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연성은 물질이 불에 타거나 연소될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역사적으로 "flammable", "inflammable", "combustible"은 모두 "탈 수 있는"을 의미했지만, "inflammable"이 "불에 타지 않는"으로 오해될 수 있어 1950년대 이후 "flammable"이 표준 용어로 사용된다. 가연성은 인화점, 발화점, 연소 범위, 증기압 등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며, 건축 자재, 가구, 섬유 등의 가연성은 화재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가연성은 건축법, 소방법 등 다양한 법규로 규제되며, 한국에서도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소방법, 조례 등을 통해 가연성 물질의 취급을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재 방호 - 백드래프트
백드래프트는 밀폐 공간 화재 시 산소 부족으로 불완전 연소된 가연성 가스가 축적된 상태에서 산소가 갑자기 공급될 때 폭발적으로 연소하는 현상이다. - 화재 방호 - 방화문
방화문은 화재 확산을 막고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문으로, 내화 성능과 작동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관련 법규에 따라 설치 및 관리되고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 화학적 성질 - 에너지 준위
에너지 준위는 양자 역학적 계에서 입자가 가질 수 있는 특정 에너지 값으로, 원자 내 전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분자에서는 전자, 진동, 회전 에너지 준위가 존재하고, 에너지 준위 간 전이는 광자의 흡수 또는 방출을 수반한다. - 화학적 성질 - 양쪽성
양쪽성은 산과 염기 모두로 작용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내며, 브뢴스테드-로우리 이론에 따라 양성자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물, 아미노산 등이 대표적이며, 용액의 pH에 따라 산 또는 염기로 작용하는 산화아연 등도 존재한다. - 열역학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 k는 온도와 에너지를 연결하는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상수의 비로 정의되고, SI 단위계에서 1.380649×10⁻²³ J/K의 값을 가지며, 거시 물리학과 미시 물리학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열역학 - 열기관
열기관은 고온 열원에서 열을 받아 일을 하고 나머지를 저온 열원으로 방출하는 장치이며, 증기 동력, 가스 동력, 내연기관 등으로 분류되어 화력 발전소,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가연성 | |
---|---|
가연성 및 인화성 | |
정의 | 상온에서 공기 중에서 쉽게 점화되는 성질 |
관련 용어 | 가연물 인화성 물질 인화성 |
기타 | |
참고 |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
2. 용어 정의
"inflammable"이라는 단어는 "불에 타지 않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으며,[3] 이러한 오해는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 이후 언어학자들의 노력으로 "inflammable" 대신 "flammable"을 사용하는 것이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에서 표준으로 받아들여졌다.[4][5]
"flammable" 또는 "inflammable"의 반의어로는 "non-flammable"(불연성의), "non-inflammable"(불연성의), "incombustible"(불연성의), "non-combustible"(불연성의), "not flammable"(가연성이 아닌), "fireproof"(내화성의)가 있다.
"Flammable"(가연성의)는 "combustible"(가연성의) 물질보다 쉽게 발화하여 더 위험하고 더 엄격하게 규제된다. 덜 쉽게 발화하고 덜 활발하게 타는 물질은 "combustible"(가연성의)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인화점이 약 37.8°C 미만인 액체를 가연성 액체로, 약 37.8°C 이상인 액체를 가연성 액체로 정의한다. 가연성 고체는 쉽게 연소되거나 마찰로 인해 화재를 일으키거나 화재에 기여할 수 있는 고체이다. 쉽게 연소되는 고체는 분말, 과립, 페이스트상 물질로, 타는 성냥과 같은 점화원에 잠깐만 접촉해도 쉽게 발화하고 불꽃이 빠르게 퍼진다.[6] 국가마다 기술적 정의가 다르므로 국제연합은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세계적으로 조화된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 온도를 0~약 60.0°C로, 가연성 액체를 약 60.0°C~약 93.3°C로 정의한다.[6]
2. 1. Flammable, Inflammable, Combustible
역사적으로 "flammable"(가연성의), "inflammable"(가연성의), "combustible"(가연성의)는 모두 "탈 수 있는"을 의미했다.[1] "inflammabl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inflammāre''("불을 붙이다")에서 유래한 프랑스어를 거쳐 영어로 들어왔는데, 여기서 라틴어 전치사 "in-"[2]는 "invisible"(보이지 않는), "ineligible"(부적격의)에서처럼 "아닌"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indoctrinate"(주입하다)에서처럼 "안에"라는 의미이다."inflammable"이라는 단어는 "불에 타지 않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3] 이러한 오해는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 이후, 언어학자들은 "inflammable" 대신 "flammable"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했고, 현재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에서 표준 용어로 자리 잡았다.[4][5] "flammable" 또는 "inflammable"의 반의어로는 "non-flammable"(불연성의), "non-inflammable"(불연성의), "incombustible"(불연성의), "non-combustible"(불연성의), "not flammable"(가연성이 아닌), "fireproof"(내화성의)가 있다.
