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야시 호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야시 호코는 에도 시대의 유학자로, 하야시 가호의 차남으로 태어나 하야시 가문을 이었다. 그는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부터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 5대에 걸쳐 막부를 섬기며, 특히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요시무네의 신임을 받았다. 1691년 유시마 성당(쇼헤이코)을 설립하고 대학두(대학두)로 임명되어, 유학을 장려하고 유교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유교 강학뿐만 아니라 막부의 문서 행정, 조선 통신사 응접, 《무덕대성기》 편찬 등에도 참여했으며, 하야시 학파의 학문적 경향을 고집했다. 저서로는 《호코 학사집》, 《간에이 소설》 등이 있으며, 아들 하야시 노부미쓰에게 가독을 양도한 후 1732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학 - 가이바라 에키켄
    가이바라 에키켄은 에도 시대의 유학자이자 본초학자로서, 주자학을 강의하고 조선 통신사 대응 등 중책을 맡았으며, 《징비록》 등을 일본에 소개하여 임진왜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60부 27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 이학 - 동성파
    동성파는 청나라 강희제 시대에 방포, 유대규, 요내 등이 창시하여 문단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으나, 간결하고 명료한 문체를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5·4 운동 이후 비판받으며 쇠퇴한 문학 유파이다.
  • 하야시가 (유학자) - 하야시 가호
    하야시 가호는 에도 시대 초기의 유학자이자 관료로서, 아버지 하야시 라잔의 뒤를 이어 도쿠가와 막부를 섬기며 막부의 학문 정책을 주도했고, 일본 역사와 유학에 정통하여 역사 편찬 사업을 주도하여 근세 일본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야시가 (유학자) - 하야시 쥿사이
    하야시 쥿사이는 에도 시대 후기의 유학자이자 교육자로서 쇼헤이자카 학문소의 학장을 역임하며 막부의 학문 정책을 주도했고, 주자학을 숭상하면서도 고증학에도 관심을 보였으며, 간세이 중수제가보, 도쿠가와 실기 등의 편찬 사업을 주도하여 동아시아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함께 보수적인 성향으로 시대 변화에 발맞추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645년 출생 - 이유 (1645년)
  • 1645년 출생 - 심단
    조선 후기 남인 명문가 출신 문신 심단은 윤선도의 외손자이자 윤두서와 친척 관계이며, 숙종, 경종, 영조 시대에 걸쳐 이조판서와 예조판서를 역임하며 영조를 옹호하고 왕실 화합을 중시했으며 이인좌의 난 당시 시무책을 올리는 등 민심 안정에 기여했으나 노론의 탄핵으로 유배되기도 했다.
하야시 호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하야시 호코
원어 이름林 鳳岡 (일본어)
출생1644년 1월 11일
출생지에도
사망1732년 7월 22일
사망지에도
국적일본
직업성리학 학자, 교육자, 행정가, 작가
분야일본 역사, 문학
가족
아버지하야시 가호
할아버지하야시 라잔
자녀하야시 류코, 아들

2. 인물 약력

하야시 호코는 에도 시대의 유학자로, 하야시 가호의 차남이다. 에도 막부의 4대 장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부터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 5대에 걸쳐 막부를 섬겼으며, 특히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8대 쇼군 요시무네의 신임을 받았다. 겐로쿠 4년(1691년) 유시마 세이도가 준공되면서 다이가쿠노카미에 임명되었고, 이후 쇼헤이자카 학문소를 관장하며 다이가쿠노카미 관직을 하야시 가문이 세습하게 되었다. 그는 유교 강학뿐만 아니라 막부의 문서 행정에도 참여했고, 조선 통신사 접대도 맡았다.

2. 1. 생애

유시마 성당


유학자 하야시 가호의 차남으로 에도에서 태어났다. 형 하루노부(바이도)가 일찍 세상을 떠났으므로 그가 하야시 가문을 이었다.[9]

엔포 8년(1680년)에 아버지 가호가 사망하고 아버지의 직록을 이어 다이조쿄 호인·고분인 학사가 되었다.[10] 그 후, 에도 막부의 4대 장군 · 도쿠가와 이에쓰나 이후, 8대 쇼군 ·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 5대에 걸쳐 막부를 섬겼다. 특히 5대 쇼군 · 쓰나요시, 8대 쇼군 · 요시무네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쓰나요시의 명으로 전중에서 사무라이들을 상대로 유학을 강의한 적도 있었다.[9]

