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융커스는 1895년 설립된 독일의 항공기 및 엔진 제조 회사이다. 세계 최초의 전금속 항공기인 융커스 J 1을 개발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용기를 생산했다. 베르사유 조약 이후 민간 항공기 제작에 집중하여 융커스 F.13, G.38 등 상업적으로 성공한 항공기를 제작했다. 나치 정권 하에서 강제 국유화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공군의 주력 항공기를 생산했다. 융커스 기술은 미국의 윌리엄 부시넬 스타우트와 소련의 안드레이 투폴레프 등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소련의 OKB-1에서도 융커스 기술을 바탕으로 항공기를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항공기 제작사 - 체펠린 비행조선
체펠린 비행조선은 1900년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의 첫 비행선 개발을 시작으로 민간 및 군사용 비행선을 제작했으며, 힌덴부르크 재난 이후 중단되었다가 1993년 모회사 재설립 및 2001년 운영 회사 설립을 통해 비행선 제작을 재개했다. - 독일의 항공기 제작사 - 하인켈
하인켈은 에른스트 하인켈이 1922년 설립한 독일의 항공기 제조업체로, 1930년대부터 독일 공군의 주요 항공기를 생산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He 111 폭격기 등을 생산했고, 제트 엔진 및 로켓 개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나 전쟁 후 항공기 생산 금지 조치로 스쿠터 등을 생산하다 1965년 VFW에 흡수되었으며, 나치 독일 정권과의 협력 등으로 논란이 되었다. - 없어진 항공기 제작사 - 그러먼
그러먼은 1930년 설립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캣" 시리즈 전투기 생산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아폴로 계획에 참여하여 달 착륙선을 제작하는 등 항공우주 및 군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미국의 업체로, 1994년 노스롭과 합병하여 노스롭 그러먼이 되었다. - 없어진 항공기 제작사 -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는 영국 정부의 항공우주산업 국유화 정책으로 설립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체로, 파나비아 토네이도,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 146, 해리어 점프 제트 등을 생산했으며 에어버스 컨소시엄에 참여했고, 1999년 BAE 시스템즈로 사명을 변경했다.
융커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융커스 항공기・발동기 제작 주식회사 |
원어명 | Junkers Flugzeug- und Motorenwerke AG |
종류 | 비공개 회사 |
산업 분야 | 항공기 및 관련 기계 제조 차량 제조 |
설립 | 1895년 |
설립자 | 후고 융커스 |
해산 | 1969년 |
본사 위치 | , 데사우 |
직원 수 | 40,000명 |
후신 | 융커스 항공기 제작 주식회사 |
합병 대상 | 메서슈미트-뵐코프-블롬 |
웹사이트 | 융커스 항공기 |
주요 인물 | |
핵심 인물 | 후고 융커스 |
기타 정보 | |
이전 명칭 | 융커스 플루크초이크- 운트 모토렌베르케 아게 |
![]() |
2. 역사
1895년 후고 융커스가 '''융커스 & Co 온수기 제조회사'''(Junkers & Co. Warmwasser-Apparatefabrik)를 설립하면서 융커스 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 1915년 전금속 구조의 실험기 융커스 J1을 개발했고,[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 당국의 요청으로 폭커사와 제휴하여 '''융커스-폭커 주식회사'''(Junkers-Fokker-AG, Jfa)를 설립, 융커스 J4 등 군용기를 제조하였다.[3]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융커스-폭커 주식회사에서 '''융커스 항공기 제작 주식회사'''(Junkers Flugzeugwerk AG)가 분리되었다. 독일 내 항공기 연구·제작 제한으로 러시아와 스웨덴에서 사업을 확대하였다. 1921년 항공 운송 부문을 분리하여 '''융커스 항공 운송 주식회사'''(Junkers-Luftverkehr-AG)를 설립하였다.[1] 1922년 항공기 연구·제작 제한이 완화되면서 러시아 지사가 설립되었고, 1923년에는 데사우에 '''융커스 발동기 공장 유한회사'''(Junkers Motorenbau GmbH)를 설립하였다.[5]
