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임신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임신과는 하늘의 기운을 바탕으로 사건의 흐름과 결과를 예측하는 점술의 일종이다. 고대부터 관리나 책사들이 익혀야 할 필수 과목으로 여겨졌으며, 삼국지의 제갈량, 한나라의 장량, 명나라의 유백온 등이 육임의 명인으로 꼽힌다. 육임은 천지반도, 사과, 삼전 등을 작성하고 12천장을 배포하는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육임은 오행파, 고전파, 투파육임, 소담육임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흉한 결과를 예측했을 경우 이를 길하게 바꾸는 처방법도 존재한다.

2. 역사

육임에 관련된 내용은 예전부터 여러 고전에 언급되어 왔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청나라(淸朝) 때에 완성된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과 건륭제 때 완성된 사고전서(四庫全書)에 기록되어 있다는 점으로 국학(國學)으로서 그 정통성을 인정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오월춘추(呉越春秋)나 수나라 때의 오행대의(五行大義)에도 그 이름이 언급되어 있으며, 당나라 시대에 특히 성행하였다.[1] 북송(北宋)의 소언화(邵彥和), 능복지(凌福之), 진공헌(陳公獻) 등은 육임의 명인으로 꼽힌다.[1] 예부터 나라를 다스리는 관리나 책사들에게 육임은 반드시 익혀야 했던 필수 과목으로 여겨졌다.[1] 삼국지제갈량, 한나라 유방을 도와 한나라를 세운 장량, 명나라 주원장을 도왔던 유백온 역시 육임의 명인으로 손꼽힌다.[1]

3. 육임의 기본 원리

육임은 월장(태양이 위치한 황도상의 위치)과 12시진의 조합으로 천지반도와 사과삼전이라는 표를 작성하여 판단한다. 길흉화복은 12천장(十二天將)이라고 불리는 신들의 의미를 통해 판단한다.[1]

3. 1. 천지반도 작성

육임으로 점사를 보기 위해서는 우선 점을 보고자 하는 시각과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참고하여 천지반도를 만든다.[1]

3. 2. 사과(四課) 작성

점을 보고자 하는 날의 간지를 이용하여 사과(四課)를 작성한다.[1]

3. 3. 삼전(三傳) 작성

육임에서 점사를 보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점을 보고자 하는 시각과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참고하여 천지반도를 만든다.

# 점을 보고자 하는 날의 간지를 이용하여 사과(四課)를 작성한다.

# 사과를 참고하여 삼전(三傳)을 작성한다.

# 천지반도에 12천장을 배포한다.

# 공망, 덕신, 록신과 같은 길흉신살을 배치한다.

# 사과삼전과 천지반도가 가지는 특수한 구성을 파악한다.

# 이를 보고자 하는 사안에 비추어 종합 판단한다.

이처럼 육임은 하늘의 기운을 통해 사건의 흐름과 결과를 논리적으로 파악한다.

3. 4. 12천장 배포

육임은 하늘의 기운을 통해 사건의 흐름과 결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점술 체계이다. 12천장은 삼라만상을 주관하는 하늘의 신으로, 12천관이라고도 불린다. 육임 점사를 보기 위한 절차 중 하나로, 천지반도에 12천장을 배포하는 과정이 있다.[1]

3. 5. 길흉신살 배치

육임으로 점사를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된다.[1]

1. 점을 보고자 하는 시각과 태양의 황도상 위치를 참고하여 천지반도를 만든다.

2. 점을 보고자 하는 날의 간지를 이용하여 사과(四課)를 작성한다.

3. 사과를 참고하여 삼전(三傳)을 작성한다.

4. 천지반도에 12천장을 배포한다.

5. 공망, 덕신, 록신과 같은 길흉신살이 배치된다.

6. 사과삼전과 천지반도가 가지는 특수한 구성을 파악한다.

7. 이를 보고자 하는 사안에 비추어 종합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육임은 하늘의 기운을 보고자 하는 사안에 비추어 판단을 하기 때문에 매우 논리정연하게 사건의 흐름과 결과를 알 수 있게 된다.[1]

3. 6. 종합 판단

육임은 하늘의 기운을 보고자 하는 사안에 비추어 판단하므로, 사건의 흐름과 결과를 논리정연하게 알 수 있다.

