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란-이라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이라크 전쟁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란과 이라크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이다. 이슬람교 내 종파 갈등, 영토 분쟁, 이란 혁명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이 전쟁은 양국에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입혔으며, 국제 정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결국 교착 상태로 종결되었지만, 이후 양국 관계는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이란 감정 - 회색 늑대들
    튀르키예의 극우 민족주의 조직인 회색 늑대들은 튀르크 민족 기원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이름으로 튀르크 민족주의, 초민족주의, 신파시즘 성향을 보이며 터키 민족의 우월성과 반공주의를 주장하고 폭력적인 활동으로 여러 국가에서 금지되거나 감시 대상이 되고 있다.
  • 반이란 감정 - 승리의 손
    승리의 손은 이란-이라크 전쟁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이라크 바그다드에 건설된 기념물로, 사담 후세인의 팔뚝을 모델로 한 두 개의 팔이 칼을 쥐고 있는 형상이며, 현재 바그다드의 주요 랜드마크 중 하나이다.
  • 1982년 분쟁 - 1982년 레바논 전쟁
    1982년 레바논 전쟁은 이스라엘이 PLO의 공격 중단 및 친이스라엘 정부 수립을 목표로 레바논 남부를 침공하여 PLO와 교전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베이루트 포위와 PLO 철수로 이어졌지만 시리아 영향력 확대 및 헤즈볼라 부상 등의 결과를 초래하고 사브라-샤틸라 학살로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 1982년 분쟁 - 포클랜드 전쟁
    포클랜드 전쟁은 1982년 아르헨티나가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내세워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면서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에 발발한 전쟁으로, 영국이 군사력을 동원하여 제도를 탈환하고 아르헨티나의 점령을 종식시켰으며, 양국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쳐 현재까지도 포클랜드 제도의 영유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 1985년 분쟁 - 난민촌 전쟁
    난민촌 전쟁은 1985년부터 1987년까지 레바논에서 아말 운동과 팔레스타인 난민촌 민병대 간에 발생한 무력 충돌로, 수천 명의 사상자를 내고 난민촌 파괴와 시아파 세력 분열을 심화시켰다.
  • 1985년 분쟁 - 스리랑카 내전
    스리랑카 내전은 싱할라족과 타밀족 간의 민족 갈등으로 1983년부터 2009년까지 이어진 무력 분쟁으로, 타밀족 차별에 저항한 LTTE의 무장 투쟁으로 격화되었고 수십만 명의 사상자를 낸 후 2009년 LTTE 패배로 종식되었지만, 인권 문제와 화해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란-이라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이란-이라크 전쟁
다른 명칭페르시아만 전쟁


이란-이라크 분쟁
일부냉전
이란 혁명의 여파
이라크-쿠르드 분쟁
이란-사우디아라비아 대리전
기간1980년 9월 22일 – 1988년 8월 20일
장소이란
이라크
영토원상회복
결과결론 없음
이라크는 이란군을 이라크에서 몰아낸 1988년 반격 이후 승리를 주장
이란은 1982년 공세 이후 이라크군을 이란에서 몰아낸 것을 승리로 주장
교전 세력
교전국 1이란 (1980년)
교전국 1aKDP
PUK
ISCI
이슬람 다와당
헤즈볼라
시아파 자원 봉사자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레바논, 파키스탄, 쿠웨이트, 바레인, 인도)
교전국 2바트당 이라크
교전국 2aDRFLA
MEK
NCRI
PKDI
구세군
아랍 자원 봉사자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북예멘, 수단, 튀니지)
지휘관
지휘관 1루홀라 호메이니
악바르 라프산자니
알리 하메네이
미르호세인 무사비
지휘관 2사담 후세인
아드난 카이랄라
이즈자트 이브라힘 알두리
타리크 아지즈
병력 규모
병력 1 (전쟁 시작)110,000–215,000명
병력 1 (1982년)350,000명
병력 1 (1988년)600,000–850,000명
병력 2 (전쟁 시작)200,000–210,000명
병력 2 (1982년)175,000명
병력 2 (1988년)800,000–1,500,000명
장비 규모
장비 1 (전쟁 시작)탱크 1,700–2,100대 (500–1,150대 작동 가능)
장갑차 1,000–1,900대 (1,300대 작동 가능)
야포 300–1,100문
전투 폭격기 421–485대 (200–205대 작동 가능)
헬리콥터 750–835대 (240대 작동 가능)
장비 1 (1982년)탱크 700대
장갑차 2,700대
야포 400문
항공기 350대
헬리콥터 700대
장비 1 (1988년)탱크 1,500대 이상
장갑차 800–1,400대
야포 600–900문
전투 폭격기 60–80대
헬리콥터 70–90대
장비 2 (전쟁 시작)탱크 1,750–2,800대
장갑차 2,350–4,000대
야포 1,350–1,400문
전투 폭격기 295–380대
헬리콥터 300–350대
장비 2 (1982년)탱크 1,200대
장갑차 2,300대
야포 400문
항공기 450대
헬리콥터 180대
장비 2 (1988년)탱크 3,400–5,000대
장갑차 4,500–10,000대
야포 2,300–12,000문
전투 폭격기 360–900대
헬리콥터 140–1,000대
사상자
사상자 1군인 사망자 200,000–600,000명
전사자 123,220–160,000명
실종자 60,711명 (이란 주장)
전사자 800,000명 (이라크 주장)
부상자 320,000–500,000명
포로 40,000–42,875명
민간인 사망자 11,000–16,000명
경제 손실 $6270억
사상자 2군인 사망자 105,000–500,000명
부상자 400,000명
포로 70,000명
경제 손실 $5610억
민간인 사망자100,000명 이상
총 사망자450,000–500,000명
추가 정보
참고1983–1988년 쿠웨이트 테러 공격
1981년 베이루트 이라크 대사관 폭탄 테러
레바논 인질 위기
1983년 베이루트 병영 폭탄 테러
1985–86년 파리 공격
기타1조 달러 이상의 경제적 비용 발생
화학 무기가 대규모로 사용된 유일한 현대 전쟁

2. 배경

wikitext

양국은 국민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나 이란은 시아파, 이라크는 시아파수니파로 나뉘어 종교적 갈등을 겪었다.[303] 이란은 시아파가 8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이라크는 수니파가 상대적으로 다수인 시아파를 지배하는 구조였다. 이란 혁명으로 강경 시아파가 집권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호르무즈 해협의 3개 도서와 샤트알아랍 강 수로의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도 오랜 역사적 갈등 요인이었다. 양국은 각자 이슬람 정통 계승과 페르시아 상속자임을 자처하며 영유권을 주장했다.

이란 혁명 이후 이란의 시아파 정부는 이라크가 후제스탄 지역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이라크 내 시아파를 박해한다고 비난했다. 이라크는 내정 간섭 중지를 경고하며 이란이 이라크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한다고 맞섰고, 국경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란의 중동에 대한 이슬람 혁명 파급 기도와 팔레비 왕조 붕괴로 중동 제일의 군사 강국 지위를 점한 이라크의 팽창 정책 또한 갈등을 심화시켰다.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친미 팔레비 왕조가 붕괴하며 미국의 중동 정책에 공백이 생겼고, 서방 국가들은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이라크를 지원했다.

1975년 알제 협정 당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후아리 부메디엔, 사담 후세인이 회담을 가졌다.

1975년 알제리 협정 당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후아리 부메디엔, 사담 후세인(왼쪽부터 오른쪽)의 회담


이란-이라크 국경의 샤트알아랍


이 전쟁은 시아파수니파의 역사적 대립, 아랍페르시아의 역사적 대립 구도를 되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303] 이란 혁명에 대한 주변국과 서구의 개입 전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석유 수출 요충지인 샤트알아랍 수로(알완드 강) 사용권을 둘러싼 분쟁은 오랜 충돌 원인이었다. 샤트알아랍 수로(알완드 강)는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드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하류로, 양국 국경에 해당한다. 바스라는 이라크 제2의 도시이자 중요한 항구였다.

이란에서는 1979년 시아파에 의한 이슬람 혁명이 발생했다. 루홀라 호메이니는 친미적인 파레비 왕조의 세속성을 비판하며 이슬람 공화제를 수립했다. 이는 수니파 아랍 국가들과는 다른 정치 체제였기에 아랍 국가들의 경계감을 강화시켰다. 그러나 이란 내부 혼란과 군사 체계 혼란은 적대국들에게 기회로 여겨졌다.[303]

이라크에서는 1979년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에 취임하여 아랍 연맹에서 제명된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를 대신하여 아랍 맹주가 되고자 했다.[304] 이라크 바트당을 장악하고 독재를 확립했으며,[305] 석유 위기로 얻은 자금으로 군비를 확장하여 중동 최대 군사 대국이 되었다.[306] 사담 후세인은 알제 협정을 파기하고,[307] 후제스탄 주를 "아라비스탄"이라 부르며 영토 편입을 계획했다.

2. 1. 역사적 갈등

양국은 국민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나 이란은 시아파, 이라크는 시아파수니파로 나뉘어 종교적 갈등을 겪었다.[303] 이란은 시아파가 8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이라크는 수니파가 상대적으로 다수인 시아파를 지배하는 구조였다. 이란 혁명으로 강경 시아파가 집권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호르무즈 해협의 3개 도서와 샤트알아랍 강 수로의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도 오랜 역사적 갈등 요인이었다. 양국은 각자 이슬람 정통 계승과 페르시아 상속자임을 자처하며 영유권을 주장했다.

이란 혁명 이후 이란의 시아파 정부는 이라크가 후제스탄 지역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이라크 내 시아파를 박해한다고 비난했다. 이라크는 내정 간섭 중지를 경고하며 이란이 이라크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한다고 맞섰고, 국경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하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란의 중동에 대한 이슬람 혁명 파급 기도와 팔레비 왕조 붕괴로 중동 제일의 군사 강국 지위를 점한 이라크의 팽창 정책 또한 갈등을 심화시켰다.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친미 팔레비 왕조가 붕괴하며 미국의 중동 정책에 공백이 생겼고, 서방 국가들은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이라크를 지원했다.

1975년 알제 협정 당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후아리 부메디엔, 사담 후세인이 회담을 가졌다. 1969년 4월, 이란은 1937년 샤트알아랍 조약을 폐기하고 이란 선박의 통행료 지불을 중단했다.[55] 이란은 조약이 불공평하다고 주장했는데, 샤트알아랍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선박이 이란 선박이었기 때문이다.[56] 이라크는 전쟁을 위협했지만, 1969년 4월 24일 이란 군함의 호위를 받는 이란 유조선(Joint Operation Arvand)이 샤트알아랍을 항해했을 때 군사적 열세로 인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했다.[57] 이란의 조약 폐기는 양국 간 긴장을 고조시켰고, 1975년 알제리 협정까지 지속되었다.[57]

1978년 이라크에서 친소련 쿠데타 계획이 발견되면서 양국 관계는 잠시 개선되었다. 사담 후세인은 쿠데타를 진압하고 루홀라 호메이니를 이라크에서 추방했다.[189][58]

1980년 9월 10일, 이라크는 1975년 알제리 협정에서 약속받았으나 이란이 인계하지 않았던 자인 알 카우스와 사이프 사드 지역을 무력으로 탈환했다. 이란과 이라크는 각각 9월 14일과 9월 17일에 협정을 무효화했다. 9월 22일 이라크 침공 당시 양국 간 남은 유일한 국경 분쟁은 이란 선박의 샤트알아랍 강 항행료 지불 여부였다.[85][86]

이 전쟁은 시아파수니파의 역사적 대립, 아랍페르시아의 역사적 대립 구도를 되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303] 이란 혁명에 대한 주변국과 서구의 개입 전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석유 수출 요충지인 샤트알아랍 수로(알완드 강) 사용권을 둘러싼 분쟁은 오랜 충돌 원인이었다. 샤트알아랍 수로(알완드 강)는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드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하류로, 양국 국경에 해당한다. 바스라는 이라크 제2의 도시이자 중요한 항구였다.

