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부카와 하루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부카와 하루미는 에도 시대의 바둑 기사이자 천문학자로, 일본 최초의 국산 역법인 조쿄력을 제정한 인물이다. 안이 산테쓰의 장남으로 태어나 바둑 가문에서 성장했으며, 수학, 역법, 천문학 등을 배우며 천문 관측에 힘썼다. 그는 수시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자신의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이와력을 제작하여 조정에 채용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야스토미의 도움을 받아 다이와력은 조쿄력으로 채택되었고, 초대 막부 천문방에 임명되었다. 그는 바둑에도 천문학적 원리를 적용하려 했으며, 지구본과 천구의를 제작하는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로는 『천문경통』 등이 있으며, 문화재로 지정된 천문 관계 자료가 이세 신궁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부카와가 - 천문방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가 천문 연구와 역법 개정을 위해 설치한 천문방은 음양료의 역할을 계승하여 역법 개정, 천문 관측, 지도 제작, 서양 서적 번역 등을 수행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쿄 대학으로 기능이 이어져 일본 근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에도 시대의 천문학자 - 천문방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가 천문 연구와 역법 개정을 위해 설치한 천문방은 음양료의 역할을 계승하여 역법 개정, 천문 관측, 지도 제작, 서양 서적 번역 등을 수행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도쿄 대학으로 기능이 이어져 일본 근대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에도 시대의 바둑 기사 - 혼인보 슈사쿠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바둑 기사인 혼인보 슈사쿠는 뛰어난 기량으로 '바둑의 성인'이라 불리며 어성기 19연승과 독창적인 포석 '슈사쿠류' 창안 등 현대 바둑에 큰 영향을 미쳤고, 사후 만화 '고스트 바둑왕'으로 재조명되었다.
  • 에도 시대의 바둑 기사 - 야스이 산테쓰
    야스이 산테쓰는 1590년에 태어나 1652년에 사망한 에도 시대의 바둑 기사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발탁되어 바둑 상대를 했으며, 나카무라 도세키와의 대국에서 승리하며 어성기의 시작을 알렸다.
시부카와 하루미
기본 정보
이름시부카와 슌카이 (渋川春海)
본명야스이 산테쓰 (安井算哲), 호이 산테쓰 (保井算晢)
다른 이름로쿠조 (六蔵, 어릴적 이름), 준세이 (順正), 야스이 스케자에몬 (安井助左衛門), 신로 (新蘆), 호이 하루미 (保井春海)
출생일간에이 16년 윤11월 3일 (1639년 12월 27일)
출생지교토 시조무로마치
사망일쇼토쿠 5년 10월 6일 (1715년 11월 1일)
시대에도 시대
거주지에도 아자부
분야천문학, 역법, 바둑
학문
주요 관심사천문학
역법
바둑
주요 업적조쿄력
일본장력
삼력고
조쿄력서
천문경통
지구의
참고 문헌
ISBN978-4309264455

2. 생애

시부카와 하루미는 에도 막부 시대의 바둑 기사 가문인 안이 가문의 시조 안이 산테쓰의 장남으로 교토에서 태어났다. 1652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13세에 2대 안이 산테쓰가 되었으나, 나이가 어려 가문은 아버지의 양자인 산치가 이었고, 하루미는 호이(保井) 성을 사용했다. 젊은 시절에는 1659년부터 막부의 명으로 어성기에 출전하는 등 바둑 기사로 활동했다.

