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는 다키아 전쟁 이후 로마 제국에 의해 건설된 고대 도시이다. 106년에서 110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헌정되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는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아우구스타 다키카 사르미제게투사'로 개칭되었으며, 222년에서 235년 사이에는 '메트로폴리스'로 불렸다. 도시는 히포다모스식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원형 경기장, 신전, 포럼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었다. 현재 유적지에서는 원형극장, 신전, 공중목욕탕 등 다양한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도시의 구조와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유적 - 페치카
    페치카는 루마니아 아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페리암-페치카 문화로 알려진 고고학적 유적지이며, 1335년에 처음 언급되었고, 농업이 중심이나 2, 3차 산업도 성장하며, 로마 가톨릭 교회 등의 관광 명소가 있고, 벨기에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루마니아의 유적 - 사르미제게투사 레기아
    사르미제게투사 레기아는 다키아 왕국의 수도로서 요새, 주거 지역, 성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특한 구조의 원형 성소와 해시계로 추정되는 "안데사이트 태양" 유물이 있는 루마니아의 고고학 유적지이다.
  • 트라야누스 - 트라야누스 포룸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광장으로, 바실리카 울피아, 트라야누스 원주, 도서관, 신전 등을 포함한 복합 건축물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트라야누스 - 알칸타라 다리
    알칸타라 다리는 루시타니아 속주 시대에 건설되어 전쟁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181.7m 길이의 6개 아치로 구성되었고 로마 비문과 설계자를 기리는 신전이 존재한다.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항공 사진"
다른 이름콜로니아 다키카 사르미제게투사, 자르미제게투사
건설 시작트라야누스 황제 재위 기간 (2세기)
설립 시기2세기
기록타불라 포이팅게리아나
주요 구조물 재료
주요 구조물 길이600
주요 구조물 너비540
주요 구조물 면적32.4
부가 구조물 재료나무와 흙
군단제4 플라비아 펠릭스 군단
파견대 제13 게미나 군단
속주다키아
고도약 500 m
지도루마니아
위치 (도시)사르미제게투사
위치 (주)후네도아라주
루마니아 문화재 목록 (LMI) 코드HD-I-s-A-03205
루마니아 고고학 유적 등록 (RAN) 코드91063.01
상태폐허
라틴어 명칭Colonia deducta, Metropolis
지리 정보

2. 역사

도시가 세워졌던 정확한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106-107년 사이, 혹은 108-110년 사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럼에도 14세기 초 그러디슈테 마을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다키아 정복 후 몇 년 안에 세워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비문에는 "거룩하신 네르바의 아드님이신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명으로, 다키아의 총독 데키무스 테렌티우스 스카우리아누스가 세웠다."라고 적혀있다.[14]

도시의 평면도


제5 마케도니아 군단의 임시 캠프 위에 건설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던 퇴역 군인들이 정착했다. 주로 제5 군단 ('마케도니아'), 제11 군단 ('클라우디아'), 제14 군단 ('게미나') 출신이었다. 이탈리아 반도 출신의 퇴역 군인과 식민지 개척민들도 정착했다.[5] 처음부터 '콜로니아'라는 칭호와 '이탈리아법' 지위를 받았다.

이곳의 명칭은 석제 비문에서 발견되었으며,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아우구스타 다키카 사르미제게투사에서 황제의 프라이토르로 활동하는 가이우스의 아들, 가이우스 아리우스 콰드라투스를 위하여."라고 적혀있다.[14] 가이우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는 ‘레가투스 프로 프라이토레’라는 지위를 지녔으며, 이는 로마 제국의 일부 황제 속주들의 관리자들의 공식 직위였다.

2. 1. 건설 배경

트라야누스 황제는 다키아 전쟁에서 승리한 후 다키아 속주를 안정시키고 로마 제국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도시 건설을 명했다. 14세기 초 그러디슈테 마을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데키무스 테렌티우스 스카우리아누스가 도시 건설을 담당했다. 비문에는 "거룩하신 네르바의 아드님이신 카이사르 네르바 트라야누스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명으로, 다키아의 총독 데키무스 테렌티우스 스카우리아누스가 세웠다."라고 적혀있다.[14]

로마에서는 원로원의 명으로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헌정된 주화를 발행하며 이곳의 식민지 건설을 기념했다.

