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디오미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디오미터는 기체의 부피 변화를 측정하는 장치로, 1777년 알레산드로 볼타에 의해 발명되었다. 초기에는 공기의 순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기체 반응 연구에 활용되었다. 유디오미터는 눈금 실린더와 유사한 구조로, 기체 샘플을 가두어 부피 변화를 측정하거나, 백금 전선을 통해 전기 불꽃을 발생시켜 반응을 유도하고 부피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헨리 캐번디시는 유디오미터를 사용하여 대기 중 산소의 비율을 측정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측기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계측기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디오미터
개요
종류실험 기구
용도기체 혼합물의 부피 변화 측정
주요 실험물의 조성
발명가마르실리오 란드리아니
관련 항목기압계
뷰렛

2. 역사

유디오미터는 기체 혼합물의 부피 변화를 측정하여 화학 반응을 분석하는 장치로, 이름은 초기에 공기의 깨끗한 정도("좋음", εὐδία|에우디아grc와 μέτρον|메트론grc의 합성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 것에서 유래했다. 일반적으로 눈금 실린더 형태를 띠며, 이나 수은을 이용해 기체를 가두고 부피를 측정한다. 특정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전기 불꽃을 사용하기도 한다.

18세기 후반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개량되었다. 1772년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수은을 이용한 개선된 기체 수집조를 사용하여 산소, 염화수소, 암모니아 등 여러 새로운 기체를 발견했으며, 아산화 질소를 이용해 공기의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했다.[2] 그는 이 방법을 "아산화 질소 검사"라고 불렀다.[1]

마르실리오 란드리아니는 1775년경 피에트로 모스카티와 함께 프리스틀리의 방법을 정량화하려 시도하며, 자신이 사용한 눈금 실린더 형태의 장치에 공기의 건전성을 측정한다는 의미로 '유디오미터'라는 이름을 붙였다.[2] 모스카티의 동료였던 펠리체 폰타나 역시 비슷한 원리의 유디오미터를 설계하여 공기의 질을 정량화하는 연구를 수행했다.[3]

마젤란(J.H. de Magellan)의 유디오미터, 테일러스 박물관


알레산드로 볼타는 1777년 전기 불꽃을 이용하여 기체 혼합물 내에서 반응을 일으키는 방식의 유디오미터를 개발했다.[4][5] 이 장치는 공기의 "양호도"를 시험하거나 기체의 가연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특히 '볼타의 권총'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6] 볼타의 이러한 전기 관련 연구는 훗날 전압 단위인 볼트 명명의 기반이 되었다.[7]

얀 잉겐호우스는 유디오미터를 사용하여 광합성 연구에 기여했는데, 햇빛을 받은 식물 잎이 물속에서 내뿜는 기포가 산소임을 확인했다. 그는 1785년 유디오미터에 대해 글을 쓰면서 당시 여러 다른 장치들이 부정확하게 유디오미터로 불리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1] 같은 해, 헨리 캐번디시는 유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지구 대기산소의 비율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2. 1. 초기 기원과 발전

유디오미터는 측정하려는 화학 반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의 이름은 초기에 공기의 깨끗한 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것에서 유래했다. 일반적으로 유디오미터는 이나 수은 속에 일부가 잠겨 있는 눈금 실린더 형태를 띤다. 실린더 안의 액체는 기체 시료를 가두는 역할을 하며, 눈금을 통해 기체의 부피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특정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두 개의 백금 선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서 전기 불꽃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불꽃은 기체 혼합물 내에서 반응을 유발하고, 반응 전후의 부피 변화는 실린더 눈금을 통해 확인한다. 작동 방식은 초기의 기압계와 유사하지만, 유디오미터 안의 기체가 액체 일부를 밀어내고 그 공간을 차지한다는 차이가 있다.

