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유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유중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아버지이며 노론의 지도자였다. 그는 1651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서인 산당에 속해 예송 논쟁을 거치며 당쟁에 연루되었다. 경신환국 이후 노론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딸 인현왕후가 숙종의 계비가 되면서 권력을 장악했으나,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을 받다 1687년에 사망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효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열양반 - 홍봉한
    홍봉한은 영조와 정조 시대의 권력자이자 정조의 외조부로, 혜경궁 홍씨가 세자빈으로 간택된 후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사도세자 죽음의 책임론과 정조의 개혁 정책에 저항하다 실각한 인물이다.
  • 벌열양반 - 김관주 (조선)
    조선 후기 노론 가문 출신 문신인 김관주는 1765년 문과 급제 후 홍봉한 탄핵으로 유배, 정조 사후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정순왕후의 수렴청정 중단 반대로 파직, 유배 중 사망한 인물이다.
  • 인현왕후 - 민진후
    민진후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민생 안정에 힘썼으며,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경종 묘정에 배향되고 충문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인현왕후 - 인현왕후 (드라마)
    1988년 드라마 인현왕후는 박순애, 강석우, 전인화 등이 출연하여 인현왕후, 숙종, 장희빈을 중심으로 궁중 암투와 권력 다툼을 그린 신봉승 극본의 작품이다.
  • 1687년 사망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폴란드 그단스크 출신의 천문학자이자 맥주 양조업자였던 요하네스 헤벨리우스는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하여 달 지형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고, 혜성 관측 및 궤도 이론 제시, 새로운 별자리 정의 등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여 그의 이름이 붙은 천체들이 존재한다.
  • 1687년 사망 - 르네 로베르 카벨리에 드 라 살
    프랑스 탐험가 르네 로베르 카벨리에 드 라 살은 북아메리카 내륙 탐험과 프랑스령 루이지애나 선포, 미시시피 강을 따라 멕시코 만에 이르는 항해 등으로 알려졌으나, 텍사스 식민지 건설 실패 후 부하들의 반란으로 암살당했다.
민유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여양부원군 민유중
원어명驪陽府院君 閔維重
출생일1630년 11월 13일
사망일1687년 6월 29일 (향년 58세)
국적조선
국가조선국
정치 경력
임기1672년 11월 9일 ~ 1672년 11월 21일
군주현종 이연
직책한성부 판윤
정당서인 후예 성향 노론 세력
기타 정보
종교유교(성리학)
부모민광훈(부), 연안 이씨 부인(모)
배우자초취 해풍부부인 덕수 이씨
계취 은성부부인 은진 송씨
삼취 풍창부부인 풍양 조씨
그 이외 측실 1명
자녀민진후(적장남)
민진원(적차남)
인현왕후 여흥 민씨(적차녀)
민진창(서자)
민진영(적삼남)
민진오(서자)
형제민시중(형)
민정중(형)
친인척민기(친조부)
민익수(친손)
경력평안도 관찰사

2. 생애

민광훈의 아들이자 송준길의 사위로, 송시열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651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 서인노론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1674년 예송 논쟁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1680년 경신환국으로 복귀하여 노론의 지도자로 남인을 몰아내는 데 앞장섰다. 1681년인현왕후숙종의 계비가 되면서 국구(國舅)로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지만, 지나친 권력 남용으로 소론은 물론 같은 노론에게서도 비판을 받았다. 결국 1687년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칩거하던 중 58세로 사망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민광훈과 연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선조우의정을 지낸 민기이고, 어머니는 이광정의 딸이다. 어머니 연안 이씨를 통해 남인 청남파 홍우원 및 탁남파 허적 등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허적은 어머니 연안 이씨의 친정어머니 양천 허씨의 친정 조카였고, 홍우원은 어머니 연안 이씨의 여동생의 남편으로, 민유중에게 대이모부가 된다. 그러나 예송 논쟁을 계기로 이들과의 사이는 다소 멀어지게 된다.

학자 민시중과 관료 민정중은 그의 형이었다.

본래 동춘당 송준길의 문하였으나, 송준길의 딸 은진 송씨를 계실로 맞이하면서 송시열의 문하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후 송준길송시열을 스승으로 받들고 그들의 예론을 지지했다.

2. 2. 관료 생활과 당파 활동

민광훈과 부인 이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선조 때의 우의정 민기(閔機)이고 어머니는 연안 이씨로 이광정의 딸이다. 어머니 연안이씨를 통해 남인의 청남파 홍우원, 남인 탁남파 허적 등과도 인척간이 되었다. 허적은 어머니 연안이씨의 친정어머니 양천허씨의 친정 조카였고, 홍우원은 그보다 더 가까워서 어머니 연안이씨의 여동생의 남편으로, 홍우원은 그에게 대이모부가 된다. 그러나 예송 논쟁을 계기로 이들과의 사이는 다소 벌어지게 된다.

