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취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취동은 1798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난 인물로, 선조 때 형제 정승 윤두수와 윤근수의 후손이다.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으로, 아산으로 이주하여 자수성가했다. 40세가 넘어서 안동 김씨를 통해 윤웅렬과 윤영렬을 얻었으며,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사후 아들들의 영귀로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에 증직되었고, 대한제국 수립 후 의정부 찬정에 추증되었다. 그의 가문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정계, 재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8년 출생 - 쥘 뒤포르
쥘 뒤포르는 프랑스 제3공화국 초기에 총리를 지낸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웅변과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여러 장관직을 거쳐 온건 공화파로서 활동하며 정치적 안정과 배심원 제도 법 통과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798년 출생 - 아담 미츠키에비치
아담 미츠키에비치는 폴란드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국민 시인으로, 폴란드 독립 염원과 민족 정체성을 담은 《판 타데우시》, 《디아디》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반러시아 활동으로 추방 후 유럽에서 활동하다 콜레라로 사망하여 크라쿠프에 안장되었다. - 윤치영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윤치영 -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 정부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경공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1972년 유신으로 해체되었다. - 1863년 사망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1863년 사망 - 야코프 슈타이너
야코프 슈타이너는 스위스 출신의 기하학자로, 사영기하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슈타이너 원뿔곡선을 제시했으며, 저서를 통해 현대 종합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컴퍼스 없이 직선만으로 2차 방정식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였다.
윤취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798년 7월 18일 |
사망일 | 1863년 12월 21일 (향년 65세) |
국적 | 조선 |
아버지 | 윤득실 |
어머니 | 남양 홍씨 |
형제 | 첫째 형 윤교동 둘째 형 윤우동 누이동생 해평 윤씨 |
배우자 | 본처 고령 신씨 이처 안동 김씨 |
자녀 | 장녀 해평 윤씨 차녀 해평 윤씨 장남 윤웅렬 차남 윤영렬 |
친척 | 조부 윤발 조모 전주 이씨 손자 윤치소 증손자 윤보선 |
2. 생애
2. 1. 출생과 가계
윤취동은 1798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윤득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조 때의 형제 정승인 윤두수·윤근수 형제의 후손이었다.6대조 윤흔은 임진왜란 때 호성공신이고, 사후 의정부 좌의정에 증직되었다. 5대조 윤취지는 음서 제도로 출사, 고조부 윤채는 세자익위사사어를 지내고 사후 증 이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증조부 윤세겸은 순흥부사, 성주목사 등을 역임했다. 그러나 할아버지 윤발은 서자였고, 1791년부터 1794년까지 낭청직에 잠시 임명되었다가 물러난 뒤 다시 벼슬에 오르지 못했다.
당숙 윤득우는 동래부사, 병조참판 등을 지냈으나 소론 신치운의 문인이라 하여 여러번 공격을 당하기도 했다. 아버지 윤득실은 통덕랑에 올랐지만 술을 좋아하다가 일찍 사망하였다. 윤보선에 의하면 그 일 때문에 훗날 윤취동의 둘째 아들 윤영렬은 자신의 자손들에게 술을 조심할 것을 거듭 당부했다 한다.
2. 2. 젊은 시절
윤취동은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맏형 윤교동을 어버이처럼 섬겼으며, 조카들을 친자식처럼 양육하였다.[3] 흉년에는 가난한 이들의 관납미를 대신 납부하여 주민들이 그의 송덕비를 세우기도 하였다.[3] 그는 조부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 여러 번 상언하여 신원되었고, 증직까지 받았다.[3]그의 가계는 몰락하여 선대에 경기도 수원 이궁터에 거주하다가 조부 대에 충청남도 천안 모산면(毛山面)으로 낙향하였다. 그는 동유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친히 나무 짐을 지는 등으로 양친에 힘썼으며 부모의 병환을 적극적으로 구완하였다.[3] 그의 아버지 대에 천안군 모산면 가장동(可長洞)에 살았고, 천안 모산면과 일북면 일대에는 그의 일가들의 분묘가 있었다.