이란에서는 1979년 시아파에 의한 이슬람 혁명이 발생했다. 루홀라 호메이니는 친미적인 파레비 왕조의 세속성을 비판하며 이슬람 공화제를 수립했다. 이는 수니파 아랍 국가들과는 다른 정치 체제였기에 아랍 국가들의 경계감을 강화시켰다. 그러나 이란 내부 혼란과 군사 체계 혼란은 적대국들에게 기회로 여겨졌다.[303]

이라크에서는 1979년 사담 후세인이 대통령에 취임하여 아랍 연맹에서 제명된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를 대신하여 아랍 맹주가 되고자 했다.[304] 이라크 바트당을 장악하고 독재를 확립했으며,[305] 석유 위기로 얻은 자금으로 군비를 확장하여 중동 최대 군사 대국이 되었다.[306] 사담 후세인은 알제 협정을 파기하고,[307] 후제스탄 주를 "아라비스탄"이라 부르며 영토 편입을 계획했다.

2. 2. 이란 혁명과 이라크의 야심

이란과 이라크는 국민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나, 이란은 시아파가 80% 이상을 차지하고 이라크는 시아파수니파로 양분되어 있어 종교적 갈등을 겪어왔다.[303] 이란 혁명으로 강경 시아파가 집권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또한, 양국은 이슬람 정통 계승과 페르시아 상속자임을 자처하며 호르무즈 해협 3개 도서와 샤트알아랍 강 수로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역사적 분쟁을 겪어왔다.

이란 혁명 이후 이란의 시아파 정부는 이라크가 후제스탄 지역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이라크 내 시아파를 박해한다고 비난했고, 이라크는 내정 간섭 중지를 경고하며 이란이 이라크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한다고 맞받아치는 등 긴장이 고조되었고, 이는 국경 무력 충돌로 확대되었다.[60] 이란의 중동에 대한 이슬람 혁명 파급 기도와 팔레비 왕조의 붕괴로 중동 제일의 군사 강국 지위를 점한 이라크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 또한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친미 팔레비 왕조가 붕괴하면서 중동 지역에 힘의 공백이 발생했고, 서방 국가들은 이란의 이슬람 원리주의 확산을 우려했다. 이에 서방 국가들은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이라크에 접근하여 후세인 정권에게 막대한 외교, 경제, 군사적 지원을 시작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라크에 무기를 판매했고, 미국은 후세인 정권의 화학무기 사용과 민간인 학살을 묵인했다.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는 이라크인들에게 바트 정부를 전복하라고 촉구했고, 이는 바그다드에서 상당한 분노를 불러일으켰다.[87] 1979년 7월 17일, 호메이니의 촉구에도 불구하고, 사담 후세인은 이란 혁명을 칭찬하는 연설을 하고 상호 내정 불간섭을 기반으로 한 이라크-이란 우호를 촉구했다.[87] 그러나 호메이니가 이라크에서의 이슬람 혁명 촉구로 사담의 제안을 거절하자,[189] 사담은 불안해했다.[87] 이란의 새로운 이슬람 정부는 바그다드에서 바트 정부에 대한 비이성적이고 실존적인 위협으로 간주되었는데, 특히 세속적인 성격을 가진 바트당이 이라크 내 시아파 근본주의 운동을 차별하고 위협했기 때문이다.[87]

사담의 전쟁에 대한 주된 관심은 알제리 협정의 잘못을 바로잡고, 이집트를 대체하여 아랍 세계의 지도자이자 페르시아 만의 패권을 장악하는 것이었다.[189][61][62][63] 그는 혁명, 제재 및 국제적 고립으로 인해 이란의 약화가 심화되고 있다고 보았다.[64] 사담은 1975년 이란과의 패배 이후 이라크 군대에 많은 투자를 해왔으며, 소련프랑스에서 많은 무기를 구입했다. 1980년까지 이라크는 24만 명의 병력,[66] 2,350대의 탱크[67]와 340대의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었다.[68]

1980년 3월 8일, 이란은 이라크 주재 대사를 철수하고 외교 관계를 대리 대사급으로 강등했다.[87] 다음 날, 이라크는 이란 대사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하고 3월 15일까지 이라크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75]

이 전쟁은 시아파수니파의 역사적 대립, 아랍페르시아의 역사적 대립 구도를 되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303] 또한, 이란 혁명에 대한 주변국과 서구의 개입 전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루홀라 호메이니이란 혁명 이후 권력을 잡았다.


양국의 석유 수출에 있어 중요한 요충지인 샤트알아랍 수로(알완드 강)의 사용권을 둘러싼 분쟁은 오랜 충돌의 원인이었다. 샤트알아랍 수로(알완드 강)는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드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의 하류 지역으로, 양국의 국경에 해당한다. 이란에서는 1979년시아파에 의한 이슬람 혁명이 발생했다. 호메이니의 지도하에, 주변 수니파 아랍 국가와는 다른 정치 체제인 「이슬람 공화제」를 수립했다. 하지만 이란 내부의 혼란과 보수파의 숙청으로 인해 군사 체계에도 혼란이 있다고 여겨졌기에, 적대하는 주변국들에게는 호기였다.[303]

한편, 이라크에서는 1979년 당시 대통령에 취임한 사담 후세인은 제4차 중동 전쟁의 영웅에서 돌연 이스라엘과의 평화를 통해, 전년 1978년 바그다드에서 열린 정상 회담에서 아랍 연맹에서 제명된 이집트의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을 대신하여 아랍의 맹주가 되고자 했다.[304] 석유 위기로 인해 고가가 된 원유 수출로 얻은 풍부한 자금을 투자하여 적극적인 군비 확장을 통해 이라크는 중동 최대, 세계 4위의 군사 대국이 되었다.[306] 자신이 파레비 왕조와 맺었던 알제 협정을 텔레비전 앞에서 찢어 버리고,[307] 후제스탄 주를 "아라비스탄"이라고 부르며 아랍 영토의 잃어버린 땅을 되찾는다는 명분으로 이라크 영토 편입을 계획했다.

2. 3. 국제 정세

이란과 이라크는 국민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지만, 종파(이란은 시아파, 이라크는 시아파수니파 양분) 및 민족(이란은 페르시아, 이라크는 아랍) 갈등을 겪어왔다.[303] 이란 혁명으로 이란에 강경 시아파 정권이 들어서고, 양국이 호르무즈 해협 3개 도서와 샤트알아랍 강 수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다.[303][304] 이란은 이라크가 후제스탄 지역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이라크 내 시아파를 박해한다고 비난했고, 이라크는 이란이 이라크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한다고 맞받아치며 국경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친미 팔레비 왕조가 붕괴하면서 중동 지역에 힘의 공백이 발생했고, 서방 국가들은 이란의 이슬람 혁명 파급을 우려하여 이라크 후세인 정권에 막대한 지원을 시작했다.[303] 영국과 프랑스는 이라크에 무기를 판매했고, 미국은 화학무기 사용과 민간인 학살을 묵인했다.[273]

1982년 4월, 이란을 지지한 시리아가 키르크크-바니야스 송유관을 폐쇄하여 이라크 경제를 압박하자,[87][118]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걸프 국가들은 이라크에 대규모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87] [118][234][121][122] 이라크는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로부터도 지원을 받았으며, 미국의 위성 정보는 이란군 이동 감지에 활용되었다.[273][123]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이라크 패배를 막기 위한 조치를 지시했다.[124][125][126]

1983년 12월, 미국의 중동 특사 도널드 럼즈펠드사담 후세인과 악수하는 모습. 럼즈펠드는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미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전쟁 중 이라크는 서방과 소련으로부터 혁명 이후 이란에 대한 견제 세력으로 여겨져 지원을 받았다.[120] 소련은 이라크와의 동맹 관계 유지를 위해 무기를 공급했다.[120] 미국은 이란의 팽창 위협으로부터 걸프 국가들을 보호하고 이란을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이라크를 지원했다.[120] 헨리 키신저는 이란과의 화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이 분쟁에서 휴전을 촉진하는 것이 미국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밝혔다.[120]

이란 사다바드 궁전 군사 박물관에 전시된 이라크제 Mil Mi-24 헬리콥터


SIPRI에 따르면, 소련, 프랑스, 중국이 이라크 무기 수입의 90% 이상을 차지했다.[230] 미국은 이중용도 기술 수출, 정보 제공 등으로 이라크를 지원했다.[244][245] 프랑스는 이라크에 50억 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했으며,[120] 1986년부터는 화학무기 전구 물질을 보내왔다는 보도도 있었다.[231] 중국은 양측 모두에게 무기를 판매했다.[12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을 촉구했으나, 이라크의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이란을 돕지 않아 이란은 유엔이 이라크를 편들고 있다고 해석했다.[205] 이라크의 주요 재정 후원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페르시아 만 연안 국가들이었다.[234]

이란-콘트라 사건으로 알려진 비밀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은 이란에 일부 무기를 간접적으로 공급하기도 했다.[227] 이스라엘은 이라크의 승리를 우려하여 이란에 군사 장비를 지원했다.[236][237] 북한은 이란에 대한 주요 무기 공급국이었다.[238] 시리아와 리비아는 아랍 연대를 깨고 이란을 지원했다.[239]

1987년 5월 17일, 이라크 전투기가 USS ''스타크호''에 엑소세 미사일 두 발을 발사하여 37명의 승무원이 사망했다.[251][252] 1988년 4월 14일, 이란의 기뢰로 인해 호위함 이 손상되자, 미군은 프레이잉 맨티스 작전으로 응수하여 이란 유전 시설과 군함을 파괴했다.[151] 1988년 7월 3일, 순양함 USS 빈센스(CG-49)가 이란항공 655편을 격추하여 290명이 사망했다.[252][253]

이 전쟁은 시아파수니파, 아랍페르시아의 역사적 대립 구도를 되살린 것으로 볼 수 있으며,[303] 이란 혁명에 대한 주변국과 서구의 개입 전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3. 전개

이란은 이란 인질 사건으로 서방의 경제봉쇄를 당하고, 혁명 과정에서 정규군 전력이 약화된 상황이었다. 이라크는 1975년 양국간 국경 조약을 불평등 조약이라 선언하고 1980년 9월 22일 이란을 전면 침공했다.

