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의 국가는 1990년에 채택된 이란의 국가이다. 1989년 루홀라 호메이니의 사망 이후 공모전을 통해 하산 리야히가 작곡한 곡이 선정되었다. "숨겨진 이맘의 재림"을 상징하며, 1979년 이란 혁명과 관련된 내용이 가사에 포함되어 있다. 이란은 이슬람 국가이지만 페르시아인으로서의 자부심도 중요하게 여겨, "에이 이란"과 같은 다른 국가도 불리고 있다. 역대 이란의 국가로는 19세기부터 1933년까지 사용된 "왕의 행복", 1933년부터 1979년까지 사용된 "이란의 황제를 찬양하라", 1979년 이슬람 혁명 직후 임시 국가로 사용된 "이란이여!",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사용된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노래 - 페르시아의 국가
페르시아의 국가는 시아바시 베이자이에 의해 재편곡되고 비잔 타라기가 가사를 붙인 새로운 버전으로, 2005년 멜랄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살라르 아길리의 노래로 발표되었다. - 이란의 노래 -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창조와 혁명 정신을 찬양하며 알라에 대한 믿음과 이란의 영원함을 기원하는 노래로, 이란 혁명의 이상, 순교자들의 희생, 이란 국민의 단결 등을 강조한다. - 이란의 상징 - 샤하다
샤하다는 "알라 외에는 신이 없고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자이다"라는 이슬람의 기본적인 신앙고백으로, 이슬람의 5대 기둥 중 첫 번째 기둥이며 이슬람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시아파에서는 "알리는 알라의 왈리이다"라는 구절이 추가되기도 한다. - 이란의 상징 - 노루즈
노루즈는 페르시아어로 '새로운 날'을 의미하며 춘분을 기념하는 새해 축제로, 고대 이란의 종교적 전통과 관련이 깊고 여러 국가에서 기념되며 유네스코에도 등재된 집안 대청소, 가족 방문, 특별한 음식 준비 등 다양한 전통과 풍습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축제이다. - 1990년 노래 -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
"I Still Haven't Found What I'm Looking For"는 U2의 1987년 음반 《The Joshua Tree》에 수록된 곡으로, 가스펠 음악 영향을 받아 영적인 갈망과 의심을 노래하며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기록했고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되기도 했다. - 1990년 노래 - Holy Smoke (노래)
Holy Smoke는 아이언 메이든이 1990년에 발매한 노래로, 텔레비전 복음주의자들의 스캔들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영국 싱글 차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이란의 국가 | |
---|---|
일반 정보 | |
![]() | |
국가 명칭 | 서루데 멜리예 줌후리예 에슬라미예 이란 () |
영어 명칭 | National Anthem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
세부 정보 | |
국가 | 이란 |
작사가 | 사이드 바게리 |
작사 시기 | 1989년 |
작곡가 | 하산 리야히 |
작곡 시기 | 1988년 |
채택 시기 | 1990년 |
이전 국가 | 파얀데 바다 이란 |
2. 역사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1989년 최고지도자 루홀라 호메이니가 사망하면서 새로운 국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3] 이에 따라 1990년, 이란-이라크 전쟁(1980년-1988년)의 기억이 아직 남아있던 시기에 공모전을 통해 새로운 국가를 선정했다.[3]
공모전을 통해 حسن ریاحی|하산 리야히fa가 작곡한 곡이 현재의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채택 당시 이 국가는 7행으로 이루어진 일본의 국가 기미가요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짧은 국가였다.[3] 가사에는 1979년 이란 혁명이 일어난 이란력 11월인 바흐만(Bahman) 달이 언급되어 혁명의 의미를 담고 있다.
2. 1. 역대 이란의 국가
- 왕의 행복 (Salamati-ye Shah) (19세기–1933년)
- 이란의 황제를 찬양하라 (Sorood-e Shahanshahi Iran) (1933년–1979년)
- 이란이여! (Ey Iran) (1979년–1980년): 1979년 이란 혁명 직후 임시 국가로 사용되었다. 이 곡은 페르시아인으로서의 자부심을 나타내는 내용으로 인해, 현재의 공식 국가와는 별개로 오늘날에도 널리 애창되고 있다.[6]
- 이란은 불변하고 영원하리라 (1980년–1990년)
3. 가사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국가는 페르시아어로 작성되었다. 가사는 이란 혁명 이후 국가의 핵심 가치인 독립과 자유, 그리고 이를 위해 희생한 순교자들을 기리며,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영원한 존속을 염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6][7]
3. 1. 페르시아어 가사 및 한국어 번역
참조
[1]
서적
The CIA World Factbook 2021-2022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21-05-25
[2]
웹사이트
Iran - National Anthem of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nationalanthe[...]
NationalAnthems.me
2011-11-28
[3]
웹사이트
Iran
http://www.nationala[...]
nationalanthems.info
2021-03-12
[4]
웹사이트
Iran - National Anthem of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web.archive.[...]
[5]
Youtube
National Anthem of Iran - Soroud-e Melli-e Jomhouri-e Eslami-e Iran - 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https://today24.su/w[...]
2017
[6]
웹사이트
Iran - National Anthem of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web.archive.[...]
2011-11-28
[7]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Iran - Soroud-e Melli-e Jomhouri-e Eslami-e Iran - 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https://today24.su/w[...]
2017
[8]
웹사이트
Iran - National Anthem of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web.archive.[...]
2011-11-28
[9]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Iran - Soroud-e Melli-e Jomhouri-e Eslami-e Iran - 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https://today24.su/w[...]
2017
[10]
문서
바흐만은 조로아스터 달력의 11번째 달로 이란 혁명이 일어난 달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