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노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노덕은 윤영렬과 한진숙의 딸로, 한국 초기 여성 장로 중 한 명이다. 사촌 윤치호의 권유로 기독교에 입교하여 정동감리교회 장로로 활동하며 교회 활동과 사회 사업에 헌신했다. 조선고아구제회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부녀부를 설치하여 고아 구제에 힘썼으며, 6.25 전쟁 중에도 경주에서 교회를 설립하고 예배당 건립에 기여했다. 만년에는 정동교회 원로 장로로 추대되었으며, 정동제일교회는 그의 공적을 기려 강당 이름을 윤노덕 홀로 명명했다.
윤노덕은 윤영렬과 한진숙의 7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1] 윤치호의 권유로 교회에 다니기 시작했으며, 이병도의 6촌 형인 이병림과 결혼했다. 이후 한국 교회의 초기 여자 장로 중 한 명이 되었다.[1] 활발한 교회 활동과 더불어 '화생보육원' 사업을 지원하고 조선고아구제회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등 사회 사업에도 힘썼다. 6ㆍ25 전쟁 중에는 경상북도 경주에서 경주감리교회 설립을 도왔고, 만년에는 서울 정동제일교회 원로장로로 추대되었다. 사후 정동제일교회는 그의 공적을 기려 강당 이름을 '윤노덕 홀'로 명명했다.
[1]
문서
윤영렬의 9남 4녀 중에서도 차녀에 해당된다.
2. 생애
2. 1. 초기 생애와 가문 배경
윤영렬과 한진숙의 7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1] 사촌 윤치호의 전도로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으며, 1904년 이병도의 6촌 형 이병림과 결혼하였다. 1907년 정동교회 전도부인에 의해 다시 정동교회에 입교, 시집 가족들을 전도하여 교회로 인도하였다. 이후 정동감리교회의 장로로 장립되었는데, 한국교회 초기 여자 장로 중 한 사람이었다.
2. 2. 일제강점기 활동
윤영렬과 한진숙의 7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1] 사촌 윤치호의 전도로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으며, 1904년 이병도의 6촌 형 이병림과 결혼했다. 1907년 정동교회 전도부인에 의해 다시 정동교회에 입교, 시집 가족들을 전도하여 교회로 인도하였다. 이후 정동감리교회의 장로로 장립되었는데, 한국교회 초기 여자 장로 중 한 사람이었다. 활발한 교회활동을 했으며 '화생보육원' 사업을 뒷받침하는 등 사회사업에도 힘썼다.
조선고아구제회 창립 때 발기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여 고아원 구제, 지원 활동을 하였다. 1939년 고아구제회에 부녀부를 설치할 때 직접 주도하여 70여 명의 부녀회원을 모집하였다. 1935년 고아구제회 여자부회장에 선출되었다. 그해 1월 모금운동을 하여 경성 답십리동에 있는 경성고아원의 신축 자금을 기부하기도 하였다.
2. 3. 6.25 전쟁과 그 이후
1950년 6ㆍ25 전쟁으로 피난갔을 때는 피난지인 경상북도 경주에서도 교회에 다니며 경주감리교회 설립에 예배당 건립 재산을 희사하였다.[1] 휴전 후에도 경주에 체류하며 경주감리교회에서 장로로 봉직하다가, 1957년 경기도 수원으로 이주하여 수원종로감리교회 장로로 활동했다. 만년에 다시 서울로 돌아와 정동교회 원로장로로 추대되어 공로 표창을 받았으며 노환으로 별세했다. 훗날 서울 정동제일교회는 그녀의 공적을 기려 특별히 강당 이름을 윤노덕 홀이라 이름붙였다.
2. 4. 사후
1950년 6.25 전쟁으로 피난갔을 때는 피난지인 경상북도 경주에서도 교회에 다니며 경주감리교회 설립에 예배당 건립 재산을 희사하였고, 이후 휴전 후에도 경주에 체류하며 경주감리교회에서 장로로 봉직하다가, 1957년 경기도 수원으로 이주하여 수원종로감리교회 장로로 활동했다.[1] 만년에 다시 서울로 돌아와 정동교회 원로장로로 추대되어 공로 표창을 받았으며 노환으로 별세했다.[1] 훗날 서울 정동제일교회는 그녀의 공적을 기려 특별히 강당 이름을 윤노덕 홀이라 이름붙였다.[1]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및 정보 할아버지 윤취동(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 할머니 고령 신씨(高靈申氏) 할머니 안동 김씨(安東金氏, 1800년? - 1900년 10월) 아버지 윤영렬(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 어머니 청주 한씨 한진숙(1851년 ~ 1938년 2월 18일), 한진창의 누이 남편 이병림(李丙琳), 이병도의 6촌 형 딸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음과대학 교수 딸 이달희 사위 한상준, 제6대 한양대학교 총장 고모 해평 윤씨(1835년 - 1920년) 고모부 이원시(李源始, 본관은 용인) 큰아버지 윤웅렬(1840년 4월 17일 - 1911년 9월 22일) 큰어머니 전주 이씨(1844년 9월 27일 - 1936년 2월 12일, 이름은 이정무) 큰어머니 김정순(金貞淳, 1879년 3월 15일 - 1959년 11월 16일) 오빠 동암 윤치오(1869년 8월 5일 ~ 1950년 12월 22일) 오빠 동야 윤치소(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 오빠 악연 윤치성(1875년 3월 2일 - 1936년 8월 11일) 오빠 간송 윤치병(1880년 6월 4일 - 1939년 1월 24일) 오빠 윤치명(1885년 9월 - 1944년 4월 21일) 언니 윤활란(尹活蘭, ? - ?) 남동생 동산 윤치영(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 남동생 이름 미상, 어려서 요절 서모 이름 미상, 아버지 윤영렬의 첩 이복 여동생 윤씨(이름 미상, ? ~ ?) 이복 동생 윤치정(尹致晶) 이복 동생 윤치일(尹致日) 외증조부 한익상(1767년 ~ 1846년, 병조 참판 역임) 외할아버지 한치원(1821년 ~ 1881년, 호는 동랑(冬郎), 부호군 역임) 외삼촌 한진창(1858년 1월 26일 ~ 1935년 2월 2일) 사돈 현진건(1900년 8월 9일 ~ 1943년 4월 25일)
참조
[2]
서적
윤치영의 20세기:동산회고록
삼성출판사
1991
[3]
웹인용
역사에 대한 모독
http://www.bjynews.c[...]
바른지역언론연대
2007-10-31
[4]
서적
윤치호 일기 (1916-1943)
역사비평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