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술 토벌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술 토벌전은 후한 말기 군벌 원술이 스스로 황제를 칭하며 시작된 일련의 군사적 충돌을 의미한다. 원술은 190년 옥새를 얻어 세력을 확장했으며, 수춘을 근거지로 삼아 강남 지역에서 세력을 키웠다. 197년 스스로 황제를 칭한 원술은 조조, 손책, 여포 등 여러 군벌의 공격을 받았다. 연합군의 공격, 여포의 배신, 가뭄과 흉작으로 인한 세력 약화로 인해 원술은 결국 199년 병사했다. 원술 사후 그의 세력은 손책에게 흡수되었으며, 이 사건은 삼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년 중국 - 강동 평정
    손책이 아버지 손견의 죽음 이후 195년부터 199년까지 강동 지역의 여러 세력들을 격파하고 복속시켜 강동과 강남 대부분을 장악하며 오나라 건국의 초석을 다진 군사적, 정치적 활동이 강동 평정이다.
  • 197년 중국 - 완성 전투
    197년 완성에서 조조가 장수를 공격했으나 장수의 배신으로 조조는 아들 조앙, 조카 조안민, 맹장 전위를 잃었지만, 이후 장수와 가후를 귀순시켜 세력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7년 중국 - 강동 평정
    손책이 아버지 손견의 죽음 이후 195년부터 199년까지 강동 지역의 여러 세력들을 격파하고 복속시켜 강동과 강남 대부분을 장악하며 오나라 건국의 초석을 다진 군사적, 정치적 활동이 강동 평정이다.
  • 198년 중국 - 강동 평정
    손책이 아버지 손견의 죽음 이후 195년부터 199년까지 강동 지역의 여러 세력들을 격파하고 복속시켜 강동과 강남 대부분을 장악하며 오나라 건국의 초석을 다진 군사적, 정치적 활동이 강동 평정이다.
  • 198년 중국 - 하비 전투
    하비 전투는 198년 조조가 여포를 하비성에서 포위하여 내부 분열과 수공을 통해 승리하고 여포를 처형함으로써 중원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한 전투이다.
원술 토벌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분쟁원술 토벌전
일부후한 말
날짜197년 ~ 199년
장소회수 남쪽 지역, 중국
결과한나라의 승리, 중 왕조 붕괴
교전 세력
교전국 1후한
교전국 2
산월
지휘관 및 지도자
한나라조조
유비
여포 (197)
중에서 전향:
손책 (197–199)
오경 (197–199)
손분 (197–199)
뇌박
진란
원술
원담 (199)
원소 (199)
조랑
한나라에서 전향:
여포 (198–199)
병력 규모
한나라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사상자 및 피해
한나라알 수 없음
알 수 없음

2. 배경

190년 동탁이 낙양을 유린했을 때 옥새가 분실되었는데, 반동탁 연합의 일원이었던 손견은 우연히 낙양 폐허에서 옥새를 발견하고 자신이 보관했다.[1] 당시 손견원술 휘하의 장수였기에, 원술은 손견이 옥새를 얻었다는 소식을 듣고 손견의 부인을 인질로 잡아 옥새를 넘겨받았다.

원술은 189년에 이미 남양에 근거지를 세웠으나, 손견이 전사한 양양 전투에서 패배한 후 192년에 동쪽의 진류로 후퇴하여 양주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원소조조에게 연이은 패배를 겪은 원술은 도주해야 했고, 근거지를 회하 남쪽 기슭에 있는 구강군의 수춘(현재의 안휘성 수현)으로 옮겼다.[2]

2. 1. 남양과 진류에서의 초기 통치

190년 4월 4일 동탁이 낙양을 유린했을 때 옥새가 분실되었다.[1] 반동탁 연합의 일원이었던 손견은 우연히 낙양 폐허에서 옥새를 발견하고 자신이 보관했다. 당시 손견원술 휘하의 장수였기에, 원술은 손견이 옥새를 얻었다는 소식을 듣고 손견의 부인을 인질로 잡아 옥새를 넘겨받았다.

원술은 189년에 이미 남양에 근거지를 세웠으나, 맹장인 손견이 전사한 양양 전투 (191년)에서 패배한 후 192년에 동쪽의 진류로 후퇴하여 양주에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원소조조에게 연이은 패배를 겪은 원술은 도주해야 했고, 근거지를 회하 남쪽 기슭에 있는 구강군의 수춘(현재의 안휘성 수현)으로 옮겼다.[2]

2. 2. 수춘에서의 성장

196년 가을, 조조가 헌제를 자신의 보호 아래에 두고 허창으로 데려갔다는 소식을 들은 원술은 행동할 때라고 느꼈다.[2]

3. 원술 토벌전의 전개

원술이 스스로 황제를 칭하자, 손책은 원술과의 관계를 끊었다. 그 결과 원술은 광릉과 강동에서 손책에게 영토를 잃었고, 중국 남부에서의 영향력이 크게 줄었다. 여포는 회하 북쪽에서 원술 군대를 격파하고 약탈했다. 조조는 회하 북쪽의 모든 원술의 영토를 점령했고, 원술의 남은 영토는 가뭄과 흉작으로 더욱 약화되었다.[5][2]

