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정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정서원은 전라남도 나주시에 있는 서원이다. 1659년 박순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도내 유림들이 발의하여 1664년에 창건되었으며, 1669년 사액을 받았다. 1868년 서원 훼철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74년 현재 위치로 복원되었다. 김계휘, 심의겸, 정철, 홍천경 등 5위를 제향하고 있으며, 나주 지역의 사족 동향과 서원 향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역사적 보존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64년 설립 - 영국 왕립 해병대
    영국 왕립 해병대는 1664년 창설되어 영국 해군의 일부로, 코만도 역할과 훈련을 담당하며 다양한 작전에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 네덜란드 해병대 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다.
  • 나주시의 향토문화유산 - 경현서원
    경현서원은 조선시대 나주에 건립되어 김굉필을 비롯한 조선 유학자들을 배향한 서원으로, 금양서원으로 건립 후 오현사로 개칭, 정유재란 소실 후 중건, 사액을 거쳐 기대승, 김성일 등을 추가 배향하여 총 7위를 제향한 사액서원으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나주시의 향토문화유산 -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
    《호남절의록》과 《금성삼강록》은 호남, 특히 나주 지역의 충신, 효자, 열녀 등 삼강에 뛰어난 인물들의 사적을 기록한 고문헌으로, 각각 임진왜란 등 난리 참전 인물들의 행적과 나주 지역 삼강 인물들의 사적을 담고 있으며, 이재향이 소장하고 있다.
  • 전라남도의 서원 - 장성 필암서원
    장성 필암서원은 1590년 김인후를 기리기 위해 창건되어 여러 차례 이건과 사액을 거쳐 1672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되어 1975년 사적으로 지정되고 201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호남 유학의 중심지이다.
  • 전라남도의 서원 - 순천 용강서원
    순천 용강서원은 조광조와 교류했던 양팽손과 그의 증손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1821년에 건립되었으며,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70년에 복원되어 현재 제사를 지낸다.
월정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월정서원
월정서원
이름월정서원
한자 표기月井書院
국가나주시
유형향토문화유산
지정 번호16
지정일2011년 7월 26일
주소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406번지
시대1664년 최초 건립, 1974년 현 위치에 재건
소유자월정서원 유회, 홍찬주(종중재산), 홍동희
면적지정구역 :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406번지, 409-3번지 등 2필지 1,934m2

2. 역사

월정서원은 본래 나주 금성산 월정봉 아래에 있었으나,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헐린 뒤 그 자리에 유허비를 세우고 제사를 지내오다가 1974년 현재 위치로 사우와 강당 등을 옮겨 복원하였다.[1] 서원은 1659년(효종 10년) 사암 박순(1523~1589)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지역 유림들의 발의로 시작되어 1664년(현종 5년)에 창건되었고, 1669년(현종 10년) 사액을 받았다.[1] 초대 원장은 민유중, 원이(院貳)는 남구만 등 주로 서인 노론계 인물들이 맡았다.[1] 이후 1787년(정조 11년) 중수되었으며, 1789년(정조 13년)에는 유생들의 상소로 김계휘, 심의겸, 정철, 홍천경 네 명을 추가로 배향하여 총 다섯 명의 인물을 모시게 되었다.[1] 월정서원은 경현서원과 함께 16~17세기 나주 지역의 사족 동향과 서원 운영 방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역사적 가치가 높은 사액서원이다.[1]

2. 1. 건립과 사액

월정서원은 1659년(효종 10년) 사암(沙庵) 박순(1523~1589)의 학덕을 기리고자 전라남도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건립을 추진하였다. 홍탁(洪逴)이 상소를 올려 1664년(현종 5년) 나주 금성산 월정봉 아래(현재 상담비가 세워진 곳)에 처음 세워졌다. 1669년(현종 10년)에는 나라로부터 사액을 받았으며, 초대 원장으로는 민유중, 원이(院貳)로는 남구만이 임명되었다. 이들은 주로 서인 노론 계열 인사들이었다.[1]

1787년(정조 11년)에 서원을 중수하였고, 1789년(정조 13년)에는 유생 38인과 태학 유생들의 상소에 따라 김계휘, 심의겸, 정철, 홍천경을 추가로 배향하여 총 다섯 명의 인물을 모시게 되었다. 그러나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헐리게 되었고, 그 자리에는 유허비를 세우고 제단만 남아 향사를 지냈다. 이후 1974년에 현재의 위치로 사우와 강당 등을 옮겨 복원하였다.[1]

월정서원은 경현서원과 더불어 16~17세기 나주 지역 사족들의 동향과 서원 운영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나주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액서원으로서 역사적 보존 가치가 높다.[1]

2. 2. 운영과 중수

월정서원은 1659년(효종 10년) 박순(朴淳, 1523~1589)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건립을 추진하였다.[1] 홍탁(洪逴)의 상소로 1664년(현종 5년)에 창건되었으며, 1669년(현종 10년)에는 나라로부터 사액을 받았다.[1] 초대 원장은 민유중(閔維重)이, 원이(院貳, 원장을 보좌하는 직책)는 남구만(南九萬)이 맡는 등 주로 서인 노론계 인물들이 서원 운영을 주도하였다.[1]

1787년(정조 11년)에는 서원을 중수(보수 및 증축)하였고, 2년 뒤인 1789년(정조 13년)에는 유생 38명과 태학 유생들의 상소에 따라 김계휘(金繼輝), 심의겸(沈義謙), 정철(鄭澈), 홍천경(洪千璟) 네 명을 추가로 배향(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냄)하여, 기존의 박순을 포함해 총 다섯 분의 위패를 모시게 되었다.[1]

원래 나주 금성산 월정봉 아래에 자리했으나,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헐리게 되었다.[1] 이후 옛 터에 유허비(遺墟碑, 터만 남은 곳에 세우는 비석)를 세우고 제단에서 제사를 지내오다가, 1974년에 현재의 위치로 사우와 강당 등을 옮겨 복원하였다.[1] 월정서원은 경현서원과 더불어 16~17세기 나주 지역 사족들의 동향 및 서원 운영과 관련된 중요한 유적으로, 나주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액서원으로서 역사적 보존 가치가 높다.[1]

3. 지정 사유

월정서원은 본래 나주 금성산(나주) 월정봉 아래에 있었으나, 1868년(고종 5) 서원훼철령에 따라 헐린 자리에 유허비를 세우고 제사를 지내오다가 1974년에 현재의 위치로 사우와 강당 등을 옮겨 다시 세웠다.

이 서원은 1659년(효종 10) 박순(1523~1589)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전라도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건립을 추진하였다. 홍탁( )이 상소를 올려 1664년(현종 5)에 창건되었고, 1669년(현종 10)에는 나라로부터 사액을 받았다. 초대 원장은 민유중( )이 맡았고, 원이(院貳, 부원장 격)는 남구만( )이었으며, 이후 원장들은 주로 서인 노론 계열의 인물들이 역임하였다.

1787년(정조 11)에 서원을 중수하였고, 1789년(정조 13)에는 유생 38명과 성균관 유생들의 상소에 따라 김계휘( ), 심의겸( ), 정철( ), 홍천경( ) 네 명의 인물이 추가로 배향되어, 기존의 박순과 함께 총 다섯 위(位)를 모시게 되었다.

월정서원은 경현서원과 더불어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친 나주 지역 사족들의 동향과 서원을 중심으로 벌어진 향촌 사회의 세력 다툼(서원향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유적이다. 또한 나주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액서원으로서 역사적 보존 가치가 높다.[1]

4. 인물

(내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