1926년 30만 라이히스마르크 손실로 러시아 지사가 도산하였고, 훈커스 항공 운송 등은 합병하여 루프트한자 독일항공이 설립되었다. 1932년 융커스 항공기 제작은 파산하였다.[5]
1933년 나치당의 집권 후, 융커스 사는 항공성에 비공개 특허와 주식 51%를 강제로 양도당했다.[1] 1934년 나치에 비판적이었던 융커스는 자택 연금되었고,[1] 1935년 사망했다.[1] 1936년 융커스 발동기 공장과 융커스 항공기 제작이 합병하여 '''융커스 항공기·발동기 제작 주식회사'''(Junkers Flugzeug- und Motorenwerke AG)가 설립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훈커스 유한회사'''(Junkers GmbH)로 재건되어 메서슈미트-뵈르코프-블롬(MBB)에 흡수되었다.[7]
2. 1. 초기 역사 (1895년 ~ 1918년)
1895년 베를린 공과대학교를 졸업한 후고 융커스는 '''융커스 & Co 온수기 제조회사'''(Junkers & Co. Warmwasser-Apparatefabrik)를 설립하였다.[1] 1915년에는 세계 최초로 전금속 구조(강철 골조, 얇은 강철 피복)를 가진 중익 단엽기 실험기 융커스 J 1을 개발하였다.[2]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군 당국의 요청에 따라 폭커사와 제휴하여 '''융커스-폭커 주식회사'''(Junkers-Fokker-AG, Jfa)를 설립하고, 융커스 J4 등 다수의 군용기를 제조하였다.[3]

2. 2. 전간기 (1919년 ~ 1932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로 F.13이 첫 비행을 한 지 며칠 후부터 초기 몇 달 동안 독일에서의 모든 항공기 제작이 금지되었다.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민간 항공기 설계만 독일에 허용되었다. 융커스는 필리(모스크바 서부 교외)로 부분적으로 이전하여 1922년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항공기 제작을 재개할 수 있었다.[1] 융커스는 단발 엔진 G.24와 3발 엔진 G.31을 포함하여 점점 더 큰 민간 항공기를 개발했으나, 두 항공기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1926년 조약 제한이 만료되자 융커스는 융커스 W33과 융커스 W34 시리즈를 출시했고, 이 시리즈는 여객, 화물 수송, 그리고 다소 후에는 군사용 구성에서 대량 생산 주문을 통해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W-33/W-34 시리즈는 1926년부터 1930년까지 비행 지속 시간, 비행 거리, 고도, 로켓 지원 이륙 및 비행 중 급유 등 여러 항공 분야에서 최초 기록을 세웠다.1924년 융커스는 데사우에 "융커스 항공사진 중앙부(Junkers Luftbild-Zentrale)"를 설립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항공 사진을 제작했다.[2] 8년 후, 모회사의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이 부서는 분리되어 "빌트플루그(Bild-Flug)"로 1년간 운영되다가 주요 경쟁사인 "한자 루프트빌트(Hansa Luftbild)"에 인수되었다.
1922년 미국 엔지니어 윌리엄 부시넬 스타우트와 1924년 소련 엔지니어 안드레이 투폴레프는 각각 자국에서 최초의 전금속 항공기를 만들기 위해 융커스의 골판지 두랄루민 동체 설계 기술을 채택했다. 스타우트는 스타우트 ST 쌍발 엔진 해군 어뢰폭격기 시제기를, 투폴레프는 소련 정부의 TsAGI 연구 센터의 지원을 받아 경량 금속 동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투폴레프 ANT-2 소형 여객기를 제작했다.
융커스 G.38에 도입된 기본 원리는 독일 루프트한자에서 정기 운항에 투입되었다. 도입 당시 이 4발 엔진 수송기는 승객 34명과 승무원 7명을 수송하는 세계 최대의 육상 비행기였다. G.38은 일부 승객을 동체 바깥쪽 날개 영역에 앉혔고, 동체 앞쪽은 창문으로 덮여 있었다.
1931년경, 융커스는 일련의 재정적 어려움을 겪어 기업 집단의 붕괴로 이어졌다. 기존 주주들은 휴고 융커스에게 회사를 떠날 것을 압박했다. 그러나 휴고 융커스는 당시 존재하던 대부분의 융커스 설계, 특히 많은 엔진에 사용된 다양한 기술의 특허권자였다.
