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육은 라틴어 'musculus'에서 유래된 단어로, 쥐의 등과 닮은 근육의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근육은 조직학적 분류에 따라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으로 나뉘며, 의식적인 조절 가능 여부에 따라 수의근과 불수의근으로 구분된다. 골격근은 뼈에 부착되어 움직임을 담당하며, 심장근은 심장의 벽을 구성하고, 평활근은 내장 및 혈관 등에서 발견된다. 근육은 근섬유, 근원섬유, 근절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축과 이완을 통해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근육의 수축은 신경계의 조절을 받으며, 아세틸콜린과 칼슘 이온의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근육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배우자 선택에도 영향을 미친다. 활동 부족, 노화, 질병 등으로 인해 근육이 위축될 수 있으며, 혈당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조직 - 신경
신경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연결하는 신경섬유 다발 조직으로, 삼중막 구조로 둘러싸여 있고, 구심성, 원심성, 혼합 신경 등으로 분류되며, 활동전위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손상 시 재생될 수 있지만 완전한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 - 연조직 - 피부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 조직으로 구성되어 신체를 보호하고 감각을 인지하며 체온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피부 질환, 노화, 동물 피부와 한국 사회에서의 관심 등 여러 측면을 가진다. - 근육 - 호흡근
호흡근은 횡격막, 늑간근, 보조 호흡근으로 구성되어 호흡 작용에 관여하며, 손상 시 질병 및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호흡 재활로 기능 회복이 가능하다. - 근육 - 근육계
근육계는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으로 구성되어 힘을 내고 몸의 균형, 자세 유지, 움직임, 체온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의 조직 시스템이며, 액틴과 마이오신 필라멘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축하고, 근육영양증과 같은 질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조직 (생물학) - 체관부
체관부는 식물의 유기 양분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체관 요소, 체관부 섬유, 체관부 유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산물을 압력 흐름설에 따라 수송한다. - 조직 (생물학) - 상피 조직
상피 조직은 세포 간 결합, 극성, 다양한 세포 형태를 특징으로 하며, 신체 내부 표면을 구성하고, 세포 층의 수와 기능에 따라 분류되며, 보호, 흡수, 분비, 수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에서 유래하고, 암종과 관련된다.
근육 | |
---|---|
기본 정보 | |
![]() | |
라틴어 | musculus |
독일어 | Muskel |
영어 | muscle |
종류 | |
종류 | 골격근 (수의근) 평활근 (불수의근) 심장근 (불수의근) |
상세 정보 | |
특징 | 수축할 수 있는 생물학적 조직 |
기능 | 힘을 가하고 움직임을 생성 |
2. 어원
근육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musculus''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쥐"를 뜻하는 ''mus''의 지소사이다. 굽힌 이두박근의 모습이 쥐의 등과 닮았기 때문이다.
근육은 구조와 기능에 따라 여러 방식으로 분류된다. 조직학적 분류에 따르면, 근육은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민무늬근)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18] 또한, 의식적으로 조절 가능한지에 따라 수의근(골격근)과 불수의근(심장근, 평활근)으로 나뉜다.[18]
같은 현상이 그리스어에서도 나타났는데, μῦς, ''mȳs''는 "쥐"와 "근육"을 모두 의미한다. 영어의 "muscle"(머슬)은 라틴어에서 작은 쥐를 의미하는 "musculus"에서 유래했다. 이는 근육 수축의 모습이 피부 속에서 쥐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20][21]
3. 분류
이 외에도, 근육은 함유하는 미오글로빈이나 미토콘드리아의 양에 따라 '''적색근(적색근육)''' (typeI)과 '''백색근(백색근육)''' (typeII)으로 분류된다.[22][23] 미토콘드리아가 많고 활발한 근육은 붉게 보이고, 적고 불활발한 근육은 희게 보인다. 백색근은 '''속근''' (fast muscle)이라고도 불리며, 젖산성 역치 이상의 운동 강도에서 많이 사용된다.[23][26] 속근의 근섬유는 운동 속도와 발휘하는 힘에 따라 IIa, IIx, IIb의 3종류[24]로 더 나뉜다.[25] 적색근은 지방과 탄수화물을 소비하는 효소가 풍부하여[25] 느린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데 적합하며, 심장 및 호흡과 관련된 기관의 근육을 구성한다.[22]
3. 1. 구조에 따른 분류
근육 조직은 수축과 이완을 위한 특수한 단백질 구조를 가진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민무늬근, 가로무늬근, 심근의 세 종류가 있다. 민무늬근과 가로무늬근은 신경의 자극을 받아 수축하지만, 심근은 자동성을 가진다.
척추동물에는 골격근(가로무늬근), 심장근(가로무늬근), 평활근(민무늬근)의 세 가지 유형의 근육 조직이 있다.[2] 무척추동물에도 횡문의 패턴에 따라 횡문근, 사선 횡문근, 평활근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절지동물에는 평활근이 없다. 횡문근은 척추동물의 골격근과 가장 유사하다.[4]
민무늬근은 성인이 되어서도 신생, 증가하는 경우가 있지만, 가로무늬근과 심근은 신생과 재생이 되지 않으며 파괴되면 결합 조직으로 바뀐다.
다음은 민무늬근, 심장근, 골격근의 생리학적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구분 | 민무늬근 | 심장근 | 골격근 |
---|---|---|---|
자체 조절 | 자발적 작용 (느림) | 예 (빠름) | 없음 (신경 자극 필요) |
자극에 대한 반응 | 무반응 | "전부 또는 무" | "전부 또는 무" |
활동전압 | 있음 | 있음 | 있음 |
작업 공간 | 힘/길이 곡선은 가변적임 | 힘/길이 곡선의 증가 | 힘/길이 곡선의 최고점 |
자극에 대한 반응 |
3. 1. 1. 가로무늬근 (횡문근)
가로무늬근(횡문근) 섬유는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밝게 보이는 명대와 어둡게 보이는 암대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어 '가로무늬근'이라고 불린다.[2] 이들은 다핵 세포로, 주로 척추동물의 뼈에 붙어 뼈를 움직이므로 '골격근'이라고도 하며, 의지대로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맘대로근(수의근)'이라고도 한다. 무척추동물인 곤충류·갑각류의 외골격에 붙어 운동을 지배하고 있는 근육도 가로무늬근이다. 근육은 근막이라고 하는 결합 조직의 막에 의해 많은 근섬유가 싸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근섬유는 그물 모양의 섬유가 격벽 모양으로 되어 많은 다발로 나뉜다. 근육의 양쪽 끝에는 콜라겐 섬유로 된 힘줄이 있는데, 이것에 의해 근육이 뼈에 붙어 있다.척추동물에는 세 가지 유형의 근육 조직이 있는데,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이다. 이 중 골격근과 심장근이 횡문근 조직에 속한다.[2]
척추동물의 골격근 조직은 길쭉한 횡문근 조직으로, 섬유의 폭은 3um~8um, 너비는 18um~200um이다. 자궁벽에서는 임신 중에 길이가 70um~500um로 증가한다.[5] 골격 횡문근 조직은 많은 수축 단위인 근절을 포함하는 근원섬유의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는 조직에 횡문(줄무늬) 모양을 준다. 골격근은 수의근으로, 힘줄 또는 때로는 널힘줄에 의해 뼈에 고정되며, 이동과 같은 골격 운동을 일으키고 자세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자세 제어는 일반적으로 무의식적인 반사 작용으로 유지되지만, 관련 근육은 의식적인 조절에도 반응할 수 있다. 평균 성인 남성의 체중은 골격근이 42%, 평균 성인 여성은 36%를 차지한다.
