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나바 마사미치 (164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나바 마사미치(1640년)는 에도 시대 전기의 다이묘이자 로주이다. 오다와라 다이묘 이나바 마사노리의 장남으로, 사카이 타다키요의 추천으로 도쿠가와 막부에서 빠르게 승진했다. 1681년 소자반과 지샤 부교를 겸임하고 교토 쇼시다이가 되었으며, 1683년 아버지의 은퇴로 오다와라 번주가 되었다. 1684년 친척 이나바 마사야스의 사건에 연루되어 견책을 받았고, 이듬해 에치고 타카다 번으로 이봉되었다. 1701년 로주로 임명되어 시모사 사쿠라 번으로 옮겨졌으며, 아코 사건 당시 신속한 대처를 보이기도 했다. 1707년 은퇴 후 1716년 사망했으며, 7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다와라번주 - 오쿠보 다다노리
    오쿠보 다다노리는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활동한 다이묘이자 귀족으로, 정치적 입장 변화를 거쳐 오쿠보 가문의 당주로 복귀하여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그의 행보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오다와라번주 - 이나바 마사카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 츠보네의 장남인 이나바 마사카쓰는 이에미쓰의 측근으로 다이묘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망했다.
  • 에도 막부 루스이 - 나이토 마사카쓰 (1643년)
    나이토 마사카쓰는 에도 시대 무사로 나이토 마사스에의 장남이자 나이토 마사쓰구의 데릴사위였으며,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섬겨 고쇼, 쇼인반, 루스이 등을 역임하고 오사카 정번으로 임명되어 무사시국 히키군 아카누마 촌에 거주하였으나 이듬해 사망하였다.
  • 에도 막부 루스이 - 사카이 다다타카 (1648년)
    사카이 다다타카는 에도 시대 마에바시 번의 번주로,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알현하며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직책을 역임했고, 번주로서는 번정 개혁에 힘썼으며 막부 정치 개혁을 제언하기도 했다.
  • 다카다번주 - 호리 히데하루
    호리 히데하루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아 분로쿠의 역에 참전하고 후시미 성 공사에 기여했으며, 에치고 가스가야마 영주로 봉해진 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 다카다번주 - 사카이 다다카쓰 (1594년)
    사카이 다다카쓰는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도쿠가와 히데타다에게 '다다' 자를 받아 이름 지어졌으며, 구나이타이호 서임 후 다카다 번, 마쓰시로 번을 거쳐 쇼나이 번의 초대 번주를 지냈고, 쇼나이번 통치 시기 가혹한 징세와 후계 문제로 백성들의 불만을 샀다.
이나바 마사미치 (164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나바 마사미치
한자 표기稲葉正往
시대에도 시대 전기 - 중기
출생간에이 17년 11월 10일 ( 1640년 12월 22일)
사망교호 원년 10월 9일 ( 1716년 11월 22일)
이명우에몬, 요시마사, 마사미치
시호자태헌조신헌
계명인유용택고도쿠인
묘소도쿄도분쿄구 센다기 5초메 요겐지
관위종5위하 탄고노카미, 종4위하 지종, 나이쇼노카미
막부에도 막부소샤반 겸 지샤부교 → 교토 쇼시다이 → 오오류스이 → 로주
주군도쿠가와 이에쓰나쓰나요시 → 이에노부 → 이에쓰구 → 요시무네
가문이나바 씨
가계
아버지이나바 마사노리
어머니모리 히데모토의 딸
형제자매마사미치, 마사요리, 마사카즈, 마사타쓰, 마사나오, 도이 도시타다
미치치카, 마사치카, 마사스케, 여동생 (홋타 마사토시 정실)
여동생 (다테 쓰나무라 정실), 여동생 (마쓰라 아쓰노부 정실)
여동생 (도이 도시토모 정실)
배우자정실: 호시나 마사유키의 딸・이시히메
계실: 지묘인 모토사다의 딸
계실: 다나베 모의 딸
자녀장남: 마사토모, 딸 (마쓰다이라 사다나오 정실)
딸 (오가사와라 나가하루 정실)
양자: 마사스케, 도이 도시토모 정실
영지
이전 영지사가미오다와라번 번주→에치고다카다번 번주
최종 영지시모사사쿠라번 번주