1772년, 조지프 프리스틀리[2]는 물 대신 수은을 사용하는 개량된 기체 수집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공기"(기체)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 수은을 사용함으로써 물에 잘 녹는 기체들도 효과적으로 포집하고 연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프리스틀리는 산소, 염화수소, 암모니아 등 여러 새로운 기체를 발견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그는 "아산화 질소 검사"를 개발하여 공기의 순도, 즉 "좋음"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 방법은 아산화 질소(NO)가 공기 중의 산소(O2)와 반응하여 이산화 질소(NO2)로 변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 2 NO + O2 → 2 NO2

NO2는 NO보다 물에 훨씬 잘 녹기 때문에, 일정량의 공기를 물 위에서 NO와 혼합하면 생성된 NO2가 물에 녹아들어가면서 전체 기체의 부피가 줄어든다. 공기 중에 산소가 많을수록 더 많은 NO2가 생성되어 녹으므로, 부피 감소량은 더 커진다. 이를 통해 공기 중 산소의 비율, 즉 공기의 "좋음"을 측정할 수 있었다.[1]

마르실리오 란드리아니는 피에트로 모스카티와 함께 기체 화학을 연구하면서 프리스틀리가 개발한 아산화 질소 검사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려 시도했다. 란드리아니는 물 위에 놓인, 눈금이 새겨진 길쭉한 실린더 형태의 기체 수집 장치를 사용했는데, 이것이 공기의 "좋음"(euda)을 측정하는 기구라는 의미에서 '유디오미터'라고 명명했다.[2] 모스카티의 동료였던 펠리체 폰타나 역시 비슷한 원리의 유디오미터를 설계하여 공기의 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했다.[3]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1745–1827)는 1777년, 공기의 "좋음"을 시험하거나 기체의 가연성을 분석하고 전기의 화학적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유디오미터를 개발했다.[4][5] 그의 유디오미터는 특히 늪 기체(주로 메탄) 연구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실험 장치로서의 기능 외에도 '볼타의 권총'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6] 볼타의 권총은 유디오미터처럼 윗부분이 막힌 긴 유리관 형태였고, 관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이 설치되어 전기 불꽃을 일으킬 수 있었다. 산소와 다른 기체를 채우고 코르크로 입구를 막은 뒤, 볼타가 개발한 대전기를 이용해 전극 사이에 불꽃을 일으켜 정전기 반응을 유도했다. 만약 기체가 가연성이라면 폭발이 일어나 내부 압력이 급격히 높아져 코르크 마개가 공중으로 튀어 나가게 만들었다. 볼타의 권총은 유리나 황동으로 제작되었으나, 유리는 전기 충격이나 폭발로 인해 깨지기 쉬웠다. 볼타는 전지전기 분야에 큰 공헌을 했으며, 높은 수준의 전류를 측정하고 생성하는 그의 광범위한 연구 업적을 기려 전압의 단위인 볼트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얀 잉겐호우스는 아산화 질소 검사를 이용하는 유디오미터를 사용하여, 햇빛을 받은 식물 잎이 물속에서 내뿜는 기포가 산소임을 확인했다. 그의 광합성에 대한 설명은 1779년에 출판되었으며, 1785년에는 ''Journal de Physique''(v 26, p 339)에 유디오미터에 관해 기고했다. 그는 전기를 이용하는 유디오미터에 대해 언급하며, "엄밀히 말해 그 이름에 걸맞지 않은 많은 기구들이 유디오미터라고 불리고 있으며... 모든 사람이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오해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1]

1785년에는 헨리 캐번디시가 유디오미터를 사용하여 지구 대기 중 산소의 비율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2. 2. 유디오미터의 명명과 정량화

이 장치는 측정되는 반응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름은 본래 공기의 깨끗한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던 것에서 유래했다.

1772년, 조지프 프리스틀리[2] 대신 수은을 사용하여 물에 잘 녹는 기체를 포집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재설계한 기체 수집조를 이용해 다양한 "공기"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프리스틀리는 산소, 염화수소, 암모니아와 같은 여러 새로운 기체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공기의 순도 또는 "양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아산화 질소 검사" 방법을 개발했다. 이 검사는 일산화 질소(NO)가 공기 중 산소(O2)와 반응하여 이산화 질소(NO2)로 산화되는 반응과, 생성된 NO2가 NO보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더 크다는 점을 이용한다.