심장근 조직은 심장 벽의 심근에서만 발견되며, 자율 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 불수의근이다. 심장근 조직은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횡문근이며, 매우 규칙적인 다발 배열로 근절을 포함한다. 골격근이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는 반면, 심장근은 판상연접이라고 알려진 가지가 있는 불규칙한 각도로 연결된다.
구분 | 특징 |
---|---|
골격근 | 뼈에 붙어 골격 운동을 담당, 수의근 |
심장근 | 심장 벽을 구성, 불수의근 |
3. 1. 2. 평활근 (민무늬근)
민무늬근은 가로무늬가 없는 불수의근으로, '내장근'이라고도 불린다. 척추동물의 위, 창자 등 소화관 벽, 요관, 방광 등의 비뇨기관, 혈관, 기관 등에서 발견된다. 골격근과 심장근에 있는 가로무늬 구조가 민무늬근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근세포는 긴 방추형이며, 세포마다 핵이 1개씩 있다.평활근 조직은 횡문이 없고 불수의근이다. 식도, 위, 창자, 기관지, 자궁, 요도, 방광, 혈관 및 피부의 털세움근 등 신체 여러 기관과 구조 벽에서 발견된다.
평활근은 장기계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면, 위, 방광과 같은 속이 빈 기관, 혈관, 림프관, 담관과 같은 관상 구조, 자궁이나 눈과 같은 괄약근 등이다. 또한 외분비샘의 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활근은 구멍을 막거나(예: 유문, 자궁경부) 장관의 파동성 수축을 통해 유미즙을 이동시키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평활근 세포는 골격근 세포보다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더 강하고 지속적이며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또한 평활근은 자극이 필요한 골격근과 달리 불수의근이다.
평활근은 단위(단일) 민무늬근과 다단위 민무늬근의 두 가지 아형으로 나뉜다. 단위 세포 내에서는 전체 다발 또는 층이 합포체처럼 수축한다. 다단위 민무늬근 조직은 개별 세포를 지배하므로, 골격근의 운동 단위 모집과 매우 유사하게 미세한 조절과 점진적인 반응을 허용한다.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는 방추형이며 단일핵을 가진다.[31] 액틴 필라멘트를 다량 가지고 있으며, 미오신 필라멘트는 소량이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 세포의 형태는 데스민과 중간섬유에 의해 유지된다.[31] 수축은 칼슘 이온에 의해 조절되지만, 소포체가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포막에 있는 목덜미 부분의 바깥쪽에 이온을 저장하고 있다고 생각된다.[31]
다음은 민무늬근, 심장근, 골격근의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구분 | 민무늬근 | 심장근 | 골격근 |
---|---|---|---|
근육접합부 | 없음 | 있음 | 없음 |
섬유 | 방추형, 짧음 (<0.4 mm) | 분지형 | 원통형, 길음 (<15 cm) |
미토콘드리아 | 적음 | 다수 | 다수에서 소수까지 (유형에 따라 다름) |
세포핵 | 1개 | 1개 | >1개 |
근절 | 없음 | 있음, 최대 길이 2.6 μm | 있음, 최대 길이 3.7 μm |
합포체 | 없음 (독립된 세포) | 없음 (하지만 기능적으로 그렇게 작용) | 있음 |
근형질세망 | 덜 발달 | 중간 정도 발달 | 매우 발달 |
ATPase | 적음 | 중간 | 풍부 |
3. 2. 기능에 따른 분류
기능에 따라 근육은 수의근과 불수의근으로 나뉜다.- '''수의근(隨意筋, voluntary muscle)'''은 의지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이다. 골격근이 대표적이며, 운동신경을 통해 전달되는 활동전위에 의해 수축이 자극된다. 모든 골격근 수축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의해 촉진된다.[16]
- '''불수의근(不隨意筋, involuntary muscle)'''은 의지와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근육이다. 심장근과 평활근이 여기에 속한다. 심장근은 심장에서만 볼 수 있으며, 가로무늬근이 존재하지만 길이가 짧고, 척추동물의 심장근은 내장근인데, 골격근과 같이 가로무늬가 있으며, 근섬유도 골격근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근섬유가 갈라져 서로 연결되고 있는 곳은 골격근과 다르다. 민무늬근(평활근)은 가로무늬가 없는 근육으로, 척추동물의 위나 장 등의 내장 운동에 관계하기 때문에 '내장근'이라고도 하며, 장기계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3. 2. 1. 수의근
골격근은 운동신경에 의해 전달되는 활동전위에 의해 수축이 자극된다. 모든 골격근 수축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의해 촉진된다.[16]3. 2. 2. 불수의근
불수의근은 의지와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는 근육으로, 심장근과 평활근이 여기에 속한다.심장근은 심장에서만 볼 수 있는 근세포로 이루어진 조직이다. 가로무늬근을 가진 근원 섬유가 존재하는 것은 가로무늬근과 같지만 길이가 짧고, 양끝은 인접 세포와 연결되어 있다. 척추동물의 심장근은 내장근인데, 골격근과 같이 가로무늬가 있으며, 또 근섬유도 골격근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근섬유가 갈라져 서로 연결되고 있는 곳은 골격근과 다르다.
