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육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육포는 한자어 '육'과 '포'의 합성어로, 고기를 말린 음식이다. 얇게 썬 쇠고기를 말린 건포, 얇게 두들겨 말린 편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간장 양념, 소금, 후추 등으로 간을 한다. 후식, 반찬, 안주 등으로 활용되며, 폐백, 제사 음식으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른 고기 - 프로슈토
    프로슈토는 이탈리아식 돼지고기 햄으로, 생햄과 익힌 햄으로 나뉘며, 소금에 절여 건조하는 전통적인 제조 과정을 거쳐 생산되고, 파르마산 프로슈토와 산 다니엘레 프로슈토를 포함한 일부 제품은 원산지명칭보호 인증을 받았으며, 전채 요리나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마른 고기 - 빌통
    빌통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유래한 건조 육포로, 소고기를 주재료로 식초, 소금, 고수 등의 향신료로 맛을 내어 며칠간 건조하는 방식으로 만들며, 육포와 유사하지만 제조 방식과 향신료 등에서 차이가 있다.
  • 한국의 쇠고기 요리 - 불고기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 양념에 재워 굽거나 끓여 먹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며, 고구려 시대 맥적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 한국의 쇠고기 요리 - 떡갈비
    떡갈비는 다진 고기를 양념하여 빚어 구운 한국 요리로, 떡과 비슷한 모양과 식감에서 유래했으며,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도 했지만 궁중 요리라는 설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다.
  • 고기 요리 - 빈달루
    빈달루는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하여 고아 지방에서 현지화된 인도 요리로, 야자나무 식초와 향신료를 사용하여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으로 만들어지며, 서구에서는 매운맛이 강조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고기 요리 - 스테이크
    스테이크는 굽거나 튀겨서 조리하는 두꺼운 고기 조각을 의미하며,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생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조리 방식과 굽기 정도에 따라 맛과 식감이 달라지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요리이다.
육포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
마른고기
국가한국
요리한국 요리
비슷한 음식육포
한국어 이름
한글육포
한자肉脯
로마자 표기yukpo
문화어육포
기타 정보
관련 서적Korean Food Guide 800
관련 기사'Yukpo' ㅡ delicacy made by toil, patience

2. 어원

육포(肉脯)는 한자어 '육'(肉, 고기)과 '포'(脯, 말린 고기나 생선)의 합성어이다. 한국 요리에서는 소고기가 기본적인 고기이기 때문에, 육포나 불고기와 같은 많은 소고기 요리는 '쇠고기'(soegogi/쇠고기한국어) 또는 '우육'(uyuk/우육한국어) 보다는 '고기'(gogi/고기한국어) 또는 '육'(肉)을 사용하여 언급된다.

3. 역사

육포의 역사는 포의 역사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종류

얇게 썬 쇠고기를 말린 것을 보통 건포(乾脯)라고 하며, 고기를 얇게 두들겨 말린 것을 편포라고 한다.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 쇠고기는 염포(鹽脯)라고 하며, 간장 기반 양념으로 간을 하거나 절인 쇠고기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장포, 편포, 산포, 약포라고 한다.[6]


  • 배포(焙脯) – 얇게 썬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배롱(焙籠)에 불에 구워 말린 것이다.[7]
  • 장포 – 두꺼운 살코기를 여러 번 구워서 표면을 태우고, 막대기로 두들겨서 오래 숙성시킨 간장으로 간을 하여 완전히 익힌 것이다.[8]
  • 젓국포 – 얇게 썬 쇠고기를 물에 데친 후 젓국(소금에 절인 해산물에서 나오는 액체)에 넣고 말린 것이다.[9]
  • 포쌈 – 얇게 썬 쇠고기를 간을 하고, 두들겨서 동그랗게 자른 후 잣을 몇 개 넣고 반달 모양으로 싸서 말리고 구운 것이다.[10]
  • 편포 – 쇠고기를 칼로 얇게 두들겨 말린 것이다.[11]
  • * 대추편포 – 두들겨서 대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12]
  • * 장편포(醬片脯) – 간장에 절인 쇠고기를 두들겨 만든 것이다.[13]
  • * 진편포 – 얇게 썬 쇠고기를 기름, 간장, 소금에 절여 말리지 않고 날것으로 먹거나 구워 먹는 것이다.[14]
  • 산포 – 쇠고기를 썰어 소금에 절여 햇볕에 말린 것이다.[15]
  • 약포 – 고기를 얇게 썰어 간장, 기름, 설탕, 후추로 간을 하고, 문지른 후 소쿠리에 말린 것이다.[16]

4. 1. 전통 육포

얇게 썬 쇠고기를 말린 것을 보통 건포(乾脯)라고 하며, 고기를 얇게 두들겨 말린 것을 편포(片脯)라고 한다.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 쇠고기는 염포(鹽脯)라고 하며, 간장 기반 양념으로 간을 하거나 절인 쇠고기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장포(醬脯), 편포(片脯), 산포(散脯), 약포(藥脯)라고 한다.[6]

