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철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철호는 대한민국의 조직신학자로, 장로회신학대학교, 프린스턴 신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낙원벧엘교회 담임목사, 온누리교회 석좌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조직신학회 회장, 세계교회협의회(WCC) 위원 등을 지냈다. 그는 개혁교회 전통과 에큐메니칼 영성을 바탕으로 해석학적, 변증적 신학 방법론을 사용하며, 신학과 과학, 신앙과 이성의 통합을 추구한다. 미래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21세기 신학의 방향을 제시하고, 10권 이상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윤항기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목사이자 음악학자인 윤항기는 가수 윤복희의 오빠이며, 연세대학교와 미드웨스트 신학대학교, 트리니티 신학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 후 예음종합예술원 명예원장 겸 명예학장, 예음교회 담임목사 등으로 활동했다. - 프린스턴 신학교 동문 - 장상
장상은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졸업 후 신학을 전공,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교육자이자, 국무총리 서리 지명 후 사퇴, 민주당 입당 등의 정치 활동을 거쳐 현재는 목사로 활동 중인 인물이다. - 프린스턴 신학교 동문 - 제임스 몽고메리 보이스
제임스 몽고메리 보이스는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을 옹호한 미국의 성경 교사이자 작가, 목사로, 필라델피아 텐스 장로교회 목사와 국제 성경 무오성 협의회 의장을 역임하며 50권이 넘는 저서를 출간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동문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 윤철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윤철호 |
| 출생일 | 1955년 4월 1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교수 (조직신학), 학자, 신학자 |
| 종교 | 개신교 (예장통합) |
| 웹사이트 | 미래신학연구소 |
| 학력 | |
| 학위 | 신학박사 (Ph.D.) |
| 출신 학교 | 프린스턴 신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 |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폴 틸리히와 존 B. 코브 주니어의 신학에 나타난 세계와 인간 존재에 대한 하나님의 관계 |
| 박사 학위 논문 발표 연도 | 1990년 |
| 지도 교수 | 제임스 E. 윌(James E. Will) |
| 경력 | |
| 직장 | 장로회신학대학교 |
| 수상 | |
| 수상 내역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2008년), 제31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2014년) |
| 가족 | |
| 부모 | 아버지 윤귀득(尹貴得), 어머니 정보비(鄭寶妣) |
| 배우자 | 강현숙 |
2. 생애
윤철호(尹哲昊)는 1955년 4월 1일 서울 약수동(지금의 중구 신당동)에서 파평 윤씨(坡平尹氏) 대언공파(代言公派) 33대손으로 태어났다.[20] 아버지는 윤귀득(尹貴得) 장로, 어머니는 정보비(鄭寶妣) 권사이며, 형제는 열 명이었고, 그 중 막내였다.[20] 아내 강현숙(정신과 의사, 국제정신분석가)과의 사이에 아들 윤현철과 윤현호를 두었다.[20]
부모는 황해도 황주가 고향이며, 1.4 후퇴 때 남한으로 피난 내려온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20] 형들 중 여덟 명은 이북에서 태어났고, 그중 두 명은 성장하여 질병과 사고로 사망했다.[20] 조선민주당 당원이었던 아버지가 공산당원들의 핍박으로 첫째와 둘째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이 함께 월남하여 이산 가족으로 남한에 정착하게 되었다.[20] 이러한 한국 현대사의 비극과 연결된 가족사는 훗날 그의 통일신학에 많은 영향을 준다.[20]
독실한 신앙 가문에서 성장했으나, 아버지의 연이은 사업 실패와 어머니의 오랜 투병과 이른 별세로 정서적, 경제적으로 힘든 사춘기 시절을 보냈다.[20] 41세에 막내아들인 그를 낳고 지극히 사랑하다가, 그의 고등학교 졸업식 해에 61세의 나이로 별세한 어머니는 “예수 잘 믿다 오너라.”라는 유언을 남겼다.[20]
그는 이 유언을 마음에 품고 군 생활을 하던 중 갑작스러운 허리 부상으로 서울수도통합병원과 대전통합병원에서 11개월 넘게 병상 생활을 했다.[20] 그는 이 기간을 회고하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40년 동안 광야에서 연단하신 것처럼 자신을 이 길로 몰아넣으셨다고 생각했다.[20] 그는 원망이나 불평 대신 기도를 많이 했고, 경제적 어려움, 어머니의 이른 죽음, 육체적 질병 등의 고난은 하나님의 연단 과정이며, 이 과정은 그에게 하나님을 만나는 은혜의 시간이었다고 한다.[20] 그리고 그는 이러한 연단 과정을 거쳐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가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20]