동시에 수학, 역법, 천문학, 신도 등 다양한 학문을 배웠는데, 특히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21세 때부터 천체 관측을 통해 일본 각지의 위도경도를 측정하는 등 연구에 몰두했다. 당시 일본에서 800년 넘게 사용되던 중국 당나라선명력은 실제 천체 운행과 오차가 커서 일식, 월식 예보가 이틀이나 늦는 등 문제가 있었다. 하루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1670년부터 본격적인 천체 관측을 시작했고, 처음에는 수시력 도입을 시도했으나 1675년 일식 예측 실패로 좌절되었다. 이후 실패 원인을 분석하며 중국일본경도 차이로 인한 시차의 존재 등을 깨닫고[5], 자신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 실정에 맞는 새로운 역법인 다이와력을 개발했다. 여러 반대와 어려움 속에서도 쓰치미카도 야스토미 등 유력자들을 설득하여 마침내 다이와력은 조쿄력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채택되었는데[6], 이는 일본 최초의 독자적인 역법이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하루미는 1685년 1월 5일(조쿄 원년 12월 1일) 막부의 초대 천문방으로 임명되어 250석의 녹봉을 받게 되었고, 이후 바둑 기사 활동을 그만두고 천문학 연구에 전념했다. 1686년에는 에도로 이주하여 1689년 혼조에 천문대를 세웠으며(후에 스루가다이로 이전), 1690년에는 일본 최초의 지구본과 천구의를 제작하는 등 다양한 천문 기구를 만들었다. 또한 조선천상열차분야지도를 참고하여 일본의 성도를 제작하고, 『일본 장력』, 『천문경통』 등 천문 관련 저술 활동도 활발히 펼쳤다[7]. 1692년에는 무사 신분을 인정받았고, 1702년에는 선조의 옛 영지 이름을 따 시부카와(渋川)로 성을 바꾸었다.

만년에는 아들 세키인에게 천문방 자리를 물려주었으나, 1715년 아들이 자녀 없이 급사하자 하루미도 그 뒤를 이어 사망했다. 시부카와 가문과 천문방은 동생 지테쓰의 차남 게이인이 이었다. 묘는 도쿄도 시나가와구의 도카이지에 있다. 사후 개력의 공로를 인정받아 1907년 종4위에 추증되었으며[8], 2012년에는 제9회 바둑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 1. 출생과 가문

에도 막부의 바둑 가문인 안이 가문의 일세 안이 산테쓰의 장남으로 교토 시조 무로마치에서 태어났다. 게이안 5년(1652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13세의 나이로 2대 '''안이 산테쓰'''가 되었으나,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가문은 아버지의 양자인 산치가 이었다. 이후 하루미는 호이(保井, 후에 개자(改字))라는 성을 사용했다. 그는 겨울에는 에도에서, 봄과 여름에는 교토에서 생활했다.

겐로쿠 15년(1702년)에는 시부카와로 성을 바꾸었다. 이는 그의 선조가 가와치국 시부카와 군을 영지로 삼았다가 하리마국 안이 고(郷)로 옮겨갔는데, 다시 시부카와라는 옛 성씨로 돌아왔기 때문이다.

2. 2. 바둑 기사로서의 활동

에도 막부의 바둑 가문인 안이 가문의 시조 안이 산테쓰의 장남으로 교토 시조 무로마치에서 태어났다. 게이안 5년(1652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13세에 2세 '''안이 산테쓰'''가 되었으나, 나이가 어려 가문은 아버지의 양자 산치가 이었고, 자신은 호이(保井)라는 성을 사용했다. 겨울에는 에도에, 봄과 여름에는 교토에 거주했다.

만지 2년(1659년) 21세의 나이로 막부로부터 녹봉을 받고 어성기에 처음 출사하여 혼인보 도에쓰에게 흑번으로 4집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양아버지 산치, 동생 지테쓰, 산치의 동생으로 알려진 슌치 등과 함께 어성기에 출사했다. 엔포 6년(1678년) 혼인보 도사쿠가 기소에 임명되기 전 열린 수합에서는 상수(7단)로 평가받았다.

바둑을 두는 방식에도 천문의 법칙을 적용하려 했는데, 태극(북극성)의 개념에서 착안하여 첫 수는 바둑판의 중앙인 천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간분 10년 10월 17일(1670년 11월 29일) 어성기에서 혼인보 도사쿠와의 대국에서 실제로 첫 수로 천원을 두며 "이 대국에서 지면 평생 천원에 두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 대국에서 9집 차이로 패배하면서 이후로는 첫 수 천원을 두지 않게 되었다.

'천원의 국' 기보(초반 22수). 1670년 야스이 산테쓰(흑) vs 혼인보 도사쿠(백). 백 9집 승.