그는 아산에 정착한 뒤 일찍 죽은 맏형 윤우동의 손자 윤치중(尹致仲)과 윤치석(尹致奭) 등을 아산군 둔포면 신항리에 와서 정착하게 했다. 셋째 아들이던 그의 대에 충청남도 천안군 모산면에서 근처 충남 아산군 삼북면(三北面) 신항리로 이주했다. 후일 천안군의 모산면과 일북면의 일부가 아산군에 편입되어 아산군 삼북면과 합쳐져서 아산군 둔포면이 되었다.
2. 3. 자수성가
윤취동은 천안에서 살다가 아산으로 이주한 뒤 근면히 일해 부(富)를 축적했다.[4] 그의 집안은 서서히 충청남도 아산의 부호로 자리 잡았다.[4] 가난한 몰락 양반 출신 농부의 셋째 아들이었던 그는 부지런히 일하여 농토를 마련했고, 그의 후손들은 그가 쌓아 올린 부를 기반으로 다시 출세할 수 있었다.나이 40이 넘도록 오랫동안 아들이 없다가 40세가 넘어서 후취 안동김씨/安東金氏중국어로부터 아들 윤웅렬과 윤영렬을 얻었다. 생전 관직은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사후 아들 웅렬, 영렬 형제의 영귀로 증 가선대부 이조참판에 증직되었다가 대한제국 수립 이후 다시 증 자헌대부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에 추증되었다.
3. 가계
윤취동의 가계는 조선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윤두수, 윤근수 가문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고령 신씨(1797년 - 1827년 3월 17일)[6]와 안동 김씨(1810년? - 1900년 10월)와 혼인하여 윤웅렬, 윤영렬 형제를 두었다.
그의 자손들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건국 초기에 걸쳐 정계, 재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 할아버지: 윤발(尹潑, 1728 ~ 1798, 증 통정대부 호조참의에 추증)
- 아버지: 윤득실(尹得實, 1768 ~ 1823), 윤흔의 5대손[6]으로 사후 증 가선대부 의정부참찬에 추증되었다.[7]
- 어머니: 증 정부인 남양홍씨[7](1765년 - 1816년 5월 7일)
- 형: 윤교동(尹敎東, 1786년 - 1829년 5월 8일)
- 형수: 나주 임씨(1794년 2월 3일 - 1834년 10월 2일)
- 조카: 윤팽렬(尹彭烈, 1801년 - 1833년 9월 23일)
- 조카며느리: 전주이씨, 1813년 - 1894년 10월 18일
- 형: 윤우동(尹祐東, 1788년 3월 15일 - 1827년 4월 30일)
- 형수: 우봉이씨, 1797년 9월 10일 - 1834년 11월 3일)
- 조카: 윤봉렬(尹鳳烈, 1821년 - 1850년 7월 3일)
- 조카며느리: 안동김씨(1818년 - 1843년 2월 8일)- 김세인(金世仁)의 딸
- 조카며느리: 밀양박씨(1822년 - 1881년)
- 종손자: 윤치중(尹致仲, 1841년 10월 8일 - 1896년 9월 10일)
- 종손자: 윤치석(尹致奭)
- 누이: 해평윤씨
- 매부: 김상정(金相鼎, 광산김씨)
- 딸: 해평윤씨(1835년 - 1920년)
- 사위: 이원시(李源始, 본관은 용인), 2남 2녀
- 딸: 해평윤씨
- 사위: 이인서(李寅恕, 본관은 전주)
- 아들: 윤웅렬(1840년 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
- 며느리: 전의이씨(1838년 6월 9일[8] - 1907년 3월 4일), 진사 이현표(李玄豹)의 딸
- 손녀: 해평윤씨
- 손녀사위: 김충현(金忠鉉, 광산김씨)
- 며느리: 전주이씨(1844년 9월 27일 - 1936년 2월 20일), 이일영(李日榮)의 딸
- 손녀: 윤경희(尹慶姬, 1862년 - ?)
- 손녀사위: 김재극(金在極, 언양김씨), 군수 김화영(金華榮)의 아들
- 손자: 윤치호(1865년 음력 1월 16일 - 1945년 양력 12월 9일)
- 첩며느리: 다옥(茶玉, 아들 윤웅렬의 첩)
- 며느리: 김정순(金貞淳, 1879년 3월 15일 - 1959년 11월 16일)
- 손자: 이름 미상, 요절
- 손자: 윤치왕(1895년 양력 2월 17일 - 1982년 양력 12월 21일)
- 손자: 윤치창(1899년 양력 3월 5일 - 1973년 양력 10월 1일) - 초대 영국 공사.