휴고 융커스의 엔진 특허 포트폴리오를 "매입"하여 1932년 11월에 설립된 새로운 회사인 '''융커스 모토렌-파텐슈텔레 GmbH'''에 배치하는 계획이 시작되었다.[5]
2. 3. 나치 시대 (1933년 ~ 1945년)
나치당의 집권한 1933년, 나치당의 압력으로 융커스 사는 반강제적으로 비공개 특허와 주식 51%를 항공성에 양도했다.[1] 1934년 나치에 비판적이었던 후고 융커스는 자택 연금되었고,[1] 1935년에 사망했다.[1] 1936년 훈커스 발동기 공장과 훈커스 항공기 제작이 합병하여 '''융커스 항공기·발동기 제작 주식회사'''(Junkers Flugzeug- und Motorenwerke AG)가 설립되었다.[1]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융커스社는 제2차 세계 대전과 동독의 건립을 극복하고 융커스 유한회사(Junkers GmbH)로 재건되었다.[7] 결국 1958년 하인켈社와 메서슈미트社 간의 합작 투자 회사인 Flugzeug-Union-Süd를 통해 메서슈미트-뵐코프-블롬(MBB) 컨소시엄에 합병되었다.[7] 메서슈미트社는 1965년 JFM AG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고 1967년에 이를 메서슈미트社에 흡수함으로써 합작 투자를 종료했다.[7] 서독 내에서 융커스 GmbH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초 항공 우주 운송의 미래에 대한 연구에 참여했다. 이 기간 동안 융커스社는 유명한 오스트리아 엔지니어이자 우주 여행 이론가인 에우겐 젠거를 고용했으며, 그는 1961년 융커스社에서 첨단 궤도 우주선 설계 작업을 완료했다.[8] 융커스 GmbH는 메서슈미트-뵐코프-블롬(MBB)에 흡수되었고, 융커스라는 이름은 1969년에 사라졌다.[8]3. 제품
융커스에서 제작하거나 개발을 시도한 항공기 및 엔진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표기
:A = Austauschflugzeug (민간 또는 군용에 적합)
:EF = Entwurfsflugzeug (실험 항공기)
:F = Flugzeug (항공기)
:G = Großflugzeug (대형 항공기)
:H = 융커스 모스크바 공장에서 제작된 항공기
:K = Kampfflugzeug (폭격기)
:S = Spezial (특수)
:T = Schulflugzeug (훈련기)
:W = Wasserflugzeug (수상기).
:CL = 2인승 지상 공격기
:D = 1인승 복엽 정찰기, 1918년 이후 모든 1인승 정찰기에 사용됨.
:E = 1인승 단엽 정찰기
:J = 2인승 장갑 근접 지원 복엽기
전쟁 직후 융커스는 J8 설계를 기반으로 융커스 F.13을 개발하여 1919년 6월 25일에 첫 비행을 했고, 같은 해 7월에 운항 자격을 취득했다. 이 4인승 단엽기는 세계 최초의 전금속 여객기였다. 유럽에서 상당한 판매고를 올린 것 외에도, 융커스-라르센(Junkers-Larsen) 계열사를 통해 약 25대가 북미 고객에게 인도되어 주로 우편 항공기에 사용되었다.
베르사유 조약은 F.13이 첫 비행을 한 지 며칠 후에 체결되었으며, 초기에는 몇 달 동안 독일에서의 모든 항공기 제작을 금지했다.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민간 항공기 설계만 독일에 허용되었다. 융커스는 필리(모스크바 서부 교외)로 부분적으로 이전하여 1922년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항공기 제작을 재개할 수 있었다.[1] 부분적으로 재건된 융커스는 단발 엔진 G.24와 3발 엔진 G.31을 포함하여 점점 더 큰 민간 항공기를 개발했다. 그러나 두 항공기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1926년 조약 제한이 만료되자 융커스는 융커스 W33과 융커스 W34 시리즈를 출시했고, 이 시리즈는 여객, 화물 수송, 그리고 다소 후에는 군사용 구성에서 대량 생산 주문을 통해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W-33/W-34 시리즈는 1926년부터 1930년까지 비행 지속 시간, 비행 거리, 고도, 로켓 지원 이륙 및 비행 중 급유 등 여러 항공 분야에서 최초 기록을 세웠다.
이전 연구 작업 후, 융커스는 1924년 데사우에 "융커스 항공사진 중앙부(Junkers Luftbild-Zentrale)"를 설립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항공 사진을 제작했다.[2] 8년 후, 모회사의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이 부서는 분리되어 "빌트플루그(Bild-Flug)"로 1년간 운영되다가 주요 경쟁사인 "한자 루프트빌트(Hansa Luftbild)"에 인수되었다.
융커스는 1924년 미국 방문을 위해 설계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앞쪽에 캔터드 날개와 주익을 모두 갖춘 4발 엔진 80인승 항공기를 제시했으며, 두 날개 모두 이중 기둥 위에 장착되었다. 융커스 J.1000 슈퍼 덕(Junkers J.1000 Super Duck)이라고 불린 이 여객기는 주익과 동체 부분 모두에 좌석이 배치될 예정이었다. 이 융커스 설계에는 축소 모형이 포함되어 있으며, 8~10시간의 대서양 횡단 운항이 가능한 항공기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것이었다.[3]
1922년 미국 엔지니어 윌리엄 부시넬 스타우트와 1924년 소련 엔지니어 안드레이 투폴레프는 각각 자국에서 최초의 전금속 항공기를 만들기 위해 융커스의 골판지 두랄루민 동체 설계 기술을 채택했다. 스타우트는 스타우트 ST 쌍발 엔진 해군 어뢰폭격기 시제기를, 투폴레프는 소련 정부의 TsAGI 연구 센터의 지원을 받아 경량 금속 동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투폴레프 ANT-2 소형 여객기를 제작했다.