2. 생애

이나바 마사미치는 오다와라 다이묘 이나바 마사노리의 장남으로, 다이로 사카이 다다키요의 영향으로 도쿠가와 막부에서 빠르게 승진했다. 1681년 소샤반(의전 담당)과 지샤부교를 겸임하고, 같은 해 교토 쇼시다이에 임명되었다.[2]

1683년 아버지의 은퇴로 이나바 씨의 당주가 되어 오다와라 번 다이묘(10만 2000석) 지위를 물려받았다. 1685년 교토 쇼시다이에서 물러나 에치고 국 다카다 번(10만 3000석)으로 이봉되었다.

1701년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 밑에서 로주가 되었고, 같은 해 시모사 국 사쿠라 번(10만 3000석)으로 이봉되었다.

1707년 공직에서 은퇴하여 아들 이나바 마사토모에게 영지를 넘겨주었다. 1716년 사망했으며, 묘는 도쿄 분쿄구 요겐지에 있다.

아버지 마사노리는 다이로 사카이 다다키요의 측근으로, 오랫동안 로주 수좌로 재직했다. 마사미치 자신도 가독 상속 이전부터 막부에 중용되었다.

1680년 도쿠가와 이에쓰나가 사망하고 이복 동생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5대 쇼군으로 취임하면서, 사카이 다다키요가 다이로에서 해임된 후 아버지가 다이세이 산요(대정참여)로 1년간 막정을 처리했다.

1684년 친척 와카도시요리 이나바 마사야스가 다이로 홋타 마사토시를 암살한 사건에 연좌되어 견책 처분을 받았다.

1700년 에도 성 오루스이(대유수)를 거쳐 다음 해 로주로 복귀했고, 영지도 시모사 사쿠라 번으로 옮겨졌다. 아코 로시의 기라 저택 습격(아코 사건) 당일, 쓰키반 로주였던 마사미치는 야나기사와 요시야스가 등청하기 전 사후 처리를 신속하게 시작해 로시들이 즉각 처분되지 않도록 배려했다.

1707년 은거하여 가독을 차남 이나바 마사토모에게 물려주었다.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 시대에는 사카이 다다아게, 오가사와라 나가시게와 함께 선대의 유로(遺老)로서 로주와 같은 대우를 받았고, 에도 성에 자주 소환되었다.

1716년 77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출세

이나바 마사미치는 1640년 에도 막부 로주였던 이나바 마사노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 마사노리는 다이로 사카이 다다키요의 측근으로, 마사미치 역시 막부의 중용을 받았다.[2] 게이안 4년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를 오메미에(알현)하고, 간분 3년 이에쓰나의 닛코 참배에 선도 역할을 맡았다. 덴나 원년 4월, 소샤반 겸 지샤부교에 임명되었고, 11월에는 교토 쇼시다이로 승진하며 3만 석을 받았다.[2]

2. 2. 오다와라 번주 시대

1683년 아버지 이나바 마사노리가 은퇴하면서 가독을 상속받아 오다와라 번 10.2만의 번주가 되었다.[2] 이때 많은 동생들에게 영지를 분여하고, 합해서 3만 석을 막부에 반납했다.

교토 쇼시다이 재임 중에는 도궁고쇼(동궁어소) 조영을 담당했다.[2] 그러나 1684년 친척인 와카도시요리 이나바 마사야스가 다이로 홋타 마사토시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 사건에 연좌되어 견책 처분을 받았다.[3]

1685년 교토 쇼시다이에서 해임되고, 에치고 국의 다카다 번으로 이봉되었다.[3] 이봉 이유에 대해서는 마사야스 사건에 연루되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지만, 진상은 명확하지 않다.