2. 1. 어린 시절과 가족
윤철호(尹哲昊)는 1955년 4월 1일 서울 약수동(지금의 중구 신당동)에서 파평 윤씨(坡平尹氏) 대언공파(代言公派) 33대손으로 태어났다.[20] 아버지는 윤귀득(尹貴得) 장로, 어머니는 정보비(鄭寶妣) 권사이며, 형제는 열 명이었고, 그 중 막내였다.[20] 아내 강현숙(정신과 의사, 국제정신분석가)과의 사이에 아들 윤현철과 윤현호를 두었다.[20]부모는 황해도 황주가 고향이며, 1.4 후퇴 때 남한으로 피난 내려온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20] 형들 중 여덟 명은 이북에서 태어났고, 그중 두 명은 성장하여 질병과 사고로 사망했다.[20] 조선민주당 당원이었던 아버지가 공산당원들의 핍박으로 첫째와 둘째를 제외한 나머지 가족이 함께 월남하여 이산 가족으로 남한에 정착하게 되었다.[20] 이러한 한국 현대사의 비극과 연결된 가족사는 훗날 그의 통일신학에 많은 영향을 준다.[20]
독실한 신앙 가문에서 성장했으나, 아버지의 연이은 사업 실패와 어머니의 오랜 투병과 이른 별세로 정서적, 경제적으로 힘든 사춘기 시절을 보냈다.[20] 41세에 막내아들인 그를 낳고 지극히 사랑하다가, 그의 고등학교 졸업식 해에 61세의 나이로 별세한 어머니는 “예수 잘 믿다 오너라.”라는 유언을 남겼다.[20]
그는 이 유언을 마음에 품고 군 생활을 하던 중 갑작스러운 허리 부상으로 서울수도통합병원과 대전통합병원에서 11개월 넘게 병상 생활을 했다.[20] 그는 이 기간을 회고하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40년 동안 광야에서 연단하신 것처럼 자신을 이 길로 몰아넣으셨다고 생각했다.[20] 그는 원망이나 불평 대신 기도를 많이 했고, 경제적 어려움, 어머니의 이른 죽음, 육체적 질병 등의 고난은 하나님의 연단 과정이며, 이 과정은 그에게 하나님을 만나는 은혜의 시간이었다고 한다.[20] 그리고 그는 이러한 연단 과정을 거쳐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가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20]
2. 2. 신앙적 회심과 목회자의 길
윤철호(尹哲昊)는 1955년 4월 1일 서울 약수동(지금의 중구 신당동)에서 파평 윤씨(坡平尹氏) 대언공파(代言公派) 33대손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윤귀득(尹貴得) 장로와 어머니 정보비(鄭寶妣) 권사 슬하의 열 형제 중 막내였다. 아내 강현숙(정신과 의사, 국제정신분석가)과의 사이에 아들 윤현철과 윤현호를 두었다.[20]부모는 황해도 황주가 고향이며, 1.4 후퇴 때 남한으로 피난 내려온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 형님들 중 여덟 명은 이북에서 태어났고, 그중 두 명은 성장해서 질병과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공산당원들이 조선민주당 당원이었던 아버지를 핍박하여 첫째와 둘째를 뺀 나머지 가족이 함께 월남하여 이산가족으로 남한에 정착하게 된다. 한국 현대사의 비극과 연결되어있는 가족사는 후에 그의 통일신학에 많은 영향을 준다.[20]
독실한 신앙의 가문에서 성장했으나 아버지의 연이은 사업 실패와 어머니의 오랜 투병과 이른 소천으로 정서적, 경제적으로 혹독한 사춘기 시절을 겪었다. 그러나 그가 신앙을 잃지 않고, 목사가 된 이유는 41세에 막내아들인 그를 낳고 지극히 사랑하다가, 그의 고등학교 졸업하던 해 61세의 나이로 소천하신 어머니가 “예수 잘 믿다 오너라.”라는 유언을 남겼기 때문이었다. 이 유언을 마음에 품고 있던 그는 그 후 군 생활 중 갑작스러운 허리 부상으로 서울수도통합병원과 대전통합병원의 병상에서 11개월 넘게 보내게 되었다. 이때 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40년 동안 광야에서 연단하신 것처럼, ‘나를 이 길로 몰아 넣으셨구나’고 생각했다고 회고한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원망이나 불평이 아니라 기도를 많이 했다고 한다. 경제적 어려움, 어머니의 이른 죽음, 육체적 질병 등의 이 모든 고난은 하나님의 연단 과정이며 이 과정은 그에게 하나님을 만나는 은혜의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이런 연단 과정을 거쳐 그는 마침내 목사가 되기 위해 신학교에 가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20]
3. 학력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5]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Th.M.) 학위를 받았다.[5][6]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폴 틸리히와 존 B. 코브 주니어의 신학에서 신과 세계, 인간 실존의 관계〉라는 논문으로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5][6]