이 설계에 제시된 기본 원리는 나중에 융커스 G.38에 도입되어 독일 루프트한자에서 정기 운항에 투입되었다. 도입 당시 이 4발 엔진 수송기는 승객 34명과 승무원 7명을 수송하는 세계 최대의 육상 비행기였다. G.38은 일부 승객을 동체 바깥쪽 날개 영역에 앉혔고, 동체 앞쪽은 창문으로 덮여 있었다.
또한 1932년 융커스는 마이바흐와의 합작 프로젝트로 공기역학적 자동차를 설계 및 제작했지만, 대공황으로 인해 고급 자동차 시장이 포화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4]
3. 1. 항공기
융커스사에서 제작하거나 개발을 시도한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형식 번호 | 설명 |
---|---|
융커스 J 1 | (군용 명칭 없음) 세계 최초의 전금속 구조 항공기, 1915년. |
융커스 J 2 | (군용 명칭 없음) 전금속 단좌 실험 항공기, 전투기로 설계됨, 1916년. |
융커스 J 3 | 중익 단엽기, 완성 전 취소됨, 최초로 골판지 피복 듀랄루민 설계 제안. |
융커스 J 4 (군용 J.I) | 장갑 동체 세스퀴플레인 전금속 근접 지원 항공기, 1917년. |
융커스 J 5 | 미제작 단엽 정찰기, 조종사 뒤에 엔진 위치. |
융커스 J 6 | 미제작 파라솔 단엽 정찰기. |
융커스 J 7 | J 9의 시제기, 1917년. |
융커스 J 8 | J 7의 2인승 개량형, 1917년. |
융커스 J 9 (군용 D.I) | 전 듀랄루민 단좌 전투기, J.9/I 및 J.9/II(길어진 날개폭과 후방 동체) 버전으로 제작됨, 1918년. |
융커스 J 10 (군용 CL.I) | 전 듀랄루민 단엽기 근접 지원 항공기, 1918년. |
융커스 J 11 (해군 C3MG, 군용 CLS.I) | J 10의 부양기 버전, 1918년. |
융커스 J 12 | J 10에서 개발된 시제 4인승 여객기, 융커스 F.13의 전신, 1919년. |
융커스 F 13 | 여객기, 1919년(원래 J 13, 미국에서 융커스-라르센으로 판매됨). |
융커스 JG1 | 대형 단엽기 프로젝트, 1921년. |
융커스 J 15 | J/K 16의 전신, 1920년. |
융커스 K 16 | 소형 단발 여객기, J 16으로도 알려짐, 1922년. |
융커스 J 17 | 개량된 K 16, 미제작. |
융커스 J 18 | 해군 측량 항공기, 미제작. |
융커스 T 19 | 훈련기 및 관광기, J 19으로도 알려짐, 1922년. |
융커스 A 20 | 경량 수송기, 1923년. |
융커스 J 21 | T 21 및 H 21로도 알려짐, 러시아에서 제작된 적군 정찰기, 1923년. |
융커스 J 22 | H 22로도 알려짐, 적군용, J 21과 유사한 전투기, 1922년. |
융커스 T 23 | 스포츠 단엽기 또는 복엽기, 1923년. |
융커스 G 23 | 3발 10인승 여객기, 1923년. |
융커스 G 24 | G 23의 확장형, 1925년. |
융커스 F 24 | G 23의 단발 개량형, 1928년. |
융커스 A 25 | 융커스 L2 엔진으로 재엔진 장착된 A 20, 1926년. |
융커스 T 26 | 훈련 및 스포츠 항공기, 1925년. |
융커스 T 27 | 재엔진 장착된 T 26, 1925년. |
융커스 J 28 | T.21의 2인승 버전, 미제작. |
융커스 J 29 | 스포츠 단엽기, 이중익 개발 항공기, 1925년. |
융커스 K 30 | G 24의 군용 버전, 1930년. |
융커스 G 31 | 15인승 여객기, 1926년. |
융커스 A 32 | 실험용 단엽기, 1926년. |
융커스 W 33 | 단발 경량 수송기 (F.13에서 개발됨), 1926년. |
융커스 W 34 | 단발 경량 수송기 + 정찰기 (W33에서 개발됨), 1933년. |
융커스 A 35 | 우편, 훈련 및 군용 항공기, 1926년. |
융커스 S 36 | 쌍발 우편기, 1927년. |
융커스 K 37 | S 36의 군용 버전, 1928년. |
융커스 G.38 | 4발 상업용 수송기, 건조 당시 세계 최대 육상기, 1929년. |
융커스 K 39 | 실험 정찰 폭격기 (A 32에서 개발됨), 1927년. |
융커스 J 40 | 시제 대형 수상기 여객기 (G.38에서 파생됨), 1926년. |
융커스 W 41 | 융커스 Fo 4 디젤 엔진으로 재엔진 장착된 F 24, 1928년. |
융커스 R 42 | 스웨덴에서 제작된 K 30의 명칭. |
융커스 K 43 | 정찰 단엽기, 1927년. |
융커스 J 44 | A 35의 시제 교체기, 1927년. |
융커스 K 45 | 어뢰 폭격기로 개조된 단일 Ju 52, 1932년. |
