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반 던지는 사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반 던지는 사람은 고대 그리스 조각가 미론이 제작한 조각상으로, 원반을 던지기 직전의 운동선수를 묘사한다. 이 조각상은 '리스모스'라 불리는, 균형과 조화가 나타나는 순간을 포착했으며, 해부학적으로 완벽한 인체와 운동감을 표현했다. 미론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지만, 고대 로마 시대에 제작된 복제품들이 존재하며, 그중 팔롬바라의 원반 던지는 사람과 타운리의 원반 던지는 사람이 유명하다. 이 조각상은 스포츠의 이상을 미학적으로 구현한 것으로 평가받으며, 1948년 런던 올림픽 포스터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0년 발굴 - 아즈텍 태양석
아즈텍 태양석은 1502년에서 1520년 사이에 멕시카족이 조각한 석판으로, 멕시카 우주론과 아즈텍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으며 멕시코 문화의 상징으로 멕시코 국립 인류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원반 던지는 사람 | |
---|---|
기본 정보 | |
![]() | |
제작 시기 | 기원전 5세기경 |
작가 | 미론 |
종류 | 조각 |
사조 | 고전기 |
소장 | 다양한 박물관 (원래 조각의 로마 복제품) |
설명 | |
주제 | 원반 던지기 선수 |
재료 | 청동 (원본), 대리석 (로마 복제품) |
크기 | 약 155cm (원본 크기 추정) |
역사적 맥락 | |
시대적 배경 | 고대 그리스, 고전기 |
중요성 | 신체 비례와 운동감의 완벽한 표현으로 고대 그리스 조각의 이상을 구현함. |
특징 | 순간적인 동작을 포착하여 영원히 지속시키는 예술적 표현. |
복제품 | |
로마 시대 | 대리석 복제품 다수 제작, 현재 여러 박물관에 소장됨. |
현대 | 다양한 크기와 재료로 복제되어 기념품 등으로 판매됨. |
2. 상세
<원반 던지는 사람>은 손에 원반을 잡고 던지기 위해 몸을 회전할 준비를 하면서, 팔을 뒤로 빼고 체중을 오른발에 싣고 있는 자세의 운동 선수를 소재로 했다. 미론의 ''원반 던지는 사람''은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의 작품 ''거짓말쟁이''에 나오는 대화와 같은 설명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2. 1. 리스모스 (Reythmos)
미론은 선수가 순간적으로 정지한 상태를 포착하였는데, 이와 같은 우아한 조화와 균형이 나타나는 행동의 순간을 '리스모스(reythmos)'라 일컬었다. 미론은 이 리스모스의 상태를 재현한 최초의 조각가로 평가받는다.[9]원반 던지는 사람이 몸을 비틀고 있는 이유는 해부학적으로 완벽한 모습의 인물과 운동감을 묘사하고 싶어했던 당대 조각가의 요구를 만족시켰기 때문이다.[9]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운동선수들의 누드는 울퉁불퉁한 근육을 상세히 묘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미론은 원반을 던지는 순간을 몸의 긴장된 힘과 섬세한 균형으로 전달하였다. 원반을 던지는 인물은 원반을 돌아보면서 긴장되기보단 평온한 표정을 짓고 있는데, 고대의 조각가들은 스포츠의 이상을 미학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얼굴 표정보다는 몸의 형상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9] 조각상의 비율은 오른쪽 넓적다리와 왼쪽 종아리, 몸통과 오른팔이 이뤄낸 각으로 강조되었다.[9]
2. 2. 해부학적 특징
<원반 던지는 사람>은 해부학적으로 완벽한 모습의 인물과 운동감을 묘사하려는 당시 조각가들의 요구를 만족시켰다.[9]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운동선수들의 누드는 울퉁불퉁한 근육을 상세히 묘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미론은 원반을 던지는 순간을 몸의 긴장된 힘과 섬세한 균형으로 전달하였다. 원반을 던지는 인물은 원반을 돌아보면서 긴장되기보단 평온한 표정을 짓고 있는데, 고대의 조각가들은 스포츠의 이상을 미학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얼굴 표정보다는 몸의 형상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9] 조각상의 비율은 오른쪽 넓적다리와 왼쪽 종아리, 몸통과 오른팔이 이뤄낸 각으로 강조되었다.[9]2. 3. 평온한 표정
미론은 원반을 던지는 인물의 얼굴 표정을 긴장되기보단 평온하게 묘사하였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들이 스포츠의 이상을 미학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얼굴 표정보다는 몸의 형상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9]3. 복제품
미론이 제작한 원본 청동상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고대에는 청동 조각상을 녹여 새로운 조각상이나 무기를 만드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9] 그러나 고대 로마 시대에 부유층의 수요에 맞춰 그리스 조각상들을 대리석과 청동으로 복제한 덕분에, 우리는 그리스 원본의 모습을 추정할 수 있다.[9]
<원반 던지는 사람>의 복제품으로는 청동상과 대리석상이 모두 존재한다. 대표적인 청동 복제품은 <팔롬바라의 원반 던지는 사람>이며, 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독일 뮌헨의 고대 조각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가장 유명한 대리석 복제품은 <타운리의 원반 던지는 사람>으로,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외에도 18세기 초에 복원된 카피톨리노 박물관 소장품과 1906년에 발견된 로마 국립 박물관 소장품 등이 있다.
