출신으로 가톨릭 신자들이 많았다. 그러나 현지 아르헨티나 (라틴 전례) 로마 가톨릭 교회는 별도의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 설립에 반대했다. 그 결과,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가톨릭 신자들은 정착 후 처음 10년 동안 자신들의 동방 전례 사제를 갖지 못했고, 폴란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의 격렬한 선교 활동에 시달려야 했다.[1] 이에 대응하여 많은 사람들이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는데, 동방 정교회의 의식은 우크라이나 가톨릭의 의식과 거의 동일하다.[1]

갈리치아에 있는 모교회의 도움 없이, 현지 우크라이나인들은 자신들의 교회, 예배당, 사제관을 짓고, 갈리치아의 교회 당국에 사제를 파견해 달라고 청원했다.[1] 마침내 1908년, 크. 브주호프스키 신부가 브라질에서 미시오네스에 파견되었다.[1] 그는 미시오네스 지방에서 여러 명의 우크라이나 출신 사제들의 뒤를 이었다.[1] 1922년, 미시오네스의 우크라이나 교구들은 대교구장 안드레이 셉티츠키 리비우 대교구장이 방문했다.[1]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의 첫 번째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는 1940년에, 그리고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에는 1948년에 건립되었다.[1] 1978년, 아르헨티나의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는 자체 교구 (교구에 해당하는 동방 전례)를 부여받았다.[1] 안드리 사펠리아크는 아르헨티나 최초의 우크라이나 주교였다.[1]

현재 아르헨티나의 우크라이나인 12만 명 이상이 우크라이나 가톨릭 신자이며, 이는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의 약 50%를 차지한다.[1] 우크라이나 이민자들이 아르헨티나로 이주하는 중심지인 미시오네스 주에는 60개의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와 예배당이 있다.[1] 1987년 4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우크라이나 가톨릭 공동체를 방문했다.[1]

3. 1. 2. 동방 정교회

아르헨티나 최초의 정교회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에서 개종한 이들이었으며, 러시아 정교회 관할이었다. 세계 대전 사이에 우크라이나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많은 정교회 이민자들은 여러 사제를 포함했으며, 이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와 그 주변 지역에 교구를 세웠다. 새로 온 이들은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에 속했다.[7]

현재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의 약 30%가 정교회 신자이다.

3. 1. 3. 기타

최초의 개신교 우크라이나인은 1920년대 볼린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침례교 신자들이었다. 아르헨티나에 우크라이나 교회가 없었던 시기에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어떤 교회에도 관여하지 않는 것에 익숙해졌고, 교회가 설립되었을 때 그들의 조상 종교로 돌아가지 않았다.[1]

현재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인의 20%는 개신교 신자이거나 종교에 무관심하다.[1]

3. 2. 교육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 소녀들의 춤.


아포스톨레스, 포사다스,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에는 스페인어로 수업이 진행되고 아르헨티나 교육 과정을 따르지만, 주당 여러 차례 우크라이나 과목을 배우는 우크라이나 종일제 초·중등학교가 있다.[7] 베리소와 산 비센테(둘 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의 도시)에는 우크라이나 종일제 초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들은 모두 우크라이나 가톨릭 교회에서 운영한다.[7] 아르헨티나 지부의 프로스비타는 우크라이나 토요일 학교를 운영한다.

4. 주목할 만한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엑토르 바벤코 (영화 감독)
  • 구스타보 블랑코 레스추크 (축구 선수)
  • 호세 차트루크 (축구 선수)
  • 아다벨 게레로 (무용가, 배우)
  • 올가 구르스키 (예술가)
  • 마리아노 코니크 (축구 선수)
  • 보리스 크리우코우 (예술가)
  • 데니스 마르갈릭 (피겨 스케이팅 선수)
  • 나디아 포도로스카 (테니스 선수)
  • 노엘 스자리스 (싱어송라이터, 피아니스트)
  • 오라시오 스파시우크 (음악가)
  • 블라디미로 타르나프스키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Datos sociodemográficos por país de nacimiento https://estadisticas[...] 2023-11-15
[2] 웹사이트 Ucrania.com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Entre mates y acordeones. La inmigración ucraniana en Argentina https://www.laizquie[...]
[4] 웹사이트 Ucranianos en la Argentina: Los motivos del éxodo, la región donde echaron raíces a fines de 1800 y las costumbres que perduran https://www.lanacion[...] 2022-03-02
[5] 웹사이트 "Tememos a las locuras de Putin". Ucranianos en la Argentina: Son 300 mil, cómo viven la amenaza de guerra con Rusia a la distancia https://www.lanacion[...] 2022-01-25
[6] 웹사이트 Article http://www.ucrania.c[...] 2007-08-05
[7] 서적 Ukrainians in Argentin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1994
[8] 웹사이트 Argentine-Ukrainians or Ukrainian-Argentines: about two homelands http://www.ualogos.k[...] 2007-03-22
[9] 서적 Ukraine: a Hist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1988
[10] 뉴스 Ukrainian Echo http://www.homin.ca/[...] 2008-11-06
[11] 웹사이트 Hola Argentina! http://www.ukrweekly[...] 2007-03-22
[1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oseph Hazuda, about the UGCC in Argentina http://www.ugcc.org.[...] 2007-03-22
[13] 웹사이트 A different kind of multinational: Immigrants to Argentina from Eastern Europe http://www.casahisto[...] Buenos Aires Herald 1998
[14] 웹사이트 Session of Permanent Synod to be held in Argentina http://www.ukrarchep[...] 2007-03-22
[15] 웹사이트 Immigration in Argentina http://articles.widb[...] 2008-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