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남망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남망국사》는 중국의 민족주의 혁명가 량치차오가 베트남의 독립을 지지하기 위해 판보이쩌우를 돕고자 출간한 책이다. 이 책은 중국과 베트남 내에서 배포되었으며, '월남'이라는 단어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월남망국사》는 응우옌 왕조의 근대화 실패와 유교 회귀를 비판하고, 껀브엉 운동의 핵심 인물들을 기리며 프랑스의 식민 정책을 분석했다. 판보이쩌우는 전국적인 독립 전선 구축을 주장하며, 평범한 산문체로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이 책은 중국과 조선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조선에서는 번역 출판되었으나 1909년 출판법에 의해 금서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소설 - 전기만록
응우옌 즈가 지은 베트남의 설화집 전기만록은 4권 20편의 이야기, 기담, 기록을 담고 있으며, 응우옌 랍 푸의 편집을 거쳐 레 왕조의 부패와 사회적 혼란을 부각하여 당대 현실을 비판적으로 반영하고, 유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사회 비판적 메시지와 여성주의적 관점 등 현대적 해석을 낳고 있다. - 1905년 책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칼뱅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가 근면, 절약, 합리성 등의 가치를 통해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의 윤리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근거 부족으로 비판받으며 자본주의 발전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1905년 책 - 시온 장로 의정서
시온 장로 의정서는 유대인의 세계 지배 계획을 담았다는 내용의 위조된 문서로, 반유대주의 선전 도구로 활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음모론과 결합되어 유통된다.
월남망국사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정보 | |
제목 | 월남망국사 |
원제 | 越南亡國史 (Yuènán Wángguó Shǐ) |
저자 | 판보이쩌우 |
언어 | 한문 |
국가 | 베트남 |
출판일 | 1905년 |
2. 저술 배경
량치차오(梁啓超)는 당시 일본에 머물고 있던 대표적인 중국 민족주의 혁명학자로, 판보이쩌우가 《월남망국사》를 저술하고 출간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량치차오는 중국에서 베트남 독립을 위한 지지를 촉구하며 판보이쩌우를 도왔다. 《월남망국사》는 중국과 해외에 배포될 목적으로 쓰였지만, 베트남 독립을 위해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 베트남으로 몰래 들여와 유포할 목적도 있었다.[5] 이 책은 '월남'이라는 단어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는데, 당시 베트남은 일반적으로 '안남'이라고 불렸다.
《월남망국사》는 19세기 응우옌 왕조가 서구 열강의 식민지화 시도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근대화에 실패한 것을 비판하며, 오히려 지나치게 보수적인 유교로 회귀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1880년대 후반과 1890년대 초 프랑스에 맞서 게릴라전을 이끈 똔텃투옛, 판딘풍 등 껀브엉 운동(근왕운동)의 핵심 인물들을 기렸다. 껀브엉 운동은 프랑스의 지배를 전복시키고 소년 황제 함응이를 독립된 베트남의 통치자로 세우려 했던 시도였다.
이 책은 또한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사회경제 정책을 억압적인 것으로 분석했다. 판보이쩌우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맞서 싸울 구체적인 이유가 있는 7개 파벌이나 이해 집단을 규합하여 전국적인 독립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월남망국사》는 당시 학자나 상류층이 사용하던 문법이나 구조와는 다른 문체로 쓰였다. 판보이쩌우는 특히 분석적이고 논쟁적인 부분에서 전통적인 스타일을 피하고, 직설적이고 평범한 산문체를 사용했다.
이 책은 중국에서 최소 다섯 차례 배포되었으며, 처음 두 번의 인쇄본은 량치차오의 정기 간행물인 《신민총보》(新民叢報)에 포함되었다. 량치차오는 서문에서 베트남과 중국이 외세의 지배와 관련하여 비슷한 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강조했다. 이 책은 중국에서 반향을 일으켜, 프랑스 통치하의 베트남 사람들의 삶에 대한 판보이쩌우의 묘사에 충격을 받은 중국 작가들이 후속 에세이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중국이 근대화에 실패하면 베트남과 비슷한 운명을 맞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반응 중 하나는 훗날 판보이쩌우의 동료들이 독립운동을 위해 운영하는 하노이의 통킹 의숙(東京義塾)의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판보이쩌우는 주로 중국인들을 걱정시키는 효과를 냈기 때문에, 독립 운동 지원 측면에서는 큰 반응을 얻지 못했다. 반면 베트남 독자들 사이에서는 훨씬 더 좋은 반응을 얻었다. 판보이쩌우는 1905년 8월 처음으로 일본을 떠나 베트남 전역에 배포할 책 50권을 가져갔고, 이후 베트남 내에서 더 많은 복사본이 만들어졌다.