- 아들: 윤영렬(1854년 음력 4월 15일 - 1939년 양력 11월 4일)
- 며느리: 한진숙(? - 1938년)
- 손자: 윤치오(1869년 음력 8월 5일 - 1949년 양력 12월 2일)
- 손자: 윤치소(1871년 음력 8월 25일 - 1944년 양력 2월 20일)
- 손자: 윤치성(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
- 손자: 윤치병(1880년 음력 6월 4일 - 1939년 양력 1월 24일)
- 손자: 윤치명(1885년 음력 9월 - 1944년 양력 4월 21일)
- 손자: 윤치영(1898년 양력 2월 10일 - 1996년 양력 2월 9일)
- 손자: 이름 미상
- 손녀: 윤활란
- 손녀: 윤노덕(1889년 6월 14일 - 1979년 11월 24일)
- 첩며느리: 이름 미상, 아들 윤영렬의 첩
- 서손녀: 윤씨
- 서손자: 윤치정(尹致晶)
- 서손자: 윤치일(尹致日)
- 서손녀: 윤길희(尹吉喜, 1925년 8월 17일 ~ )
- 서손녀: 윤인희(尹麟喜, 1927년 1월 17일 ~ )
3. 1. 가계도
윤취동(尹取東, 1798년 ~ 1863년)의 상세한 가계는 다음과 같다.- 할아버지: 윤발(尹潑, 1728년 ~ 1798년, 증 통정대부 호조참의에 추증)
- 아버지: 윤득실(尹得實, 1768년 ~ 1823년), 윤흔의 5대손[6]으로 사후 증 가선대부 의정부참찬에 추증되었다.[7]
- 어머니: 증 정부인 남양홍씨[7](1765년 ~ 1816년 5월 7일)
- 형: 윤교동(尹敎東, 1786년 ~ 1829년 5월 8일)
- 형수: 나주 임씨(1794년 2월 3일 ~ 1834년 10월 2일)
- 형: 윤우동(尹祐東, 1788년 3월 15일 ~ 1827년 4월 30일)
- 형수: 우봉이씨(1797년 9월 10일 ~ 1834년 11월 3일)
- 조카: 윤봉렬(尹鳳烈, 1821년 ~ 1850년 7월 3일)
- 조카며느리: 안동김씨(1818년 ~ 1843년 2월 8일) - 김세인(金世仁)의 딸
- 조카며느리: 밀양박씨(1822년 ~ 1881년)
- 종손자: 윤치중(尹致仲, 1841년 10월 8일 ~ 1896년 9월 10일)
- 종손자: 윤치석(尹致奭)
- 누이: 해평윤씨
- 매부: 김상정(金相鼎, 광산김씨)
- 딸: 해평윤씨(1835년 ~ 1920년)
- 사위: 이원시(李源始, 본관은 용인), 2남 2녀
- 딸: 해평윤씨
- 사위: 이인서(李寅恕, 본관은 전주)
- 아들: 윤웅렬(尹雄烈, 1840년 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
- 며느리: 전의이씨(全義李氏, 1838년 6월 9일[8] ~ 1907년 3월 4일), 진사 이현표(李玄豹)의 딸
- 며느리: 전주이씨(全州李氏, 1844년 9월 27일 ~ 1936년 2월 20일), 이일영(李日榮)의 딸
- 손녀: 윤경희(尹慶姬, 1862년 ~ ?)
- 손녀사위: 김재극(金在極, 언양김씨), 군수 김화영(金華榮)의 아들
- 손자: 좌옹 윤치호(佐翁尹致昊, 1865년 음력 1월 16일 ~ 1945년 양력 12월 9일)
- 첩며느리: 다옥(茶玉, 아들 윤웅렬의 첩)
- 며느리: 김정순(金貞淳, 1879년 3월 15일 ~ 1959년 11월 16일)
- 손자: 이름 미상, 요절
- 손자: 남포 윤치왕(南圃尹致旺, 1895년 양력 2월 17일 ~ 1982년 양력 12월 21일)
- 손자: 남계 윤치창(南溪尹致昌, 1899년 양력 3월 5일 ~ 1973년 양력 10월 1일) - 초대 영국 공사.
