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제일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동제일교회는 1885년 헨리 아펜젤러에 의해 설립된 한국 최초의 감리교 교회 중 하나이다. 한국 개신교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19세기 교회 건물로 유일하게 남아있는 예배당을 보유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의 거점 역할을 했으며, 3.1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유관순 열사를 비롯한 많은 독립운동가들을 배출했다. 또한, 배재학당, 이화학당, 정동부인병원 등 개화기 신교육과 의료 발전에 기여했으며, 한국 최초의 파이프 오르간 설치와 정동성가대 활동을 통해 개신교 음악 발전을 선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8년 완공된 건축물 - 모스크바 예술극장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와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가 1898년에 설립한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러시아 연극의 혁신을 주도하고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 시스템을 발전시켰으며 안톤 체호프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며 명성을 얻었으나, 1987년에 두 개의 극단으로 분열되었음에도 모스크바 예술극장 학교는 러시아 최고의 연극 교육기관으로 남아있다. - 1898년 완공된 건축물 - 빈 분리파 전시관
빈 분리파 전시관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하고 카를 비트겐슈타인의 재정 지원으로 건립되었으며, "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모토를 통해 예술의 자율성과 혁신을 강조하는 건축물로서 국제 현대 미술 전시장으로 활용되며 구스타프 클림트의 〈베토벤 프리즈〉 등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교회당 - 여의도순복음교회
여의도순복음교회는 조용기 목사와 최자실 목사에 의해 1958년 시작되어 교세 확장을 거쳐 대한민국 기독교를 대표하는 교회로 성장했으며, 세계 최대 교회로 기네스북에 등재되기도 했다. - 서울특별시의 교회당 - 온누리교회
온누리교회는 1985년 하용조 목사가 개척하여 대한민국 대표적인 장로교회로 성장했으며, 포스트모던 전도 방식과 조직 구조, 다양한 언어권 예배 제공, 특히 한국 내 가장 큰 영어권 장로교 예배를 특징으로 한다. - 심의석의 건축물 - 배재학당
미국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에 설립한 배재학당은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 저명한 동문과 개혁적 교원들을 배출하며 민족의식 고취, 독립운동,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한국의 근대 교육 기관이다. - 심의석의 건축물 - 환구단
환구단은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기 위해 남별궁 터에 세운 원형 제단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어 현재는 황궁우와 일부 유물만 남아 사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 정동제일교회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6 (정동) |
| 웹사이트 | 정동제일교회 공식 웹사이트 (영어) |
| 설립일 | 1885년 10월 11일 |
| 완공일 | 1897년 12월 26일 |
| 상세 정보 | |
| 종교 | 감리교 |
| 사적 지정 번호 | 256호 |
| 지정일 | 1977년 11월 22일 |
| 소유 | 기독교대한감리회 |
2. 역사
정동제일교회는 한국 최초의 감리교 교회 중 하나로, 1885년 10월 11일 미국인 개신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서울 정동에 있는 자신의 사택에서 한국인 감리교 신자들과 함께 예배를 드린 것에서 시작되었다. 감리교단의 대표격으로 여러 분야에서 "한국 최초" 기록을 보유하면서 한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1902년 최병헌 목사가 정동교회 제4대 담임목사로 부임하면서 한국인이 담임을 맡게 되었다. 현순, 손정도, 이필주 목사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독립운동가들이다.[1] 1919년 이필주 목사와 박동완 전도사는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1] 이화학당 학생 유관순 열사도 정동교회 신자였으며,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옥사했다.[1]
2. 1. 설립과 초기 역사

1885년 10월 11일 미국인 개신교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정동에 있는 자신의 사택에서 한국인 감리교 신자들과 함께 예배를 한 것을 정동제일교회의 시초로 삼고 있으며, 조선 말기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감리교 교회중에 하나이다. 감리교단의 대표격으로 여러 분야에서 "한국 최초" 기록을 보유하면서 한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2. 2.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1902년 최병헌 목사가 정동교회 제4대 담임목사로 부임하면서 한국인이 담임을 맡게 되었다. 현순, 손정도, 이필주 목사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독립운동가들이다.[1] 1919년 이필주 목사와 박동완 전도사는 민족대표 33인으로 3·1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1] 이화학당 학생 유관순 열사도 정동교회 신자였으며,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어 옥사했다.[1]3. 건축
1894년 교인 수가 200명을 넘어섬에 따라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현대식 예배당을 건축하기로 하였다. 이 건물은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는 19세기 교회 건물로, 조선과 대한제국의 유명한 건축기사 심의석이 건축에 참여하였다.[9]
3. 1. 벧엘예배당
1895년 9월에 착공하여 1897년 12월 26일에 봉헌식을 가진 벧엘예배당은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 19세기 교회 건물이다.[9] 심의석이 건축에 참여하였으며, 1898년 10월에 준공되었다. 벧엘예배당의 3층 벽돌조 종탑은 건축기술사적으로 독립문의 석조구조물과 함께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9]4. 문화와 사회 기여
벧엘예배당은 1897년에 건축되어 한국 최초의 서양식 개신교 교회 건물로 대한민국의 사적 제256호로 지정되었다.[1] 1918년에는 한국 최초의 파이프 오르간이 이 교회에 봉헌되었다.[1]
4. 1. 교육
1887년 정동에 한국 최초의 어린이와 부녀자 전용 병원인 정동부인병원이 설립되었다.[1] 또한, 배재학당과 이화학당이 정동에 설립되어 개화기 신교육의 발상지가 되었다.[1]4. 2. 의료
1887년에 정동부인병원이 설립되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어린이와 부녀자 전용 병원이다.[1]4. 3. 음악
1918년 한국 최초로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으며, 정동성가대는 한국 개신교 음악 문화를 선도했다.[1] 개화기에 많은 음악가를 배출하였다.[2]4. 4. 사회 운동
정동교회 초대 담임목사는 아펜젤러 선교사가 맡았고, 1902년 제4대 담임목사로 최병헌 목사가 부임하면서 한국인이 담임을 맡게 되었다. 제5대 현순, 제6대 손정도, 제7대 이필주 담임목사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독립운동가들이다.[1] 1919년 담임목사 이필주와 전도사 박동완은 민족대표 33인으로 3·1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1] 3·1 운동에 참가했다가 체포되어 옥사한 이화학당 학생 유관순 열사도 정동교회 신자였다.[1]한국 개화운동을 이끌었던 윤치호는 정동교회 장로로 시무하였다.[2] 그는 105인 사건 이후 친일 성향을 보였으며, 경성 YMCA 총무와 회장을 역임하였다.[2]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1956년 정동교회 명예장로로 추대되었다.[3] 서재필이 정동교회 청년회를 중심으로 협성회를 조직하여 독립협회 전위대를 만들 때 노병선, 신흥우 등과 함께 주도하였다.[3]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themissi[...]
2023-12-17
[2]
웹사이트
http://chungdong.org[...]
2023-12-17
[3]
웹사이트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서울 정동교회)
https://english.visi[...]
2023-12-17
[4]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2024-02-11
[5]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2024-02-11
[6]
웹사이트
Loving Korea More than Koreans – Homer B. Hulbert
https://www.korea.ne[...]
2024-02-03
[7]
웹사이트
Visit Seoul -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https://english.visi[...]
2023-12-17
[8]
웹사이트
http://history.chung[...]
2023-12-17
[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심의석(沈宜錫)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