신경의 자극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수축·이완을 반복한다. 또 수축하고 있을 때, 다른 수축을 일으키는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골격근에서 볼 수 있는 강직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심장에 분포하는 모든 신경을 절단해도 심장의 수축 활동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다만 필요에 따라 템포를 빠르게 하거나 늦게 하는 조절은 안 된다. 이는 심장을 주기적으로 수축시켜 혈액을 동맥으로 보내기 위한 중요한 특성이다.

민무늬근은 가로무늬가 없는 근육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척추동물의 위나 장 등의 내장 운동에 관계하기 때문에 '내장근'이라고도 한다. 또, 의지와는 상관없이 운동이 진행되므로 '불수의근'이라고도 한다. 골격근과 심장근은 세포 안에 가로무늬가 있는 데 반해, 민무늬근에서는 그 구조를 볼 수 없다. 근세포는 긴 방추형이며, 핵은 세포에 1개씩 있다. 민무늬근은 척추동물의 식도 아랫부분에서 장에 이르기까지 소화관 벽이나 요관, 방광 등의 비뇨기관, 혈관, 기관 등에서 볼 수 있다.
평활근은 장기계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속이 빈 기관인 위, 방광과 같은 곳, 혈관, 림프관, 담관과 같은 관상 구조, 자궁이나 눈과 같은 괄약근 등이다. 또한 외분비샘의 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활근은 구멍을 막는 것(예: 유문, 자궁 경부)이나 장관의 파동성 수축을 통한 유미즙의 이동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평활근 세포는 골격근 세포보다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더 강하고 지속적이며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또한 평활근은 자극이 필요한 골격근과 달리 불수의근이다.
4. 구조
척추동물에는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의 세 가지 유형의 근육 조직이 있다. 골격근과 심장근은 가로무늬근(횡문근) 조직이고, 평활근은 횡문이 없는 비횡문근이다.[2] 무척추동물에는 횡문의 패턴에 따라 횡문근, 사선 횡문근, 평활근의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절지동물에는 평활근이 없다. 횡문근은 척추동물의 골격근과 가장 유사하다.[4]
척추동물의 골격근 조직은 길쭉한 횡문근 조직으로, 섬유의 폭은 3um~8um, 너비는 18um~200um이다. 자궁벽에서는 임신 중에 길이가 70um~500um로 증가한다.[5] 골격 횡문근 조직은 근원섬유의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어 있으며, 많은 수축 단위인 근절을 포함하여 조직에 횡문(줄무늬) 모양을 준다. 골격근은 수의근으로, 힘줄이나 널힘줄에 의해 뼈에 고정되며, 이동과 같은 골격 운동을 일으키고 자세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심장근 조직은 심장 벽의 심근에서만 발견되며, 자율 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 불수의근이다. 심장근 조직은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횡문근이며, 매우 규칙적인 다발 배열로 근절을 포함한다. 골격근이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는 반면, 심장근은 판상연접이라고 알려진 가지가 있는 불규칙한 각도로 연결된다.
평활근 조직은 횡문이 없고 불수의근이다. 식도, 위, 창자, 기관지, 자궁, 요도, 방광, 혈관 및 피부의 털세움근과 같이 신체의 여러 기관과 구조의 벽에서 발견되며, 체모의 발기를 조절한다.
민무늬근 | 심장근 | 골격근 | |
---|---|---|---|
근육접합부 | 없음 | 있음 | 없음 |
섬유 | 방추형, 짧음 (< 0.4mm) | 분지형 | 원통형, 길음 (< 15cm) |
미토콘드리아 | 적음 | 다수 | 다수에서 소수까지 (유형에 따라 다름) |
세포핵 | 1개 | 1개 | >1개 |
근절 | 없음 | 있음, 최대 2.6um | 있음, 최대 3.7um |
합포체 | 없음 (독립된 세포) | 없음 (하지만 기능적으로 그렇게 작용) | 있음 |
근형질세망 | 덜 발달 | 중간 정도 발달 | 매우 발달 |
ATPase | 적음 | 중간 | 풍부 |
4. 1. 해부학적 구조
근육은 근섬유 다발로 구성되며, 각 근섬유는 근원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근원섬유는 액틴과 미오신이라는 단백질 필라멘트로 구성되며,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근육 수축이 일어난다.가로무늬근(또는 횡문근(橫紋筋)) 섬유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밝게 보이는 명대와 어둡게 보이는 암대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어 '가로무늬근'이라고 한다. 이들은 다핵 세포로, 주로 척추동물의 뼈에 붙어 뼈를 움직이므로 '골격근'이라고도 하며, 또 의지대로 수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의근'이라고도 한다. 무척추동물인 곤충류·갑각류의 외골격에 붙어 운동을 지배하고 있는 근육도 가로무늬근이다. 근육은 근막이라고 하는 결합 조직의 막에 의해 많은 근섬유가 싸여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근섬유는 그물 모양의 섬유가 격벽 모양으로 되어 많은 다발로 나뉜다. 근육의 양쪽 끝에는 콜라겐 섬유로 된 힘줄이 있는데, 이것에 의해 근육이 뼈에 붙어 있다.
척추동물에는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의 세 가지 유형의 근육 조직이 있다. 골격근과 심장근은 횡문근 조직의 종류이다.[2] 평활근은 횡문이 없는 비횡문근이다. 무척추동물에는 횡문의 패턴에 따라 횡문근, 사선 횡문근, 평활근의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절지동물에는 평활근이 없다. 횡문근은 척추동물의 골격근과 가장 유사하다.[4]
척추동물의 골격근 조직은 길쭉한 횡문근 조직으로, 섬유의 폭은 3~8 마이크로미터, 너비는 18~200 마이크로미터이다. 자궁벽에서는 임신 중에 길이가 70~500 마이크로미터로 증가한다.[5] 골격 횡문근 조직은 많은 수축 단위인 근절을 포함하는 근원섬유의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어 있어 조직에 횡문(줄무늬) 모양을 준다. 골격근은 수의근으로, 힘줄 또는 널힘줄에 의해 뼈에 고정되며, 이동과 같은 골격 운동을 일으키고 자세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자세 제어는 일반적으로 무의식적인 반사 작용으로 유지되지만, 관련 근육은 의식적인 조절에도 반응할 수 있다. 평균 성인 남성의 체중은 골격근이 42%, 평균 성인 여성은 36%를 차지한다.