초기 이라크의 우세가 예상되었으나, 이란 국민들은 시아파 이슬람주의에 기초하여 영웅적으로 저항했다. 11월 이후 이란 정규군, 혁명수비대, 민병대가 반격하면서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1981년 3월 이라크의 공세가 침체된 후, 5월 이란이 수산제르드(Susangerd) 상공의 고지를 탈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선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1981년 1월 5일, 이란은 나스르 작전을 개시하여 데즈풀 전투에서 이라크군 방어선을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 전투는 이란 대통령 바니사드르의 몰락을 재촉했다.

전선 방문 중인 이란의 대통령 아볼하산 바니사드르


1981년 4월 3일, 이란 공군은 H-3 공습을 감행하여 이라크 공군기지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제재와 숙청으로 약화된 이란 공군은 영공 장악을 포기하고 방어적으로 전환했다.

이란은 중화기 부족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인 자원병을 바탕으로 인해전술을 사용했다. 이란의 인해전술은 이라크 인민군 방어선을 압도하고, 혁명수비대와 정규군이 이를 이용하여 적을 포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81년 9월 27일~29일, 이란은 사멘올아에메 작전을 개시하여 아바단 포위전을 종식시켰다. 1981년 11월 29일에는 타리크 알-꾸드스 작전을 통해 보스탄(Bostan)을 탈환했다. 이 작전에서 이란은 처음으로 "인간 물결" 전술을 사용했다.

이란의 저항은 예상보다 거셌고, 20만 명이 넘는 의용병이 전선에 합류했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이란의 최대 무기 공급국이었으며, 이스라엘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도 이란을 지원했다. 특히 북한은 이란을 지원한 것을 이유로 1980년 10월 이라크와 단교했다.

1981년 6월 7일, 이스라엘 공군이 이라크의 원자력 발전소를 공습하는 사건(이라크 원자로 폭격 사건)이 발생했다.

3. 1. 이라크의 기습 공격 (1980)

1980년 9월 22일 새벽, 이라크는 1975년 알제 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이란의 10개 공군 기지에 대한 기습 공습을 감행하며 전면 침공을 개시했다.[303] 이 공격으로 이란 공군 기지 시설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강화된 항공기 격납고 덕분에 이란 공군의 주력 전투기들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88] 이라크는 MiG-23BN, Tu-22, Su-20등의 항공기를 동원했지만, 이란 공군은 다음 날 카만 99 작전으로 이라크 공군기지와 기반 시설에 대규모 공격을 가하며 즉각 보복했다. 이 과정에서 F-4 팬텀과 F-5 타이거 전투기들이 이라크 전역의 석유 시설, 댐, 석유화학 공장, 정유소 등을 공격했고, 모술 공군기지, 바그다드, 키르쿠크 정유소가 포함되었다.[88] 이란 공군의 반격 강도에 이라크는 큰 손실과 경제적 혼란을 겪었지만, 이란 역시 많은 항공기와 조종사를 잃었다.

이란 육군 항공대의 AH-1 코브라 헬리콥터는 AGM-65 매버릭 미사일을 장착한 F-4 팬텀과 함께 이라크군 기갑 부대를 공격하여 진격을 늦추었으나, 완전히 저지하지는 못했다.[189][92][93] 이란은 F-14A 톰캣 요격기를 이용, AIM-54A 피닉스 미사일로 이라크 전투기들을 격추하기도 했다.[92]

이란 인질 사건으로 서방의 경제 제재를 받던 이란은 혁명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까지 겹쳐 군사력이 약화된 상태였다.[303] 정규군인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과 이슬람 혁명수비대 간의 협력도 원활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은 9월 24일 바스라를 공격하여 이라크 항구 알 파우 근처의 석유 터미널 두 곳을 파괴하여 이라크의 석유 수출 능력을 감소시키는 등[87] 적극적으로 저항했다. 9월 30일에는 스코치 소드 작전을 통해 바그다드 근처의 오시라크 원자로를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87]

이라크는 호람샤르, 아바단, 아흐바즈, 수산게르드, 무시안등의 도시들을 점령하고 자그로스 산맥 구릉지대와 술레이마니야 맞은편에 방어 거점을 확보하려 했다.[87] 그러나 이란군의 저항과 후지스탄 아랍인들의 봉기가 실패하면서, 이라크의 초기 목표 달성은 좌절되었다.[87] 이란군은 호람샤르에서 격렬하게 저항하여 이라크군의 진격을 한 달이나 지연시켰다.[87] 이 전투의 잔혹함으로 인해 호람샤르는 "피의 도시"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87]

아바단 공방전에서 이라크는 도시를 포위했지만, 이란 해군이 모르바리드 작전을 통해 이라크 해군력의 80%를 파괴하고 이라크 남부의 레이더 기지를 무력화하면서 해상 봉쇄에는 실패했다.[98] 이로 인해 이란은 해상을 통해 아바단에 보급품을 공급받을 수 있었다. 이라크는 전략 비축물이 고갈되면서 방어 태세로 전환해야 했다.[87]

파괴된 이란 공군의 C-47 스카이트레인


F-14A 톰캣에 AIM-54A, AIM-7, AIM-9 미사일을 장착한 이란 공군


수적으로 열세였고 무기도 부족했던 이란군의 저항은 호람샤르에서 이라크군의 진격을 한 달이나 지연시켰다.

3. 2. 이란의 저항과 전선 교착 (1981)

이란은 이란 인질 사건으로 서방의 경제봉쇄를 당하고, 혁명 과정에서 정규군 전력이 약화된 상황이었다. 이라크는 1975년 양국간 국경 조약을 불평등 조약이라 선언하고 1980년 9월 22일 이란을 전면 침공했다.

초기 이라크의 우세가 예상되었으나, 이란 국민들은 시아파 이슬람주의에 기초하여 영웅적으로 저항했다. 11월 이후 이란 정규군, 혁명수비대, 민병대가 반격하면서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1981년 3월 이라크의 공세가 침체된 후, 5월 이란이 수산제르드(Susangerd) 상공의 고지를 탈환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선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1981년 1월 5일, 이란은 나스르 작전을 개시하여 데즈풀 전투에서 이라크군 방어선을 돌파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 전투는 이란 대통령 바니사드르의 몰락을 재촉했다.

1981년 4월 3일, 이란 공군은 H-3 공습을 감행하여 이라크 공군기지에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제재와 숙청으로 약화된 이란 공군은 영공 장악을 포기하고 방어적으로 전환했다.

이란은 중화기 부족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인 자원병을 바탕으로 인해전술을 사용했다. 이란의 인해전술은 이라크 인민군 방어선을 압도하고, 혁명수비대와 정규군이 이를 이용하여 적을 포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81년 9월 27일~29일, 이란은 사멘올아에메 작전을 개시하여 아바단 포위전을 종식시켰다. 1981년 11월 29일에는 타리크 알-꾸드스 작전을 통해 보스탄(Bostan)을 탈환했다. 이 작전에서 이란은 처음으로 "인간 물결" 전술을 사용했다.

이란의 저항은 예상보다 거셌고, 20만 명이 넘는 의용병이 전선에 합류했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이란의 최대 무기 공급국이었으며, 이스라엘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도 이란을 지원했다. 특히 북한은 이란을 지원한 것을 이유로 1980년 10월 이라크와 단교했다.

1981년 6월 7일, 이스라엘 공군이 이라크의 원자력 발전소를 공습하는 사건(이라크 원자로 폭격 사건)이 발생했다.

3. 3. 이란의 반격과 이라크의 수세 (1982)

이란은 이란 인질 사건으로 서방의 경제봉쇄를 당할 위기에 놓였고 이란 정규군 또한 혁명 과정에서 전력이 약화되었다. 이라크는 1975년 체결된 양국간 국경 조약을 불평등 조약이라고 선언, 호르무즈 해협 3개 도서 및 샤트알아랍 수로에 대한 주권을 선언하고 이란을 침공하였으나, 이란 국민들의 저항으로 전쟁은 장기화 되었다. 이란은 전쟁 수행에 있어서 전비 충당과 미국의 위협 제거를 위해 미·이란 인질사태를 종식시켰다. 이라크는 일방적인 휴전을 제의하였으나 호메이니는 이라크 정권 타도라는 초강경 자세를 고수하여 이란이 이라크 영내로 진입하였다.

1983년 프랑스가 이라크에 쉬페르 에탕다르 전폭기, 엑조세 미사일 등 최신예 무기판매를 승인함으로써 사태는 증폭되기 시작했다. 이란은 프랑스가 이라크에 무기를 공급할 경우 서방국가 원유 수송로의 중추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1984년에 접어들면서 양측은 상대국 출입 유조선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 전투기를 격추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국제 연합의 중재도 무산되었으며, 이라크가 이란 영공 전역을 '전쟁 지역'으로 선포함과 동시에 화학무기(독가스)를 사용하는 등 전쟁은 최악의 국면으로 심화되었다.

전쟁 중 이란의 노스롭 F-5 항공기


이라크군은 이란군의 공격 계획을 인지하고 1982년 3월 19일 알-파우즈 알-아짐 작전([113])으로 선제 공격을 결정했으나, 이란군은 완전히 무사했다([189]). 이란은 파트 알 무빈 작전(Operation Fath ol-Mobin)을 개시하여 이라크군을 기습, 치누크 헬리콥터(Chinook helicopter)를 이용하여 이라크 후방에 착륙하여 이라크군의 포병을 제압하고 사령부를 점령했다.[189] 이라크는 포위망을 돌파하기 위해 제12 기갑사단을 이용하여 반격을 가했으나, 이란의 F-4 팬텀과 F-5 타이거 전투기 95대의 공격을 받았고, 사단의 상당 부분이 파괴되었다.[114] 이란은 바이트 알 무카다스 작전 준비 과정에서 이라크 공군 기지를 대상으로 여러 차례 공습을 감행하여 47대의 전투기를 격추, 전장에서 공중 우세를 확보했다.[189]

4월 29일, 이란은 공세를 개시, 바시지 대원들은 인해전술을 펼쳤고, 이어 정규군과 혁명수비대가 전차와 헬리콥터를 지원하며 공격을 이어갔다.[189] 이란군의 강력한 공세에 이라크군은 후퇴했다.[189] 5월 12일까지 이란은 수산게르드 지역에서 모든 이라크군을 몰아냈다.[87]

이란 후지스탄 주의 이라크 T-62 전차 잔해


이라크군은 카룬 강으로 후퇴했고, 호람샤르와 그 주변 일부 지역만 점령하고 있었다.[79] 사담은 호람샤르 시 주변에 7만 명의 병력을 배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89] 그러나 호람샤르의 유일한 보급로는 샤트알아랍을 건너야 했고, 이란 공군은 도시로 향하는 보급 다리를 폭격하기 시작했으며, 이란군 포병은 포위된 이라크군 주둔지를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이라크 공군 또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1981년 12월 초 이후 최대 55대의 항공기를 잃은 후, 100대의 무사한 전투폭격기와 요격기만 남았다.[116] 1982년 6월 MiG-21을 몰고 시리아로 망명한 탈영병은 이라크 공군이 이란으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투폭격기 3개 비행대대만 보유하고 있음을 밝혔다.[116]