: 2 NO + O2 → 2 NO2

일정량의 공기를 물 위에서 NO와 혼합하면, 산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NO2가 물에 녹아들어가면서 기체의 전체 부피가 줄어든다. 공기 중에 산소가 많을수록 더 많은 NO2가 생성되어 용해되므로, 부피 감소량은 더 커진다.[1]

마르실리오 란드리아니는 피에트로 모스카티와 함께 기체 화학을 연구하며 프리스틀리가 개발한 아산화 질소 검사를 정량화하려고 시도했다. 란드리아니는 물 위에 놓인, 눈금이 매겨진 길쭉한 실린더 형태의 기체 수집 장치를 사용했으며, 공기의 건전성(salubrity)을 측정한다는 의미에서 이를 유디오미터라고 명명했다.[2] 모스카티의 동료였던 펠리체 폰타나 역시 같은 원리에 기반한 유디오미터를 설계하여 공기의 건전성을 정량화하는 연구를 수행했다.[3]

아산화 질소 검사를 이용한 유디오미터는 얀 잉겐호우스가 광합성 연구에 활용한 도구이기도 했다. 그는 이를 통해 햇빛에 노출된 식물 잎이 물 속에서 방출하는 기포가 산소임을 확인했다. 잉겐호우스는 1779년에 광합성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으며, 1785년에는 ''Journal de Physique'' (v 26, p 339)에 유디오미터에 관해 기술하면서, 당시 "엄밀히 말해 그 이름을 받을 자격이 없는 많은 기기가 유디오미터라고 불렸다"고 지적하며 용어 사용의 혼란 가능성을 언급했다.[1]

전기를 활용하는 형태의 유디오미터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1745–1827)에 의해 개발되었다.[4][5] 볼타는 전지와 전기에 대한 기여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전압의 단위인 볼트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7] 그는 1777년에 공기의 "양호도"를 시험하거나 기체의 가연성을 분석하고, 전기의 화학적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이 기구를 발명했으며, 특히 늪 가스 연구에 초기에 활용했다. 실험실 기능 외에도 유디오미터는 "볼타의 권총"이라는 장치에 사용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6] 볼타의 권총은 유디오미터처럼 윗부분이 막힌 긴 유리관 구조에 두 개의 전극이 관통하여 내부에 스파크 갭을 형성하는 형태였다. 이 관에 산소와 다른 기체를 채우고 코르크로 막은 뒤, 전극 사이에 스파크를 발생시켜 정전기를 이용해 기체 반응을 촉매했다. 만약 기체가 가연성이라면 폭발이 일어나 내부 압력이 급증했고, 이 압력으로 인해 코르크가 공중으로 튀어 나가기도 했다. 볼타의 권총은 유리나 황동으로 만들어졌으나, 유리는 전기 스파크로 인한 폭발에 취약했다.[7]

1785년에는 헨리 캐번디시가 유디오미터를 사용하여 지구 대기 중 산소의 비율을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2. 3. 폰타나와 잉겐호우스의 기여

마르실리오 란드리아니가 유디오미터라는 이름을 붙인 후, 피에트로 모스카티의 동료였던 펠리체 폰타나 역시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유디오미터를 설계하고 공기의 건전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했다.[3]

얀 잉겐호우스는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고안한 아산화 질소 검사법을 유디오미터에 적용하여 중요한 발견을 했다. 그는 햇빛을 받은 식물의 잎에서 나오는 기포가 산소임을 유디오미터를 통해 확인했다. 이는 광합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이 내용은 1779년에 출판되었다. 잉겐호우스는 1785년 ''Journal de Physique'' (v 26, p 339)에 유디오미터에 관한 글을 기고하기도 했는데, 이 글에서 그는 당시 다양한 기기들이 부정확하게 유디오미터라고 불리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엄밀히 말해 그 이름을 받을 자격이 없는 많은 기기가 유디오미터라고 불렸으며... 모든 사람이 동일한 기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오해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1]

2. 4. 알레산드로 볼타의 유디오미터 개량

유디오미터의 전기를 이용한 버전은 전지전기에 대한 기여로 잘 알려진 이탈리아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1745–1827)[4]에 의해 개발되었다.[5] 볼타는 1777년에 공기의 "양호도"(깨끗한 정도)를 테스트하거나, 기체의 가연성을 분석하거나, 전기의 화학적 효과를 시연할 목적으로 이 기구를 발명했다. 그의 유디오미터는 실험실 기능 외에도 "볼타의 권총"으로도 알려져 있다.[6]