심장근 조직은 심장 벽의 심근에서만 발견되며, 자율 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 불수의근이다. 심장근 조직은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횡문근이며, 매우 규칙적인 다발 배열로 근절을 포함한다. 골격근이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는 반면, 심장근은 판상연접이라고 알려진 가지가 있는 불규칙한 각도로 연결된다. 평활근 조직은 횡문이 없고 불수의근이며, 식도, 위, 창자, 기관지, 자궁, 요도, 방광, 혈관 및 피부의 털세움근과 같이 신체의 여러 기관과 구조의 벽에서 발견되며, 체모의 발기를 조절한다.
민무늬근 | 심장근 | 골격근 | |
---|---|---|---|
해부학 | |||
근육접합부 | 없음 | 있음 | 없음 |
섬유 | 방추형, 짧음 (< 0.4mm) | 분지형 | 원통형, 길음 (< 15cm) |
미토콘드리아 | 적음 | 다수 | 다수에서 소수까지 (유형에 따라 다름) |
세포핵 | 1개 | 1개 | >1개 |
근절 | 없음 | 있음, 최대 2.6um | 있음, 최대 3.7um |
합포체 | 없음 (독립된 세포) | 없음 (하지만 기능적으로 그렇게 작용) | 있음 |
근형질세망 | 덜 발달 | 중간 정도 발달 | 매우 발달 |
ATPase | 적음 | 중간 | 풍부 |
4. 1. 1. 골격근
골격근은 양 끝이 힘줄을 통해 뼈에 부착되어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이다.[27] 척추동물에서는 양 끝이 힘줄을 거쳐 뼈와 연결된 형태로 배치되며, 곤충이나 새우 등의 절지동물에서는 큐티클(각피)을 움직이는 데 사용된다.[27] 근육이 수축할 때 움직임이 큰 쪽을 정지(insertion), 적은 쪽을 기시(origin)라고 한다.[34] 몸통 근육에서는 몸통에 가까운 쪽이 기시이고, 척주에 가까운 쪽이 기시이며, 상하 방향의 근육에서는 골반에 가까운 쪽이 기시로 정해져 있다.[34] 기시와 정지는 일반적으로 결합조직으로 이루어진 힘줄이다.[34]4. 1. 2. 평활근
민무늬근이라고도 불리는 평활근은 가로무늬가 없는 불수의근이다. 단일 단위 민무늬근과 다단위 민무늬근의 두 가지 하위 유형으로 나뉜다. 단위 세포 내에서는 전체 다발 또는 층이 합포체(세포로 분리되지 않은 다핵 세포질 덩어리)로서 수축한다. 다단위 민무늬근 조직은 개별 세포를 지배하므로, 골격근의 운동 단위 모집과 매우 유사하게 미세한 조절과 점진적인 반응을 허용한다.평활근은 혈관 벽(특히 혈관 민무늬근) (대동맥 및 작은 동맥, 소동맥, 정맥의 중막층), 림프관, 방광, 자궁(자궁 민무늬근) 남성 및 여성 생식기관, 소화관, 호흡기계, 피부의 입모근, 모양체근, 눈의 홍채 등 신체의 여러 기관과 구조의 벽에서 발견된다. 다양한 기관의 민무늬근 세포 구조와 기능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신체에서 개별 시간에 개별적인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유도 자극은 상당히 다르다. 신장의 사구체에는 메산지알 세포라고 하는 민무늬근과 유사한 세포가 들어 있다.
평활근은 장기계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위, 방광과 같은 속이 빈 기관, 혈관, 림프관, 담관과 같은 관상 구조, 자궁이나 눈과 같은 괄약근에서 발견된다. 또한 외분비샘의 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활근은 구멍을 막는 것(예: 유문, 자궁 경부)이나 장관의 파동성 수축을 통한 유미즙의 이동과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평활근 세포는 골격근 세포보다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더 강하고 지속적이며 에너지 소모량이 적다. 또한 평활근은 자극이 필요한 골격근과 달리 불수의근이다.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는 방추형이며 단일핵을 가진다.[31] 액틴 필라멘트를 다량 가지고 있으며, 미오신 필라멘트는 소량이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 세포의 형태는 데스민과 중간섬유에 의해 유지된다.[31] 수축은 칼슘 이온에 의해 조절되지만, 소포체가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포막에 있는 목덜미 부분의 바깥쪽에 이온을 저장하고 있다고 생각된다.[31]
4. 1. 3. 심장근
심장근은 심장에서만 볼 수 있는 근세포로 이루어진 조직이다. 가로무늬근을 가진 근원 섬유가 존재하는 것은 가로무늬근과 같지만 길이가 짧고, 양끝은 인접 세포와 연결되어 있다. 척추동물의 심장근은 내장근인데, 골격근과 같이 가로무늬가 있으며, 근섬유도 골격근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근섬유가 갈라져 서로 연결되고 있는 곳은 골격근과 다르다.[2]신경의 자극이 없어도 자동적으로 수축·이완을 반복한다. 또 수축하고 있을 때, 다른 수축을 일으키는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골격근에서 볼 수 있는 강직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심장에 분포하는 모든 신경을 절단해도 심장의 수축 활동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다만 필요에 따라 템포를 빠르게 하거나 늦게 하는 조절은 안 된다. 이는 심장을 주기적으로 수축시켜 혈액을 동맥으로 보내기 위한 중요한 특성이다.
심장근 조직은 심장 벽의 심근에서만 발견되며, 자율 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는 불수의근이다. 심장근 조직은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횡문근이며, 매우 규칙적인 다발 배열로 근절을 포함한다. 골격근이 규칙적이고 평행한 다발로 배열되는 반면, 심장근은 판상연접이라고 알려진 가지가 있는 불규칙한 각도로 연결된다.
심장근은 불수의근이며, 심장 벽과 조직학적 기초, 특히 심근에서 발견되는 횡문근 조직이다. 심장근 세포(심근세포 또는 심장근세포라고도 함)는 대부분 하나의 핵만 포함하지만, 두 개에서 네 개의 핵을 가진 세포군도 존재한다.[13][14] 심근은 심장의 근육 조직이며, 바깥쪽 심장외막과 안쪽 심장내막 사이에 두꺼운 중간층을 형성한다.
심장에서 심장근 세포의 조율된 수축은 혈액을 심방과 심실에서 좌/신체/전신 및 우/폐/폐 순환계의 혈관으로 내보낸다. 이 복잡한 기전은 심장의 수축기를 보여준다.