4. 경력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목회학 석사를 마치고,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Th.M. 학위를 받았다. 1990년 "폴 틸리히와 존 B. 코브 주니어의 신학에서 신과 세계, 인간 실존의 관계"라는 논문으로 Ph.D. 학위를 받았다.[5] 낙원벧엘교회 담임목사, 온누리교회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한국조직신학회 회장[5], 세계교회협의회(WCC) 신앙과 직제 위원회 상임위원, 사단법인 동서신학포럼 운영이사 및 운영위원장, 기독교통합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신망애 선교회 회장, 온 신학회 회장, 미래신학연구소 대표[6],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관심과 연구는 조직신학, 신학과 과학의 대화에 집중되어 있으며, 여러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기고하고 10권 이상의 학술 서적을 출판했다. 그는 한국 교회가 교회의 섬김과 희생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7]
5. 신학 방법
윤철호는 개혁교회 전통을 소중히 여기면서도 다른 전통들과의 열린 대화를 통해 교파적 당파성을 극복하고 협의회적 일치로 나아가는 에큐메니칼 영성을 지향한다.[21] 해석학적, 변증적 신학방법을 사용한다.[21]
그는 예루살렘과 아테네: 신학방법론이라는 저서에서 자신의 신학방법을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21]
오늘날 한국교회가 위기에 처하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한국교회 특히 개신교가 세상과 소통할 줄 모르는 독선적이고 배타적인 종교집단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21] 오늘날 기독교 신학은 옛날처럼 단지 철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문·사회·자연과학 분야들과 대화하지 않을 수 없다.[21] 특히 오늘의 과학시대에 여러 자연과학 분야들과의 대화는 필수적인 신학적 과제이다.[21]
그는 이 책에서 신앙과 이성, 신학과 과학, 은혜와 자연, 구속신학과 자연신학 사이의 잘못된 이분법을 극복하는 통전적인 신학 방법론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21] 다시 말하면, 예루살렘에서 출발하되 아테네와 열린 마음으로 대화함으로써 기독교가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자신의 진리를 가능한 한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변증하기 위한 신학 방법론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21] 여기서 아테네는 단지 고대 그리스의 도시가 아니라 오늘날의 모든 인간의 삶의 자리가 될 수 있고 또한 단지 인간의 거주지가 아닌 자연이 될 수도 있다.[21]
5. 1. 해석학적 변증 신학
윤철호는 개혁교 전통을 소중히 여기면서도 다른 전통들과의 열린 대화를 통해 교파적 당파성을 극복하고 협의회적 일치로 나아가는 에큐메니칼 영성을 지향한다.[21] 해석학적, 변증적 신학방법을 사용한다.[21]그는 예루살렘과 아테네: 신학방법론이라는 저서에서 자신의 신학방법을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21]
오늘날 한국교회가 위기에 처하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한국교회 특히 개신교가 세상과 소통할 줄 모르는 독선적이고 배타적인 종교집단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21] 오늘날 기독교 신학은 옛날처럼 단지 철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문·사회·자연과학 분야들과 대화하지 않을 수 없다.[21] 특히 오늘의 과학시대에 여러 자연과학 분야들과의 대화는 필수적인 신학적 과제이다.[21]
그는 이 책에서 신앙과 이성, 신학과 과학, 은혜와 자연, 구속신학과 자연신학 사이의 잘못된 이분법을 극복하는 통전적인 신학 방법론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21] 다시 말하면, 예루살렘에서 출발하되 아테네와 열린 마음으로 대화함으로써 기독교가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자신의 진리를 가능한 한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변증하기 위한 신학 방법론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21] 여기서 아테네는 단지 고대 그리스의 도시가 아니라 오늘날의 모든 인간의 삶의 자리가 될 수 있고 또한 단지 인간의 거주지가 아닌 자연이 될 수도 있다.[21]
5. 2. 통전적 신학
윤철호는 개혁교회 전통을 따르면서도, 다른 전통과의 대화를 통해 교파 간의 분열을 극복하고, 교회 일치를 추구하는 에큐메니칼 정신을 강조한다.[21]그는 해석학적, 변증적 신학 방법을 사용한다. 그의 저서 《예루살렘과 아테네: 신학방법론》에서 그는 자신의 신학적 접근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21]