융커스 Ju 46 | W 34에서 파생된 사출식 우편기. |
융커스 K 47 | 근접 지원 항공기, K.48의 시제기, 1927년. |
융커스 A 48 | 양산 급강하 폭격기, 1928년. |
융커스 Ju 49 | 고고도 연구 항공기, 1931년. |
융커스 A50 | 스포츠 단엽기, 1929년. |
융커스 K 51 | 일본용 Ki-20 중폭격기, 1934년경. |
융커스 Ju 52 | Ju 52/3m의 단발 전신, 1930년. |
융커스 Ju 52/3m | Tante Ju (숙모 Ju), 여객기 및 수송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수송기 및 폭격기로 사용됨, 1932년. |
융커스 K 53 | 스웨덴에서 제작된 A 35의 명칭. |
융커스 J 54 | A 35의 시제 교체기, 1929년. |
융커스 J 56 | K 16의 시제 교체기, 1930년. |
융커스 J 58 | F 13 및 W 34의 시제 교체기, 1929년. |
융커스 Ju 60 | 저익 고속 여객기, 1932년. |
융커스 K 85 | 스웨덴을 위한 Ju 86의 어뢰 폭격기 버전 제안, 1933년. |
융커스 Ju 85 | Ju 86과 유사한 시제 쌍발 폭격기, 미제작. |
융커스 Ju 86 | 쌍발 여객기, 폭격기 + 정찰기, 1934년. |
융커스 Ju 87 | 슈투카, 급강하 폭격기, 1935년. |
융커스 Ju 88 | 폭격기 + 정찰기 + 야간 전투기. |
융커스 Ju 89 | 대형 수송기, 대형 폭격기 (시제기), 1936년. |
융커스 Ju 90 | Ju 89에서 개발된 4발 여객기, 수송기, 1937년. |
융커스 Ju 160 | Ju 60에서 개발된 저익 고속 여객기, 1934년. |
융커스 Ju 186 | Ju 86의 4발 고고도 시제기, 미제작. |
융커스 Ju 187 | 근접 지원 항공기 프로젝트, 모형 제작 후 취소됨. |
융커스 Ju 188 | Rächer, 폭격기, 1941년. |
융커스 Ju 248 | Me 263의 재지정. |
융커스 Ju 252 | EF 77에서 개발된 수송기, 1941년. |
융커스 Ju 268 | 기생 폭격기 프로젝트, 1944년. |
융커스 Ju 286 | Ju 86의 6발 고고도 버전, 미제작. |
융커스 Ju 287 | 전방 휩쓸린 날개를 가진 시제 제트 엔진 폭격기, 1945년. |
융커스 Ju 288 | 폭격기 (시제기), 1941년. |
융커스 Ju 290 | 수송기, 순찰기, 1941년. |
융커스 Ju 322 | Mammut (맘모스), 수송 활공기 (시제기), 1941년. |
융커스 Ju 352 | Herkules (헤르쿨레스), 수송기, 1944년. |
융커스 Ju 388 | Störtebeker, 정찰기 + 야간 전투기, 1943년. |
융커스 Ju 390 | 6발 장거리 Amerikabomber 경쟁기 (시제기), Ju 290에서 개발됨, 1943년. |
융커스 Ju 452 | 목재 구조로 된 Ju 252의 파생형. |
융커스 Ju 488 | 제안된 대형 폭격기 설계. |
융커스 J.1000 | 대형 비행익 여객기, 1924년. |
전쟁 직후 융커스는 J8 설계를 기반으로 융커스 F.13을 개발하여 1919년 6월 25일에 첫 비행을 했고, 같은 해 7월에 운항 자격을 취득했다. 이 4인승 단엽기는 세계 최초의 전금속 여객기였다. 유럽에서 상당한 판매고를 올린 것 외에도, 융커스-라르센(Junkers-Larsen) 계열사를 통해 약 25대가 북미 고객에게 인도되어 주로 우편 항공기에 사용되었다.
베르사유 조약은 F.13이 첫 비행을 한 지 며칠 후에 체결되었으며, 초기에는 몇 달 동안 독일에서의 모든 항공기 제작을 금지했다. 그 기간이 지난 후에는 민간 항공기 설계만 독일에 허용되었다. 융커스는 필리(모스크바 서부 교외)로 부분적으로 이전하여 1922년 소비에트 연방 내에서 항공기 제작을 재개할 수 있었다.[1] 부분적으로 재건된 융커스는 단발 엔진 G.24와 3발 엔진 G.31을 포함하여 점점 더 큰 민간 항공기를 개발했다. 그러나 두 항공기 모두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 1926년 조약 제한이 만료되자 융커스는 융커스 W33과 융커스 W34 시리즈를 출시했고, 이 시리즈는 여객, 화물 수송, 그리고 다소 후에는 군사용 구성에서 대량 생산 주문을 통해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W-33/W-34 시리즈는 1926년부터 1930년까지 비행 지속 시간, 비행 거리, 고도, 로켓 지원 이륙 및 비행 중 급유 등 여러 항공 분야에서 최초 기록을 세웠다.