  • 배포(焙脯) – 얇게 썬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배롱(焙籠)에 불에 구워 말린 것이다.[7]
  • 장포(醬脯) – 두꺼운 살코기를 여러 번 구워서 표면을 태우고, 막대기로 두들겨서 오래 숙성시킨 간장으로 간을 하여 완전히 익힌 것이다.[8]
  • 젓국포 – 얇게 썬 쇠고기를 물에 데친 후 젓국(소금에 절인 해산물에서 나오는 액체)에 넣고 말린 것이다.[9]
  • 포쌈 – 얇게 썬 쇠고기를 간을 하고, 두들겨서 동그랗게 자른 후 잣을 몇 개 넣고 반달 모양으로 싸서 말리고 구운 것이다.[10]
  • 편포(片脯) – 쇠고기를 칼로 얇게 두들겨 말린 것이다.[11]
  • * 대추편포 – 두들겨서 대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12]
  • * 장편포(醬片脯) – 간장에 절인 쇠고기를 두들겨 만든 것이다.[13]
  • * 진편포 – 얇게 썬 쇠고기를 기름, 간장, 소금에 절여 말리지 않고 날것으로 먹거나 구워 먹는 것이다.[14]
  • 산포(散脯) – 쇠고기를 썰어 소금에 절여 햇볕에 말린 것이다.[15]
  • 약포(藥脯) – 고기를 얇게 썰어 간장, 기름, 설탕, 후추로 간을 하고, 문지른 후 소쿠리에 말린 것이다.[16]

4. 2. 현대 육포

얇게 썬 쇠고기를 말린 것을 보통 건포(乾脯)라고 하며, 고기를 얇게 두들겨 말린 것을 편포(片脯)라고 한다.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한 쇠고기는 염포(鹽脯)라고 하며, 간장 기반 양념으로 간을 하거나 절인 쇠고기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장포(醬脯), 편포(片脯), 산포(散脯), 약포(藥脯)라고 한다.[6]

  • 배포(焙脯) – 얇게 썬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배롱(焙籠)에 불에 구워 말린 것이다.[7]
  • 장포(醬脯) – 두꺼운 살코기를 여러 번 구워서 표면을 태우고, 막대기로 두들겨서 오래 숙성시킨 간장으로 간을 하여 완전히 익힌 것이다.[8]
  • 젓국포 – 얇게 썬 쇠고기를 물에 데친 후 젓국(소금에 절인 해산물에서 나오는 액체)에 넣고 말린 것이다.[9]
  • 포쌈 – 얇게 썬 쇠고기를 간을 하고, 두들겨서 동그랗게 자른 후 잣을 몇 개 넣고 반달 모양으로 싸서 말리고 구운 것이다.[10]
  • 편포(片脯) – 쇠고기를 칼로 얇게 두들겨 말린 것이다.[11]
  • * 대추편포 – 두들겨서 대추 크기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12]
  • * 장편포(醬片脯) – 간장에 절인 쇠고기를 두들겨 만든 것이다.[13]
  • * 진편포 – 얇게 썬 쇠고기를 기름, 간장, 소금에 절여 말리지 않고 날것으로 먹거나 구워 먹는 것이다.[14]
  • 산포(散脯) – 쇠고기를 썰어 소금에 절여 햇볕에 말린 것이다.[15]
  • 약포(藥脯) – 고기를 얇게 썰어 간장, 기름, 설탕, 후추로 간을 하고, 문지른 후 소쿠리에 말린 것이다.[16]

5. 활용

육포는 주로 후식으로 먹거나 반찬, 안주로 활용한다.[19][21][22][1] 소금에 절이고 말린 육포는 포자반이라고 하는 짭짤한 반찬으로 먹는다.[17] 또한 폐백을 할 때도 쓰이며 제사를 지낼 때 제삿상에 흔히 올리는 음식이기도 하다.[23][24][4][5]

6. 기타

참조

[1] 서적 Korean Food Guide 800 https://books.google[...] The Korea Foundation 2018-09-28
[2] 뉴스 'Yukpo' ㅡ delicacy made by toil, patience https://www.koreatim[...] 2014-03-28
[3] 서적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8-09-28
[4] 저널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ade with Beef meat of various Places of Origin http://koreascience.[...] 2018-09-28
[5] 저널 'Jongka', the traditional Korean family: Exploring jongka food in the context of Korean food categories
[6] 웹사이트 특별음식 http://www.dprktoday[...] 평양모란봉편집사 2014-12-02
[7] 웹사이트 Bae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8] 웹사이트 Jang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9] 웹사이트 Jeotguk-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0] 웹사이트 Possam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1] 웹사이트 Pyeon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2] 웹사이트 Daechu-pyeon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3] 웹사이트 Jang-pyeon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4] 웹사이트 Jin-pyeon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5] 웹사이트 San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6] 웹사이트 Yakpo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7] 웹사이트 Po-jaban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8-09-28
[18] 웹인용 육포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08-15
[19] 서적 Korean Food Guide 800 https://books.google[...] The Korea Foundation 2018-09-28
[20] 백과사전 육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1] 뉴스 'Yukpo' ㅡ delicacy made by toil, patience http://www.koreatime[...] 2014-03-28
[22] 서적 Korean Cuisine: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8-09-28
[23] 저널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ade with Beef meat of various Places of Origin http://koreascience.[...] 2018-09-28
[24] 저널 'Jongka', the traditional Korean family: Exploring jongka food in the context of Korean food categories https://www.scienced[...]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