"Flammable"(가연성의)는 쉽게 발화하여 더 위험하고 엄격하게 규제되는 물질을 지칭하며, 덜 쉽게 발화하고 덜 활발하게 타는 물질은 "combustible"(가연성의)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인화점이 약 37.8°C 미만인 액체를 가연성 액체로 정의하고, 약 37.8°C 이상인 액체를 가연성 액체로 정의한다. 가연성 고체는 쉽게 연소되거나 마찰에 의해 화재를 일으키거나 화재에 기여할 수 있는 고체이다. 쉽게 연소되는 고체는 분말, 과립 또는 페이스트상 물질로, 타는 성냥과 같은 점화원과의 짧은 접촉으로 쉽게 발화하며 불꽃이 빠르게 퍼진다.[6] 기술적인 정의는 국가마다 다르므로 국제연합은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세계적으로 조화된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 온도를 0~약 60.0°C로, 가연성 액체를 약 60.0°C~약 93.3°C로 정의한다.[6]
2. 2. Flammable vs. Combustible (가연성 vs. 연소성)
역사적으로 "flammable"(가연성), "inflammable"(가연성), "combustible"(연소성)은 모두 "탈 수 있는"을 의미했다.[1] "inflammabl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inflammāre''("불을 붙이다")에서 유래했는데, 여기서 라틴어 전치사 "in-"[2]는 "안에"라는 의미이다."inflammable"이라는 단어는 "불에 타지 않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3] 이러한 오해는 심각한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 이후로 언어학자들은 "inflammable" 대신 "flammable"을 사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고, 현재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에서 표준으로 사용된다.[4][5]
"Flammable"(가연성)은 쉽게 발화하여 더 위험하고 더 엄격하게 규제되는 물질에 적용된다. 반면, 덜 쉽게 발화하고 덜 활발하게 타는 물질은 "combustible"(연소성)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가연성 액체는 정의상 인화점이 약 37.8°C 미만인 반면, 연소성 액체는 인화점이 약 37.8°C 이상이다. 가연성 고체는 쉽게 연소되거나 마찰에 의해 화재를 일으키거나 화재에 기여할 수 있는 고체이다. 쉽게 연소되는 고체는 분말, 과립 또는 페이스트상 물질로, 점화원과의 짧은 접촉으로 쉽게 발화하며 불꽃이 빠르게 퍼진다.[6]
기술적인 정의는 국가마다 다르므로 국제연합은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세계적으로 조화된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 온도를 0~약 60.0°C로, 연소성 액체를 약 60.0°C~약 93.3°C로 정의한다.[6]
3. 가연성 (Flammability)
가연성(Flammability)은 물질이 얼마나 쉽게 불이 붙어 화재, 연소, 심지어 폭발을 일으키는지 나타내는 정도이다. 물질의 연소 난이도는 내화 시험을 통해 정량화된다. 국제적으로 가연성을 정량화하는 다양한 시험 규정이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등급은 건축법, 보험, 소방법 등 건축 자재 사용 및 고인화성 물질의 저장, 취급을 규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건물 내용물의 가연성이 변경되는 경우, 건물 소유주는 화재 예방 설계 기준이 변경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건축 허가를 신청해야 한다.