2. 2. 로마 시대

로마에서는 식민지 건설을 기념하여 원로원의 명으로 트라야누스 황제에게 헌정된 주화를 발행했다.[14]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기에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아우구스타 다키카 사르미제게투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22년과 235년 사이에는 메트로폴리스라 칭해졌다.[7]

아우렐리아누스 황제의 다키아 철수 이후 인구가 급감했으나, 작은 공동체가 남아 명맥을 유지했다.[8]

3. 위치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는 바나트트란실바니아 사이의 협곡인 타파이(오늘날 트란실바니아의 철문)에서 8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했다. 이 도시는 다뉴브강 북쪽의 포롤리숨과 연결된 로마 제국의 도로가 지나갔다.[3]

3. 1. 지리적 이점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는 바나트트란실바니아 사이의 길목인 타파이(오늘날 트란실바니아의 철문이라고 알려짐)에서 8km 떨어진 지점에 세워졌다. 이 위치 선정은 남쪽의 레테자트산맥과 북쪽의 포이아나루스커산맥이 제공하는 자연 방벽이 주는 군사적, 경제적 이점을 근거로 한 것이었다. 메트로폴리스 영역은 티비스쿰에서 미키아, 지우강까지 뻗어 있었으며, 티비스쿰, 폰스 아우구스티, 미키아, 붐베슈티의 카스트라 등 몇몇 카스트라들의 보호를 받았다.[3]

3. 2. 교통

이 도시는 다뉴브강 북쪽의 포롤리숨과 연결된 로마 제국의 도로가 지나갔다.[3] 또한 드로베타에서 시작하여 디에르나를 거쳐 티비스쿰으로 향하는 제국의 도로와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 도로를 통해 북쪽 속주인 포롤리숨 (모이그라드)과 연결되었다.[4]

4. 도시 구조

이 도시는 히포다모스식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32.4ha가 넘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10] 도시 입구는 두 개의 주요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세워진 테트라필론으로 표시되었으며, 각 면은 님프(정령)에게 헌정된 분수로 장식되었다.

4. 1. 주요 시설



성벽으로 둘러싸인 마을은 공공 및 행정 건물을 중심으로 건설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포럼 베투스가 있었다.[11] ''포럼 베투스'' 남쪽, 옛 시장 자리에는 서쪽에 카피톨리움을 둔 새로운 포럼이 153년경에 건설되었다.[11] 카피톨린 삼주신에게 헌정된 사원 외에도, 3세기 초에는 팔미라 신들을 위한 사원이 있었다.[11] 새로운 포럼의 북동쪽에는 다키아 아풀렌시스의 재정 검사관 건물이 있었다.[11]

민간 정착지는 성벽 밖, 주로 북쪽으로 100헥타르 이상을 덮으며 계속 확장되었다. 그곳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은 원형 경기장이었으며, 처음에는 나무로 지어졌지만 2세기 후반부터는 돌로 지어졌다. 원형 경기장 동쪽에는 여러 사원과 성소가 있는 신성한 구역이 있었다. 남쪽에는 대규모 로마 목욕탕 구역이 있었다.[12]

5. 유적

도무스 프로쿠라토리스 파노라마 시점


현재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유적지에는 원형극장, 검투사 학교, 각종 신전, 포룸, 공중목욕탕 등 다양한 유적이 남아있다.

5. 1. 고고학적 발굴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유적 발굴을 통해 도시 구조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특히 포룸 기둥의 비문, 대신전, 유리 공방 등은 당시 도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현재까지 발굴된 유적은 다음과 같다.

6. 갤러리

유리 세공업장


공중 시점

참조

[1] PDF Dumitru Protase: Castrul legiunii IIII Flavia de la Berzovia. Săpăturile arheologice din anii 1965–1968 http://www.muzeulban[...] 2012-03-10
[2] 웹사이트 Colonia Ulpia Traiana Augusta Dacica Sarmizegetusa http://ran.cimec.ro/[...] ran.cimec.ro 2014-03-20
[3] 웹사이트 The Topography of Colonia Ulpia Traiana Augusta Dacica Sarmizegetusa and the First Centuriation of Dacia https://journals.ub.[...] 2023-08-27
[4] 웹사이트 The Topography of Colonia Ulpia Traiana Augusta Dacica Sarmizegetusa and the First Centuriation of Dacia https://journals.ub.[...] 2023-08-27
[5] 웹사이트 Römische Außenpolitik: Kaiser Trajan, die Dakerkriege und die Donauprovinzen https://www.academia[...] 2023-08-27
[6] 간행물 AE 1931 1931
[7] 웹사이트 The Topography of Colonia Ulpia Traiana Augusta Dacica Sarmizegetusa and the First Centuriation of Dacia https://journals.ub.[...] 2023-08-27
[8] 웹사이트 Repertoriul Arheologic Naţional http://ran.cimec.ro/[...] 2023-08-27
[9] 웹사이트 Demographic Aspect from Ulpia Traiana Sarmizegetusa https://www.academia[...]
[10] 웹사이트 Repertoriul Arheologic Naţional http://ran.cimec.ro/[...] 2023-08-27
[11] 웹사이트 Repertoriul Arheologic Naţional http://ran.cimec.ro/[...] 2023-08-27
[12] 웹사이트 Repertoriul Arheologic Naţional http://ran.cimec.ro/[...] 2023-08-27
[13] 웹사이트 Reconstructing Identities in Roman Dacia: Evidence from Religion https://www.academia[...] 2023-08-27
[14] 간행물 AE 1931 19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