1982년 6월 20일, 사담 후세인은 평화협상을 원하며 2주 이내에 이란 영토에서의 즉각적인 휴전과 철수를 제안했다.[128] 호메이니는 새로운 정부가 이라크에 수립되고 배상이 이루어질 때까지 전쟁은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129] 그는 이란이 이라크를 침공할 것이며 바아스 정권이 이슬람 공화국으로 대체될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87][117]

이란의 라마단 작전 실패 이후, 이란은 소규모 공격만 몇 차례 수행했다. 무슬림 이븐 아킬 작전(10월 1~7일), 무하람 작전(11월 1~21일),등을 통해 이란은 이라크 방어선을 거의 돌파했으나, 이라크군이 새로운 T-72 전차를 포함한 증원군을 파병하자 만달리를 점령하지 못했다.[116]

정치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것처럼 보였던 이란이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란 최대의 무기 공급국이었다.[314] 미국도 이라크에 대한 무기 수출 및 경제 원조를 하는 한편, 이란-콘트라 사건에서 처럼 이란에도 무기 수출을 했다. 이스라엘은 “적의 적은 친구”라는 방침으로 이란에 무기를 지원했으며,[320][321][30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이란을 지원했다.[303]

1982년 4월, 시리아를 경유하는 파이프라인이 막히고 이라크가 석유 수출을 할 수 없게 된 무렵부터 전황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5월 24일 이란은 호람샤르 항구를 탈환하고 3만 명의 이라크 병사를 포로로 잡았다. 6월에는 이전 영토 거의 전역을 탈환하고 이라크 국내로의 공세에 나선다.

3. 4. 이란의 이라크 침공과 소모전 (1983-1984)

이란은 이란 인질 사건으로 서방의 경제봉쇄를 당하고, 정규군 또한 혁명 과정에서 약화된 틈을 타 이라크는 1975년 체결된 양국간 국경 조약을 불평등 조약이라 선언하며 1980년 9월 22일 이란을 전면 침공했다. 초기에는 이라크의 승리가 예상되었으나, 이란 국민의 저항과 정규군, 혁명수비대, 민병대의 반격으로 전쟁은 장기화되었다.

1983년 이탈리아는 이란에 전폭기, 엑조세 미사일 등 최신 무기 판매를 승인했고, 이란은 프랑스가 이라크에 무기를 공급할 경우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1984년 양측은 유조선을 공격하기 시작했고,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 전투기를 격추하고 국제 연합 중재가 무산되면서 전쟁은 최악으로 치달았다.

1982년 말, 이라크는 소련과 중국의 군수품으로 재보급되었고, 소련식 3중 방어선을 구축했다.[58] 이라크는 심층 방어에 집중하며 이란군을 효과적으로 방어했다.[79][123] 1982년 7월 13일, 이란은 라마단 작전(Operation Ramadan)을 개시, 18만 명이 넘는 병력이 참여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지상전 중 하나였다.[58] 이라크군은 최루탄을 사용했고, 이란군은 인해전술을 펼쳤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35][87]



1983년 이란은 전선을 따라 5차례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87] 1983년 2월 6일 새벽 전의 작전에서 이란은 남부에서 중부와 북부 전선으로 작전 목표를 전환했다.[158] 1983년 4월, 이란은 만달리-바그다드 북중부 지역에서 공격을 감행했지만, 이라크군에 격퇴되었다.[158] 1983년 초부터 1984년까지 이란은 총 10회에 달하는 '발파주르'(Valfajr, 여명) 작전을 개시했다.[158]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9c259f_57b46ddc.jpg|thumb|1983년 티크리트(Tikrit), 이라크 근처의 이란군 포로들]

1984년까지 이란 지상군은 재편성되어 케이바르 작전을 시작했다.[158][146] 이란군은 하위제 습지를 건너 상륙 작전을 개시, 마주눈 섬을 공격했다.[189][146] 이라크는 화학 무기와 심층 방어를 사용했다.[120]

|thumb|152mm D-20 곡사포를 발사하는 이란군

|thumb|upright=1|1984년 10월 이란군이 이라크 마주눈 유전을 점령한 후 사살한 이라크 포로

'새벽 작전' 이후 이란은 전술 변화를 시도, 경보병을 이용한 기동전과 침투 전술을 사용했다.[144][94][110] 1984년 말,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58][157]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 정부가 이란군에게 경고하기 위해 발표한 경고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란인들이여!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후세인 이븐 알리, 압바스 이븐 알리가 묻힌 땅에서 누구도 억압받지 않았다. 이라크는 의심할 여지 없이 명예로운 나라다. 모든 난민은 소중하다. 망명을 원하는 사람은 누구든 자유롭게 이라크를 선택할 수 있다. 우리 이라크의 아들들은 외국 침략자들을 매복 공격해왔다. 이라크를 공격하려는 적들은 현세와 내세에서 신의 불운을 맞이할 것이다. 이라크와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를 공격하는 것을 조심하라! 항복하면 평화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 5. "유조선 전쟁"과 "도시 전쟁" (1984-1987)

1984년에 접어들면서 이란-이라크 전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양측은 서로 상대국 출입 유조선에 대한 공격을 시작하며, 페르시아 만을 항해하는 유조선에 무차별 공격을 가해 주변국들과 서방측 석유 소비 국가들을 긴장시켰다.[87] 이른바 "유조선 전쟁"은 1984년 초 이라크가 카르그 섬의 석유 터미널과 유조선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87] 이라크는 엑소세 대함 미사일과 소련제 공대지 미사일을 장착한 미라주 F1, 슈퍼 에탕다르, MiG-23, Su-20/22 및 슈퍼 프렐롱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이란의 항만 지역과 유조선을 공격했다.[87] 이란 선박을 공격한 이라크의 목표는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모든 해상 교통에 대해 폐쇄하는 등 극단적인 조치로 보복하게 하여 미국의 개입을 유도하는 것이었다.[87] 미국은 호르무즈 해협이 폐쇄될 경우 여러 차례 개입할 것이라고 위협했다.[87]

이란은 바레인 근처에서 이라크 원유를 운반하는 쿠웨이트 유조선과 사우디 해역에서 사우디 유조선을 공격하며 보복했다.[87] 이란 해군은 영국제 프리깃을 사용하여 이라크와 무역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모든 선박을 정지시키고 검사하는 해상 봉쇄를 시행했다. 이란은 로켓 발사기와 중기관총을 장착한 보그함마르 고속정을 사용하는 혁명수비대 해군에 의존하여 유조선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가했고, F-4 팬텀 II 전투기와 헬리콥터를 사용하여 유조선에 매버릭 미사일과 무유도 로켓을 발사했다.[189] 1984년 6월 5일에는 사우디 F-15 전투기가 이란 F-4 팬텀 II 전투기 2대를 격추하기도 했다.[87]

1987년 5월 17일, 미국 해군 함정인 는 이라크 미라주 F1 전투기가 발사한 2발의 엑소세 대함 미사일의 공격을 받았다.[149][150] 이 공격으로 37명의 선원이 사망하고 21명이 부상을 입었다.[152] 로이드 런던은 탱커 전쟁으로 546척의 상선이 피해를 입고 약 430명의 민간 선원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58]

쿠웨이트는 1986년 11월 1일 외국 강대국에 공식적으로 선박 보호를 요청했고, 소련은 1987년부터 유조선을 임대하는 데 동의했으며, 미국 해군은 1987년 3월 7일 어니스트 윌 작전에서 미국 국기를 게양한 외국 유조선에 대한 보호를 제공했다.[87][151]

어니스트 윌 작전: 미국 해군 호위 아래 제12차 탱커 호송대 (1987년 10월 21일)


IRGC 해군 고속정이 군집 전술을 사용하는 모습


한편, 이라크 공군은 이란 도시들에 대한 전략폭격을 개시했다. 이는 '도시 간의 전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라크는 Tu-22 블린더(Blinder)와 Tu-16 배저(Badger) 전략폭격기를 사용하여 테헤란을 포함한 이란 도시들에 대한 장거리 고속 공습을 실시했고, MiG-25 폭스뱃(Foxbat)과 Su-22 피터(Fitter)와 같은 전투폭격기는 더 작거나 단거리 목표물에 사용되었다.[107] 이란은 리비아로부터 일부 스커드 미사일을 구입하여 바그다드에 발사했고, 이는 이라크에 피해를 입혔다.[189] 1987년부터 사담 후세인은 사르다슈트 마을과 같이 이란의 민간인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 화학 공격을 명령했다.[175]

도시 간의 전쟁 동안 표적이 된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의 민간 지역 공격을 나타내는 지도

3. 6. 이라크의 반격과 휴전 (1988)

1988년, 이라크는 대량의 장비 수입과 이란의 자원봉사자 감소를 바탕으로 이란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개시할 준비를 갖추었다.[79] 1988년 2월, 사담 후세인은 다섯 번째이자 가장 치명적인 "도시전"을 시작했다.[87] 그 후 두 달 동안 이라크는 37개의 이란 도시에 200발 이상의 알-후세인 미사일을 발사했다.[87][176] 사담은 미사일로 화학무기를 사용할 것이라고 위협했고, 이로 인해 테헤란 인구의 30%가 도시를 떠났다.[87] 이란은 1988년에 이라크에 대해 최소 104발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바스라를 포격하며 보복했다.[158][176] 이 사건은 외신에서 "스커드 미사일 대결"로 불렸다.[189] 총체적으로 이라크는 이란에 520발의 스커드와 알-후세인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란은 177발을 반격했다.[64] 이란의 공격은 수적으로 너무 적어 이라크의 공격을 막을 수 없었다.[176] 이라크는 또한 하르크 섬과 이란 유조선에 대한 공습을 강화했다. 미군 군함의 보호를 받는 유조선들은 사실상 무사히 운영될 수 있었다.[189][172] 또한 서방은 이라크 공군에 레이저 유도 정밀유도폭탄을 공급하여 대공 방어를 피하면서 경제적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공격은 이란 경제와 사기에 큰 타격을 주었고 많은 사상자를 냈다.[189][117][172]

전쟁 중 방독면을 착용한 이란 군인


1988년 3월, 이란은 이라크의 전력과 용수의 상당 부분을 공급하는 다르반디칸 댐과 두칸 호의 발전소, 그리고 술레이마니야 시를 점령할 목적으로 이라크 쿠르디스탄에서 작전명 새벽 10호, 작전명 베이트 알 무카다스 2호, 작전명 자파르 7호를 실시했다.[118] 이란은 이 지역을 점령함으로써 휴전 협정에 더 유리한 조건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랐다.[117] 이 침투 공격은 페슈메르가와 공동으로 수행되었다. 이란 공수 특전 부대는 이라크 후방에 착륙했고, 이란 헬리콥터는 TOW 미사일로 이라크 전차를 공격했다. 이라크군은 기습을 당했고, 이란 F-5E 타이거 전투기는 키르크크 정유소에도 피해를 입혔다.[189] 이러한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이라크는 1988년 3월~4월에 자파르 사덱 대령을 포함한 여러 장교들을 처형했다.[110] 이란군은 쿠르드 산악 지대에서 침투 전술을 사용하여 할라브자 마을을 점령하고 주 전역으로 확산하기 시작했다.[110]