조쿄 원년 12월 1일(1685년 1월 5일) 역법 개정의 공로로 초대 막부 천문방에 임명되면서 바둑 기사 활동을 그만두었다.

헤이세이 24년(2012년), 제9회 바둑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주요 어성기 대국 기록'''

연도 (음력 연호)상대 기사결과 (흑/백)비고
1659년 (만지 2년)혼인보 도에쓰흑 4집 승첫 어성기 출사
1664년 (간분 4년)혼인보 도에쓰흑 불계패
1665년 (간분 5년)혼인보 도에쓰흑 1집 승
1666년 (간분 6년)혼인보 도에쓰지고
1667년 (간분 7년)혼인보 도에쓰흑 4집 패
1668년 (간분 8년)혼인보 도사쿠백 10집 패
1669년 (간분 9년)혼인보 도사쿠백 13집 패
1670년 (간분 10년)혼인보 도사쿠흑 9집 패첫 수 천원 착점 (천원의 국)
1671년 (간분 11년)혼인보 도사쿠불명
1672년 (간분 12년)혼인보 도사쿠흑 10집 패
1673년 (엔포 원년)혼인보 도사쿠백 12집 패
1674년 (엔포 2년)혼인보 도사쿠흑 6집 패
1675년 (엔포 3년)혼인보 도사쿠흑 16집 패
1676년 (엔포 4년)혼인보 도사쿠흑 10집 패
1679년 (엔포 7년)혼인보 도사쿠흑 3집 패
1682년 (덴나 2년)혼인보 도사쿠흑 15집 패
1683년 (덴나 3년)이노우에 도세쓰 인세키백 13집 패마지막 어성기 대국


2. 3. 천문학 연구와 업적

천문 분야의 그림. 호이 하루미(시부카와 하루미) 저. 엔포 5년(1677년).


시부카와 하루미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조예가 깊었다. 수학역법은 이케다 마사오키에게, 천문력학은 오카노이 겐테이와 마쓰다 쥰쇼에게 배웠으며, 야마자키 안사이에게는 화한 서적과 추가 신도를, 쓰치미카도 야스토미에게는 쓰치미카도 신도를 익혔다.

21세 되던 1659년에는 천체 관측을 통해 주고쿠 및 시코쿠 지방 여러 곳의 위도경도를 측정하는 등 일찍부터 천문학에 재능을 보였다.

당시 일본에서는 800년 이상 중국 당나라에서 들여온 선명력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실제 천체 운행과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여 일식이나 월식 예보가 이틀이나 늦는 문제가 있었다. 하루미는 1670년(간분 10년)부터 본격적으로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했고,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수시력으로 개력할 것을 조정에 제안했다. 그러나 1675년(엠포 3년), 하루미가 수시력에 기반해 예측한 일식이 빗나가면서 이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루미는 실패 원인을 분석하며 수시력이 만들어진 13세기와 달리 태양 운행의 기준점(근일점)이 이동했고, 중국일본 사이의 경도 차이로 인한 시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5]. 그는 수시력 전문가인 주자학자 나카무라 테키사이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수시력을 일본 실정에 맞게 개량한 '다이와력'을 만들었다.

하루미는 다이와력 채택을 조정에 다시 건의했지만, 교토 쇼시다이 이나바 마사유키의 가신이었던 타니 요시사다는 하루미의 역법을 비판하며 의 대통력(수시력을 일부 수정한 것)을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하루미는 중국 역법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일본 실정에 맞지 않다고 반박하며 시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결국 하루미는 역법의 최고 책임자였던 쓰치미카도 야스토미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고, 세 차례의 상소 끝에 다이와력은 조쿄력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채택되었다[6]. 이는 일본 최초의 독자적인 역법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비록 수시력 자체에 대한 이해는 동시대의 세키 다카카즈보다 부족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나카무라 테키사이와 같은 협력자, 바둑과 신도를 통해 맺은 도쿠가와 미쓰쿠니, 쓰치미카도 야스토미 등 유력 인사들과의 관계, 그리고 꼼꼼한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역법 이론 덕분에 개력을 성공시킬 수 있었다.