4. 육임의 종류

육임은 삼식 중 하나로, 태을신수, 기문둔갑과 다르게 많은 술사들이 연구해 왔다. 육임은 크게 오행파와 고전파(신살파)로 나뉜다. 오행파는 귀인부법을 신법으로 행하며 해단에서 오행생극제화를 중시하는 원수산 선생 방식이다. 고전파는 당나라, 송나라 시대에 주로 운용된 귀인부법의 고법으로 행하며 각종 신살을 주로 활용한다. 그 외에도 문파마다 각각의 독특한 육임법수를 전수하고 있다.[1]

4. 1. 오행파

삼식(三式) 중 하나인 육임신과는 태을신수, 기문둔갑과 다르게 많은 술사들이 연구해 왔다. 일반적인 분류로는 귀인부법을 신법으로 행하며 해단에서 오행생극제화를 중시하는 원수산 선생 방식의 오행파와, 당송시대에 주로 운용된 귀인부법의 고법으로 행하며 각종 신살이 주로 활용되는 고전파(신살파)로 나뉜다.[1] 그 외에 문파마다 각각의 독특한 육임법수를 전수하고 있다.[1]

4. 2. 고전파(신살파)

삼식(三式) 중 하나인 육임신과는 태을신수, 기문둔갑과 다르게 많은 술사들이 연구해 왔다. 일반적인 분류로는 귀인부법을 신법으로 행하며 해단에서 오행생극제화를 중시하는 원수산 선생 방식의 오행파와, 당나라, 송나라 시대에 주로 운용된 귀인부법의 고법으로 행하며 각종 신살이 주로 활용되는 고전파(신살파)로 나뉜다.

4. 3. 투파육임

투파육임은 명징파에서 전해지는 육임이다. 신살보다 형충회합(刑沖會合)과 생조극설(生助剋洩)을 중시한다. 일반법칙과 특수법칙을 통해 형충회합과 생조극설 중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을 선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육임선길에 해당하는 방위술과 육임풍수에 해당하는 풍수가 전해진다. 육임풍수 중 양택(가상술(家相術))이 독특한데, 이는 래방시(來訪時)를 기점으로 과전을 조식(造式)해 집의 길흉을 판단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라 집 자체의 구조로 과전을 조식하는 풍수기법에 해당한다. 거주자의 직업을 보고 그에 적합한 천간을 배정하여 일간으로 삼고 과전을 조식하며, 이를 통해 집의 길흉을 선정하므로 다른 양택풍수와 다르게 거주자의 직업에 따라 해당 집의 길흉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의 괘천장영과 좌등육룡이 전수하고 있다.

4. 4. 소담육임

소담은 청대 이전의 귀인법을 활용하며 실제 정단 상담과 소담 육임 아카데미를 열어 후학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많은 육임가들이 64과체를 위주로 단조롭게 정단하는 것과는 달리, 소담은 육임 과전에서 상을 취하여 해석하고 응기를 찾아 정단을 하므로 적중률이 마치 미리 정해진 대본을 보는 듯 놀랍다. 예전부터 육임을 '육임신과'라 부르는 이유가 있는 듯하다.[8] 소담은 인사학의 최고라 불리는 육임학을 정통으로 해석해 나가는데, 기존 64과체만으로 육임의 과전을 해석하는 것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아 많은 부분을 놓치기 쉽지만, 소담은 과전을 폭넓게 해석하는 방식으로 풀이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대다수의 육임가들이 육임은 '일사일점 一事一占'이라는 원칙에 얽매여 하나의 과전으로 한 가지 일만 정단할 수 있다는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한번 정단한 일을 두 번 정단하지 말라는 뜻이지 하나의 과전으로 여러 가지 일을 정단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다.[8]

또한 소담은 최근 '소담 양자 육임'을 새롭게 고안하여 (류신의 새로운 삼전을 조식하는 방법) 같은 종류의 여러 사안을 동시에 해석하기 힘든 육임의 단점을 보완, 누구나 쉽게 정단을 할 수 있도록 힘쓰며 육임의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대육임은 점학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소담은 대육임으로 보는 한 해 신수와 사람의 평생운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대육임 평생운 해석법 또한 제시하고 있다.

5. 육임 처방법

처방법은 육임과전을 통한 예측이 흉(凶)하게 나왔을 경우, 예측과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여 길(吉)로 전변시키는 방법이다. 실수법으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육임식반 상에서 약신(藥神)에 해당되는 글자를 선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육임부[6]를 제작하거나 특정 물품을 선정해 조작하는 것이 공통점이다.

그 외에 옥추경[7] 등의 경문과 함께 제례의식(祭禮儀式)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지식사전 명과학(命課學)의 술서(術書) 네이버
[2] 서적 黃帝龍首經 사고전서
[3] 문서 식반(式盤)이라는 표를 사용하는 술수
[4] 문서 육임을 활용한 다양한 개운법
[5] 고사 중국 上古(상고)시대의 仙女(선녀)
[6] 문서 12지지에 해당하는 글자를 선천수와 함께 운용
[7] 경전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을 주존으로 하는 도교의 경전
[8] 서적 육임으로 풀어보는 세상만사 세종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