오늘날 한국 교회가 직면한 위기의 원인 중 하나는, 특히 개신교가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는 배타적인 종교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 기독교 신학은 철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와 대화해야 한다. 특히 과학 시대에 자연과학과의 대화는 필수적인 신학적 과제이다. 그는 신앙과 이성, 신학과 과학, 은혜와 자연, 구속신학과 자연신학 사이의 이분법을 극복하는 통전적인 신학 방법론을 모색한다. 즉, 예루살렘에서 출발하여 아테네와 열린 마음으로 대화함으로써, 기독교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진리를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변증하기 위한 신학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아테네는 고대 그리스 도시뿐만 아니라 오늘날 모든 인간의 삶의 자리, 더 나아가 자연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21]
6. 신학 사상
6. 1. 만유재신론
6. 2. 관계론적 세계관
6. 3. 여성신학
6. 4. 공공신학
7. 미래신학연구소
미래신학연구소는 윤철호가 창립한 연구소로, 21세기 신학의 미래 방향과 길을 연구하고 제시하여 한국 기독교 신학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기독교 복음을 세상에 효과적으로 증언하고 변증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세상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통치가 실현되도록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는 1980년 장로회신학대학교에 입학하여 목회학 석사를 마쳤다.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Th.M.영어 학위를 받았으며, "폴 틸리히와 존 B. 코브 주니어의 신학에서 신과 세계, 인간 실존의 관계"라는 논문으로 1990년 Ph.D.영어 학위를 받았다. 그는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 미래신학연구원을 설립하여 현재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의 관심과 연구는 조직신학, 신학과 과학의 대화에 집중되어 있다. 그는 국제 학술지에 여러 편의 논문을 기고했으며 10권 이상의 학술 서적을 출판했다. 그는 한국 교회가 교회의 섬김과 희생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7. 1. 연구소의 신학 이념과 목적
미래신학연구소는 윤철호가 창립한 연구소로, 21세기 신학의 미래 방향과 길을 연구하고 제시하여 한국 기독교 신학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기독교 복음을 세상에 효과적으로 증언하고 변증하기 위해 가능한 한 이해 가능한 방식으로 세상과 소통하며, 세상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 나라의 통치가 실현되도록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연구소는 다음의 네 가지 신학 이념을 추구한다.
- 성서의 하나님 나라 복음 구현을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 신학
- 세상과 소통을 위한 학제간 연구를 지향하는 융복합적 신학
- 교회의 일치와 화해를 지향하는 에큐메니칼 신학
- 동서 교류를 통한 세계 신학 발전을 지향하는 글로벌 신학
7. 2. 조직
윤철호 박사가 연구책임자이며, 공동연구원은 최유진, 박성규, 안윤기, 이관표, 이상은, 박형국, 백충현, 이용주, 우종학, 정대경, 김정형 박사이다.8. 평가
역사신학자 이형기 박사는 윤철호가 항상 전통적 신학에 만족하지 않고 시대의 사상을 신학에 접목하는 성향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한다.[22] 그는 새로운 시대사상과 발맞추어 가는 학자라고 한다.[22] 철학과 신학을 연관시키는 분야에 전문적이며, 특별히 여성신학도 제일 먼저 개척했다고 한다.[22] 설교를 중시하는 케리그마적 신학과 일반 철학 사상을 관련맺는 '변증적 신학'을 하는 학자라고 한다.[22]
9. 수상
윤철호는 2006년 한국기독교출판협회 제23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10] 같은 해 『세상과 관계성 안에 계신 하나님』으로 한국기독교출판협회 제23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10] 2008년에는 『신뢰와 의혹』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학술도서에 선정되었다.[8]
2013년에는 『설교의 영광, 설교의 부끄러움: 설교비평의 이론과 실제』로 제8회 소망학술상을 수상하고,[11]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통전적 예수 그리스도론』으로 제30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11] 2014년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통전적 예수 그리스도론』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12] 『설교의 영광, 설교의 부끄러움: 설교비평의 이론과 실제』는 제31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9]
2020년 8월 31일에는 행정안전부로부터 근정포장을 받았다.