이 공로를 인정받아 하루미는 1685년 1월 5일(조쿄 원년 12월 1일) 막부의 초대 천문방으로 임명되어 250석의 녹봉을 받게 되었고, 이후 바둑계에서는 은퇴했다. 천문방은 이후 시부카와 가문에서 세습하게 된다.

1686년(조쿄 3년)에는 막부의 명으로 교토에서 에도 아자부로 이주했으며, 1689년(겐로쿠 2년)에는 혼조에 천문대를 건설하는 것을 허가받았다. 천문대는 1703년(겐로쿠 16년)에 스루가다이로 이전되었다.

하루미는 천문학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저서를 남겼다. 천문역법 분야에서는 『일본 장력』, 『삼력고』, 『조쿄력서』, 『천문경통』 등이 있으며, 신도 관련 저서로는 『경모습유』가 있다. 또한, 조선천상열차분야지도(1395)를 참고하여 "천상열차지"(1670), "천문분야지도"(1677) 등의 성도를 제작했으며, 별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를 『천문경통』에 기록하고 아들 무키이와 함께 "천문성상"(1699)이라는 그림으로 나타내기도 했다[7].

개력 과정에서 시차(지방시)의 존재를 주장했듯이, 그는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구본, 천구의, 혼천의, 백각환(해시계) 등 다양한 천문 기구를 제작했다.

2. 3. 1. 천문 관측 기구 제작

(위)시부카와 하루미가 제작한 지구본. 1695년 제작. (아래)시부카와 하루미가 제작한 천구의. 1697년 제작. 모두 복제품(국립과학박물관 전시).


시부카와 하루미는 개력 과정에서 중국이나 서양의 지식을 통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천문 관측 기구를 직접 제작했다.

겐로쿠 3년(1690년)에는 일본 최초의 지구본(직경 25cm)과 천구의를 만들었다. 이후 겐로쿠 10년(1697년)에는 직경 33cm의 더 큰 지구본을 제작했다.

지구본과 천구의 외에도 혼천의나 백각환이라 불리는 적도형 해시계 등 여러 종류의 천문 기기를 제작하여 천문 연구와 교육에 활용했다.

2. 4. 만년과 죽음

후에 적자인 세키인에게 천문방의 지위를 물려주었다. 그러나 쇼토쿠 5년 (1715년)에 세키인이 자녀 없이 갑자기 사망하자, 하루미도 그 뒤를 이어 사망했다.[8] 시부카와 가문과 천문방은 하루미의 동생 지테쓰의 차남인 게이인이 계승했다.

법호는 本姓院 தூ雲 宗哲 居士|혼쿄인 투운 소철 거사일본어이며, 묘는 도쿄도 시나가와구에 있는 도카이지 다이잔 묘지에 있다.

메이지 40년 (1907년)에는 달력 개정의 공로를 인정받아 종4위가 추증되었다.[8] 헤이세이 24년 (2012년)에는 제9회 바둑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가계

에도 막부의 바둑 가문인 안이 가문의 초대 야스이 산테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게이안 5년(1652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13세에 2대 '''야스이 산테쓰'''가 되었으나, 나이가 어려 가문은 아버지의 양자 산치가 이었고, 하루미는 호이(保井) 성을 사용했다. 동생으로는 야스이 지테쓰가 있다.

겐로쿠 15년(1702년)에 선조가 가와치국 시부카와 군(渋川郡)을 영유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시부카와(渋川)로 성을 바꾸었다.

후에 적자인 시부카와 세키인에게 천문방의 지위를 물려주었지만, 쇼토쿠 5년(1715년) 세키인이 자식 없이 급사하자, 하루미도 같은 해에 사망했다. 시부카와 가문과 천문방은 하루미의 동생 지테쓰의 차남 시부카와 게이인이 계승했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야스이 산테쓰안이 가문 초대 당주
어머니불명
아내불명
적자시부카와 세키인천문방 2대. 후사 없이 요절.
계승자시부카와 게이인동생 야스이 지테쓰의 차남. 천문방 3대.