3. 1. 가연성 분류 (Classification of flammability)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세계적으로 조화된 시스템(GHS)은 인화점과 끓는점을 기준으로 가연성 액체를 4가지 범주로 분류한다.[7][8] 이 시스템은 산업, 작업장 및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제품에서 물질을 평가하고 분류하는 데 국제적으로 사용된다.범주 | 범주 1 | 범주 2 | 범주 3 | 범주 4 |
---|---|---|---|---|
인화점 | <23°C | <23°C | ≥23°C ~ ≤60°C | >60°C ~ ≤93°C |
끓는점 | ≤35°C | >35°C | ||
예시 액체 | 휘발유(Petrol), 다이에틸 에테르 |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 등유, 1-뷰탄올 | 경유, 폼산 |
GHS 신호어 및 위험 문구 | 위험 - 극도로 인화성 액체 및 증기 | 위험 - 고인화성 액체 및 증기 | 경고 - 인화성 액체 및 증기 | 경고 - 가연성 액체 |
2012년 이전, OSHA 규정 1910.106에 따른 가연성 및 가연성 액체 분류는 미국화재보호협회(NFPA)의 ''가연성 및 가연성 액체 코드'' NFPA 30과 거의 동일했다.[9] NFPA 30의 정의는 여전히 화재 코드 및 NFPA 코드와 표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등급 | I-A | I-B | I-C | II | III-A | III-B |
---|---|---|---|---|---|---|
가연성 | 가연성 | |||||
인화점 | <22.8°C | <22.8°C | ≥22.8°C ~ <37.8°C | ≥37.8°C ~ ≤60°C | ≥60°C ~ <93.3°C | ≥93.3°C |
끓는점 | <37.8°C | ≥37.8°C | ||||
예시 액체 | 휘발유(Petrol), 다이에틸 에테르 | 에탄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 부틸알코올, 테레빈유 | 경유, 솔벤트 | 중유, 폼산 | 올리브 오일, 유성 페인트 |
NFPA 704와 같이 응급 상황에서 물질이 초래하는 위험을 응급 구조대원이 이해하도록 5가지 범주를 사용하는 등, 보다 전문적인 용도를 위한 가연성 액체 분류 시스템도 존재한다.[10] GHS 외에도 가연성 분류는 작업장에서 물리적 및 건강상의 위험을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다.[11]
3. 2. 가연성 물질 예시
- 휘발유 - 옥탄(C₈H₁₈)의 이성질체를 포함한 탄화수소의 복잡한 혼합물이다.
- 에탄올(CH₃CH₂OH)
- 고무
- 이소프로필알코올(CH₃CH(OH)CH₃)
- 메탄올(CH₃OH)
- 목재
- 아세톤(CH₃COCH₃)
- 종이
- 니트로메탄(CH₃NO₂)
3. 3. 불연성 물질 예시
물, 사염화탄소, 철, 세라믹은 불연성 물질의 예시이다.3. 4. 가구 및 섬유의 가연성
가구의 가연성은 담배와 촛불 사고로 가정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우려되는 문제이다. 1975년 캘리포니아주는 기술 공보 117호(Technical Bulletin 117)(TB 117)를 시행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가구 충전재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재료가 촛불과 같은 작은 화염에 최소 12초 동안 견딜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했다.[12] 폴리우레탄 폼의 경우, 가구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할로겐화 유기 난연제 첨가제를 사용하여 TB 117을 충족한다. 다른 미국 주에는 이와 유사한 기준이 없었지만, 캘리포니아주는 시장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제조업체들은 미국 전역에 유통하는 제품에 대해 TB 117을 준수한다. 미국 전역의 가구에 난연제, 특히 할로겐화 유기 난연제가 확산된 것은 TB 117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위험-편익 비율이 불리하고 업계에서 난연제 사용에 대한 위조된 문서를 사용한 사실(예: 데이비드 하임바흐(David Heimbach) 참조)이 드러나자, 캘리포니아주는 TB 117을 개정하여 덮개가 있는 가구의 직물이 개방형 화염 시험 대신 훈소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고 규정했다.[13] 제리 브라운(Jerry Brown) 주지사는 개정된 TB117-2013에 서명했으며, 이는 2014년에 발효되었다.[14]다공성 표면을 가진 가벼운 섬유가 가장 인화성이 높은 섬유이다.[15] 울은 면, 마, 실크 또는 비스코스(레이온)보다 인화성이 낮다.[15][16] 폴리에스터와 나일론은 발화에 저항하며 불이 붙기보다는 녹는다.[15][16] 아크릴은 가장 인화성이 높은 합성 섬유이다.[15]
3. 5. 가연성 시험