학자 민시중과 관료 민정중은 그의 형들이었다. 특히 민정중은 조정에 적극 참여하여 시정의 폐단을 개혁하는데 앞장섰고, 인재 발탁, 부조리 혁파 등에 앞장섰으며 남인계 인사들도 정계에 끌어들였다. 그러나 예송 논쟁과 일부 남인희빈 장씨를 적극적으로 미는 것을 계기로 이들 형제와 남인은 타협할 수 없는 원수가 된다.

본래 동춘당 송준길의 문하였지만 송준길의 딸 은진 송씨를 계실로 맞이함으로써 다시 송시열의 문하로 가게 되어, 송시열의 문하가 되었다. 이후 송준길송시열을 사표로 받들고 그들의 예론을 지지했다.

1651년 증광시 문과에 병과 15위로 급제, 1656년(효종 7년) 정언, 사서, 지평, 헌납, 부교리, 이조 정랑, 교리, 수찬, 부응교, 응교, 사간, 집의, 병조 정랑, 1665년 전라도 관찰사, 이조참의, 대사간, 동부승지, 우승지, 대사성, 부제학, 형조참의, 충청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 1671년 형조 판서, 대사헌, 호조 판서, 한성부 판윤, 우참찬 등을 역임했다. 당파는 서인, 그 중에서도 송시열송준길을 주축으로 하는 산당(山黨)에 속하였으며 이에 김육을 주축으로 한 한당(漢黨)을 공격하여 김육의 아들인 김좌명·김우명(명성왕후 김씨의 아버지) 형제와 김석주(김좌명의 아들)과 크게 불화하였다. 이후 우참찬좌참찬을 지내면서 우빈객과 지경연사를 겸하지만 1674년 2차 예송논쟁으로 송시열을 위시한 산당이 실각하게 되었고, 곧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을 집권당으로 교체하자 분개하여 벼슬을 내놓고 충주에서 지냈다. 이후 남인의 탄핵을 받아 흥해(경상북도 영일군의 읍)에 유배되었다. 1680년 경신환국으로 다시 등용되어 송시열의 최측근이자 김석주와 연계한 형 민정중을 도와 남인을 출척하는데 앞장서 실세가 되었으며, 이 과정 중에 서인이 다시 분열하여 노론소론으로 분당하자 노론이 되었다. 이후 공조판서와 호조판서를 거쳐서 판의금부사와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1681년 병조판서로 역임할 당시 계실 은진 송씨의 소생 둘째 딸(인현왕후)이 송시열김석주의 추천을 받아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 이에 국구로 등극하여 여양부원군과 영돈녕부사가 되었고, 이듬해 금위영 창설을 주도하여 금위대장을 역임했다. 국구로서 병권과 재권을 독점장악하고 공사를 마음대로 처리하며, 친인척이 관직을 독점한다는 비판 상소가 쇄도했고, 소론 종주인 윤증숙종에게 제수받은 관직을 고사하면서 그 이유로 삼척(三戚: 청풍김씨, 광산김씨, 여흥민씨)의 위세를 대놓고 꼬집기도 했다.[1] 같은 노론인 이징명조차 "연이은 재해의 원인은 외척의 세도가 기승한 탓이니 곤성(坤聖: 왕비. 인현왕후)을 면계하라(勉戒: 주의를 주어 깨우치게함)"는 비판상소를 올려 이징명이 국모의 명예를 훼손한 죄목으로 엄형을 받아[2] 노론측의 동요가 컸다. 분개한 민유중은 사위인 숙종에게 면담을 청하여 자신을 모독한 이징명과 윤경교(소론)를 엄벌할 것을 종용하였다가 이후 숙종을 사적으로 만나지 못하게 되었고[3], 모든 관직을 내어놓고 자택에서 두문불출하다가 다음해인 1687년 6월 29일[4] 58세로 사망하였다.[5]

2. 3. 예송 논쟁과 유배

1651년 증광시 문과에 병과 15위로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671년 형조 판서, 대사헌, 호조 판서, 한성부 판윤, 우참찬 등을 역임했다. 당파는 서인 중에서도 송시열송준길을 따르는 산당(山黨)에 속했다. 김육을 중심으로 하는 한당(漢黨)을 공격하여 김좌명, 김우명, 김석주 등과 크게 불화하였다. 우참찬좌참찬을 지내면서 우빈객과 지경연사를 겸했지만, 1674년 제2차 예송 논쟁으로 송시열을 비롯한 산당이 실각하고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이 집권하자, 분개하여 벼슬을 내놓고 충주에서 지냈다. 이후 남인의 탄핵을 받아 경상북도 영일군의 흥해에 유배되었다.[1]