이 책은 발간 직후 조선에도 소개되었고, 1906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황성신문〉에 발췌되어 연재되기도 했다.[5] 통감부 시절이던 1906년 현채가 보성관(普成館)을 통해 국한문혼용체 번역본을 간행하였다. 1907년에는 주시경이 순한글판을 노익형책사(盧益亨冊肆)를 통해 출판하였고, 이상익도 같은 해 이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은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에게도 남의 일이 아니라는 충격을 가져다주었으며, 1909년 〈출판법〉에 의하여 ‘치안상의 이유’로 금서 처분되었다.[6]
2. 1. 판보이쩌우의 민족주의 사상
판보이쩌우는 《월남망국사》에서 전통적인 유교 문체 대신 직설적이고 평범한 산문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민족주의 사상을 드러냈다. 그는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게 된 원인을 응우옌 왕조의 근대화 실패와 보수적인 유교로의 회귀에서 찾았다.[5]판보이쩌우는 프랑스에 대항하여 껀브엉 운동을 이끈 똔텃투옛, 판딘풍 등에게 경의를 표하며, 프랑스의 사회경제 정책을 억압으로 규정하고 비판했다. 그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맞서기 위해 사회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전국적인 독립전선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월남망국사》는 량치차오의 도움으로 출간되어 중국과 베트남에 널리 퍼졌다. 특히 량치차오는 서문에서 베트남과 중국이 처한 비슷한 상황을 강조하며 중국 독자들의 공감을 얻었다. 중국 작가들은 베트남의 상황을 통해 자국의 미래를 걱정하며, 판보이쩌우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러한 반응은 통킹 의숙의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다.[5]
《월남망국사》는 베트남에서 더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1905년 판보이쩌우가 직접 책을 베트남에 들여와 배포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이 책은 조선에도 소개되어 황성신문에 연재되었고, 현채, 주시경, 이상익 등이 번역본을 출간하여 조선 지식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1909년 일제의 통감부는 '치안상의 이유'로 이 책을 금서로 지정하였다.[6]
2. 2. 량치차오의 영향
량치차오는 중국의 민족주의 혁명학자로서 판보이쩌우가 《월남망국사》를 출간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량치차오는 이 책이 중국과 해외에 배포될 수 있도록 도왔으며, 베트남 독립을 위한 지지를 촉구했다.[5]《월남망국사》는 중국에서 최소 다섯 차례 배포되었고, 처음 두 번의 인쇄는 량치차오의 정기 간행물인 《신민총보》(新民叢報)에 실렸다.[3] 량치차오의 서문에는 외세의 지배에 직면한 베트남과 중국의 상황이 비슷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이 책은 중국에서 큰 반향을 일으켜, 판보이쩌우가 묘사한 프랑스 통치하의 베트남 사람들의 삶에 충격을 받은 중국 작가들이 후속 에세이를 쓰기도 했다. 이들은 중국이 근대화에 실패하면 베트남과 비슷한 운명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러한 중국의 반응 중 하나는 나중에 판보이쩌우의 동시대인들이 독립 운동을 위해 운영하는 하노이의 동킨 자유 학교(통킹 의숙)에서 교재로 사용되었다.[3]
3. 내용 구성
《월남망국사》는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후 번역자인 응우옌 꽝 토(Nguyễn Quang Tô)에 의해 4개의 장으로 명명되었다.[4]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 | 내용 |
---|---|
제1장 | 베트남 상실의 이유: 19세기 베트남이 직면한 식민지적 도전에 대한 응우옌 왕조의 대응과 근대화 실패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응우옌 왕조가 오히려 극보수적인 유교로 회귀한 점을 비판. 뜨득 황제와 고위 관료들이 민중을 과소평가하고 여론을 무시했다고 비난.[4] |