볼타의 권총은 유디오미터처럼 윗부분이 닫힌 긴 유리관 형태였다. 두 개의 전극이 관을 통과하여 내부에 스파크 갭(spark gap)을 만들었다. 볼타는 처음에 이 기구를 특히 늪 가스 연구에 사용했다. 볼타의 권총은 산소와 다른 기체로 채워졌고, 균일 혼합물 상태에서 코르크로 밀봉되었다. 전극을 통해 가스실에 불꽃(스파크)을 일으키면, 볼타의 대전기를 이용한 정전기에 의해 반응이 촉매될 수 있었다. 만약 기체가 가연성이라면 폭발하여 가스실 내부의 압력이 크게 증가했다. 이 압력은 코르크 마개를 공중으로 날려 보낼 만큼 강력했다. 볼타의 권총은 유리나 황동으로 만들어졌는데, 전기로 인한 폭발 때문에 유리는 파손되기 쉬웠다.

볼타는 높은 수준의 전류를 측정하고 생성하는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전기 분야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를 기려 전압의 단위인 볼트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2. 5. 헨리 캐번디시의 대기 조성 연구

1785년 헨리 캐번디시는 유디오미터를 사용하여 지구 대기산소의 비율을 결정했다.

3. 구조 및 작동 원리

유디오미터는 측정하려는 반응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쪽이 막힌 눈금 실린더와 비슷한 모양이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크기는 50 mL와 100 mL이다. 아래쪽 끝을 이나 수은과 같은 액체에 담가 기체 시료를 가두고 그 부피를 눈금을 통해 측정한다.

일부 반응에서는 밀봉된 위쪽 끝에 두 개의 백금 전선을 설치하여 전기 불꽃을 일으키기도 한다. 백금은 반응성이 낮아 전극 재료로 주로 사용된다. 이 불꽃은 실린더 안의 기체 혼합물에서 화학 반응을 유도하며, 반응 전후의 부피 변화를 눈금으로 읽어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사용 원리는 기압계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유디오미터는 내부의 기체가 액체를 밀어내어 공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 1. 구조

반응 측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눈금 실린더와 유사한 모양이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크기는 50ml와 100ml 두 가지이다. 윗부분은 막혀 있고 아랫부분은 이나 수은 속에 잠겨 있는 구조이다. 이 액체는 실린더 내부에 기체 샘플을 가두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의 눈금을 통해 기체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반응에서는 밀봉된 위쪽 끝부분에 두 개의 백금 전선을 설치하기도 한다. 백금은 반응성이 낮아 전선 재료로 선택된다. 이 전선들 사이에 전기 불꽃을 일으켜 실린더 안의 기체 혼합물에서 화학 반응을 시작시킬 수 있다. 반응 후에는 실린더의 눈금을 읽어 부피 변화를 확인한다. 유디오미터의 사용 방식은 원래의 기압계와 비슷하지만, 실린더 내부의 기체가 액체를 밀어낸다는 차이점이 있다.

3. 2. 작동 원리

반응 측정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눈금 실린더와 유사한 모양이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크기는 50 mL와 100 mL 두 가지이다. 위쪽 끝은 막혀 있고 아래쪽 끝은 이나 수은과 같은 액체 속에 잠기게 된다. 이 액체는 실린더 내부에 기체 샘플을 가두는 역할을 하며, 실린더의 눈금을 통해 기체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반응에서는 밀봉된 위쪽 끝에 두 개의 백금 전선을 설치하기도 한다. 백금은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주로 사용된다. 이 전선들 사이에 전기 불꽃을 일으켜 기체 혼합물 내에서 화학 반응을 시작시킬 수 있다. 반응이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기체의 부피 변화는 실린더의 눈금을 읽어 확인할 수 있다. 이 장치의 사용 원리는 기압계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내부 기체가 액체를 밀어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디오미터 개략도