이란군은 두칸에 다다를 정도로 진격하여 약 와 4,000명의 이라크군을 포로로 잡았지만, 이라크의 화학전 사용으로 인해 공세는 실패했다.[118] 이라크군은 전쟁 중 가장 치명적인 화학 무기 공격을 감행했다. 공화국 수비대는 700발의 화학 포탄을 발사했고, 다른 포병 사단은 각각 200~300발의 화학 포탄을 발사하여 이란군 위에 화학 구름을 만들어 냈고, 이로 인해 이란군의 60%가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특히 이란 제84 보병 사단과 제55 공수 사단이 큰 타격을 입었다.[110] 이라크 특수 부대는 이후 남은 이란군을 제압했다.[110] 이란과 협력한 쿠르드족에 대한 보복으로 이라크는 이란군이 최근에 점령한 할라브자의 쿠르드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독가스 공격을 가해 수천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177] 이란은 외국 언론인들을 파괴된 도시로 공수했고, 사망자들의 사진이 전 세계에 보도되었지만, 서방의 이란에 대한 불신과 이라크와의 협력으로 인해 서방은 이란도 공격에 책임이 있다고 비난했다.[177]

1988년 4월 17일, 이라크는 라마단 무바라크 작전(라마단 축복 작전)을 개시하며 알파우 반도에 주둔하고 있던 15,000명의 바시지 부대를 기습 공격했다.[79] 이 공격은 이라크 북부에서의 이라크군의 기만 공격으로 시작되었고, 이어 이란군 전선에 대한 대규모 포격과 공습이 이루어졌다. 보급로, 지휘소, 탄약고와 같은 주요 지역은 겨자 가스와 신경 가스는 물론 일반 폭발물의 폭격을 받았다. 헬리콥터는 이란군 후방에 이라크 특수부대를 투입했고, 주력 이라크군은 정면 공격을 감행했다. 48시간 만에 모든 이란군은 사망하거나 알파우 반도에서 쫓겨났다.[79] 이 날은 사담 후세인 통치 기간 내내 이라크에서 알파우 해방일로 기념되었다. 이라크군은 이 공세를 잘 계획했다. 공격에 앞서 이라크 군인들은 가스 포화 상태의 영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독가스 해독제를 복용했다. 화학 무기의 집중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이 승리의 결정적인 요인이었다.[178] 이라크군의 손실은 이란군의 손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110] 라아드 알함다니는 나중에 알파우 탈환이 "이라크군이 달성한 경험과 전문성의 정점"을 의미한다고 회상했다.[179] 이란군은 결국 후세인이 후제스탄으로 진격하는 것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다.[189]

이란군의 예상과는 달리 이라크군은 공세를 멈추지 않고 계속 진격했고, 새로운 부대가 바스라 주변 이란군 진지를 공격했다.[87] 이후 이라크군은 이란군을 이라크 남부 전역에서 몰아내기 위한 지속적인 공세를 펼쳤다.[118] 이라크군이 가장 성공적으로 사용한 전술 중 하나는 화학 무기를 사용한 "원투 펀치" 공격이었다. 포병을 이용하여 빠르게 확산되는 시안화물과 신경 가스로 이란군 전선을 포화시키는 한편, 지속 시간이 긴 겨자 가스를 전투기 폭격기와 로켓으로 이란군 후방에 발사하여 증원을 차단하는 "화학 방벽"을 구축했다.[189]



이라크가 알파우 반도를 공격한 날, 미국 해군은 이란이 기뢰로 미군 함선을 손상시킨 데 대한 보복으로 프레이잉 맨티스 작전을 개시했다. 이 전투에서 이란은 유전 시설과 구축함, 프리깃함을 잃었고, 레이건 대통령이 이란 해군의 피해가 충분하다고 판단하면서 전투는 종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명수비대 해군은 유조선에 대한 고속정 공격을 계속했다.[79] 알파우와 페르시아만에서의 패배는 특히 미국과 싸워야 할 가능성에 직면했을 때 이란 지도부가 전쟁을 포기하도록 압박했다.[79]

이러한 손실에 직면하여 루홀라 호메이니는 라프산자니를 이란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사실상 그는 이미 수개월 동안 그 직책을 맡고 있었다.[176] 라프산자니는 이라크에 대한 마지막 필사적인 역공을 명령했고, 이 공격은 1988년 6월 13일에 시작되었다. 이란군은 이라크 참호를 뚫고 이라크 내륙으로 진입하여 전투기를 이용하여 바그다드의 사담 후세인의 대통령궁을 공격하는 데 성공했다.[189] 사흘간의 전투 끝에 궤멸 직전에 놓인 이란군은 이라크군이 헬리콥터 650대와 항공기 300대를 동원한 공격을 퍼붓자 다시 원래 위치로 후퇴했다.[176]

1988년 5월 25일, 이라크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포격 중 하나와 화학무기를 결합한 다섯 차례의 타와칼나 알라 알라 작전(Tawakalna ala Allah Operations)[110] 중 첫 번째 작전을 개시했다.[87][118][176] 가뭄으로 습지가 말라 이라크군은 전차를 이용하여 이란군의 야전 방어 시설을 우회할 수 있었고, 전투 시작 10시간도 안 되어 이란군을 국경 도시 샬람체(Shalamcheh)에서 몰아냈다.[87]

이라크의 1988년 공세 중 포로로 잡힌 이란군 병사


6월 25일, 이라크는 마주눈 섬에서 이란군을 상대로 두 번째 타와칼나 알라 알라 작전을 개시했다. 이라크 특수부대는 수륙양용 장비(amphibious craft)를 사용하여 이란군 후방을 차단했고,[189] 그 후 집중된 재래식 및 화학 포격과 수백 대의 전차를 동원하여 8시간 만에 섬을 탈환했다.[110][176]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 TV에 생방송으로 출연하여 이란군을 공격하는 것을 "지휘"했다.[176] 신속한 공격 과정에서 이란군 방어병 대부분이 사망했다.[110] 나머지 두 차례의 타와칼나 알라 알라 작전은 알아마라와 카네칸 근처에서 벌어졌다.[110] 7월 12일까지 이라크군은 이란 영토 내부 에 위치한 데흘란(Dehloran) 시를 점령하고 2,500명의 병력과 다량의 장비를 노획했다. 이것을 이라크로 수송하는 데는 나흘이 걸렸다. 이 손실에는 이란군 전차 1,000대 중 570대 이상, 장갑차 430대 이상, 자주포 45문, 견인포 300문, 대공포 320문이 포함된다. 이 수치는 이라크가 실제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만 포함한 것이며, 노획한 물자의 총량은 더 많았다. 3월 이후 이라크는 전차 1,298대, 보병전투차 155대, 중포 512문, 박격포 6,196문, 무반동총 및 경총 5,550문, 휴대용 로켓 발사기 8,050문, 소총 60,694정, 권총 322정, 트럭 454대, 경차 1,600대를 노획했다고 주장했다.[176] 이라크는 이후 "이란 영토를 정복할 의도가 없다"며 데흘란에서 철수했다.[189]

1988년 전투에서 이란군은 거의 8년간의 전쟁으로 지쳐 거의 저항하지 못했다.[118] 그들은 많은 장비를 잃었다.[189] 7월 2일, 이란은 늦게나마 혁명수비대, 육군, 쿠르드 반군을 통합하는 합동 중앙 사령부를 설립하여 육군과 혁명수비대 간의 경쟁을 종식시켰다. 그러나 이것은 너무 늦었고, 작동 가능한 전차 570대가 노획되고 수백 대가 파괴된 후 이란은 남부 전선에서 이라크군의 수천 대에 맞서 200대 미만의 작동 가능한 전차만 남은 것으로 여겨졌다.[176]

1988년 중반, 사담 후세인루홀라 호메이니에게 새로운 대규모 침공을 개시하고 대량살상무기를 사용하여 이란 도시를 공격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그 직후, 이라크 전투기가 오슈나비에 마을을 독가스로 폭격하여 2,0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란 지도부는 대부분 방어가 되지 않은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화학 공격의 위협에 압박을 받았고, 국제사회가 이라크를 억제할 의향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183] 이란 민간인의 삶은 크게 혼란에 빠졌고, 도시 인구의 3분의 1이 임박한 화학전쟁에 대한 공포로 주요 도시를 피난했습니다. 한편, 이라크의 재래식 폭탄과 미사일은 도시와 마을을 계속해서 타격하여 중요한 민간 및 군사 시설을 파괴하고 사망자 수를 증가시켰습니다. 이란은 미사일과 공습으로 대응했지만, 이라크를 충분히 억제할 수준은 아니었습니다.[176]

|thumb|upright=.71|1987년, 이란 항공 655편 격추 사건 1년 전의 ''빈센스(USS Vincennes)''호(CG-49)

새롭고 더 강력한 침공의 위협에 직면하여, 최고 사령관 라프산자니는 7월 14일 이란군에게 하지 옴란, 쿠르디스탄에서 철수하라고 명령했습니다.[176][184] 이란은 이를 공개적으로 철수라고 묘사하지 않고 "일시적인 철수"라고 불렀습니다.[184] 7월까지 이라크 내 이란군은 대부분 와해되었습니다.[189] 이라크는 바그다드에서 압수한 이란 무기를 대대적으로 전시하며 1,298대의 탱크, 5,550정의 무반동총과 수천 개의 다른 무기를 노획했다고 주장했습니다.[176]

1988년 7월 3일, 미 해군 빈센스(USS Vincennes)호가 이란 항공 655편을 격추하여 승객과 승무원 290명이 사망했다. 국제적인 동정심의 부재는 이란 지도부를 불안하게 했고, 미국이 이란에 대한 전면전을 일으키려 하고 이라크가 모든 화학 무기를 도시에 사용하려 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183]

이 시점에서 라프산자니(처음에는 전쟁 연장을 주장했던 인물)를 중심으로 한 이란 지도부의 일부는 호메이니에게 휴전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했습니다.[87] 이들은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이란의 군사 예산을 8배로 늘려야 하고 전쟁은 1993년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176] 1988년 7월 20일, 이란은 598호 결의안을 수락하여 휴전을 받아들일 의사를 보였습니다.[87] 라디오 연설에서 호메이니의 성명이 발표되었고, 그는 휴전 수용에 대한 깊은 불만과 꺼림칙함을 표명했습니다.