제2장 | 상실 직후 전형적인 애국자들과 관료들에 대한 짧은 이야기: 1880년대 후반과 1890년대 초반에 일어난 껀브엉 운동(왕을 보호하라는 뜻)의 핵심 인물들에 대한 강렬하고 감정적인 추모. 응우옌 꽝 빅, 똔텃투옛, 판딘풍과 같은 관료들이 주도. 껀브엉 운동은 프랑스 지배를 전복하고 소년 황제 함응이를 독립 베트남의 통치자로 세우려 했음.[4] |
제3장 | 베트남에서의 프랑스 식민지배의 악행: 프랑스의 베트남 사회 및 경제 정책을 분석하고, 판보이쩌우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맞서 싸울 특정 동기를 가진 일곱 개의 파벌 또는 이해 집단으로 구성된 전국적인 친(親)독립 전선의 설립을 주장.[3] |
제4장 | 베트남의 미래에 대한 기대 |
이 책은 당대의 학자인 상류층의 문법이나 구조와는 다른 문체로 쓰여졌다. 판보이쩌우는 특히 그의 분석적이고 논쟁적인 부분에서 직접적이고 평범한 산문체로 쓰기 위해 이 전통적인 스타일을 피했다.[3]
3. 1. 응우옌 왕조 비판
판보이쩌우는 응우옌 왕조가 19세기에 베트남이 직면한 식민지적 도전에 대응하고 근대화하는 데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응우옌 왕조가 오히려 극보수적인 유교로 회귀한 점을 지적했다. 또한 뜨득 황제와 고위 관료들이 국가의 운명을 책임져야 함에도 민중을 과소평가하고 여론을 무시했다고 비난했다.[4]3. 2. 프랑스 식민 통치 비판
《월남망국사》는 프랑스가 베트남 사회와 경제를 억압하는 정책을 펼쳤다고 분석했다. 이 책에서 판보이쩌우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맞서 싸울 동기를 가진 일곱 개의 파벌 또는 이해 집단으로 구성된 전국적인 친(親)독립 전선을 설립할 것을 주장했다.[3]판보이쩌우는 분석적이고 논쟁적인 부분에서 당시 지식인 계층의 지배적인 글쓰기 기법과 구조와는 다른 스타일을 사용했다. 그는 전통적인 스타일을 버리고 직접적이고 평범한 산문 스타일로 글을 썼다.[3]
3. 3. 껀브엉 운동
판보이쩌우는 껀브엉 운동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이 운동의 주요 인물들에게 경의를 표했다. 껀브엉 운동은 응우옌 왕조 말기, 프랑스 식민 통치에 맞서 어린 황제 함응이를 옹립하고 독립을 되찾기 위해 일어난 의병 운동이었다.껀브엉 운동의 주요 인물로는 응우옌꽝빅Nguyễn Quang Bíchvi[4], 똔텃투옛, 판딘풍 등이 있었다. 이들은 관료 출신으로, 프랑스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치며 저항했다. 특히 판딘풍은 1885년부터 1895년까지 10년간 응에안 성과 하띤 성을 중심으로 강력한 항전을 이끌었다.[4]
껀브엉 운동은 비록 실패했지만, 베트남 민족의 독립 의지를 보여준 중요한 사건이었다. 판보이쩌우는 이 운동을 통해 민족의 힘을 확인하고, 이후 독립운동의 동력을 얻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껀브엉 운동은 이후 한국에서 일어난 항일의병운동과도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껀브엉 운동을 외세에 맞서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싸운 정의로운 항쟁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4. 문체와 특징
《월남망국사》는 당시 지식인 계층이 주로 사용하던 글쓰기 방식 및 구조와는 다른 문체를 사용했다. 판보이쩌우는 특히 분석적이고 논쟁적인 부분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스타일을 벗어나 직설적이고 평범한 산문 스타일로 글을 썼다.[3]
5. 국내외 영향
《월남망국사》는 량치차오가 판보이쩌우를 도와 베트남 독립에 대한 지지를 촉구하기 위해 출간한 책으로, 중국, 베트남,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월남'이라는 단어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3]
이 책은 응우옌 왕조의 근대화 실패와 껀브엉 운동을 다루면서, 베트남의 프랑스 식민지 정책을 비판하고 전국적인 독립전선 구축을 주장했다. 또한, 당시 학자들과는 다른 평이한 문체로 쓰여져 더 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갔다.[3]