4. 바둑 전적

만지 2년(1659년) 21세의 나이로 막부로부터 녹을 받고 어성기에 처음 출사하여 혼인보 도에쓰에게 흑번 4목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덴나 3년(1684년)까지 총 17국의 어성기 대국을 치렀다.

그는 바둑을 두는 방식에도 천문학의 원리를 적용하고자 하였는데, 태극(북극성) 사상에 따라 첫 수는 바둑판의 중앙인 천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간분 10년 10월 17일(1670년 11월 29일) 어성기에서 혼인보 도사쿠와의 대국에서 실제로 첫 수를 천원에 두며 "이 대국에서 지면 평생 천원에 두지 않겠다"고 공언하였다. 그러나 이 대국, '천원의 국'은 9목으로 패배했고, 그 이후로는 첫 수 천원을 두지 않게 되었다.

조쿄 원년 12월 1일(1685년 1월 5일) 막부 초대 천문방에 임명되면서 바둑계를 떠났다.

헤이세이 24년(2012년)에는 제9회 바둑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어성기 전적 상세'''

연도상대 기사결과
만지 2년 (1659년)혼인보 도에쓰선(흑) 4목 승
간분 4년 (1664년)혼인보 도에쓰선(흑) 중압패
간분 5년 (1665년)혼인보 도에쓰선(흑) 1목 승
간분 6년 (1666년)혼인보 도에쓰선(흑) 지교
간분 7년 (1667년)혼인보 도에쓰선(흑) 4목 패
간분 8년 (1668년)혼인보 도사쿠백 10목 패
간분 9년 (1669년)혼인보 도사쿠백 13목 패
간분 10년 (1670년)혼인보 도사쿠선(흑) 9목 패 (천원의 국)
간분 11년 (1671년)혼인보 도사쿠불명
간분 12년 (1672년)혼인보 도사쿠선(흑) 10목 패
엔포 원년 (1673년)혼인보 도사쿠백 12목 패
엔포 2년 (1674년)혼인보 도사쿠선(흑) 6목 패
엔포 3년 (1675년)혼인보 도사쿠선(흑) 16목 패
엔포 4년 (1676년)혼인보 도사쿠선(흑) 10목 패
엔포 7년 (1679년)혼인보 도사쿠선(흑) 3목 패
덴나 2년 (1682년)혼인보 도사쿠선(흑) 15목 패
덴나 3년 (1683년)이노우에 도사 인세키백 13목 패



'''천원의 국'''


  • 대국일: 간분 10년 10월 17일 (1670년 11월 29일)
  • 대국자: 야스이 산테쓰 (선) vs 혼인보 도사쿠 (백)
  • 결과: 244수 완, 백 9목 승

5. 저작 및 작품



시부카와 하루미는 조쿄력 제정과 같은 업적 외에도 다양한 저술 활동과 천문 기기 제작에 힘썼다. 그는 중국이나 서양의 지식을 통해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으며[5], 이를 바탕으로 1690년 일본 최초의 지구본과 천구의를 제작했다. 1697년에는 더 큰 지구본을 만들었으며, 이 외에도 혼천의, 백각환(적도형 해시계) 등 여러 천문 관측 기구를 만들었다.

또한 천문역학, 신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쳤다. 특히 조선천상열차분야지도(1395)를 참고하여 "천상열차지"(1670), "천문분야지도"(1677) 등의 성도를 제작했으며, 아들 무키이와 함께 "천문성상"(1699)을 만들어 별의 위치를 그림으로 나타내기도 했다.[7] 그의 주요 저작에 대한 상세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시부카와 하루미의 극적인 삶과 업적은 후대에 많은 영감을 주었으며, 이를 소재로 한 소설, 연구서, 영화, TV 프로그램 등 다양한 작품이 만들어졌다. 관련 작품에 대한 상세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1. 주요 저작

시부카와 하루미는 천문역학, 신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저작을 남겼다.