- 아들: 윤영렬(尹英烈, 1854년 음력 4월 15일 ~ 1939년 양력 11월 4일)
- 며느리: 청주한씨 한진숙(淸州韓氏 韓鎭淑, ? ~ 1938년)
- 손자: 동암 윤치오(東庵尹致旿, 1869년 음력 8월 5일 ~ 1949년 양력 12월 2일)
- 손자: 동야 윤치소(東野尹致昭, 1871년 음력 8월 25일 ~ 1944년 양력 2월 20일)
- 손자: 악연 윤치성(岳淵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
- 손자: 간송 윤치병(澗松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39년 양력 1월 24일)
- 손자: 남강 윤치명(南岡尹致明, 1885년 음력 9월 ~ 1944년 양력 4월 21일)
- 손자: 동산 윤치영(東山尹致暎, 1898년 양력 2월 10일 ~ 1996년 양력 2월 9일)
- 손자: 이름 미상
- 손녀: 윤활란
- 손녀: 윤노덕(1889년 6월 14일 ~ 1979년 11월 24일)
- 첩며느리: 이름 미상, 아들 윤영렬의 첩
- 서손녀: 윤씨
- 서손자: 윤치정(尹致晶)
- 서손자: 윤치일(尹致日)
- 서손녀: 윤길희(尹吉喜, 1925년 8월 17일 ~ )
- 서손녀: 윤인희(尹麟喜, 1927년 1월 17일 ~ )
4. 일화
윤취동은 둔포장을 다녀오는 길에 쓰러진 스님을 발견해 극진히 보살폈고, 그 대가로 명당자리를 알게 되었다고 전해진다.[5] 그 후 아버지의 묘를 이장하여 아들 대에 출세하게 되었다고 한다.[5]
그는 처음에 스님이 알려준 이순신 장군 묘역 근처에 아버지 윤득실의 묘를 암장했는데, 만약 이순신의 후예들에게 드러나게 되면 실수로 했다고 하라고 지시받았다. 그 뒤 이순신 묘소 근처에 평토로 암장했다가 현재의 자리(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산 34-2)로 옮겼다고 한다. 그가 잡은 산소에는 부친 윤득실 내외, 형 윤교동 내외, 첫 부인 고령 신씨 등이 안장되어 있다.
5. 기타
윤취동은 오랫동안 아들이 없다가 40세가 넘어 후처인 안동 김씨에게서 아들 윤웅렬, 윤영렬을 얻었다. 이 때문에 다른 친척들과 항렬, 나이 차이가 많이 났다. 그는 아산 근처 웅달산에 기도한 후 첫 아들 윤웅렬을 얻었고, 그 뒤 둘째 아들 윤영렬을 얻었다고 한다. 늦게 산에 기도하고 아들 둘을 얻었다고 믿은 그는 기도드린 산을 집웅달산이라 이름붙였다. 그의 부인 안동김씨가 기도를 드리던 곳은 염수대라는 지명이 붙게 됐다.
그의 형 윤교동은 아들이 없어 생전에 양자 윤팽렬을 들였지만 윤교동 사후 윤팽렬도 후사 없이 요절했고, 둘째 형 윤우동과 윤우동의 아들 윤봉렬도 일찍 죽었으므로, 셋째 아들인 윤취동이 어린 종손자들의 양육과 함께 제사를 받들게 되었다.
참조
[1]
문서
소론으로 경종 지지자인 김일경의 일파로 지목되었다.
[2]
문서
아버지 윤득실의 증 통정대부 이조 참의, 증 가선대부 내부 협판 관직은 그의 손자이자 윤취동의 두 아들 윤웅렬, 윤영렬이 정2품에 올라서 증직으로 추증받은 것이다.
[3]
웹사이트
사이버 충효 체험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www.chunghyo.[...]
null
[4]
뉴스
한국사 인물 탐험 사회진화론에 함몰된 개화론자 尹致昊:독립협회 이끌며 입헌군주제 길 터, 日帝를「황인종 대표」로 간주해 협력
https://monthly.chos[...]
월간조선
null
[5]
뉴스
[명문家를 찾아서] 아산 둔포면 신항리 윤보선家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뉴스
null
[6]
웹사이트
샘골농원
http://cafe.naver.co[...]
null
[7]
웹사이트
아름다운 꾀꼬리성마을
http://blog.naver.co[...]
null
[8]
문서
윤치호일기 1898년 6월 9일자에 등장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