심장근 세포는 신체의 다른 대부분의 조직과 달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혈액과 전기 공급에 의존한다. 관상동맥 순환이 이 기능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심근은 심장을 구성하는 근육이다. 심근의 특징으로, 작용에 필요한 신경 섬유가 일반적인 신경 섬유가 아니라, 특수 심근이라 불리는 근육 집단에 의해 흥분이 전달된다. 따라서 육안적으로는 신경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다.
심근은 보통 심근과 특수 심근으로 분류되며, 특수 심근으로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속 등이 있다. 특수 심근의 역할은 심근의 통합된 수축을 목적으로 하는 흥분의 전달이다. 보통 심근은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횡문이 있지만, 골격근처럼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 있지는 않다.
4. 2. 미세 구조
근육 다발 중 한 가닥의 근섬유(근세포)는 가느다란 세포이다. 근육은 신경의 조절을 받으면서 수축하고, 그 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피드백한다. 여기서는 골격근을 예로 들어 주요 구성 요소를 설명하고, 나중에 심장근과 평활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4. 2. 1. 근섬유 (근세포)
근섬유(근세포)는 굵기 20um~100um의 가느다란 세포이다. 각 근섬유의 바깥쪽은 얇은 탄력성 막인 근섬유막(근섬유초)으로 싸여 있고, 내부의 세포질은 근질이라고 하는 반유동성 물질과 근원 섬유로 되어 있다. 근원 섬유는 근세포의 원형질에서 분화한 것으로, 광학적 성질이 다른 A대(암대)와 I대(명대)로 구별된다. 근원 섬유는 더 가는 몇 가닥의 근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다시 액틴과 미오신이라고 하는 수축성 단백질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근원 섬유와 근원 섬유 사이는 근질이라고 하는 겔 모양의 원형질로 채워져 있어, 여기에서 근수축을 위한 에너지가 생산된다.[32]근섬유는 골격근을 구성하는 세포 단위로, 근아세포가 융합하여 생긴 가늘고 긴 거대 다핵 세포이다. 골격근이 발생하고 분화하는 과정에서 단핵의 근원세포들이 서로 융합하여 만들어진다.[32]
4. 2. 2. 근원섬유 (미오피브릴)
근섬유(근세포)는 굵기 20~100μm의 가느다란 세포이다. 각 근섬유의 바깥쪽은 얇은 탄력성 막인 근섬유막(근섬유초)으로 싸이고, 내부의 세포질은 근질이라고 하는 반유동성 물질과 근원섬유로 되어 있다. 근원섬유는 근세포의 원형질에서 분화한 것으로, 광학적 성질이 다른 A대와 I대로 구별되는데, 전자는 암대, 후자는 명대라고 불린다. 한편 근원섬유는 더 가는 몇 가닥의 근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다시 액틴과 미오신이라고 하는 수축성 단백질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근원섬유와 근원섬유 사이는 근질이라고 하는 겔 모양의 원형질로 채워져 있어, 여기에서 근수축을 위한 에너지가 생산된다.[33]가로무늬근의 근섬유 속에 존재하는 수축성 구조체로, 세포내 소기관이다. 직경 약 1μm의 원통형을 하고 있으며, 골격근에서는 근육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많은 근원섬유가 평행하게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미세한 구조는 많은 사르코메어가 두께 2~8nm의 Z막(Z선)이라고 불리는 격막으로 구획되면서 10nm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로무늬근의 줄무늬는 이러한 배열이 보이는 것이다. 미오피브릴, 근필라멘트, 미오필라멘트라고도 불린다.[33]
4. 2. 3. 근절 (사르코메어)
근원섬유의 최소 구성 단위로, 이것이 세로로 연결된 것이 근원섬유이다. 개개의 근절(사르코메어)은 ATP 존재 하에 수축이 일어난다. 골격근의 횡문은 이 근절(사르코메어)의 액틴 필라멘트와 미오신 필라멘트가 평행하게 일부가 겹쳐 있는 배열 때문에 생긴다. 근소포체에서 방출된 칼슘 이온에 의해 액틴 필라멘트가 미오신 필라멘트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 근육이 수축한다. 따라서 그때에는 근절(사르코메어) 전체의 길이가 액틴 필라멘트가 미끄러져 들어간 만큼 짧아진다.근절(사르코메어)에는 중앙부에 밀도가 높은 A대와 양측에 밀도가 낮은 I대가 있다. A대는 약 1.5μm 길이의 미오신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Z막에 연결된 액틴 필라멘트가 A대에 들어가 있지 않은 부분이 I대이다.[33] 두 필라멘트는 중앙에 있는 미오신 필라멘트를 육각형으로 액틴 필라멘트가 둘러싼 단면 구조를 가진다. 미오신 필라멘트끼리의 중심 간 거리는 40nm~50nm이고, 둘러싸는 액틴 필라멘트까지의 거리는 약 15nm이다.[33]
5. 근수축 및 이완 기전
신경-근 접합부를 통해 전달된 활동 전위는 근섬유막을 따라 퍼져나가 근소포체에서 칼슘 이온(Ca2+) 방출을 유발한다.[18] 척추동물의 가로무늬근에서는 흥분이 근섬유막에서 근원 섬유로 전해져 근육의 수축이 일어난다. 헉슬리 등은 도마뱀이나 개구리 등의 근원 섬유를 둘러싼 내부 원형질의 망상 구조가 흥분과 수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근육 조직의 주된 기능은 수축이다.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 이 세 가지 유형의 근육 조직은 모두 액틴과 미오신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수축을 일으킨다. 근원섬유의 최소 구성 단위는 근절(サルコメア)이며, 근절은 ATP 존재 하에 수축이 일어난다. 골격근의 횡문은 이 근절의 액틴 필라멘트와 미오신 필라멘트가 평행하게 일부 겹쳐 있는 배열 때문에 나타난다. 근소포체에서 방출된 칼슘 이온에 의해 액틴 필라멘트가 미오신 필라멘트 사이로 미끄러져 들어가 근육이 수축한다. 따라서 그때에는 근절 전체의 길이가 액틴 필라멘트가 미끄러져 들어간 만큼 짧아진다.