이전 연구 작업 후, 융커스는 1924년 데사우에 "융커스 항공사진 중앙부(Junkers Luftbild-Zentrale)"를 설립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항공 사진을 제작했다.[2] 8년 후, 모회사의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이 부서는 분리되어 "빌트플루그(Bild-Flug)"로 1년간 운영되다가 주요 경쟁사인 "한자 루프트빌트(Hansa Luftbild)"에 인수되었다.
융커스는 1924년 미국 방문을 위해 설계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앞쪽에 캔터드 날개와 주익을 모두 갖춘 4발 엔진 80인승 항공기를 제시했으며, 두 날개 모두 이중 기둥 위에 장착되었다. 융커스 J.1000 슈퍼 덕(Junkers J.1000 Super Duck)이라고 불린 이 여객기는 주익과 동체 부분 모두에 좌석이 배치될 예정이었다. 이 융커스 설계에는 축소 모형이 포함되어 있으며, 8~10시간의 대서양 횡단 운항이 가능한 항공기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것이었다.[3]
1922년 미국 엔지니어 윌리엄 부시넬 스타우트와 1924년 소련 엔지니어 안드레이 투폴레프는 각각 자국에서 최초의 전금속 항공기를 만들기 위해 융커스의 골판지 두랄루민 동체 설계 기술을 채택했다. 스타우트는 스타우트 ST 쌍발 엔진 해군 어뢰폭격기 시제기를, 투폴레프는 소련 정부의 TsAGI 연구 센터의 지원을 받아 경량 금속 동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투폴레프 ANT-2 소형 여객기를 제작했다.
이 설계에 제시된 기본 원리는 나중에 융커스 G.38에 도입되어 독일 루프트한자에서 정기 운항에 투입되었다. 도입 당시 이 4발 엔진 수송기는 승객 34명과 승무원 7명을 수송하는 세계 최대의 육상 비행기였다. G.38은 일부 승객을 동체 바깥쪽 날개 영역에 앉혔고, 동체 앞쪽은 창문으로 덮여 있었다.
또한 1932년 융커스는 마이바흐와의 합작 프로젝트로 공기역학적 자동차를 설계 및 제작했지만, 대공황으로 인해 고급 자동차 시장이 포화 상태임을 알게 되었다.[4]
3. 1. 1. 실험 모델
형식 번호 | 설명 |
---|---|
융커스 EFo 008 | 고고도 제트 폭격기 |
융커스 EFo 009 | Hubjäger(수직이착륙 전투기), 제트 전투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o 010 | |
융커스 EFo 011 | 쌍발 제트 전투기 |
융커스 EFo 012 | 4발 제트 폭격기 |
융커스 EFo 015 | 개량형 EFo 012 |
융커스 EFo 017 | 쌍발 제트 전투기 (Me 262와 유사) |
융커스 EFo 018 | 4발 제트 폭격기, 날개 아래 엔진 장착 |
융커스 EFo 019 | 쌍발 제트 폭격기, 날개에 통합된 엔진 |
융커스 EFo 021 | 1938년, 40인승 2층 대서양 횡단 여객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o 043 | 활공 수송기 또는 원격 조종 활공 폭탄 |
융커스 EF 017 | 단발, 3인승 군용기, 후에 A 32 및 K 39로 명칭 변경 |
융커스 EF 024 | 단발 전투기, 후에 A 48로 명칭 변경 |
융커스 EF 029 | 고고도 항공기, 후에 Ju 49로 명칭 변경 |
융커스 EF 030 | 단발 여객기, 후에 W 41 (그리고 아마도 Ju 52)로 명칭 변경 |
융커스 EF 031 | A50의 설계 지정 |
융커스 EF 034 | 1929년, 4인승 여행용 항공기, Luftlimousine(비행 리무진) |
융커스 EF 037 | 1930년, 쌍발 군용기 |
융커스 EF 048 | 1933년, 쌍발 다목적 군용기, K 37 개발 |
융커스 EF 049 | 1933년, Ju 52/1m의 쌍발 엔진 개발 |
융커스 EF 050 | VTOL 설계 연구, Fa 269와 유사 |
융커스 EF 052 | K 85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53 | 융커스 EF 100의 초기 설계 |
융커스 EF 055 | 융커스 Ju 287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56 | 융커스 Ju 287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57 | 융커스 Ju 287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58 | 융커스 Ju 287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59 | Ju 88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60 | 융커스 EF 127/융커스 EF 128의 초기 설계 |
융커스 EF 061 | 1936년, 고고도 전투기 + 정찰기 (시제품) |