원술의 세력이 줄어들자, 연합군 내부에 갈등이 생겼다. 여포는 원술의 요청으로 유비를 공격했고, 유비는 조조의 지원을 받았다. 이 갈등은 하비 전투로 이어졌고, 조조와 유비 연합군은 여포를 공격했다. 원술은 여포를 돕기 위해 기병 1,000명을 보냈지만 패배했다. 산월 부족 등을 선동하여 손책을 공격하게 했지만, 손책은 이를 격파하고 강동에서 영향력을 강화했다. 여포는 결국 항복하여 199년 2월 7일 조조에 의해 처형되었다.[6]

원술은 상황이 악화되자 궁궐을 불태우고 옛 부하들에게 도망쳤지만 거부당했다. 원소에게 옥새를 주겠다고 약속하며 도움을 요청했다.[7][2] 원소는 아들 원담을 보내 원술을 호송하게 했지만, 조조는 유비와 주령을 보내 원술을 요격했다. 결국 원술은 199년 6월 수춘으로 돌아가는 길에 병으로 사망했다.[7][2]

3. 1. 1단계: 연합군의 공격

190년대 후한 말 주요 군벌을 보여주는 지도


원술이 스스로 '천자'를 칭했다는 소식을 접한 손책은 삼촌 오경과 사촌 손분에게 서신을 보내 원술과의 관계를 끊을 것을 요청했다. 오경과 손분은 각각 원술 휘하의 태수와 장군으로 복무하고 있었는데, 손책의 요청에 응하여 그에게 투항했다. 그 결과 원술은 광릉과 강동에서 손책이 정복한 영토를 잃었고, 이는 원술의 중국 남부에서의 영향력을 크게 감소시켰다. 한편, 여포는 회하 북쪽에서 원술의 군대를 격파하고 그 지역을 약탈했다.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원술은 군대를 보내 진을 침공했지만, 조조가 이끄는 한나라 군대에 의해 패배했다.[5] 197년 가을, 조조는 회하 북쪽의 모든 원술의 영토를 점령했고, 원술의 남은 영토는 가뭄과 흉작으로 고통받아 그의 세력은 더욱 약화되었다.[2]

3. 2. 2단계: 여포의 배신과 패배

원술의 세력이 최소한으로 줄어들자, 그를 반대하여 결성된 연합 구성원들 사이에서 내부 갈등이 발생했다. 여포는 원술의 요청에 따라 유비를 공격했고, 유비는 이에 맞서 싸우기 위해 조조의 지원을 받았다. 이 갈등은 198년에 발생한 하비 전투로 이어졌으며, 조조와 유비의 연합군은 여포와 싸웠다. 절망적인 상황에 직면한 여포는 원술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원술은 여포를 지원하기 위해 약 1,000명의 기병만을 보냈지만, 그 병력은 하비에 도착하기도 전에 패배했다. 여포의 몰락이 불가피해 보이자, 원술은 사자들을 보내 산월 부족과 산적 두령 조랑(祖郎)을 선동하여 손책을 공격하게 했다. 손책은 적을 격파하고 강동에서 그의 영향력을 계속 강화했다. 여포는 결국 항복했고, 199년 2월 7일 조조에 의해 처형되었다.[6]

3. 3. 3단계: 중 황제의 몰락

원술은 상황이 좋지 않았다. 창고는 비어 있었고 군대는 침략에 저항하거나 반란을 진압하기에는 너무 약했다. 그 결과 원술은 궁궐을 불태우고 그의 옛 부하들인 뇌박과 진란이 숨어 있는 건산으로 도망치는 것을 선택했다. 그러나 뇌박과 진란은 원술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고, 원술은 그의 일족인 원소에게 서신을 보내 원소가 그를 돕는다면 옥새를 주겠다고 약속했다.[7][2]

이에 원소는 그의 아들 원담을 파견하여 원술을 청주(현재의 산둥성)로 호송하게 했다. 조조는 유비주령을 보내 원술이 청주로 가는 도중에 그를 요격하게 했고, 결국 원술은 회남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원술은 결국 199년 6월에 수도인 수춘으로 돌아가는 길에 병으로 사망했다.[7][2]

4. 결과 및 영향

원술의 가족은 원술의 옛 부하 유훈에게 의탁하려 했고, 다른 부하 양홍(楊弘)과 장훈(張勳)은 손책에게 항복하려 했지만 유훈에게 붙잡혀 여강에 억류되었다.[1] 199년, 손책은 유훈을 격파하고 여강을 점령하여 원술의 가족과 부하들을 석방했다.[1]

5. 대중 문화에서의 묘사

코에이에서 제작한 비디오 게임 시리즈 ''진·삼국무쌍''의 6편, 7편, 9편에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Heavenly Numbers: Astronomy and Authority in Early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1: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2]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https://books.google[...] Brill 2019-01-27
[3] 문서 de Crespigny (2006), 765
[4] 기타 Zizhi Tongjian
[5] 기타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6] 기타 Zizhi Tongjian
[7] 기타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