가연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내화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판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 표준은 다음과 같다.- 언더라이터스 래버러토리스 (Underwriters Laboratories) [http://ulstandards.ul.com/standard/?id=94&edition=6&doctype=ulstd UL 94 가연성 시험]
-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60707, 60695-11-10 및 60695-11-20
- 국제표준화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9772 및 9773
- 미국화재보험협회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http://www.nfpa.org/aboutthecodes/AboutTheCodes.asp?DocNum=287 NFPA 287 무균실 재료의 가연성 측정을 위한 표준 시험 방법(화재 전파 장치(FPA) 사용)]
- [http://www.nfpa.org/aboutthecodes/AboutTheCodes.asp?DocNum=701 NFPA 701: 섬유 및 필름의 화염 전파에 대한 내화 시험 표준 방법]
- [http://www.nfpa.org/aboutthecodes/AboutTheCodes.asp?DocNum=850 NFPA 850: 발전소 및 고전압 직류 변환소의 화재 방호 권장 관행]
4. 연소성 (Combustibility)
연소성은 물질이 불이나 연소를 통해 얼마나 쉽게 발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는 물질이 건축에 사용되거나 저장될 때, 또는 부산물로 가연성 물질을 생성하는 공정에서 중요한 특성이다. 쉽게 연소되는 물질은 스프링클러 설치나 점화원으로부터의 격리 보관 등 특별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화재 위험을 줄여야 하는 건축물에는 낮은 연소성을 가진 물질이 사용된다. 가연성 물질을 사용하면 화재 사고 및 사망 가능성이 커지므로, 내화성 물질이 건축 자재 및 가구에 선호된다.
4. 1. 불연성 재료 (Non-combustible material)
불연성 재료는 불이나 열에 노출되었을 때 발화, 연소, 가연성 증기 방출 등을 하지 않는 물질이다.[17] ASTM E 136에 명시된 절차에 따라 시험했을 때, 8절에 나열된 두 가지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하는 모든 고체 물질은 불연성으로 간주된다.[18]4. 2. 가연성 분진 (Combustible dust)
분진폭발 문서에서 다루듯이, 많은 산업 공정에서 연소성 분진이 부산물로 발생한다. 가장 흔한 것은 목재 분진이다. 연소성 분진은 "크기, 모양, 화학적 조성에 관계없이 별개의 입자 또는 조각으로 구성된 고체 물질로서, 일정 농도 범위 내에서 공기 또는 기타 산화 매체에 현탁될 때 화재나 폭발 위험을 초래하는 물질"[19]로 정의된다. 목재 외에도 연소성 분진에는 금속(특히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과 기타 탄소계 분진이 포함된다.[19] 현재까지 알려진 연소성 분진을 생성하는 물질은 최소 140가지 이상이다.[20] 연소성 분진 입자 크기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직경 420μm 미만이다.[19] 미국 노동안전보건청은 현재 연소성 분진에 대한 포괄적인 규칙을 채택하지 않았다.[22]공기(또는 산화 환경)에 부유하는 연소성 분진 미세 입자는 폭발 위험을 초래한다. 축적된 분진은 공중에 부유하지 않아도 화재 위험이 있다. 미국 화재보호협회(NFPA)는 NFPA 규정 61항에서 농업 및 식품 생산 시설의 화재 및 분진 폭발 방지를 명시적으로 다루며,[23] 다른 산업 분야는 NFPA 규정 651~664항에서 다룬다. 공중 분진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집진 장치는 모든 분진 폭발의 40% 이상을 차지한다.[24] 기타 중요한 공정으로는 연삭 및 분쇄, 분말 운반, 사일로 및 용기 채우기(분말 생성), 분말 혼합 및 배합 등이 있다.[25]
1980년부터 2005년까지 발생한 200건의 분진 폭발 및 화재 조사 결과, 약 100명의 사망자와 600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20] 2003년 1월, 노스캐롤라이나주 킨스턴의 웨스트 제약 서비스 공장 폭발 및 화재로 6명 사망, 38명이 부상당했다.[20] 2008년 2월, 조지아주 포트 웬트워스의 임페리얼 슈거사 공장 설탕 분진 폭발로 13명이 사망했다.[26] [27]
5. 중요 특성
가연성 물질은 주변 환경에 따라 얼마나 쉽게 불이 붙고 연소하는지가 결정되는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는 인화점, 발화점, 연소/폭발 범위, 증기압이 포함된다.