> 순교를 통해 떠난 자들은 행복하다. 이 빛의 행렬에서 목숨을 잃은 자들은 행복하다. 나는 아직 살아남아 독이 든 잔을 마셨다는 사실이 불행하다…[87][120]

전쟁 종식 소식은 바그다드에서 사람들이 거리에서 춤을 추는 축제 분위기로 맞이되었지만, 테헤란에서는 전쟁 종식이 침울한 분위기 속에서 맞이되었습니다.[120]

메르사드 작전(مرصادfa "매복")은 이란-이라크 전쟁의 마지막 대규모 군사 작전이었다. 이란과 이라크 모두 598호 결의안을 수용했지만, 휴전에도 불구하고 이라크가 전쟁 직전 몇 달 동안 승리를 거둔 것을 본 이란 인민 무자헤딘(MEK)은 자체 공격을 시작하여 테헤란까지 진격하려 했다. 사담 후세인과 이라크 고위 지휘부는 이란 중부와 이란 쿠르디스탄으로 국경을 넘어 이중 공격을 결정했다.[189] 이란이 휴전을 수락한 직후, MEK 군대는 이라크 공군의 지원을 받아 일람 주를 공격하며 공세를 시작했다. 북쪽에서는 이라크가 이라크 쿠르디스탄을 공격했지만 이란군에 의해 저지되었다.[189]

1988년 7월 26일, MEK는 이라크군의 지원을 받아 이란 중부에서 "포루 쟈비단 작전"(영원한 빛 작전)을 시작했다. 이란군은 새로운 이라크 침공을 우려하여 남아 있던 병사들을 후제스탄으로 철수시켰고, 이로 인해 무자헤딘은 케르만샤로 빠르게 진격하여 카스르-에 시린, 사르폴-에 자하브, 케렌드-에 가르브, 이스라마드-에 가르브를 점령했다. MEK는 이란 국민들이 봉기하여 그들의 진격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봉기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그들은 이란 내륙으로 깊숙이 진입했다. 이에 대응하여 이란군은 알리 사야드 시라지 중장 지휘 하에 메르사드 작전으로 반격을 시작했다. 이란군 낙하산부대가 MEK 후방에 착륙한 반면, 이란 공군과 헬리콥터는 공습을 가해 적 부대 상당수를 파괴했다.[189] 이란군은 1988년 7월 29일 케렌드-에 가르브에서 MEK를 격파했다.[176] 7월 31일, 이란은 MEK를 카스르-에 시린과 사르폴 자하브에서 몰아냈지만, MEK는 해당 도시에서 "자발적으로 철수했다"고 주장했다.[189][176] 이란은 MEK 사상자 4,500명, 이란군 사망자 400명을 추산했다.[187]

|thumb|left|메르사드 작전에서 사망한 MEK 병사들, 1988년]]

전쟁의 마지막 주목할 만한 전투 행위는 1988년 8월 3일 페르시아 만에서 이란 해군이 화물선을 공격하고 이라크가 이란 민간인에게 화학 공격을 가해 알 수 없는 수의 사망자와 2,300명의 부상자를 낸 것으로 기록되었다.[176] 이라크는 추가 공격을 억제하라는 국제적 압력을 받았다. 598호 결의안은 1988년 8월 8일 발효되어 양국 간 모든 전투 작전을 종식시켰다.[184] 1988년 8월 20일까지 이란과의 평화가 회복되었다.[184] 유엔 평화유지군인 유엔이란-이라크 감시단(UNIIMOG) 사절단이 현장에 투입되어 1991년까지 이란-이라크 국경에 남아 있었다.

4. 영향 및 결과

격퇴된 무자헤딘-에 칼크 (MEK)。1988년


upright


이란 이스파한의 순국선열 묘지


테헤란의 이란 순국선열 박물관


== 인명 피해 ==

이란-이라크 전쟁은 개발도상국의 정규군 간에 벌어진 전쟁 중 가장 치명적인 전쟁이었다.[69]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전체 사상자 수는 100만 명에서 그 두 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양측의 사망자 수는 아마도 50만 명에 달했을 것이며, 이란이 가장 큰 손실을 입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83]

이라크군 사망자는 10만 5천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산되며,[22][25][31][29] 약 40만 명이 부상을 입었고 약 7만 명이 포로로 잡혔다.[24][31] 이란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이 전쟁으로 이란은 약 20만 명에서 22만 명이 사망했으며,[22][23][24][25] 보수적인 서방 추산에 따르면 최대 26만 2천 명에 달한다.[22][15] 여기에는 전투원 12만 3,220명,[22][23] 행방불명 6만 711명,[22] 민간인 1만 1천 명에서 1만 6천 명이 포함된다.[22][23] 다른 추산에 따르면 이란 사상자는 최대 60만 명에 달한다.[17][18][19][20][194][195][196]

바그다드의 알샤히드 기념비는 전쟁 중 전사한 이라크 군인들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양측의 수천 명의 민간인들이 공습과 탄도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했다.[64] 양국이 포로로 잡은 포로들은 1990년 8월 17일부터 석방되기 시작했지만, 일부는 분쟁 종식 후 10년 이상 석방되지 않았다.[190] 잔바잔 업무 기구에 따르면, 39만 8,587명의 이란인이 1차 치료 후 장기간의 의료 및 건강 관리가 필요한 부상을 입었으며, 그중 5만 2,195명(13%)은 화학전 물질에 노출되어 부상을 입었다.[26] 1980년부터 2012년까지 21만 8,867명의 이란인이 전쟁 부상으로 사망했으며, 전투원의 평균 연령은 23세였다.[26] 이러한 사망으로 14만 4천 명이 넘는 이란 어린이들이 고아가 되었다.[26]

이라크와 이란 모두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손실 수치를 조작했다. 동시에 서방 분석가들은 있을 법하지 않은 추산치를 받아들였다.[197] 1988년 4월까지 이러한 사상자는 이라크 사망자 15만 명에서 34만 명, 이란 사망자 45만 명에서 73만 명으로 추산되었다.[197] 바트당 이라크 정부는 80만 명의 이란인이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이란의 공식 수치보다 4배나 많은 수치이다.[22] 반면 이라크 정보부는 1986년 8월 기준으로 22만 8천 명에서 25만 8천 명으로 사망자 수를 비공개적으로 발표했다.[198] 이라크의 손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향 조정되었다.[29]

미 해병대 분석가들은 현장에서의 전투 방식과 어느 쪽도 상대방 영토에 깊숙이 침투하지 못한 사실을 고려할 때, 발생한 사건이 주장하는 많은 사상자 수치를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197]

== 경제적 피해 ==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양국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 당시 경제적 손실은 각국 5,000억 달러 이상(총 1조 2,000억 달러)으로 추산되었다.[53][205] 경제 개발은 정체되었고 석유 수출은 차질을 빚었다. 이라크는 이자를 제외하고 1,300억 달러가 넘는 국제 부채를 떠안았고, GDP 성장 둔화를 겪었다. 이라크의 파리클럽 부채는 210억 달러에 달했으며, 그중 85%는 일본, 소련, 프랑스, 독일, 미국, 이탈리아, 영국의 지원으로 발생했다. 이라크 부채의 가장 큰 부분인 1,300억 달러는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UAE, 요르단 등 이전 아랍 지원국들에 대한 것이었다.

전쟁 후 이라크는 쿠웨이트 침공을 일으켰고, 이는 이라크의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유엔 배상위원회는 이라크가 쿠웨이트와 미국을 포함한 침공 피해자들에게 2,000억 달러가 넘는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명령했다. 이라크는 포괄적인 국제 제재를 받아 경제가 더욱 압박을 받았고, 사담 후세인 통치 말기에 사적 및 공적 부채는 5,00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다. 장기간의 국제 제재와 이라크의 마이너스 경제 성장이 결합되어 부채 대 GDP 비율이 1,000%를 넘어서면서 이라크는 세계에서 가장 부채가 많은 개발도상국이 되었다. 새로운 이라크 정부는 이란-이라크 전쟁 중 발생한 상당 부분의 부채를 탕감해 줄 것을 요청했다.[206][207][208][209]

이란은 전쟁에 196억 달러를 지출했다.[218] 이 전쟁은 1978~79년 혁명으로 시작된 이란 경제의 쇠퇴를 더욱 심화시켰다.[87] 1979년부터 1981년 사이에 외환보유고는 146억 달러에서 10억 달러로 떨어졌다.[87] 전쟁의 결과로 생활 수준은 극적으로 하락했고,[87][118] 이란은 "혹독하고 즐거움 없는 곳"으로 묘사되기도 했다.[120]

이란은 파산 직전에 이르렀지만, 호메이니는 이슬람의 고리대금업 금지 조항을 전쟁 비용 충당을 위해 미래의 석유 수입을 담보로 빌릴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이란은 현금이 바닥난 후 석유 수출입으로 전쟁 자금을 조달했다. 석유 수입은 1982년 200억 달러에서 1988년 50억 달러로 떨어졌다.[118]

1985년 1월, 전 총리이자 반전 이슬람 해방 운동 공동 창립자인 메흐디 바자르간(Mehdi Bazargan)은 유엔에 보낸 전보에서 전쟁을 비이슬람적이고 불법적이라고 비판하며, 호메이니가 1982년 사담의 휴전 제안을 받아들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87] 1987년까지 이란의 사기는 붕괴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정부의 전선에 "순교자"를 모집하려는 캠페인의 실패에 반영되었다.[87]

모든 사람이 전쟁을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았다. 이란 이슬람 혁명은 강화되고 급진화되었다.[219]

== 국제 관계 변화 ==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는 서방과 소련으로부터 혁명 이후 이란을 견제하기 위한 세력으로 인식되었다.[120] 소련은 이라크와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으며, 이라크에 무기를 공급했다.[120] 미국은 초기에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1982년 이란이 이라크의 침공을 격퇴한 후 이라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120] 이는 이란을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하고, 다른 걸프만 국가들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120] 1982년 헨리 키신저는 미국의 정책 목표가 이란과의 최종적인 화해를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이란의 패권적 야망을 억제하고 이 지역의 권력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120]

이라크에 대한 지원은 기술 지원, 정보, 이중용도 화학 및 생물 무기 관련 기술 및 군사 장비 판매, 위성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227] 미국과 이란 사이에 직접적인 전투가 있었지만, 이것이 이라크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양국 간의 별도 문제 때문이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30개국 이상이 이라크, 이란 또는 양국 모두에 지원을 제공했으며, 이란은 비밀 조달망을 통해 물자를 확보했다.[228][229]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에 따르면,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라크 무기 수입액의 90% 이상을 소련, 프랑스, 중국이 차지했다.[230] 미국은 외교 채널 재개, 이중용도 기술 수출 제한 해제, 제3자 군사 장비 이전 감독, 전장 작전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이라크를 지원했다. 프랑스는 이라크의 주요 군사 장비 공급국 중 하나였으며, 50억 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했다.[120] 중국은 양측 모두에게 무기를 판매했다.[120] 이라크는 위장 단체 등을 통해 무기 구매를 은폐했다.[23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을 촉구했지만, 이란은 유엔이 이라크를 편들고 있다고 해석했다.[205] 이라크의 주요 재정 후원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페르시아 만 연안 국가들이었다.[234] 이탈리아 국립 노동 은행(BNL)의 애틀랜타 지점은 이라크게이트 사건을 통해 이라크에 50억 달러를 불법적으로 제공한 사실이 드러났다.[235]