2. 3. 로주 취임과 활동

겐로쿠 13년(1700년) 에도 성의 오루스이를 거쳐, 다음 해인 1701년 로주에 취임하여 막부 정치에 복귀했고, 영지도 시모사 사쿠라 번으로 옮겨졌다.[2] 아코 로시에 의한 기라 저택 습격(아코 사건) 당일, 쓰키반 로주(월번 로주)였던 마사미치는, 야나기사와 요시야스가 등청하기 전에 사후 처리를 신속하게 시작하여 로시들이 즉각 처분되지 않도록 배려하는 등, 교활한 면도 보였다. 또한, 로주 직책을 맡으면서 세키슈류 다도를 즐겼다.[3]

2. 4. 은퇴와 만년

호에이 4년(1707년)에 로주에서 물러나 은거하였고, 차남 마사토모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2] 8대 쇼군 요시무네 시대에는 사카이 타다아게, 오가사와라 나가시게와 함께 선대의 유로(遺老), 즉 학식이 풍부한 인물로 여겨져 로주와 같은 대우를 받았으며, 에도 성에 자주 소환되었다.[2]

교호 원년(1716년)에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인물 및 평가

이나바 마사미치는 호시나 마사유키, 다테 쓰나무라 등과 교류하며 여러 번 조정 역할을 맡았고, 유학자 다니 도키나카의 아들 다니 요시사다를 등용하기도 했다.

3. 1. 가문 간의 관계

정실 이시히메의 아버지인 무쓰 아이즈번호시나 마사유키와 여동생의 남편인 무쓰 센다이번다테 쓰나무라와 교류하였다. 1673년 2월 4일(간분 12년 12월 18일) 마사유키가 사망하기 3일 전, 마사유키를 문병하고 유언을 들었는데, 자손이 가훈을 지키지 않을 경우 마사노리에게 보고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후 마사유키의 아들 마사쓰네의 번정을 후견하고, 마사쓰네의 어머니 오만노카타를 돌보았다. 센다이번에 대해서도 아버지가 후견을 맡았던 관계로 쓰나무라와 중신들의 충돌 및 은거 소동을 조정했다.

1712년부터 다음 해인 1713년까지 다이가쿠노카미하야시 노부아쓰와 함께 센다이번주 다테 요시무라아키 히로시마번주 아사노 요시나가 사이의 화해를 주선했지만 실패했다.

3. 2. 학문 및 문화

다니 도키나카의 아들 다니 요시사다(잇사이)를 등용했지만, 덴몬카타시부카와 하루미와 역법에 관한 논쟁을 벌였다.[1]

4. 연보


  • 간에이 17년(1640년): 출생
  • 덴나 원년(1681년): 소샤반 겸 지샤부교(4월 9일), 교토 쇼시다이(11월 15일)[2]
  • 덴나 3년(1683년): 가독 상속, 10만 2000 석
  • 조쿄 2년(1685년): 교토 쇼시다이 면직, 다카다로 영지 이동(12월 11일)
  • 겐로쿠 13년(1700년): 오루스이
  • 겐로쿠 14년(1701년): 로주(1월 11일), 사쿠라로 영지 이동(6월)
  • 호에이 4년(1707년): 로주 사임(8월 2일), 은거
  • 교호 원년(1716년): 사망(향년 77세)

5. 가계도

구분내용
아버지이나바 마사노리
어머니모리 히데모토의 딸
정실이시히메 - 호시나 마사유키의 딸
계실지묘인 모토사다의 딸
계계실타나베 모씨의 딸
차남이나바 마사토모
장녀마쓰다이라 사다나오의 정실
차녀오가사와라 나가치카의 정실
양자이나바 마사스케 (친동생)
양녀도이 도시토모의 정실 (친여동생)


참조

[1] 웹사이트 A Pre-modern History of Odawara http://www.zombiezod[...] Robert and Maki Noguchi 1996
[2] 웹사이트 Gouverneure von Kyôto in der Edo-Zeit https://uni-tuebinge[...] Universität Tübingen 2008-04-11
[3] 서적 "Itō Jinsai's Gomō Jigi and the Philosophical Definition of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John Tucker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