- '''인화점''': 물질이 공기 중에서 증발하여 외부 불꽃에 의해 불이 붙을 수 있는 최저 온도이다. 인화점이 낮을수록 더 쉽게 불이 붙는다.[28]
- '''발화점''': 외부 불꽃에 의해 점화된 후 물질 표면에서 지속적으로 불꽃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이다.[28] 발화점에 도달하면, 지속적인 연소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연료 증기를 생성한다.
- '''연소/폭발 범위''': 공기 중의 연료 증기 농도가 특정 범위 내에 있을 때만 연소가 일어난다. 연소 하한계는 연소가 가능한 가장 낮은 농도이며,[29] 연소 상한계는 연소가 가능한 가장 높은 농도이다.[29]
- '''증기압''': 액체가 증발하여 주변 공기 중에 얼마나 많은 증기가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30] 증기압이 높을수록 인화점이 낮아져 더 쉽게 불이 붙는다.
5. 1. 인화점 (Flash point)
인화점은 물질이 대기 중으로 증발하면서 그 증기가 얼마나 쉽게 발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이는 물질 내 연료유가 외부 점화원에 의해 발화될 만큼 충분한 양의 가연성 증기를 방출하기 시작하는 데 필요한 최저 물질 온도로 정의된다.[28] 인화점이 낮을수록 가연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OSHA가 100°C 미만의 인화점을 가진 물질을 잠재적인 작업장 위험물로 규제하고 있다.가연성 정도를 식별하는 온도 지표로는 '''발화점'''과 '''인화점'''이 있다.
인화점은 불꽃이 있는 경우, 공기 중에 놓인 물체에 발화하는 최저 온도이다. (그 결과로 연소가 지속되지 않아도 좋다.) 엄밀히는 액체 가연물이 액면에서 폭발범위의 최저값 농도의 증기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최저 온도가 인화점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점은 발화점보다 낮은 경우가 많으며, 가연물의 경우 발생하는 연소열이 크기 때문에, 발화함으로써 온도가 발화점을 초과하여 연소가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 2. 발화점 (Flame point/Fire point)
물질의 ''발화점''(fire point)은 외부 발화원에 의해 점화된 후 물질 표면에서 지속적인 불꽃이 유지될 수 있는 온도 값이다.[28] 발화점에 도달하면, 지속적인 연소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연료 증기 또는 오일을 생성한다.가연성 정도를 식별하는 온도 지표로는 '''발화점'''과 '''인화점'''이 있다.
; 발화점
: 불꽃 없이 공기 중에 놓인 물체가 지속적으로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저 온도.
; 인화점
: 불꽃이 있는 경우, 공기 중에 놓인 물체에 발화하는 최저 온도(그 결과로 연소가 지속되지 않아도 좋다). 엄밀히는 액체 가연물이 액면에서 폭발범위의 최저값 농도의 증기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최저 온도가 인화점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점은 발화점보다 낮은 경우가 많으며, 가연물의 경우 발생하는 연소열이 크기 때문에, 발화함으로써 온도가 발화점을 초과하여 연소가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 3. 연소/폭발 범위 (Flammability or explosive range)
연소 하한계 또는 폭발 하한계(LFL/LEL)는 특정 화학 물질의 경우, 외부 점화원에 의해 연소가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저의 공기 대 연료 증기 농도를 나타낸다.[29] 이 값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불꽃이 발생하거나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연소 상한계 또는 폭발 상한계(UFL/UEL)는 외부 점화원에 의해 연소가 일어날 수 있는 최고의 공기 대 연료 증기 농도를 나타낸다.[29] 이 값보다 높은 연료-공기 혼합물은 농도가 너무 높아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두 한계 사이에 존재하는 값은 가연성 또는 폭발 범위를 나타낸다. 이 한계 내에서 외부 점화원이 주어지면 특정 연료의 연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가연성 정도를 식별하는 온도 지표로는 '''발화점'''과 '''인화점'''이 있다.