근절에는 중앙부에 밀도가 높은 A대와 양측에 밀도가 낮은 I대가 있다. A대는 약 1.5μm 길이의 미오신 필라멘트로 구성되고, Z막에 연결된 액틴 필라멘트가 A대에 들어가 있지 않은 부분이 I대이다.[33] 두 필라멘트는 중앙에 있는 미오신 필라멘트를 육각형으로 액틴 필라멘트가 둘러싼 단면 구조를 가진다. 미오신 필라멘트끼리의 중심 간 거리는 40nm~50nm이고, 둘러싸는 액틴 필라멘트까지의 거리는 약 15nm이다.[33]
방출된 Ca2+는 트로포닌에 결합하여 트로포미오신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미오신과 액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18] 미오신과 액틴의 상호작용(미끄러짐)으로 인해 근절이 짧아지면서 근육이 수축한다. Ca2+가 근소포체로 다시 흡수되면 근육은 이완된다.
근수축에는 ATP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크레아틴인산, 아르기닌인산 등이 에너지 저장 물질로 작용한다. 센트 죄르니는 근육을 50% 글리세롤에 담가 수축계는 파괴하지 않고 세포막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글리세롤근 방법을 고안했다. 이 글리세롤근에 ATP를 가하면 근육 수축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아 근수축의 에너지원은 ATP이고 ATP와 근세포 안에 있는 수축성 단백질과의 반응이 근수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 근육의 조절 메커니즘
근육은 신경계의 조절을 받으며, 신경근 접합부를 통해 신경 자극이 전달된다. 운동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은 근섬유막의 탈분극을 유발하여 근수축을 일으킨다.[16] 근육의 과도한 사용은 젖산 축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근육의 운동은 칼슘 채널에 의해 조절된다.
근육에 자극을 가하면 근섬유 막에 흥분이 생긴다. 운동 신경의 말단이 근섬유와 접하는 부위를 '신경근 접합부'라고 하며, 이 부위의 근섬유막을 '운동 종판'이라고 한다. 근육에 자극이 가해지면 운동 뉴런의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운동 종판의 이온 투과성이 증가하여 활동 전류가 발생한다. 척추동물의 가로무늬근에서는 흥분이 근섬유막에서 근원섬유로 전해져 근육의 수축이 일어난다.
근육을 너무 많이 사용하여 피로를 느끼면 젖산이 분비된다. 이 젖산이 쌓이면 쥐가 나기도 한다. 근육은 미오신과 액틴(Actin)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육의 운동에는 칼슘 채널이 있어 근육의 운동을 조절한다.
골격근에서는 운동신경에 의해 전달되는 활동전위(electrical impulses)에 의해 수축이 자극된다. 심장근과 평활근의 수축은 일정하게 수축하는 내부의 자극전달세포(pacemaker cells)에 의해 자극되며, 이 세포들은 접촉하고 있는 다른 근육세포로 수축을 전파한다. 모든 골격근과 많은 평활근의 수축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의해 촉진된다.[16]
신경과 근육은 신경근 접합부를 통해 자극을 전달한다. 신경 종말에서는 아세틸콜린이 방출되어 근육 측에 있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근섬유의 세포막을 탈분극시킨다. 이것이 횡행소관(T관)계를 통해 근육 전체로 퍼져, T관계에 접하는 근소포체로부터 칼슘이 방출된다. 이 칼슘을 신호로 하여 액틴 섬유와 미오신 섬유 사이의 미끄럼 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근섬유는 원래 능동적으로 신장하는 능력이 없으며, 이완될 때 신장하는 것은 골격근의 경우, 길항근의 작용에 의한 외부적인 작용 때문이다.
7. 무척추동물의 근육
무척추동물은 횡문근, 사문근, 평활근 등 다양한 유형의 근육을 가진다. 절지동물에는 평활근이 없다. 횡문근은 척추동물의 골격근과 가장 유사하다.[4]
나팔벌레와 같은 일부 원생동물은 근육과 유사한 수축 장치인 미오넴을 가지고 있다. 종벌레는 자극을 받으면 자루 부분이 나선 모양으로 수축하는데, 여기에는 키노플라즈마라고 하는 수축성 있는 안쪽 층이 관여한다. 히드라나 말미잘과 같은 강장동물은 체벽 안에 근육 상피세포가 있어 체벽 운동을 일으킨다.
갑각류는 흥분성 신경과 억제성 신경의 이중 지배를 받는 근육을 가진다. 예를 들어 게의 집게발에는 폐협근과 개협근이 있어, 한쪽 근육이 자극을 받으면 다른 쪽 근육은 억제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진다.
곤충의 날개 근육은 매우 빠른 수축이 가능하다. 집파리 날개 근육의 수축 시간은 0.003초로, 사람 다리 근육(0.18초)보다 훨씬 빠르다. 이러한 빠른 날갯짓은 비상근과 외골격의 공동 작용으로 가능하다.
8. 발생 및 발달
모든 근육은 축방 중배엽에서 유래한다. 축방 중배엽은 배아의 길이를 따라 체절로 나뉘는데, 이는 신체의 분절화에 해당한다.[15] 각 체절은 골절(척추를 형성함), 피부절(피부를 형성함), 근절(근육을 형성함)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근절은 다시 배쪽근육과 등쪽근육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사람의 경우 등쪽 근육은 척주 기립근과 작은 척추사이 근육뿐이며, 척수 신경의 등쪽 가지에 의해 지배된다. 사지 근육을 포함한 다른 모든 근육은 배쪽 근육이며, 척수 신경의 배쪽 가지에 의해 지배된다.[15]
발생 과정에서 근아세포(근육 전구 세포)는 척주와 관련된 근육을 형성하기 위해 체절에 남아 있거나, 다른 모든 근육을 형성하기 위해 신체로 이동한다. 근아세포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체절 측판 중배엽에서 형성된 결합 조직 골격의 형성에 선행한다. 근아세포는 화학적 신호를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길쭉한 골격근 세포로 융합한다.[15]
출생 후, 사춘기 전까지는 근육 발달에 남녀 차이가 없지만, 남성이 사춘기를 맞으면 제2차 성징에 의해 안드로겐 분비가 활발해지고, 어깨 너비가 넓어진 후에 근육이 발달하기 시작하여[37] 남녀 간 근육 차이가 발생한다.
