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한국 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한국 위원회(UNCOK)는 한반도의 공정한 선거와 민주적인 정부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 기구이다. 1947년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UNTCOK)이 발족되었고, UNTCOK는 남한에서 5·10 총선거를 감시했다. 1948년 12월 유엔 총회는 대한민국 정부를 합법 정부로 승인하고 UNCOK 설치를 결정했다. UNCOK는 한반도 분단으로 인한 정치, 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전쟁 발발 후에는 전쟁 관련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 UNCOK는 이후 유엔 한국 통일 부흥 위원회(UNCURK)로 임무가 승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 인간 개발 지수
인간 개발 지수(HDI)는 국제 연합 개발 계획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출생 시 기대 수명, 교육 수준, 1인당 국민 총소득을 종합하여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측정하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 유엔 - 유엔 본부
유엔 본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로서 뉴욕 맨해튼에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국가 출신 건축가들의 협업으로 설계되어 사무국 건물, 총회 건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치외법권을 가진 국제 사회의 중심지이다. - 국제 기구 - 아시아 협력 대화
아시아 협력 대화는 2002년 아시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증진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태국 총리의 제안으로 설립된 정부 간 협의체로,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지향하며 35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기구 - 국제기구
국제기구는 국가들이 공동의 목표를 위해 설립한 연합으로, 정부간기구(IGO)와 국제비정부기구(INGO)로 나뉘며, 경제적 이익, 정치적 영향력 확대, 안보 강화 등을 위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유엔 한국 위원회 | |
---|---|
개요 | |
명칭 | 유엔 한국 위원회 (UNCOK) |
영어 명칭 |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Korea |
한자 명칭 | 國際 聯合 韓國 委員會 |
결성 | |
결성일 | 1948년 1월 30일 |
해산일 | 1950년 |
목적 | |
주요 목표 | 한국의 신탁 통치를 종식시키는 것 |
추가 목표 | 한국에서 자주적인 정부 수립을 위한 환경 조성 남한과 북한 간의 관계 개선 |
활동 | |
주요 활동 | 1948년 대한민국 총선거 감시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상황 감시 및 보고 |
성과 |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정당성 확보에 기여 |
구성 | |
참여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중국 (중화민국) 엘살바도르 프랑스 인도 필리핀 |
관련 기구 | 국제 연합 (UN) |
기타 | |
관련 문서 |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 (UNTCOK) |
2. 역사
1947년 9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회의가 성과 없이 진행되는 가운데, 한반도의 독립 문제가 유엔에 상정되었다. 이후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UNTCOK)이 발족하여 한반도에서 공정한 선거와 민주적인 정부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소련의 반대로 북한 지역에서는 총선 실시가 불가능하게 되자, 1948년 2월 유엔 소총회는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총선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1]
이에 따라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가 치러졌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 같은 해 12월, 제3차 유엔 총회는 대한민국 정부를 합법 정부로 승인하고,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업무를 승계한 유엔 한국 위원회(UNCOK) 설치를 결정했다.[3] UNCOK는 한반도 분단으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1949년 9월에는 38선 부근의 군사적 위협을 유엔에 보고하는 임무가 추가되었다.[3]
UNCOK 본부는 부산에 있었으며, 한국전쟁 발발 후 도쿄로 이전했다가 미국의 요청으로 다시 부산으로 복귀하여 전쟁 관련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3] 1950년 7월 30일, 대구에서 UNCOK 공개 대담이 개최되었으며, 이승만 대통령이 참석했다.[3]
1949년 10월 21일, 총회는 UNCOK의 임무를 변경하여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을 초래하거나 관련된 변화"를 관찰하고 보고하도록 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시, 두 명의 호주 옵서버는 북한의 한국 침공을 최초로 보고했다.[1]
1950년 10월 7일 유엔 총회에서 한국통일부흥위원단(UNCURK)이 창설되면서 UNCOK는 종료되었다.[1]
2. 1.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UNTCOK)
1947년 9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회의가 성과 없이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한반도의 독립에 관한 문제가 유엔에 상정되었다. 그 후, 1947년 11월 제2차 유엔 총회의 결의에 따라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UNTCOK영어)이 발족했다.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은 한반도의 공정한 선거와 민주적인 정부 수립을 돕기 위해 설치됐다. 1948년 1월 8개국의 대표로 구성된 임시위원단이 한국에 입국하였으나 소련군 점령 하의 북한 지역에서 총선을 실시할 수 없게 되자 그 사실을 유엔 소총회에 보고했다.[1]1948년 2월 유엔 소총회는 소련등 7개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총선을 하겠다는 미국의 안을 따르기로 했다. 그에 따라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가 치러지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남한에서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북한에서는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출범했다.[1]