5. 1. 중국에서의 영향
이 책은 중국에서 최소 다섯 차례 배포되었으며, 처음 두 번의 인쇄는 량치차오의 정기 간행물인 ''신민총보''에 실렸다. 이 책에는 량치차오의 서문이 함께 실렸는데, 이는 베트남과 중국이 외세의 지배에 직면한 상황의 유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3] 이 책은 중국에서 반응을 일으켜, 판보이쩌우가 프랑스 통치하의 베트남 사람들의 삶을 묘사한 것에 충격을 받은 중국 작가들의 후속 에세이를 촉발했다. 또한 중국 작가들은 자국이 근대화에 실패할 경우 비슷한 운명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하는 어두운 내용의 글을 썼다.[3] 이러한 중국의 반응 중 하나는 나중에 판보이쩌우의 동시대인들이 독립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운영하는 학교인 하노이의 동킨 자유 학교에서 교재가 되었다.[3] 그러나 판보이쩌우는 그의 독립 노력을 위한 지원 측면에서 큰 반응을 얻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이 책이 주로 중국인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해 걱정하게 만드는 효과를 냈기 때문이다.[3]5. 2. 베트남에서의 영향
이 책은 중국에서 최소 다섯 차례 배포되었으며, 처음 두 번의 인쇄는 량치차오의 정기 간행물인 ''신민총보''에 실렸다. 이 책에는 량치차오의 서문이 함께 실렸는데, 이는 베트남과 중국이 외세의 지배에 직면한 상황의 유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책은 중국에서 반응을 일으켜, 판보이쩌우가 프랑스 통치하의 베트남 사람들의 삶을 묘사한 것에 충격을 받은 중국 작가들의 후속 에세이를 촉발했다. 또한 중국 작가들은 자국이 근대화에 실패할 경우 비슷한 운명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하는 어두운 내용의 글을 썼다. 이러한 중국의 반응 중 하나는 나중에 판보이쩌우의 동시대인들이 독립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운영하는 학교인 하노이의 동킨 자유 학교에서 교재가 되었다.[3] 그러나 판보이쩌우는 그의 독립 노력을 위한 지원 측면에서 큰 반응을 얻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이 책이 주로 중국인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해 걱정하게 만드는 효과를 냈기 때문이다. ''월남망국사''는 베트남 독자들 사이에서 훨씬 더 좋은 반응을 얻었다. 판보이쩌우는 1905년 8월 처음으로 일본을 떠나 50권의 책을 가지고 베트남으로 갔고, 그 중 추가 사본이 국내에서 제작되었다.[3]5. 3. 조선에서의 영향
1905년에 처음 발간된 《월남망국사》는 발간 직후 조선에도 소개되었다.[5] 1906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황성신문에 발췌되어 연재되기도 했다.[5]통감부 시절이던 1906년 현채는 보성관(普成館)을 통해 국한문혼용체 번역본을 간행하였다. 1907년에는 주시경이 순한글판을 노익형책사(盧益亨冊肆)를 통해 출판하였고, 이상익도 같은 해 이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은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남의 일이 아니라는 충격을 주었으며, 1909년 〈출판법〉에 의하여 ‘치안상의 이유’로 금서 처분되었다.[6]
참조
[1]
서적
Vietnamese Tradition on Trial, 1920-1945
1984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2011
[3]
문서
David G Marr
[4]
웹사이트
Việt Nam vong quốc sử
https://www.dtv-eboo[...]
Tao Đàn. Translated and annotated by Nguyễn Quang Tô
2023-05-23
[5]
웹사이트
월남망국사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929-02-13
[6]
웹사이트
월남망국사(越南亡國史)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