겐로쿠 4년(1691년), 그때까지 우에노 시노바즈 연못 지반에 있던 가숙(家塾)이 유시마로 옮겨져 유시마 세이도로 준공되었고, 이에 맞추어 호코도 다이가쿠노카미로 임명되었다. 이때까지 유자는 불교 승려의 풍조를 따르며 사적(士籍)에 들어가는 일이 없었는데, 호코는 이에 대하여 강하게 반대의 뜻을 표명했다.[11] 이에 따라 같은 해 호코는 속발개복(束髪改服)을 명령받아 종5위하에 서임되었다.[9]

이후, 호코는 성당 학문소(나중에 쇼헤이자카 학문소)를 관장하며, 다이가쿠노카미의 관직도 하야시 집안이 세습하게 되었다. 또, 그때까지 승려 형태로 근무하고 있던 유관 제도도 끝나고, 유학자는 일반적으로 무사들과 동급으로 취급되게 되었다.[9]

그 후, 호코는 쇼군을 섬기면서 유교 강학뿐만 아니라 관작이나 계보, 제전 등 막부의 문서 행정에 참가해, 그동안 조선 통신사의 접대도 맡았다. 또한 아코 사건에도 직면하여, 막부의 입장에서 이 사건을 어떻게 정치적·법적으로 위치를 정하고 실행한 낭인들의 형량을 정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에도 참여했다. 또한 무토쿠 다이세이키 등의 편찬에 종사해 하야시 집안의 관학적 경향을 고집하였고, 복기령(服忌令)을 정했다. 또한, 그의 문하는 막부나 여러 번을 섬기며, 일본에서 유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2]

교호 8년(1723년), 아들 노부미쓰(하야시 류오)에게 가독을 양도했다.

교호 17년(1732년), 87세에 사망했다.

2. 2. 활동

엔호 8년(1680년), 아버지 하야시 가호가 사망하자 아버지의 직록을 이어 대장경법인(大蔵卿法印) · 홍문원학사(弘文院学士)가 되었다.[10] 이후 에도 막부의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부터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까지 5대에 걸쳐 막부를 섬겼다. 특히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8대 쇼군 요시무네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쓰나요시의 명으로 전중에서 사무라이들을 상대로 유학을 강의하기도 했다.[9]

겐로쿠 4년(1691년), 우에노 시노부즈이케 기슭에 있던 가숙(家塾)이 유시마로 옮겨져 유시마 성당(湯島聖堂)으로 준공되면서 다이가쿠노카미에 임명되었다. 이때까지 유자는 불교 승려의 풍조를 따르며 사적(士籍)에 들어가는 일이 없었는데, 호코는 이에 강하게 반대했다.[11] 같은 해 호코는 속발개복(束髪改服)을 명령받아 종5위하에 서임되었다.[9]

이후 호코는 성당 학문소(聖堂学問所, 나중에 쇼헤이자카 학문소)를 관장하며, 다이가쿠노카미 관직도 하야시 집안이 세습하게 되었다. 또한, 그때까지 승려 형태로 근무하던 유관 제도도 끝나고, 유학자는 일반적으로 무사들과 동급으로 취급받게 되었다.[9]

그 후, 호코는 쇼군을 섬기면서 유교 강학뿐만 아니라 관작이나 계보, 제전 등 막부의 문서 행정에 참가해, 조선 통신사의 응접도 맡았다. 또한 무덕대성기(武徳大成記) 등의 편찬에 종사해 하야시 집안의 관학적 경향을 고집하였고, 복기령(服忌令)을 정했다. 그의 문하는 막부나 여러 번을 섬기며, 일본에서 유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2]

교호 8년(1723년), 아들 노부미쓰(하야시 류코)에게 가독을 양도했다.

2. 3. 사망

享保일본어 17년(1732년), 87세로 사망했다.