2. 2. 유엔 한국 위원회 (UNCOK)
1948년 12월, 제3차 유엔 총회는 대한민국 정부를 합법 정부로 승인하고,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의 업무를 승계한 유엔 한국 위원회(UNCOK) 설치를 결정했다.[3] UNCOK는 한반도 분단으로 인한 정치, 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1949년 9월, 제4차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38선 부근의 군사적 위협을 유엔에 보고하는 임무가 추가되었다.[3] 이 보고는 유엔이 한국전쟁에 대한 입장을 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3]UNCOK 본부는 부산에 있었으며, 한국전쟁 발발 후 도쿄로 이전했다가 미국의 요청으로 다시 부산으로 복귀하여 전쟁 관련 보고서를 유엔에 제출했다.[3] 1950년 7월 30일, 대구에서 UNCOK 공개 대담이 개최되었으며, 이승만 대통령이 참석했다.[3]
1949년 10월 21일, 총회는 결의안 293(IV)를 통과시켜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을 초래하거나 관련된 변화"를 관찰하고 보고하도록 UNCOK의 임무를 변경했다. 두 명의 호주 옵서버는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시 북한의 한국 침공을 최초로 보고했다.[1]
UNCOK의 임무는 유엔 한국 통일 부흥 위원회(UNCURK)에 승계되었다.[3] UNCOK는 1950년 10월 7일 총회가 UNCURK를 창설하면서 종료되었다.[1]
2. 3. 유엔 한국 통일 부흥 위원회 (UNCURK)
1950년 10월 7일 유엔 총회에서 유엔 한국 통일 부흥 위원회(UNCURK)가 창설되면서 유엔 한국 위원회는 종료되었다.[1]3. 구성
1947년 11월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UNTCOK)이 발족되었다. 1948년 1월에는 8개국 대표로 구성된 임시위원단이 한국에 입국하였다.[1]
국가 | 이름 | 직책 |
---|---|---|
시리아 | 자비(Zeki Djabi) | 대표 |
시리아 | 무기르(Yashin Mughir) | 대표대리 |
인도 | V. K. 크리슈나 메논 | 대표, 임시위원단장 |
인도 | 씽(Bahadur Singh) | 대표 |
인도 | 나르(K. G. Nair) | 대표대리 |
오스트레일리아 | 잭슨(S. H. Jackson) | 대표, 제2분과위원장 |
캐나다 | 조지 S. 패터슨(G. S. Patterson) | 대표, 제1분과위원장 |
엘살바도르 | 바레(Miguel Angela Pena Valle) | 대표 |
엘살바도르 | 린도(Huge Lindo) | 대표대리 |
중화민국 | 유어만(Liu Yu-Wan) | 대표 |
중화민국 | 왕공행(Wang Gung-Hsing) | 대표대리 |
중화민국 | 스튜(T. L. Ssetu) | 고문 |
필리핀 | 멜레시오 아란즈(Melecio Arranz) | 대표 |
필리핀 | 루나(Pufino Luna) | 대표대리, 제3분과위원장 |
프랑스 | 마네(Olivier Manet) | 대표 |
프랑스 | 폴봉쿠(Jean-Louis Paul-Boncour) | 대표 |
불참 |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UNTCOK) 사무처
- 수석비서관: 페트루스 요하너스 슈미트(Petrus Johannes Schmidt)[1]
- 차석비서관: 이언 F. G. 밀러(Ian F. G. Milner)[1]
- UN 사무차장보: 빅토르 후(Victor Hoo, Hu Shih-Tse)[1]
- 법률 고문: 마르크 슈라이버(Marc Schreiber)[1]
3. 1.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UNTCOK)
1947년 9월 미소공동위원회 회의가 성과 없이 진행되는 가운데, 한반도 독립 문제가 유엔에 상정되었다. 이후 1947년 11월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영어; '''UNTCOK''')이 발족했다.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은 한반도의 공정한 선거와 민주적인 정부 수립을 돕기 위해 설치됐다. 1948년 1월 8개국 대표로 구성된 임시위원단이 한국에 입국하였으나 소련군 점령 하의 북한 지역에서 총선을 실시할 수 없게 되자 그 사실을 유엔 소총회에 보고했다.[1]1948년 2월 유엔 소총회는 소련 등 7개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총선을 하겠다는 미국의 안을 따르기로 했다. 그에 따라 남한에서는 5·10 총선거가 치러졌고, 최종적으로 남한에서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북한에서는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각 출범했다.
3. 1. 1. 대표단
국가 | 이름 | 직책 |
---|---|---|
자비(Zeki Djabi) | 대표 | |
무기르(Yashin Mughir) | 대표대리 | |
V. K. 크리슈나 메논 | 대표, 임시위원단장 | |
씽(Bahadur Singh) | 대표 | |
나르(K. G. Nair) | 대표대리 | |
잭슨(S. H. Jackson) | 대표, 제2분과위원장 | |
조지 S. 패터슨(G. S. Patterson) | 대표, 제1분과위원장 | |
바레(Miguel Angela Pena Valle) | 대표 | |
린도(Huge Lindo) | 대표대리 | |
유어만(Liu Yu-Wan) | 대표 | |
왕공행(Wang Gung-Hsing) | 대표대리 | |
스튜(T. L. Ssetu) | 고문 | |
멜레시오 아란즈(Melecio Arranz) | 대표 | |
루나(Pufino Luna) | 대표대리, 제3분과위원장 | |
마네(Olivier Manet) | 대표 | |
폴봉쿠(Jean-Louis Paul-Boncour) | 대표 |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불참 |
3. 1. 2. 사무처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Korea (UNCOK)
https://www.canada.c[...]
2018-12-11
[2]
뉴스
유엔 기념 공원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3-08-28
[3]
웹인용
President Syngman Rhee Attends UNCOK's Public Meeting
https://www.unmultim[...]
2020-12-24
[4]
뉴스
한국통일(韓國統一) 전망(展望)은 요원(遼遠)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0-10-08
[5]
뉴스
원로 외교관 최운상의 1954년 ‘제네바 한반도 통일회의’ 회고
https://news.naver.c[...]
신동아
2008-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