; 발화점
: 불꽃 없이 공기 중에 놓인 물체가 지속적으로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저 온도.
; 인화점
: 불꽃이 있는 경우, 공기 중에 놓인 물체에 발화하는 최저 온도(그 결과로 연소가 지속되지 않아도 좋다). 엄밀히는 액체 가연물이 액면에서 폭발범위의 최저값 농도의 증기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최저 온도가 인화점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점은 발화점보다 낮은 경우가 많으며, 가연물의 경우 발생하는 연소열이 크기 때문에, 발화함으로써 온도가 발화점을 초과하여 연소가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 4. 증기압 (Vapor pressure)
액체의 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변하며, 액체가 증발할 때 액체의 증기가 주변 대기 중에 얼마나 집중되는지를 측정하는 값이다.[30] 증기압은 인화점과 발화점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며, 증기압이 높을수록 인화점이 낮아지고 가연성 등급이 높아진다.6. 관련 법규 (Codes)
국제건축규정위원회(ICC)는 건물과 거주자에게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화재 안전 규정을 개발했다.[31] 이러한 규정은 자재의 가연성 등급, 출입구, 능동적 화재 방호(소방 설비) 등을 포함한다. 미국에서는 주나 카운티 정부와 같은 다른 기관도 가연성 등급을 규정하는 건축 규정을 개발했다.
기존 건물의 경우, 화재 안전 규정은 원래 의도된 용도를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예를 들어, 건물의 일부가 아파트로 설계되었다면, 가연성 액체를 적재하는 가스 저장 시설로 변경할 수 없다. 이는 한 아파트의 화재 부하와 연기 발생이 건물의 능동적 화재 방호 및 수동적 화재 방호 수단에 과부하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6. 1. 한국의 관련 법규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법령에서 가연물의 취급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물질의 상태가 기체 또는 액화가스(액화된 기체)인 경우에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 적용된다. 고체 또는 액체인 경우에는 소방법이 적용된다. 가연성 물질은 불에 잘 타는 물질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고지(古紙)와 같이 가연성이지만 소방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각 시·군·구의 조례에 따라 지정가연물의 적용을 받는 경우도 있다.법령상 가연성 물질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법령 | 내용 |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 가연성가스의 정의 |
소방법 별표 1 | 위험물의 가연성 물질 |
각 시·군·구의 조례 | 지정가연물 |
7. 건축 자재 분류 (Categorization of building materials)
독일 DIN 4102에 따라 가연성 및 연소성 정도를 시험할 수 있다. DIN 4102와 영국의 BS 476은 수동 소방 설비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부 구성 재료의 시험에도 포함된다.
연소성 및 가연성 정도에 따른 범주는 다음과 같다.
등급 | 가연성 | 예시 |
---|---|---|
A1 | 100% 불연성 (nicht brennbar) | -- |
A2 | ≈98% 불연성 (nicht brennbar) | -- |
B1 | 난연성 (schwer entflammbar) | -- 팽창형 및 일부 고급 실리콘 |
B2 | 일반 가연성 | -- 목재 |
B3 | 인화성 (leicht entflammbar) | -- 폴리스티렌 |
보다 최근의 산업 표준은 유럽 EN 13501-1 - 건축 자재 및 건축 요소의 화재 분류로, 대략 A2를 A2/B로, B1을 C로, B2를 D/E로, B3을 F로 대체한다.[1]
B3 또는 F 등급 재료는 가연성을 줄이는 다른 재료와 결합하지 않는 한 건물에 사용할 수 없다.[2]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9
[2]
서적
flammable,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www.ahdictio[...]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2014
[3]
서적
500 Years of New Words
Dundurn
2004
[4]
서적
Garner's Modern American Usage
Oxford UP
2009
[5]
웹사이트
inflammable
http://public.wsu.ed[...]