1984년 7월 20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조지 H. W. 부시 부통령


미국은 이란-콘트라 사건의 일환으로 이란에 일부 무기를 간접적으로 공급하기도 했다. 이스라엘은 이라크와의 전쟁에서 이란을 지원했다.[236] 북한은 이란에 대한 주요 무기 공급국이었다.[238] 시리아와 리비아는 이란을 지원했지만, 리비아는 1987년 이후 이란과 거리를 두었다.[239][240][241] 유고슬라비아와 포르투갈도 양국에 무기를 판매했다.[176] 스페인은 이란과 이라크 양국에 무기를 판매했으며, 이란에서 발견된 미폭발 이라크 화학탄두가 스페인에서 제조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176] [242] 터키는 중립을 유지했지만, 양국 모두 터키의 민간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243]

== 전후 상황 ==

휴전 체결 후, 이란과 이라크는 스위스 제네바에 대표단을 파견하여 평화 협정을 협상했지만, 교착 상태에 빠졌다.[199] 이라크는 샤트알아랍 수로에 대한 이라크의 완전한 주권을 이란이 수용하지 않으면, 국경 지역 분쟁 지역에서 이라크군 철수를 거부했다.[199] 이란은 이라크가 보유한 이란군 포로보다 더 많은 이라크군 포로를 석방하지 않았고, 이라크에 대한 해상봉쇄를 계속했다.[199] 이란은 전쟁 중 이란에 반대했던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시작했고, 1990년 사담 후세인라프산자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평화 협정에 대한 생각을 더 개방적으로 밝혔다.[199]

1990년까지 이란은 군사 재무장과 재편을 거쳐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중화기를 구매했다.[199] 서방과의 전쟁이 임박하자 이라크는 이란과의 관계 개선을 우려했고, 이란이 국경 지역에서 이라크군을 축출하려 할 경우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깨달았다.[189]

쿠웨이트 침공 직후 사담은 라프산자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라크가 샤트알아랍 동부 지역에 대한 이란의 권리를 인정한다고 밝혔다.[200] 이는 10년 전 그가 부인했던 ''전쟁 전 현황''으로의 회귀였다.[200] 평화 협정이 체결되고, 외교 관계가 회복되었으며, 1990년 말~1991년 초 이라크군이 철수했다.[199] 유엔 평화유지군은 그 직후 국경에서 철수했고, 대부분의 포로는 1990년에 석방되었지만 일부는 2003년까지 남아 있었다.[199] 이란 정치인들은 이를 "이란 이슬람 공화국 역사상 가장 큰 승리"라고 선언했다.[199]

대부분의 역사가와 분석가들은 이 전쟁을 교착 상태로 본다.[31][201][190] 이란 분석가들은 이란이 이라크 정부를 전복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전쟁이 끝난 지 2년 후 이라크가 샤트알아랍 전체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영구적으로 포기했기 때문에 이란이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믿는다.[189]

1991년 12월 9일, UN 사무총장 하비에르 페레스 데 쿠엘리아르는 이라크의 전쟁 시작과 이란 영토 점령, 민간인에 대한 화학무기 사용이 정당하지 않다고 보고했다.[202] 그는 유엔이 이 사실을 더 일찍 받아들였다면 전쟁이 그렇게 오래 지속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202] 이란은 이라크로부터 배상을 요구했지만 받지 못했다.[199]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이란과 이라크의 관계는 냉전과 냉전 평화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었다. 양측은 저강도 분쟁을 계속했다. 이라크는 무자헤딘-에-할크를 지원하여 이란 전역에서 공격을 가했고, 이란은 이라크 내 무자헤딘 목표물에 대한 공습과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203]

2005년 이라크의 새 정부는 전쟁을 시작한 것에 대해 이란에 사과했다.[204] 이라크 정부는 전쟁을 기념하는 다양한 기념비를 건립했다. 이 전쟁은 걸프 전쟁 연합군의 전조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135]

사담 후세인의 몰락 이후, 이라크와 이란의 관계는 크게 개선되었다. 이란은 이라크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여 이라크 정부에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라크는 이란에 에너지 수요 측면에서도 의존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이라크는 이란의 이익에 부합한다.[288]

이란-이라크 전쟁은 수니파 무슬림과 이란의 시아파 혁명 세력 간의 충돌로 여겨지면서 지역의 종파 갈등을 증폭시켰다.[292] 실용적인 동맹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적대감이 남아 있다.[293]

이 갈등의 지속적인 중요성은 막대한 인적 및 경제적 손실과 이란 혁명과의 연관성 때문이다.[293] 전쟁이 이란의 정책에 미치는 또 다른 중요한 영향은 미지불 전쟁 배상금 문제이다. UN은 이라크가 약 1,490억 달러를 이란에 빚지고 있다고 추산하는 반면, 이란은 전쟁 비용이 1조 달러에 이른다고 주장한다.[294]

이란은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배상금 지급을 요구하지 않았으며, 재정 지원을 제안하기도 했다.[294] 이는 이라크의 정치적 안정 유지에 대한 이란의 이해관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라크의 현재 외교 정책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담 후세인 축출 이후 국가 정부의 지속적인 불안정이다. 안정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모든 동맹국이 필요한 이라크는 전쟁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이 새로운 이라크 국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295]

현재 이라크는 이란, 미국과의 관계에서 상반되는 이해관계에 놓여 있다. 이라크는 양국의 문화적 이해관계에 따라 각국에 위치한 성지들을 자유롭게 방문하려는 공통점이 있다.[296]

4. 1. 인명 피해

이란-이라크 전쟁은 개발도상국의 정규군 간에 벌어진 전쟁 중 가장 치명적인 전쟁이었다.[69]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전체 사상자 수는 100만 명에서 그 두 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양측의 사망자 수는 아마도 50만 명에 달했을 것이며, 이란이 가장 큰 손실을 입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83]

이라크군 사망자는 10만 5천 명에서 20만 명으로 추산되며,[22][25][31][29] 약 40만 명이 부상을 입었고 약 7만 명이 포로로 잡혔다.[24][31] 이란 정부 자료에 따르면, 이 전쟁으로 이란은 약 20만 명에서 22만 명이 사망했으며,[22][23][24][25] 보수적인 서방 추산에 따르면 최대 26만 2천 명에 달한다.[22][15] 여기에는 전투원 12만 3,220명,[22][23] 행방불명 6만 711명,[22] 민간인 1만 1천 명에서 1만 6천 명이 포함된다.[22][23] 다른 추산에 따르면 이란 사상자는 최대 60만 명에 달한다.[17][18][19][20][194][195][196]

양측의 수천 명의 민간인들이 공습과 탄도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했다.[64] 양국이 포로로 잡은 포로들은 1990년 8월 17일부터 석방되기 시작했지만, 일부는 분쟁 종식 후 10년 이상 석방되지 않았다.[190] 잔바잔 업무 기구에 따르면, 39만 8,587명의 이란인이 1차 치료 후 장기간의 의료 및 건강 관리가 필요한 부상을 입었으며, 그중 5만 2,195명(13%)은 화학전 물질에 노출되어 부상을 입었다.[26] 1980년부터 2012년까지 21만 8,867명의 이란인이 전쟁 부상으로 사망했으며, 전투원의 평균 연령은 23세였다.[26] 이러한 사망으로 14만 4천 명이 넘는 이란 어린이들이 고아가 되었다.[26]

이라크와 이란 모두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손실 수치를 조작했다. 동시에 서방 분석가들은 있을 법하지 않은 추산치를 받아들였다.[197] 1988년 4월까지 이러한 사상자는 이라크 사망자 15만 명에서 34만 명, 이란 사망자 45만 명에서 73만 명으로 추산되었다.[197] 바트당 이라크 정부는 80만 명의 이란인이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이란의 공식 수치보다 4배나 많은 수치이다.[22] 반면 이라크 정보부는 1986년 8월 기준으로 22만 8천 명에서 25만 8천 명으로 사망자 수를 비공개적으로 발표했다.[198] 이라크의 손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향 조정되었다.[29]

미 해병대 분석가들은 현장에서의 전투 방식과 어느 쪽도 상대방 영토에 깊숙이 침투하지 못한 사실을 고려할 때, 발생한 사건이 주장하는 많은 사상자 수치를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197]

4. 2. 경제적 피해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양국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 당시 경제적 손실은 각국 5,000억 달러 이상(총 1조 2,000억 달러)으로 추산되었다.[53][205] 경제 개발은 정체되었고 석유 수출은 차질을 빚었다. 이라크는 이자를 제외하고 1,300억 달러가 넘는 국제 부채를 떠안았고, GDP 성장 둔화를 겪었다. 이라크의 파리클럽 부채는 210억 달러에 달했으며, 그중 85%는 일본, 소련, 프랑스, 독일, 미국, 이탈리아, 영국의 지원으로 발생했다. 이라크 부채의 가장 큰 부분인 1,300억 달러는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UAE, 요르단 등 이전 아랍 지원국들에 대한 것이었다.

전쟁 후 이라크는 쿠웨이트 침공을 일으켰고, 이는 이라크의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유엔 배상위원회는 이라크가 쿠웨이트와 미국을 포함한 침공 피해자들에게 2,000억 달러가 넘는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명령했다. 이라크는 포괄적인 국제 제재를 받아 경제가 더욱 압박을 받았고, 사담 후세인 통치 말기에 사적 및 공적 부채는 5,00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다. 장기간의 국제 제재와 이라크의 마이너스 경제 성장이 결합되어 부채 대 GDP 비율이 1,000%를 넘어서면서 이라크는 세계에서 가장 부채가 많은 개발도상국이 되었다. 새로운 이라크 정부는 이란-이라크 전쟁 중 발생한 상당 부분의 부채를 탕감해 줄 것을 요청했다.[206][207][208][209]

이란은 전쟁에 196억 달러를 지출했다.[218] 이 전쟁은 1978~79년 혁명으로 시작된 이란 경제의 쇠퇴를 더욱 심화시켰다.[87] 1979년부터 1981년 사이에 외환보유고는 146억 달러에서 10억 달러로 떨어졌다.[87] 전쟁의 결과로 생활 수준은 극적으로 하락했고,[87][118] 이란은 "혹독하고 즐거움 없는 곳"으로 묘사되기도 했다.[120]

이란은 파산 직전에 이르렀지만, 호메이니는 이슬람의 고리대금업 금지 조항을 전쟁 비용 충당을 위해 미래의 석유 수입을 담보로 빌릴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이란은 현금이 바닥난 후 석유 수출입으로 전쟁 자금을 조달했다. 석유 수입은 1982년 200억 달러에서 1988년 50억 달러로 떨어졌다.[118]

1985년 1월, 전 총리이자 반전 이슬람 해방 운동 공동 창립자인 메흐디 바자르간(Mehdi Bazargan)은 유엔에 보낸 전보에서 전쟁을 비이슬람적이고 불법적이라고 비판하며, 호메이니가 1982년 사담의 휴전 제안을 받아들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87] 1987년까지 이란의 사기는 붕괴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정부의 전선에 "순교자"를 모집하려는 캠페인의 실패에 반영되었다.[87]