9. 근육의 퇴화 (위축)
포유류에서 활동 부족과 기아는 골격근의 위축으로 이어진다. 근육량의 감소는 단백질 함량 감소, 근육 세포 감소 및 왜소화를 수반한다.[65]
인간의 경우, 침대에 계속 누워 장기간 운동을 하지 않는 상태이거나, 우주비행사가 우주에 체류하면 근육 약화 및 위축이 발생한다. 유인우주비행 분야에서는 특히 문제시되며, 무중력 공간에서 보낸 결과, 약 30%의 근육이 줄어든 경우도 있다.[66][67] 이것은 인간뿐만 아니라 금색쥐토끼와 큰수염박쥐|오오히게코우모리영어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68]
나이가 들면서 골격근 기능과 양을 유지하는 능력이 서서히 감소하는데, 이를 근육감소증이라고 한다. 근육감소증은 노화에 따른 근위축을 일으킨다. 이러한 근위축 병변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골격근 섬유 유지를 돕는 "위성세포"가 점차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며, 근육량과 위성세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민감도 또는 분비되는 중요한 성장 인자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어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근육감소증은 노화에 따라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실제로는 질병으로 취급되지 않지만, 고령자가 부상을 입기 쉽거나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69]
10. 근육과 당 대사
골격근은 체중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인체 최대의 기관이며, 혈당의 80% 이상은 골격근에 의해 흡수된다. 근육에서는 당 수송체인 포도당 수송체 4형(GLUT4)이 당 흡수를 담당한다.
GLUT4는 평소 근육 세포 내부에 존재하지만,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세포막에서 당이 통과하는 문의 역할을 한다.[35]
인슐린은 근육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GLUT4를 세포막으로 이동시킨다. 운동에 의한 근육 수축도 GLUT4를 세포막으로 이동시키는데, 이것은 인슐린에 의존하지 않고 혈당 흡수를 촉진한다.[35]
운동 후의 근육은 소모된 근육 글리코겐을 회복하기 위해 활발하게 혈당을 흡수한다. 운동 종료 후 2~3시간 뒤에는 활동 근육에서 인슐린 감수성이 상승한다. GLUT4 단백질량 자체도 운동에 의해 증가하기 때문에, 운동·트레이닝을 반복하면 단련된 근육에서 약 2배 가까이 증가한다. 이것은 인슐린 자극에 의한 근육의 혈당 흡수 능력을 증가시키고, 피로 회복을 촉진한다.[35]
11. 근육과 성별, 매력
근육 조직은 인간에게서 성적 이형을 나타내며, 평균적으로 남성은 여성보다 총 근육량이 60% 많고 팔 근육량이 80% 많다.[39] 따라서 남성의 상체 힘은 여성보다 약 90% 높으며,[40] 평균적인 남성은 여성의 99.9%보다 강하다.[41][40] 이러한 근육량의 차이는 인류 진화 과정에서 남성이 물리적 갈등을 겪으며 생긴 결과로 보인다.[43][44]
일반적으로 여성은 근육질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45][46][47][48][47][49] 근육 있는 남성은 매력적이고 더 많은 성적 파트너를 경험한 것으로 평가된다.[45][46][47][48][47][49] 하지만 너무 근육질인 남성은 적당히 근육질인 남성보다 덜 매력적이라고 평가된다.[47]
남성의 근육은 배우자 선택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 힘과 전투 능력: 근육은 힘의 지표이며,[51] 간접적으로 전투 능력을 예측하게 한다.[52]
- 자원 획득 능력: 근육은 자원 획득 능력의 지표로, 남성의 배우자 가치에 중요한 측면이다.[53]
- 건강 상태: 근육은 건강과 내병성에 대한 간접적인 지표이다.[58]
여성은 남성의 근육을 통해 투자와 보호 능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며, 자손에게 체력 관련 유전자를 제공할 수 있는 남성을 선호한다.[59]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여성이 매력적으로 느끼는 남성의 근육 부위는 훈련하기 어려운 부위와 관련이 있었다.[59] 훈련하기 어려운 근육 부위 순서는 다음과 같다.[59]
순위 | 근육 부위 |
---|---|
1 | 복사근 |
2 | 대둔근 |
3 | 복근 |
4 | 상완이두근 |
5 | 견갑근 |
6 | 삼두근 |
7 | 종아리 |
8 | 삼각근 |
9 | 대퇴사두근 |
10 | 흉근 |
12. 주요 동물의 근육 섬유 직경 및 근력 (참고 자료)
다음은 여러 동물의 근육 섬유 직경과 근력에 대한 자료이다.[63][64]
12. 1. 주요 동물의 근육 섬유 직경
동물 | 근육 | 직경(μm) |
---|---|---|
금붕어 | 적색근 섬유 | 36.0 |
금붕어 | 백색근 섬유 | 49.4 |
아프리카발톱개구리 | 다리 근육 | 169.0 |
비둘기 | 가슴근육 | 26.8 |
뾰족뒤쥐 | 횡격막 | 18.0 |
집쥐 | 종아리근(비복근) | 60.8 |
쥐 | 장지신근 | 85.0 |
쥐 | 횡격막 | 34.0 |
기니피그 | 횡격막 | 25.0 |
고양이 | 횡격막 | 30.0 |
돼지 | 횡격막 | 60.0 |
인간 | 횡격막 | 34.0 |
인간 | 늑간근 | 50.4 |
인간 | 삼각근 | 54.2 |
12. 2. 주요 동물의 근력
참조
[1]
논문
Calcium ion and muscle contraction
https://pubmed.ncbi.[...]
1968
[2]
서적
eLS
Wiley
2017
[3]
간행물
Anatomy, Skeletal Muscl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4-22
[4]
논문
Ultrastructure of invertebrate muscle cell types.
1996-01
[5]
웹사이트
Muscle Tissue
http://faculty.ucc.e[...]
2014-09-02
[6]
논문
Skeletal muscle fiber type: using insights from muscle developmental biology to dissect targets for susceptibility and resistance to muscle disease.
2016-07
[7]
논문
A novel intronic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myosin heavy polypeptide 4 gene is responsible for the mini-muscle phenotype characterized by major reduction in hind-limb muscle mass in mice
2013-12
[8]
논문
Specific Force Deficit in Skeletal Muscles of Old Rats Is Partially Explained by the Existence of Denervated Muscle Fibers
2001
[9]
논문
Association of adiponectin and resistin with adipose tissue compartments,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aemia
2005
[10]
논문
Control of DNA integrity in skeletal muscle under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2017-10
[11]
논문
Does oxidative damage to DNA increase with age?