유디오미터는 기체 분석이나 화학 반응에서 발생하는 부피 차이를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실험 시에는 먼저 유디오미터를 로 채운 뒤, 열린 끝이 아래를 향하도록 거꾸로 뒤집어 물통에 담근다 (이때 물이 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기체를 발생시키는 화학 반응을 진행하는데, 보통 한 반응물은 유디오미터 바닥에 두고 (뒤집었을 때 아래로 흐르도록), 다른 반응물은 유디오미터 입구 근처에 매달아 둔다. 이때 반응물을 매달기 위해 낮은 반응성을 가진 백금이나 구리 선을 사용한다. 화학 반응 결과 생성된 기체는 위로 올라가 유디오미터 상단에 모이게 되며, 실험자는 특정 시점에서 생성된 기체의 부피를 눈금을 통해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에 최종 부피를 측정한다. 이 방법은 이상 기체 법칙의 기체 상수 R 값을 실험적으로 결정하는 등 다양한 실험에 사용된다.

유디오미터는 구조적으로 기상학에서 사용하는 기압계와 유사하며, 액체 기둥을 이용해 기체의 부피를 측정 가능하게 만든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러한 실험을 수행할 때는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기체의 밀도가 압력에 따라 변하며, ''PV''=''nRT'' (이상 기체 방정식)와 관련된 계산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0]

4. 활용



유디오미터는 기체 분석이나 화학 반응에서의 부피 차이를 측정하는 데 활용된다. 유디오미터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디오미터에 을 채운 뒤, 열린 끝을 아래로 향하게 거꾸로 뒤집어 물통에 담근다. 이때 열린 끝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기체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한쪽 반응물은 보통 유디오미터 바닥에 놓는다 (유디오미터를 뒤집으면 아래로 흐르게 됨). 다른 반응물은 유디오미터 테두리에 매달아 두는데, 이때는 반응성이 낮은 백금이나 구리 선을 주로 사용한다. 화학 반응 결과 기체가 생성되면, 이 기체는 유디오미터 위쪽으로 올라가 모이게 된다. 실험자는 언제든지 생성된 기체의 부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보통 반응이 완전히 끝난 후에 최종 부피를 측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실험적으로 이상 기체 법칙 상수 R 값을 결정하는 실험을 포함한 여러 실험에서 사용된다.

유디오미터는 기상학에서 사용하는 기압계와 구조가 비슷하다. 유디오미터 역시 물을 이용하여 기체를 튜브 안으로 방출시켜, 눈으로 보고 측정 가능한 양으로 만든다. 이러한 실험을 할 때는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체의 밀도는 압력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PV''=''nRT''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와 관련된 계산에서 압력 값은 필수적이다.[10]

5. 어원

"유디오미터"라는 이름은 맑거나 온화함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εὔδιος|에우디오스gre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는 "좋은"을 의미하는 접두사 eu-|에우-grc와 "천상의" 또는 "제우스의" (하늘과 대기의 신)를 의미하는 -dios|디오스grc가 조합된 것이다. 여기에 "측정"을 의미하는 접미사 '-meter'가 결합된 형태이다.[8] 유디오미터는 원래 "좋은" 날씨에 더 많다고 여겨졌던 공기 중의 산소 양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9] 어근 eudio-|에우디오-grc는 이 장치를 설명하는 데 적합한 이름이었다.

참조

[1] 서적 From Sunlight to Insight. Jan IngenHousz, the discovery of photosynthesis & science in the light of ecology VUB Press
[2] 웹사이트 Eudiometer http://brunelleschi.[...]
[3] 웹사이트 Landriani's eudiometer https://www.chemistr[...]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20-02-19
[4] 서적 Connections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5] 웹사이트 "Volta: A pioneer in Electrochemistry" http://www.italian-a[...] 2008-01-13
[6] 문서 Apparatus for Natural Philosophy Volta's Pistol 2008-01-17
[7] 웹사이트 Eudiometer http://physics.kenyo[...]
[8] 사전 Eudiometer New World Dictionary
[9] 사전 Eudiometer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10] 웹사이트 Carlton Comprehensive Public High School https://web.archive.[...] 2008-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