2. 4. 경신환국과 노론의 지도자

1674년 2차 예송 논쟁으로 송시열을 위시한 산당이 실각, 숙종이 즉위하여 남인을 집권당으로 교체하자 분개하여 벼슬을 내놓고 충주에서 지냈다. 이후 남인의 탄핵을 받아 흥해(경상북도 영일군의 읍)에 유배되었다.[1] 1680년 경신환국으로 다시 등용되어 송시열의 최측근이자 김석주와 연계한 형 민정중을 도와 남인을 몰아내는데 앞장서 실세가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서인이 다시 노론소론으로 분열되자 노론이 되었다. 이후 공조판서와 호조판서를 거쳐서 판의금부사와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2. 5. 인현왕후 책봉과 권력 장악

1681년 병조판서로 재직 중, 민유중의 둘째 딸(인현왕후)이 송시열김석주의 추천으로 숙종의 계비가 되었다.[1] 이에 민유중은 국구(國舅, 임금의 장인)로서 여양부원군과 영돈녕부사에 봉해졌고, 이듬해 1682년에는 금위영 창설을 주도하여 금위대장을 역임했다.

국왕의 장인이 된 민유중은 병권과 재정을 독점하고, 공사(公事)를 마음대로 처리하며, 친인척들이 관직을 독점한다는 비판 상소가 빗발쳤다. 소론의 종주였던 윤증숙종이 내린 관직을 거절하며, 그 이유로 청풍 김씨, 광산 김씨, 여흥 민씨 등 삼척(三戚)의 위세를 대놓고 비판하기도 했다.[1]

같은 노론인 이징명조차 "연이은 재해의 원인은 외척의 세도가 심하기 때문이니 곤성(坤聖, 왕비. 인현왕후)을 면계(勉戒, 주의를 주어 깨우치게 함)하라"는 비판 상소를 올렸다. 이로 인해 이징명은 국모의 명예를 훼손한 죄목으로 엄한 형벌을 받았고,[2] 노론 측은 크게 동요했다.

이에 분개한 민유중은 사위인 숙종에게 면담을 청하여 자신을 모독한 이징명과 윤경교(소론)를 엄벌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 사건 이후 숙종은 민유중을 사적으로 만나지 못하게 했고,[3] 민유중은 곧 모든 관직을 내려놓고 자택에서 칩거하다가 다음 해인 1687년 6월 29일[4] 58세로 사망하였다.[5]

2. 6. 권력 남용 비판과 죽음

1681년 병조판서로 재직 중, 둘째 딸(인현왕후)이 송시열김석주의 추천으로 숙종의 계비가 되면서 국구(國舅, 임금의 장인)가 되었다. 여양부원군과 영돈녕부사에 봉해졌고, 1682년에는 금위영 창설을 주도하여 금위대장을 겸임했다. 그러나 국왕의 장인으로서 병권과 재정을 독점하고, 공적인 일을 마음대로 처리하며, 친인척들이 요직을 독점한다는 비판 상소가 잇따랐다.[1]

소론의 종주였던 윤증숙종이 내린 관직을 거절하면서, 그 이유로 삼척(三戚, 청풍 김씨, 광산 김씨, 여흥 민씨)의 위세를 대놓고 지적하기도 했다.[1] 심지어 같은 노론이었던 이징명조차 "연이은 재해의 원인은 외척의 세도가 심하기 때문이니, 곤성(坤聖, 왕비 인현왕후)을 면계(勉戒, 주의를 주어 깨우치게 함)해야 한다"는 비판 상소를 올렸다. 이로 인해 이징명은 국모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죄목으로 엄한 형벌을 받았다.[2] 이에 노론 측은 크게 동요했다.

크게 분노한 민유중은 사위인 숙종에게 면담을 요청하여 자신을 모욕한 이징명과 소론 윤경교를 엄벌할 것을 강하게 요구했다. 그러나 이 일로 인해 숙종을 사적으로 만나는 것이 금지되었고,[3] 결국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자택에서 칩거하다가 다음 해인 1687년 6월 29일[4] 5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5]

사후 여주 섬락리에 안장되었으며,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효종의 묘정과 장흥의 연곡서원, 벽동의 구봉서원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며, 경학에 매우 밝은 유학자였다.