10. 저서
- 윤철호/Chul-ho Youn영어의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성서·신학·설교: 설교형식으로 풀어쓴 조직신학 강의』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 『현대신학과 현대개혁신학』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3)
- 『통전적 신학』 (공저)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4)
- 『세계와의 관계성 안에 계신 하나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6)
- 『신뢰와 의혹: 통전적인 탈근대적 기독교 해석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 『신학과 말씀』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08)
- 『삼위일체 하나님과 세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1)
-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통전적 예수 그리스도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3)
- 『설교의 영광 설교의 부끄러움: 설교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3)
- 『기독교 신학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5)
- 『인간: 인간의 본성과 운명에 관한 학제간 대화』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한국교회와 하나님 나라를 위한 공적 신학』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9)
- 『복음의 발견』 (서울: 두란노서원, 2020)
- 『예루살렘과 아테네』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20)
- 『신뢰와 의혹: 통전적인 탈근대적 기독교 해석학』 개정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20)
11. 역서
- Peter C. Hodgson, Robert H. King 편. 『현대기독교조직신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 Ted Peters 편. 『과학과 종교: 새로운 공명』. 김흡영, 배국원, 윤원철, 윤철호, 신재식, 김윤성 옮김. 서울: 동연, 2002.
- 세계교회협의회 엮음. 『질그릇 안에 담긴 보배: 해석학에 관한 에큐메니칼적성찰을 위한 도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 Paul Ricoeur. 『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존 B. 톰슨 편집, 영역. 서울: 서광사, 2003.
- Alister E. McGrath. 『천국의 소망』. 윤철호, 김정형 옮김. 서울: 크리스천헤럴드, 2005.
- David Tracy. 『다원성과 모호성』. 윤철호, 박충일 옮김. 서울: 크리스천 헤럴드, 2007.
- 윤철호 편역. 『현대신학자들의 설교』. 서울: 한들출판사, 2011.
12. 논문
12. 1. 박사논문
- God's Relation to the World and Human Existence in the Theologies of Paul Tillich and John B. Cobb, Jr. Ph. D. dissertation.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1990.
12. 2. 국내 학술 논문
윤철호는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초기에는 칼 바르트의 신학사상 변천,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과 기독론, 철학적 신학, 복음주의 신학등을 연구했다. 이후 폴 리쾨르의 성서해석학, 한국 토착화신학, 변증법적 만유재신론, 화이트헤드의 신관, 데이비드 트레이시의 신학 방법론 등을 연구하며 신학적 지평을 넓혔다. 또한, 여성신학의 의의를 평가하고 전망했으며, 통전적인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와 현실 변혁적 교회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포스트토대주의 신학에서의 합리성, 이야기 해석학과 기독론, 변증법적 만유재신론, 성서해석과 설교, 고전적 유신론과 만유재신론, 동방정교회의 삼위일체론, 관계론적 세계관과 여성의 발달경험등을 다루었다.
2010년대 들어 악의 기원과 극복에 대한 신학적 고찰, 구속교리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통전적 구속교리, 정신분석 이론과 종교이해, 창발론적 인간 이해, 비환원론적 물리주의 인간 이해, 온 신학 방법론, 공적신학의 주요 초점과 과제, 창조와 진화, 빅 히스토리 시대의 기독교 자연신학, 매쿼리의 자연신학과 변증법적 신론등 폭넓은 주제를 연구했다.
12. 3. 국제 학술 논문
- “The Trinity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an Integrative View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Trinity: The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East and the West. East-West Theological Forum. The 2nd Conference, Seoul, 이화여자대학교, 6-9 (April, 2011): 94-115.