'''천문역학'''

  • '''일본 장력'''
  • '''삼력고'''
  • '''조쿄력서'''
  • '''천문경통''': 별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를 담고 있다.[7]


'''신도'''

  • '''경모습유'''


'''성도'''

  • '''천상열차지''' (1670년): 조선천상열차분야지도(1395년)를 참고하여 저술했다.[7]
  • '''천문분야지도''' (1677년): 조선천상열차분야지도(1395년)를 참고하여 저술했다.[7]
  • '''천문 분야의 도''' (1677년)
  • '''천문성상''' (1699년): 아들 무키이와 함께 제작하여 별의 위치를 그림으로 나타냈다.[7]


이 외에도 『천문경통 권지일』은 나카야마 시게루의 교주로 이와나미 쇼텐에서 출판된 『일본 사상 대계 63(근세 과학 사상 하)』(1971년)에 수록되어 있다.

5. 2. 시부카와 하루미 관련 작품


  • '''소설'''
  • * 명인 기소 저: 에자키 세이치 (1982년 9월 1일, 신초샤) ISBN 978-4103430018
  • * 산성전 저: 나루미 후 (2000년 10월 1일, 신진물왕래사) ISBN 978-4404028822
  • * 화산 충신장 저: 나루미 후 (2001년 12월 1일, 쇼가쿠칸) ISBN 978-4093873710
  • * 천지명찰 저: 우부카타 토우 (2009년 11월 30일, 카도카와 쇼텐) ISBN 978-4048740135

  • '''연구서・전기'''
  • * 시부카와 하루미 연구 저: 니시우치 마사시(1940년, 시분도)
  • * 에도의 천문학자, 별하늘을 날다 - 막부 천문방, 시부카와 하루미부터 이노 다다타카까지 - 저: 나카무라 시(2008년 6월 25일, 기술평론사) ISBN 978-4774135151
  • * 시부카와 하루미와 타니 시게토오 - 쌍성황론 - 저: 시미즈 요시오(2015년 3월 13일, 신텐샤) ISBN 978-4787968203
  • * 시부카와 하루미, 잃어버린 역법을 찾아서 저: 하야시 준(2018년 12월 3일, 야마카와 출판사) ISBN 978-4634548503
  • * 에도의 과학자 저: 요시다 미츠쿠니(2021년 9월 7일, 고단샤) ISBN 978-4065250587 - 세키 다카카즈, 카이바라 에키켄, 시부카와 하루미, 스기타 겐파쿠, 히라가 겐나이 등, 전기를 통해 에도 시대 과학 기술 발전의 궤적을 소개한다.

  • '''TV 프로그램'''
  • * 코즈믹 프론트☆NEXT 일본의 역을 만든 남자 시부카와 하루미 (2019년 11월 7일, NHK BS프리미엄)[9]

6. 문화재

이세 신궁에 소장된 에도 시대의 "시부카와 하루미 천문 관계 자료"는 1978년 6월 15일 국가지정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11][12] 처음에는 12종이 지정되었으나, 이후 1990년 6월 29일에는 천구의와 한 쌍을 이루는 지구의 1기가 추가 지정되었다.[13]

지정된 문화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자료명비고
『천문경통』자필본, 겐로쿠 11년(1698년) 정월 내궁 봉납, 8책
『일본 장력』자필본, 조쿄 2년(1685년) 여름 내궁 봉납, 2책
『일본장력』자필본, 겐로쿠 6년(1693년) 9월 미야자키 문고 봉납, 2책
『일본장력』자필본, 겐로쿠 5년(1692년) 정월 응 나카가와 츠네아키 수요, 2책
『일본서기력고』자필본, (내궁 봉납본), 1책
『일본서기력고』자필본, 겐로쿠 5년(1692년) 정월 응 나카가와 츠네아키 수요, 1책
『양궁 어진좌 고력』자필본, 조쿄 원년(1684년) 9월, 1권
『겐로쿠 2년 7요 어력』자필본, 겐로쿠 2년(1689년) 정월 초하루, 1권
『겐로쿠 3년 구주력』자필본, 겐로쿠 2년(1689년) 11월 초하루, 1권
『겐로쿠 4년 구주력』자필본, 겐로쿠 3년(1690년) 겨울, 1권
천구의겐로쿠 3년(1690년) 제작 명문, 1기
지구의1기 (1990년 6월 29일 추가 지정)
부속 자료 (1978년 6월 15일 지정)
『조쿄력의』7책
『일본 고금 교식고』1책
『하루미 선생 실기』엔쿄 원년(1744년) 필사본, 1책