2. 7. 사후

사후 여주 섬락리에 안장되었고,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효종의 묘정과 장흥의 연곡서원, 벽동의 구봉서원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고, 경학에 밝은 유학자였다.[5]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민기(閔機)
아버지민광훈(閔光勳)
어머니연안 이씨이광정의 딸
형님민정중(閔鼎重)
누이여흥 민씨
정실(正室)덕수 이씨(德水 李氏)해풍부부인(海豊府夫人), 순화군의 외손녀, 이경증의 딸
1계실(一繼室)은진 송씨(恩津 宋氏)은성부부인(恩城府夫人), 송준길의 딸
장남민진후(閔鎭厚)
손자민익수(閔翼洙)민기현의 조부, 민치록의 증조부, 명성황후의 고조부
손자민우수(閔遇洙)
차남민진원(閔鎭遠)
손자민창수(閔昌洙)
손자민형수(閔亨洙)순명효황후의 5대조
손자민통수(閔通洙)
장녀여흥 민씨이만창에게 출가
차녀인현왕후
삼녀여흥 민씨신석화에게 출가
2계실(二繼室)풍양 조씨(豊壤 趙氏)풍창부부인(豊昌府夫人)
삼남민진영(閔鎭永)
손자민악수(閔樂洙)여흥부대부인 민씨의 증조부
손자민각수(閔覺洙)
사녀여흥 민씨이장휘에게 출가
오녀여흥 민씨홍우조에게 출가
첩실(妾室)
서자민진창(閔鎭昌)민진영의 서형
서자민진오(閔鎭五)민진영의 서제
서녀이만(李熳)의 처
서녀유현(柳絢)의 처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이며 명성황후, 순명효황후의 6대조, 7대조가 된다.[6]

4. 평가

송시열송준길을 사표로 받들고 그들의 예론을 지지하였다. 서인 중에서도 송시열송준길을 주축으로 하는 산당(山黨)에 속하였으며, 김육을 주축으로 한 한당(漢黨)을 공격하여 김육의 아들인 김좌명, 김우명(명성왕후 김씨의 아버지) 형제와 김석주(김좌명의 아들)와 크게 불화하였다.[1] 1680년 경신환국으로 다시 등용되어 송시열의 최측근이자 김석주와 연계한 형 민정중을 도와 남인을 몰아내는데 앞장섰으며, 이 과정에서 서인노론소론으로 분열되었고, 민유중은 노론이 되었다.

1681년 둘째 딸(인현왕후)이 송시열김석주의 추천을 받아 숙종의 계비가 되면서 국구가 되어 여양부원군과 영돈녕부사에 올랐다. 그러나 국구로서 병권과 재정을 독점하고, 공사를 마음대로 처리하며, 친인척이 관직을 독점한다는 비판 상소가 쇄도했고, 소론 종주인 윤증숙종에게 제수받은 관직을 고사하면서 그 이유로 삼척(三戚: 청풍김씨, 광산김씨, 여흥민씨)의 위세를 대놓고 꼬집기도 했다.[1] 같은 노론인 이징명조차 "연이은 재해의 원인은 외척의 세도가 기승한 탓이니 곤성(坤聖: 왕비. 인현왕후)을 면계하라(勉戒: 주의를 주어 깨우치게함)"는 비판 상소를 올려 이징명이 국모의 명예를 훼손한 죄목으로 엄형을 받기도 했다.[2] 분개한 민유중은 숙종에게 면담을 청하여 자신을 모독한 이징명과 윤경교(소론)를 엄벌할 것을 종용하였다가 이후 숙종을 사적으로 만나지 못하게 되었다.[3]

사후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효종의 묘정과 장흥의 연곡서원, 벽동의 구봉서원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고, 경학에 밝은 유학자였다.

5. 관련 작품

다음은 민유중을 다룬 작품들이다.


5. 1. 드라마

6. 기타

남인 온건파 영수인 허적은 민유중의 외가 쪽 당숙뻘 되는 외척으로, 그의 외할머니 양천 허씨의 친정 조카였다.

참조

[1] 실록 숙종실록 14권, 9년(1683 계해 / 청 강희(康熙) 22년) 5월 5일(병오) 2번째기사
[2] 실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7권, 12년(1686 병인 / 청 강희(康熙) 25년) 7월 6일(무자) 1번째기사
[3] 실록 숙종실록 17권, 12년(1686 병인 / 청 강희(康熙) 25년) 8월 6일(무오) 3번째기사
[4] 실록 여양 부원군 민유중의 졸기 http://sillok.histor[...] 1687
[5] 문서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