Washington State University
2012-06-30
[6]
웹사이트
A Guide to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GHS)
https://www.osha.gov[...]
U.S. Department of Labor
2006
[7]
웹사이트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GHS) - Eighth Edition
https://unece.org/fi[...]
United Nations
2019
[8]
법규
29 CFR 1910.106(a)(19)
[9]
법규
Code of Federal Regulat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29 C.F.R. §1910.106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https://www.loc.gov/[...]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94
[10]
웹사이트
NFPA 704: Standard System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Hazards of Materials for Emergency Response
https://link.nfpa.or[...]
2022
[11]
웹사이트
American Humane's Complete OSHA and Safety Guide for Animal Shelters
https://nokillsouthc[...]
American Humane Society
[12]
웹사이트
"Technical Bulletin 117: Requirements, test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esting the flame retardance of resilient filling"
http://www.bhfti.ca.[...]
2000-03
[13]
웹사이트
Proposed Regulations - Notice of Proposed New Flammability Standards for Upholstered Furniture/Articles Exempt from Flammability Standards
http://www.bhfti.ca.[...]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Bureau of Electronic and Appliance Repair, Home Furnishings and Thermal Insulation
[14]
뉴스
Calif. law change sparks debate over use of flame retardants in furniture
https://www.pbs.org/[...]
PBS Newshour
2014-01-01
[15]
웹사이트
These clothes are the most flammable
https://www.sikkerhv[...]
Sikker hverdag
[16]
웹사이트
Flammable Fabrics
https://www.phoenix.[...]
City of Phoenix
[17]
웹사이트
NCDOI OSFM Evaluation Services: Subject of White Paper: Classification of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Combustibility
http://www.ncdoi.com[...]
2011-09-08
[18]
웹사이트
Standard Test Method for Assessing Combustibility of Materials Using a Vertical Tube Furnace at 750°C
https://www.astm.org[...]
2022-10-10
[19]
웹사이트
Hazard Communication Guidance for Combustible Dusts
https://www.osha.gov[...]
[20]
보고서
Investigation Report No. 2006-H-1, Combustible Dust Hazard Study
http://www.csb.gov/a[...]
U.S. Chemical Safety and Hazard Investigation Board
2006-11-17
[21]
서적
Classification of combustible dust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electrical code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1980
[22]
뉴스
Only OSHA Has Not Adopted Chemical Safety Board Recommendations Stemming from Imperial Sugar Explosion
http://ehstoday.com/[...]
EHS Today
2012-02-07
[23]
웹사이트
NFPA 61 Standard for the Prevention of Fires and Dust Explosions in Agricultural and Food Processing Facilities
http://www.nfpa.org/[...]
[24]
논문
Dust Explosion Scenarios and Case Histories in the CCPS Guidelines for Safe Handling of Powders and Bulk Solids
http://www.firexplo.[...]
39th AIChE Loss Prevention Symposium Session on Dust Explosions
2005-04
[25]
웹사이트
Controlling Static Hazards is Key to Preventing Combustible Cloud Explosions
http://www.newson-ga[...]
Newton Gale, Inc.
2008
[26]
뉴스
Lives and a Georgia Community's Anchor Are Lost
https://www.nytimes.[...]
2008-02-09
[27]
뉴스
Sugar refinery near Savannah determined to rebuild
http://www.ajc.com/m[...]
2008-04-13
[28]
논문
11 - Physicochemical fuel properties and tribological behavior of aegle marmelos correa biodiesel
https://www.scienced[...]
Woodhead Publishing
2019-01-01
[29]
논문
Chapter 20 - Propellant Systems Safety
https://www.scienced[...]
Butterworth-Heinemann
2009-01-01
[30]
웹사이트
Vapor Pressure
http://ch302.cm.utex[...]
[31]
웹사이트
Digital Codes
https://codes.iccsa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