3. 학문 및 사상

하야시 호코는 에도 시대 3대 하야시 씨족의 ''다이가쿠노카미''였다. 1691년 이후 호코는 쇼군이 제공한 부지에 건설된 쇼헤이코(이후 유시마 세이도로 알려짐)의 초대 공식 총장으로 알려져 있다.[1] 이 기관은 도쿠가와 막부가 창설하고 유지한 전국적인 교육 및 훈련 시스템의 정점에 있었다. 가호의 세습 칭호는 ''다이가쿠노카미''였으며, 도쿠가와 막부 계층 구조에서 이는 사실상 "국립대학의 수장"으로 번역된다.[2]

하야시 학파의 학자들은 유교 교육 과정에서 배운 것을 적용하도록 교육받았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송나라의 유교 분석과 형이상학적 가르침에 의존하여 유교 경전을 보수적으로 적용했다.[3]

신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는 일반적으로 하야시 호코가 표현한 의견에 대해 거의 존중을 표하지 않았다.[3]

4. 저서 및 문인

하야시 호코는 《호코 학사집》(鳳岡学士集), 《간에이 소설》(寛永小説)》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1691년 이후에는 유시마를 문교의 본부로 삼아 유교 진흥에 힘썼다.[13] 1691년 이후 호코는 쇼군이 제공한 부지에 건설된 쇼헤이코(이후 유시마 세이도로 알려짐)의 초대 공식 총장으로 알려져 있다.[1] 또한 그의 문인으로 여러 인물들이 있었다.[14][15]

4. 1. 저서


  • 《호코 학사집(鳳岡学士集)》[13][6]
  • 《간에이 소설(寛永小説)》[13][6]
  • ''괴이 변태''(중국적 변용), 1640년~1740년 나가사키에 도착한 중국 정크선의 보고.[4]

4. 2. 문인

하야시 호코의 제자로는 그의 적자인 하야시 노부미쓰 외에도 이노우에 란다이, 아키야마 교쿠잔, 오카지마 간잔, 구로사와 지코, 마쓰다이라 노리모리 등이 있었다.[14] 호코는 가쓰라야마 사이간, 고토 규안, 요시노 가인, 하야미 쓰네후사 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5]

5. 아코 사건과 한시

아코 낭사들이 할복을 명령받았을 때(주신구라 사건) 하야시 호코가 읊은 한시가 전해지고 있다.

이 시는 “에도 막부의 공식 견해·정책과 유학자로서의 하야시 집안 및 호코 개인의 견해 사이에 차이는 있는가”라는 물음도 들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한다.

: 일찍이 들으니 장사는 떠나면 돌아오지 않으니

: 역수 바람 찬데 소매를 걷어붙이고

: 숯을 삼키고 모습을 바꾸어 예양의 자취를 따르니

: 해가(薤歌)로 눈물을 흘리게 함은 전횡을 따름이라

: 정성은 돌을 부수니, 죽어도 무슨 후회가 있으랴

: 의기는 황하를 맑게 하니, 삶이란 지극히 가벼운 것

: 46인이 모두 함께 칼 앞에 엎드러졌거늘

: 상천께서는 어찌하여 그 충성을 살피지 않으셨나

6. 평가 및 영향

하야시 호코는 에도 시대 하야시 씨족의 3대 다이가쿠노카미였다. 1691년부터 쇼군이 제공한 부지에 건설된 쇼헤이코(이후 유시마 세이도로 알려짐)의 초대 공식 총장을 역임했다.[1] 이 기관은 도쿠가와 막부가 창설하고 유지한 전국적인 교육 및 훈련 시스템의 정점에 있었다. 하야시 가문의 세습 칭호는 ''다이가쿠노카미''였으며, 도쿠가와 막부 계층 구조에서 이는 사실상 "국립대학의 수장"으로 번역된다.[2]

하야시 학파의 학자들은 유교 교육 과정에서 배운 것을 적용하도록 교육받았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송나라의 유교 분석과 형이상학적 가르침에 의존하여 유교 경전을 보수적으로 적용했다.[3]

신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는 하야시 호코가 표현한 의견에 대해 거의 존중하지 않았다.[3]

7.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2005
[2] 서적 Sources of Japan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2005
[3] 서적 Early Modern Japanese Literature: an Anthology, 1600-1900 https://books.google[...] 2008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1998
[5] 서적 1979
[6] 서적 2004
[7] 문서
[8] PDF 師弟関係図 http://kohkosai.web.[...]
[9] 서적 1979
[10] 서적 1979
[11] 서적 1979
[12] 서적 1979
[13] 서적 2004
[14] 문서
[15] PDF 師弟関係図 http://kohkosai.we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