7. 평가 및 영향



시부카와 하루미는 에도 시대 일본의 중요한 천문학자이자 역법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일본 최초의 독자적인 역법인 조쿄력을 성공적으로 제정한 것이다.[6] 이는 당시 일본에서 800년 이상 사용되어 오차가 누적된 중국 선명력을 대체한 것으로, 일본 역사상 중요한 과학적 성과로 여겨진다.

하루미는 1670년(간분 10년)부터 꾸준한 천체 관측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역법 개정을 추진했다. 처음에는 중국 수시력 도입을 시도했으나, 1675년(엔포 3년) 일식 예측 실패로 인해 기각되었다. 그는 실패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일본의 지리적 차이(경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차의 존재를 인식하고, 단순히 중국의 역법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일본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역법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5] 이는 기존의 권위에 의존하기보다 실제 관측과 실증을 중시한 그의 과학적 태도를 잘 보여준다.

하루미는 주자학자 나카무라 테키사이와 같은 동료 학자들의 협력을 얻고, 바둑신도를 통해 맺어진 도쿠가와 미쓰쿠니, 쓰치미카도 야스토미 등 유력 인사들을 설득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역법의 최고 책임자였던 야스토미를 설득하여 지지를 확보하고, 교토 쇼시다이 이나바 마사유키의 가신이었던 타니 요시사다 등 일부의 반대를 극복하며 마침내 1684년 자신이 개발한 다이와력(大和暦)을 조쿄력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채택하게 만들었다.[6]

조쿄력 제정의 공로로 하루미는 조쿄 원년 12월 1일(1685년 1월 5일) 초대 막부 천문방(天文方)에 임명되었으며, 이는 이후 일본 천문학 연구가 제도적으로 자리 잡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는 또한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1395)를 참고하여 일본의 실정에 맞는 "천문분야지도"(1677)와 같은 성도를 제작했으며[7], 지구본과 천구의, 혼천의 등 다양한 천문 관측 기기를 만들어 당시 과학 지식의 보급에도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과학적 업적과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 메이지 40년(1907년)에는 종4위가 추증되었고[8], 헤이세이 24년(2012년)에는 바둑 실력 또한 인정받아 제9회 바둑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시부카와 하루미의 실증주의적 연구 태도와 일본 독자 역법 제정이라는 성과는 후대 일본 과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apier-mache terrestrial globe –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http://shinkan.kahak[...]
[2] 서적 天元への挑戦 Kawade 2000
[3] 논문 Tenchi Meisatsu (Tenchi: The Samurai Astronomer) http://www.japantime[...] 2012-09-14
[4] 문서 天文大意録 1826
[5] 웹사이트 国立天文台 暦Wiki 貞享暦 (じょうきょうれき) / 大和暦 https://eco.mtk.nao.[...] 2019-11-08
[6] 논문 伊能忠敬と根気 https://doi.org/10.1[...] 立教大学
[7] 웹사이트 美星町 星のデータベース http://www.bao.city.[...] 2017-10-22
[8] 서적 贈位諸賢伝 増補版 上 近藤出版社 1975
[9] 뉴스 日本人の暦を作った男 渋川春海 https://www.nhk.or.j[...] NHKアーカイブス 2019-11-07
[10] 웹사이트 天文分野之図 - 国立天文台(NAOJ) https://www.nao.ac.j[...] 2017-10-22
[11] 간행물 昭和53年6月15日文部省告示第131号
[12] 웹사이트 みんなで、守ろう!活かそう!三重の文化財 / 情報データベース / 渋川春海天文関係資料 http://www.bunka.pre[...] 三重県庁 2019-11-30
[13] 간행물 平成2年6月29日文部省告示第93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