- “Wolfhart Pannenberg’s Eschatological Theology: In Memoriam.” Neue Zeitschrift für Systematische Theologie und Religionsphilosophie (A&HCI), Vol 57, Issue 3 (Sep. 2015): 398-417.[23]
- “The Points and Tasks of Public The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Theology (SCOPUS) Vol. 11, Issue 1 (March, 2017): 64-87.
- “Theology of Reconciliation.” Japanese and Korean Theologians in Dialogue. Edited by Brian Byrd and Mitsuharu Akudo. Saitama Japan: Seigakuin University Press, 2017. 79-102.
- “Missio Dei Trinitatis and Missio Ecclesiae: A Public Theological Perspective.”International Review of Mission (Scopus), Vol 107, Issue 1 (July, 2018): 225-239.
-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on Christian Natural Theology.” Neue Zeitschrift für Systematische Theologie und Religionsphilosophie (A&HCI), Vol 62, Issue 1 (Mar. 2020): 41-57.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종말론적 신학: 추모 2015, 신 조직신학 및 종교철학 저널, 57(3), 398–417
- 삼위일체 하느님의 선교와 교회의 선교: 공공 신학적 관점 2018, 국제 선교 리뷰, 107(1), 225–239
- 기독교 자연신학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 2020, 신 조직신학 및 종교철학 저널, 62(1), 41–57
- 공공 신학의 요점과 과제 2020, 국제 공공 신학 저널, 11(1), 64–87
참조
[1]
뉴스
21C를 여는 신학자. 장신대 윤철호 교수
http://pckworld.com/[...]
2021-10-13
[2]
뉴스
장신대, 교원 퇴임기념 감사예배 및 퇴임예식 진행
https://www.christia[...]
2021-09-15
[3]
뉴스
장신대 윤철호 교수(조직신학) 국제전문학술지(SCOPUS) 논문 게재되어
http://www.news.re.k[...]
2021-10-13
[4]
뉴스
장신대 윤철호 교수 한국기독교출판 문화상 수상
https://puts.or.kr/b[...]
2021-10-13
[5]
뉴스
한국조직신학회, 제11회 전국대회 개최…'통일 염두에 둔 신학적 대화 나눠
https://www.christia[...]
2021-09-15
[6]
웹사이트
Future Theology Institute
https://www.fti.or.k[...]
2021-09-15
[7]
웹사이트
theological forum of PUTS
https://www.cts.tv/n[...]
2021-10-13
[8]
웹사이트
academic book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ward
https://www.mcst.go.[...]
[9]
웹사이트
Korean Christian Publishing Culture Award
https://puts.or.kr/b[...]
[10]
웹사이트
Korean Christian Publishing Culture Grand Prize Award
https://www.scitheo.[...]
[11]
웹사이트
Korean Christian Publishing Culture Grand Prize Award
https://mall.godpeop[...]
[12]
웹사이트
Korea Academy of Sciences Award
http://www.dasuk.kr/[...]
[13]
뉴스
장신대, 교원 퇴임기념 감사예배 및 퇴임예식 진행
https://www.christia[...]
기독일보
2020-06-02
[14]
문서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진
http://open.puts.ac.[...]
[15]
웹인용
미래신학연구소
https://www.fti.or.k[...]
2021-06-21
[16]
Youtube
윤철호 교수 인터뷰 2
https://www.youtube.[...]
[17]
뉴스
전통부터 현대까지, 폭넓고 세심하게 연구한 기독교 인간론
https://www.christia[...]
christiantoday
2017-09-17
[18]
뉴스
21C를 여는 신학자. 장신대 윤철호 교수
http://pckworld.com/[...]
한국기독공보
2000-04-08
[19]
웹인용
장신대 윤철호 교수 국제전문학술지(SCOPUS)논문 게재되어, CRW 뉴스, 2017-03-22
http://news.re.kr/bb[...]
2021-06-21
[20]
서적
윤철호 교수의 생애와 사상, 윤철호 교수 정년 은퇴 기념 논문집, 『예루살렘과 아테네: 신학방법론』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20
[21]
서적
예루살렘과 아테네 책 저자 소개
http://www.pcts.ac.k[...]
[22]
뉴스
21C를 여는 신학자. 장신대 윤철호 교수
http://pckworld.com/[...]
한국기독공보
2000-04-08
[23]
논문
Wolfhart Pannenberg’s Eschatological Theology: In Memoriam, NZSTh
https://www.degruy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