융커스 EF 062 | 초기 융커스 EF 128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63 | 초기 융커스 EF 128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65 | 1939년, 가능성 있는 초기 융커스 EF 082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71 | 공기역학적 날개 끝 시험 모델 |
융커스 EF 072 | 초기 EF 077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73 | 융커스 Ju 288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77 | 융커스 Ju 252 설계 연구 |
융커스 EF 082 | 전투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 094 | 융커스 Ju 322의 설계 지정 |
융커스 EF 100 | 1940년, 6발, 와이드 바디 대서양 횡단 여객기 |
융커스 EF 101 | Mistel 항공기 설계 |
융커스 EF 112 | 1942년, 쌍꼬리 지상 공격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 115 | 4개의 Jumo 211 엔진 또는 2개의 제트 엔진을 장착한 폭격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 116 | 1943년, W형 날개 제트 폭격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 122 | 4발 융커스 Ju 287 설계 연구, 후에 Ju 287로 명칭 변경 |
융커스 EF 125 | 2발 융커스 Ju 287 설계 연구, 후에 EF 140으로 명칭 변경 |
융커스 EF 126 Lilli | 1944년 펄스제트 전투기 프로젝트, 전후 소련에서 완성됨 |
융커스 EF 127 Walli | 융커스 EF 126의 로켓 추진 버전 |
융커스 EF 128 | 제트 엔진 요격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 130 | 1943년, 4발 비행익 제트 폭격기 프로젝트 |
융커스 EF 131 | 융커스 Ju 287의 6발 개발, 전후 소련에서 완성됨 |
융커스 EF 132 | 중폭격기, 부분적으로 소련에서 제작되었으나 완성되지 않음 |
융커스 EF 135 | 융커스 EF 130 개발 |
융커스 EF 137 | 1943년, 제트 전투기 설계 |
융커스 EF 140 | 쌍발 제트 폭격기, EF 131의 개발; 소련에서 전후 완성됨 |
융커스 EF 145 | 아마도 OKB-1에서 Ju 88 또는 Ju 388 시험기일 것으로 추정됨 |
융커스 EF 150 | 쌍발 제트 폭격기, EF 140의 추가 개발; 대부분 러시아 설계이며 소련에서 전후 완성됨 |
3. 2. 항공기 엔진
융커스는 1890년대 초에 발명한 2행정 엔진, 대향 피스톤 방식을 사용한 모든 융커스 디젤 엔진을 개발했다.[11] 1896년까지 융커스 엔진은 제철소에서 발전기를 가동하고 있었다.[11]'''액냉식 수평 대향 피스톤 직렬 4기통'''(8피스톤)
- Mo 3
'''액냉식 수직 대향 피스톤 직렬 5기통'''(10피스톤)
- Fo 3
'''액냉식 수직 대향 피스톤 직렬 6기통'''(12피스톤)
- 유모 204 (Jumo 204): W.41(F24 / F24 kay), Ju 52-1m, G.38
- 유모 205 (Jumo 205)
- 유모 206 (Jumo 206)
- 유모 207 (Jumo 207)
- 유모 208 (Jumo 208)
- 유모 209 (Jumo 209) (계획만)
'''커플드 엔진 액냉식 수직 대향 피스톤 12기통'''(24피스톤)
- 유모 218 (Jumo 218) (계획만): 유모 208의 커플드 엔진 고고도용(Ju 86P, He 177B용)
'''커플드 엔진 액냉식 십자 대향 피스톤 24기통'''(48피스톤)
- 유모 223 (Jumo 223) / 유모 224 (Jumo 224): 유모 207B-3을 4기 결합시킨 엔진
'''액냉 수평대향 피스톤 직렬 6기통''' (12피스톤)
- Fo 2
'''액냉 직렬 6기통'''
- L 1
- L 2
- L 3 / L 4
- L 5
- L 7
- L 8
'''액냉 V형 12기통'''
- L 55
- L 88

'''액냉 역V형 12기통'''
- 유모 210 (Jumo 210)/L 10
엔진 | 세부 사항 |
---|---|
A | Ju 87 시제기, Me 109 V-2 / V-8 |
B | Me 110 A, Fw 159V-1~V-3 |
C | He 112V-2 / V-3, Ar 80V-2 - V-5, Ar 81V-1~V-3, Hs 124V-1 / V-3 |
D | Ju 87A-0~A-2, Bf 109D, Fw 187A |
E | He 112V-9 / B-0 / B-1, He 114V-2 |
G | Bf 109B, Bf 110B, He 112V-11, Fw 159V-1~V-3, Fw 187A , Me 262V-1(제트 엔진 테스트 시의 비상용 예비 엔진) |
- 유모 211 (Jumo 211)
엔진 | 세부 사항 |
---|---|