2001-08
[12]
논문
DNA-PK Promotes the Mitochondrial, Metabolic, and Physical Decline that Occurs During Aging
2017-05
[13]
논문
Aging, cardiac hypertrophy and ischemic cardiomyopathy do not affect the proportion of mononucleated and multinucleated myocytes in the human heart
1996-07
[14]
서적
Cell Biology
Saunders/Elsevier
2008
[15]
서적
Basic Concepts in Embryology: A Student's Survival Guide
McGraw-Hill Professional
1997
[16]
논문
Skeletal muscle: a brief review of structure and function
https://pubmed.ncbi.[...]
2015-03
[17]
논문
Constitutive properties of adult mammalian cardiac muscle cells
https://pubmed.ncbi.[...]
1998-08-11
[18]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357 【근육】
[19]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357 【근(육)단백질】
[20]
웹사이트
Muscle
http://anatomyalmana[...]
2012-10-03
[21]
웹사이트
Muscle
http://www.etymonlin[...]
2012-10-03
[22]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729 【적근】
[23]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995 【백근】
[24]
논문
MHC composition and enzyme-histochem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a novel fast-twitch motor unit type
http://ajpcell.physi[...]
1991-07
[25]
웹사이트
Build Fast Twitch Muscle Fibers
http://www.complete-[...]
Complete Strength Training
2011-11-30
[26]
간행물
새로운 젖산의 관점
2006
[27]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496 【골격근】
[28]
서적
Human Anatomy & Physiology
Benjamin Cummings
2010
[29]
논문
Specific Force Deficit in Skeletal Muscles of Old Rats Is Partially Explained by the Existence of Denervated Muscle Fibers
2001
[30]
논문
Association of adiponectin and resistin with adipose tissue compartments,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aemia
2005
[31]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1187 【평활근】
[32]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355 【근섬유】
[33]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p.351 【근원섬유】
[34]
서적
해부학강의
南山堂
1983-10-05
[35]
논문
운동과 골격근GLUT4
https://www.jstage.j[...]
公益財団法人日本学術協力財団
2023-10-16
[36]
서적
Skeletal Muscle: Form and Function
Human Kinetics
[37]
웹사이트
お母さんの基礎知識(思春期・男の子編)(もっと詳しく…)-神奈川県ホームページ
http://www.pref.kana[...]
2021-04-00
[38]
논문
Independent evolution of striated muscles in cnidarians and bilaterians
[39]
논문
Sex differences in whole body skeletal muscle mass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its distribution in young Japanese adults
https://doi.org/10.1[...]
2003-10-01
[40]
논문
Costs and benefits of fat-free muscle mass in men: relationship to mating success, dietary requirements, and native immunity
https://doi.org/10.1[...]
2009-09-00
[41]
논문
Explaining the sex difference in depression with a unified bargaining model of anger and depression
https://doi.org/10.1[...]
2016-02-15
[42]
논문
Does sexual selection explain human sex differences in aggression?
https://doi.org/10.1[...]
2009-08-00
[43]
논문
Beauty and the beast: mechanisms of sexual selection in humans
https://doi.org/10.1[...]
2010-05-00
[44]
논문
The Importance of Physical Strength to Human Males
https://doi.org/10.1[...]
2012-03-00
[45]
논문
Do representations of male muscularity differ in men's and women's magazines?
https://doi.org/10.1[...]
2005-03-00
[46]
논문
Human Physique and Sexual Attractiveness in Men and Women: A New Zealand–U.S. Comparative Study
https://doi.org/10.1[...]
2009-01-13
[47]
논문
Why Is Muscularity Sexy? Tests of the Fitness Indicator Hypothesis
https://doi.org/10.1[...]
2007-06-15
[48]
논문
Body Image and Body Type Preferences in St. Kitts, Caribbean: A Cross-Cultural Comparison with U.S. Samples regarding Attitudes towards Muscularity, Body Fat, and Breast Size
https://doi.org/10.1[...]
2012-07-00
[49]
논문
Costs and benefits of fat-free muscle mass in men: relationship to mating success, dietary requirements, and native immunity
https://doi.org/10.1[...]
2009-09-00
[50]
논문
Desiring the muscular ideal: Men's body satisfaction in the United States, Ukraine, and Ghana.
https://doi.org/10.1[...]
2007-04-00
[51]
논문
Human adaptations for the visual assessment of strength and fighting ability from the body and face
https://doi.org/10.1[...]
2008-10-21
[52]
논문
Physical strength, fighting ability, and aggressiveness in adolescents
https://doi.org/10.1[...]
2012-04-18
[53]
논문
Sex differences in human mate preferences: Evolutionary hypotheses tested in 37 cultures
https://doi.org/10.1[...]
1989-03-00
[54]
논문
Upper-body strength predicts hunting reputation and reproductive success in Hadza hunter–gatherers
https://doi.org/10.1[...]
2014-11-00
[55]
논문
Mate preferences among Hadza hunter-gatherers
https://doi.org/10.1[...]
2004-12-00
[56]
논문
The relation between mate value, entitlement, physical aggression, size and strength among a sample of young Indian men
https://doi.org/10.1[...]
2009-09-00
[57]
논문
Fighting ability influences mate value in late adolescent men
https://doi.org/10.1[...]
2015-07-00
[58]
서적
The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https://doi.org/10.1[...]
John Wiley & Sons, Inc.
2015-09-08
[59]
논문
Men’s Bodily Attractiveness: Muscles as Fitness Indicators
https://doi.org/10.1[...]
2019-04-01
[60]
논문
Formidability assessment mechanisms: Examining their speed and automaticity
https://doi.org/10.1[...]
2018-03-00
[61]
논문
Heritability of body size and muscle strength in young adulthood: a study of one million Swedish men
https://doi.org/10.1[...]
2008-05-00
[62]
논문
Strength training: importance of genetic factors
https://doi.org/10.1[...]
1998-05-00
[63]
서적
数値で見る生物学
ジ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64]
서적
数値で見る生物学
ジュプリンガー・ジャパン
[65]
논문
Antiproteolytic effects of plasma from hibernating bears: a new approach for muscle wasting therapy?
http://linkinghub.el[...]
[66]
논문
Response of the neuromuscular unit to spaceflight: What has been learned from the rat model
[67]
웹사이트
NASA Muscle Atrophy Research (MARES) Website
http://www.nasa.gov/[...]
2013-02-02
[68]
논문
Hibernating black bears (''Ursus americanus'') experience skeletal muscle protein balance during winter anorexia
http://linkinghub.el[...]
[69]
논문
Sarcopenia: A critical review of its measurements and health-related significance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70]
웹인용
근육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0-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