3. 1. 팔롬바라의 원반 던지는 사람 (Discobolus Palombara)
1781년 로마에서 발견된 청동 복제품으로, 2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본보다는 축소된 155cm 크기이다. 발견 초기에는 마시모 가문 소유였으며, 조반니 바티스타 비스콘티에 의해 미론의 원본을 복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시모 가문이 조각상 접근을 엄격히 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조각상은 즉시 유명해졌다.[9]1937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 조각상을 구매하려 했으나, 주세페 보타이 교육부 장관과 학계의 반대가 있었다. 1938년 가레아초 치아노 외무부 장관이 에 조각상을 히틀러에게 판매했다. 뮌헨의 글립토테크에 전시되었다가 1948년에 반환되었다. 현재는 국립 로마 박물관의 팔라초 마시모에 전시되어 있다.
3. 2. 타운리의 원반 던지는 사람 (Townley Discobolus)

<타운리의 원반 던지는 사람>(Townley Discobolus)은 1790년 하드리아누스 별장에서 발굴된 대리석 복제품이다. 로마의 미술감정가였던 토머스 젠킨스가 경매에 부쳐 찰스 타운리가 400GBP에 사들였다.[9] 1805년 7월, 타운리의 다른 대리석 조각품들과 함께 영국 런던의 대영박물관이 매입해 지금까지 이곳에 소장되어 있다.
이 조각상은 머리 부분이 잘못된 각도로 놓여 있어, 원반을 돌아보기보다는 아래쪽을 향해 있는 것으로 복원되어 있다.[9] 1948년 런던 올림픽 포스터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며, 2010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었다.[10]
3. 3. 기타 복제품
고대 로마 시대에 만들어진 여러 복제품들을 통해 미론의 원본 청동상이 어떠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9]- 팔롬바라의 원반 던지는 사람 (Discobolus Palombara): 1781년에 발견된 2세기경 제작된 청동 복제품으로, 원본보다 축소된 155cm 크기이다. 현재 독일 뮌헨의 고대 조각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타운리의 원반 던지는 사람 (Townley Discobolus): 대리석 복제품 중 가장 유명하며, 1790년 하드리아누스 별장에서 발굴되었다. 찰스 타운리가 구매한 후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었다. 머리 부분이 잘못된 각도로 복원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9] 1948년 런던 올림픽 포스터에 사용되었고, 2010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었다.[10]
- 카피톨리노 박물관 소장 복제품: 18세기 초, 피에르-에티엔 모노는 팔에 의지하여 땅에 쓰러지는 '부상당한 검투사'로 토르소를 복원했는데, 이는 현재 미론의 ''원반 던지는 사람''의 예시로 인정된다. 이 조각상은 카피톨리노 박물관에 기증되어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6]
19세기에는 석고 복제품들이 학술 컬렉션에서 발견되었으며, ''Bodies: The Exhibition''(바디스: 더 전시)에는 플라스티네이션된 인체 시체를 이용한 ''원반 던지는 사람'' 재현물이 포함되어 있다.[8]
4. 과거의 명성
미론의 ''원반 던지는 사람''은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의 작품 ''거짓말쟁이''에 나오는 대화와 같은 설명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4]
5. 현대의 재현
19세기에는 ''원반 던지는 사람''의 석고 복제품들이 많은 대규모 학술 컬렉션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 흩어져 있다.
''Bodies: The Exhibition''(바디스: 더 전시)에는 ''원반 던지는 사람''의 재현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재현물은 원반을 포함하여 원래 조각상과 같은 자세를 취한 플라스티네이션된 인체 시체이다.[8]
참조
[1]
서적
The Art of Greece and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문서
[3]
서적
The Nude: A study in ideal form
The Folio Society
[4]
문서
[5]
간행물
The celebrated connoisseur: Charles Townley, 1737-1805
Minerva Magazine
2005-05
[6]
서적
Taste and the Antique: the Lure of Classical Sculpture 1500-1900
Yale University Press
[7]
문서
[8]
뉴스
Bodies Human: National exhibit puts bones, organs on display in Panama City Beach
https://newsherald.c[...]
2022-06-02
[9]
문서
[10]
웹사이트
http://m.chosun.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