A-1 | Ju 87B, He 111E / F-0 / F-4 / H-0~H-2, Do 217V-2~V-6 / C-0, Gotha P.3(계획만) |
B | Ju 88V4~V10 |
B-1 | Ju 88A-1 - A-3, C-0 / C-1, D-2 |
D | He 111 H-3~H-5 |
E | |
F | Ju 90V-2, Me 323 V-14 |
F-1 | He 111H-6 / H-9 / H-11, Ju 88A-8~A-11, Ju 251V-1 / A-1 |
F-2 | Ta 154 V-1~V-7 / A-0의 일부 |
G-1 | Ju 88A-6 / A-7 / D-4 |
H | He 111 H-8 |
J-1 | Ju 88C-6 / C-7 / D-0 / D-1 / D-3 / D-5, Fw 491, Me 264 V1 |
N | Ta 154 |
P | Ta 154 |
Z-1 | He 111H-16~H-23 |
- 유모 213 (Jumo 213)
엔진 | 세부 사항 |
---|---|
A | Fw 190D-9, Ta 154 / H-0, Ju-88S-3 |
B | (시제품만) |
C | |
D | (계획만) |
E | Ta152H-0~1, Ta 154, Ju 388 |
F | |
J | (시제품만) |
S | (시제품만) |
T | (시제품만) |
- 유모 214 / 유모 221 (Jumo 214 / Jumo 221)
'''액냉 4기통 × 6뱅크 24기통'''
- 유모 222 (Jumo 222): 「폭격기 B 프로젝트」용 엔진
엔진 | 세부 사항 |
---|---|
A-1 | 수기만 완성, A와 B의 차이는 과급기의 압축비 |
B-1 | 수기만 완성 |
B-2 | (계획만) |
A-2 | (계획만) |
A-3 | 고고도용, Ju 288V-9 |
B-3 | 고고도용, Ju 288V-9 |
C | C와 D의 차이는 과급기의 압축비, Ju 288, He 219(테스트만) |
D | Ju 288, He 219(테스트만) |
E | 222A-1의 후계 고고도용, E와 F의 차이는 과급기의 압축비(미완성?) |
F | 222B-1의 후계 고고도용(미완성?) |
G | 배기 터빈 부착, G와 H의 차이는 과급기의 압축비, 수기만 완성 |
H | 배기 터빈 부착, 수기만 완성 |
'''액냉 6기통 × 6뱅크 36기통'''
- 유모 225 (Jumo 225): 70L 4000hp~5000hp (계획만)
4. 융커스 기술의 영향
1922년 미국의 윌리엄 부시넬 스타우트는 스타우트 ST 쌍발 엔진 해군 어뢰폭격기 시제기를 만들었고, 1924년 소련의 안드레이 투폴레프는 소련 정부의 TsAGI 연구 센터의 지원을 받아 경량 금속 동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한 투폴레프 ANT-2 소형 여객기를 제작했다. 이들은 각각 자국에서 최초의 전금속 항공기를 만들기 위해 융커스의 골판지 두랄루민 동체 설계 기술을 채택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Hugo Junkers Homepage-Junkers Russian Joint Venture, The Moscow-Fili Production Plant/State Aircraft Factory GAZ No.7
http://hugojunkers.b[...]
2018
[2]
서적
Das Luftbild in Deutschland von den Anfängen bis zu Albert Speer. Geschichte und Rezeption des zivilen "Stiefkindes der Luftfahrt"
Wilhelm Fink
2021
[3]
잡지
Passengers To Be Carried In Wing of Giant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31-12
[4]
웹사이트
Lockers Hold Spare Wheel Of Stream Line Auto
https://books.google[...]
1932-10
[5]
웹사이트
Junkers Companies
https://web.archive.[...]
2013-01-14
[6]
웹사이트
KOMMUNISTISCHE ARBEITER-PARTEI DEUTSCHLANDS AUßERORDENTLICHER ÖFFENTLICHER PARTEITAG DER K.A.P.D.
http://www.left-dis.[...]
Leftdis
2015-11-10
[7]
웹사이트
Junkers Companies
https://web.archive.[...]
Paul Zoeller Luftfahrtarchive
2013-01-14
[8]
웹사이트
Junkers Companies
https://web.archive.[...]
Paul Zoeller Luftfahrtarchive
2004-12-11
[9]
문서
Kay
[10]
문서
Kay
[11]
문서
Kay
[12]
뉴스
東京朝日新聞
東京朝日新聞
1940-08-11
[13]
웹사이트
やまももの木は知っている ヤマハ発動機創立時代のうらばなし - ヤマハ発動機の技と術
https://global.yamah[...]
ヤマハ発動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