모든 사람이 전쟁을 부정적으로 보지는 않았다. 이란 이슬람 혁명은 강화되고 급진화되었다.[219]

4. 3. 국제 관계 변화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는 서방과 소련으로부터 혁명 이후 이란을 견제하기 위한 세력으로 인식되었다.[120] 소련은 이라크와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자 했으며, 이라크에 무기를 공급했다.[120] 미국은 초기에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1982년 이란이 이라크의 침공을 격퇴한 후 이라크를 지원하기 시작했다.[120] 이는 이란을 소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게 하고, 다른 걸프만 국가들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120] 1982년 헨리 키신저는 미국의 정책 목표가 이란과의 최종적인 화해를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이란의 패권적 야망을 억제하고 이 지역의 권력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120]

이라크에 대한 지원은 기술 지원, 정보, 이중용도 화학 및 생물 무기 관련 기술 및 군사 장비 판매, 위성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227] 미국과 이란 사이에 직접적인 전투가 있었지만, 이것이 이라크를 위한 것인지 아니면 양국 간의 별도 문제 때문이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30개국 이상이 이라크, 이란 또는 양국 모두에 지원을 제공했으며, 이란은 비밀 조달망을 통해 물자를 확보했다.[228][229]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에 따르면,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라크 무기 수입액의 90% 이상을 소련, 프랑스, 중국이 차지했다.[230] 미국은 외교 채널 재개, 이중용도 기술 수출 제한 해제, 제3자 군사 장비 이전 감독, 전장 작전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이라크를 지원했다. 프랑스는 이라크의 주요 군사 장비 공급국 중 하나였으며, 50억 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했다.[120] 중국은 양측 모두에게 무기를 판매했다.[120] 이라크는 위장 단체 등을 통해 무기 구매를 은폐했다.[23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휴전을 촉구했지만, 이란은 유엔이 이라크를 편들고 있다고 해석했다.[205] 이라크의 주요 재정 후원국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페르시아 만 연안 국가들이었다.[234] 이탈리아 국립 노동 은행(BNL)의 애틀랜타 지점은 이라크게이트 사건을 통해 이라크에 50억 달러를 불법적으로 제공한 사실이 드러났다.[235]

미국은 이란-콘트라 사건의 일환으로 이란에 일부 무기를 간접적으로 공급하기도 했다. 이스라엘은 이라크와의 전쟁에서 이란을 지원했다.[236] 북한은 이란에 대한 주요 무기 공급국이었다.[238] 시리아와 리비아는 이란을 지원했지만, 리비아는 1987년 이후 이란과 거리를 두었다.[239][240][241] 유고슬라비아와 포르투갈도 양국에 무기를 판매했다.[176] 스페인은 이란과 이라크 양국에 무기를 판매했으며, 이란에서 발견된 미폭발 이라크 화학탄두가 스페인에서 제조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176] [242] 터키는 중립을 유지했지만, 양국 모두 터키의 민간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243]

4. 4. 전후 상황

휴전 체결 후, 이란과 이라크는 스위스 제네바에 대표단을 파견하여 평화 협정을 협상했지만, 교착 상태에 빠졌다.[199] 이라크는 샤트알아랍 수로에 대한 이라크의 완전한 주권을 이란이 수용하지 않으면, 국경 지역 분쟁 지역에서 이라크군 철수를 거부했다.[199] 이란은 이라크가 보유한 이란군 포로보다 더 많은 이라크군 포로를 석방하지 않았고, 이라크에 대한 해상봉쇄를 계속했다.[199] 이란은 전쟁 중 이란에 반대했던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시작했고, 1990년 사담 후세인라프산자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평화 협정에 대한 생각을 더 개방적으로 밝혔다.[199]

1990년까지 이란은 군사 재무장과 재편을 거쳐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중화기를 구매했다.[199] 서방과의 전쟁이 임박하자 이라크는 이란과의 관계 개선을 우려했고, 이란이 국경 지역에서 이라크군을 축출하려 할 경우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깨달았다.[189]

쿠웨이트 침공 직후 사담은 라프산자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라크가 샤트알아랍 동부 지역에 대한 이란의 권리를 인정한다고 밝혔다.[200] 이는 10년 전 그가 부인했던 ''전쟁 전 현황''으로의 회귀였다.[200] 평화 협정이 체결되고, 외교 관계가 회복되었으며, 1990년 말~1991년 초 이라크군이 철수했다.[199] 유엔 평화유지군은 그 직후 국경에서 철수했고, 대부분의 포로는 1990년에 석방되었지만 일부는 2003년까지 남아 있었다.[199] 이란 정치인들은 이를 "이란 이슬람 공화국 역사상 가장 큰 승리"라고 선언했다.[199]

대부분의 역사가와 분석가들은 이 전쟁을 교착 상태로 본다.[31][201][190] 이란 분석가들은 이란이 이라크 정부를 전복하는 데는 실패했지만, 전쟁이 끝난 지 2년 후 이라크가 샤트알아랍 전체에 대한 소유권 주장을 영구적으로 포기했기 때문에 이란이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믿는다.[189]

1991년 12월 9일, UN 사무총장 하비에르 페레스 데 쿠엘리아르는 이라크의 전쟁 시작과 이란 영토 점령, 민간인에 대한 화학무기 사용이 정당하지 않다고 보고했다.[202] 그는 유엔이 이 사실을 더 일찍 받아들였다면 전쟁이 그렇게 오래 지속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202] 이란은 이라크로부터 배상을 요구했지만 받지 못했다.[199]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이란과 이라크의 관계는 냉전과 냉전 평화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었다. 양측은 저강도 분쟁을 계속했다. 이라크는 무자헤딘-에-할크를 지원하여 이란 전역에서 공격을 가했고, 이란은 이라크 내 무자헤딘 목표물에 대한 공습과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203]

2005년 이라크의 새 정부는 전쟁을 시작한 것에 대해 이란에 사과했다.[204] 이라크 정부는 전쟁을 기념하는 다양한 기념비를 건립했다. 이 전쟁은 걸프 전쟁 연합군의 전조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135]

사담 후세인의 몰락 이후, 이라크와 이란의 관계는 크게 개선되었다. 이란은 이라크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여 이라크 정부에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라크는 이란에 에너지 수요 측면에서도 의존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이라크는 이란의 이익에 부합한다.[288]

이란-이라크 전쟁은 수니파 무슬림과 이란의 시아파 혁명 세력 간의 충돌로 여겨지면서 지역의 종파 갈등을 증폭시켰다.[292] 실용적인 동맹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적대감이 남아 있다.[293]

이 갈등의 지속적인 중요성은 막대한 인적 및 경제적 손실과 이란 혁명과의 연관성 때문이다.[293] 전쟁이 이란의 정책에 미치는 또 다른 중요한 영향은 미지불 전쟁 배상금 문제이다. UN은 이라크가 약 1,490억 달러를 이란에 빚지고 있다고 추산하는 반면, 이란은 전쟁 비용이 1조 달러에 이른다고 주장한다.[294]

이란은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배상금 지급을 요구하지 않았으며, 재정 지원을 제안하기도 했다.[294] 이는 이라크의 정치적 안정 유지에 대한 이란의 이해관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이라크의 현재 외교 정책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담 후세인 축출 이후 국가 정부의 지속적인 불안정이다. 안정과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모든 동맹국이 필요한 이라크는 전쟁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이 새로운 이라크 국가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295]

현재 이라크는 이란, 미국과의 관계에서 상반되는 이해관계에 놓여 있다. 이라크는 양국의 문화적 이해관계에 따라 각국에 위치한 성지들을 자유롭게 방문하려는 공통점이 있다.[296]

양국의 사상자는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며, 경제적 피해도 막대하다.

한 설에 따르면, 이 전쟁을 통해 이라크가 쿠웨이트에 대해 떠안았던 부채를 청산하는 것이 걸프 전쟁으로 발전하는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목적 중 하나였다고 한다.

5. 한국과의 관계

6. 추가 정보

참조

[1] 서적 Wars of Modern Babylon: A History of the Iraqi Army from 1921 to 2003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 뉴스 Saddam offers to conclude full peace with Iran https://www.washingt[...] 2024-06-08
[3] 학술지 Iraq's Changing Role in the Persian Gulf https://www.jstor.or[...] 1989
[4] 웹사이트 The 'beauty' and the horror of the Iran–Iraq war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9-26
[5] 서적 Pollack, p. 186.
[6] 서적 The Iran–Iraq Wa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7] 서적 Farrokh, Kaveh, 305 (2011)
[8] 서적 Pollack, p. 187.
[9] 서적 Farrokh, Kaveh, 304 (2011)
[10]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air combat readiness of Iran ... • corporal_historian_23 https://web.archive.[...]
[11] 서적 Pollack, p. 232.
[12] 서적 The Lessons of Modern War: The Iran–Iraq War Westview Press
[13] 서적 The Iran–Iraq Wa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14] 서적 Pollack, p. 3.
[15] 서적 Iranian Perspectives on the Iran–Iraq Wa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6] 서적 Hammond Atlas of the 20th Century (1999), pp. 134–135.
[17] 서적 Dunnigan, A Quick and Dirty Guide to War (1991)
[18] 서적 Dictionary of Twentieth Century World History, by Jan Palmowski (Oxford, 1997)
[19] 서적 Clodfelter, Micheal, Warfare and Armed Conflict: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618–1991
[20] 서적 Chirot, Daniel: Modern Tyrants : the power and prevalence of evil in our age (1994)
[21] 서적 Jacob Bercovitch and Richard Jackson, International Conflict :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of Conflicts and Their Management 1945–1995 (1997), p. 195.
[22] 서적 The Longest War: The Iran–Iraq Military Conflict https://archive.org/[...] Routledge
[2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5] 서적 Iran, Iraq and the Legacies of War Palgrave Macmillan
[26] 학술지 Iranian casualties during the eight years of Iraq–Iran conflict Faculdade de Higiene e Saúde Pública da Universidade de São Paulo 2012-12
[27] 서적 The Longest War: The Iran–Iraq Military Conflict https://archive.org/[...] Routledge
[28] 웹사이트 Centi-Kilo Murdering States: Estimates, Sources, and Calculations http://www.hawaii.ed[...] University of Hawai'i
[29] 서적 Gulf Secur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Emirates Center for Strategic Studies and Research
[30] 뉴스 Iran and Iraq remember war that cost more than a million lives https://www.theguard[...] 2010-09-23
[31] 서적 The Iran–Iraq War, 1980–1988 Osprey Publishing
[32] 웹사이트 Lesser Murdering States, Quasi-States, and Groups: Estimates, Sources, and Calculations http://www.hawaii.ed[...] University of Hawai'i
[33] 뉴스 Iraq to hang 'Chemical Ali' http://www.sptimes.c[...] 2007-06-25
[34] 웹사이트 The Iranian Roots of Hizbullah http://memri.org/bin[...] 2009-02-11
[35] 웹사이트 Memoires of Afghan volunteers in Iran–Iraq war published (tehrantimes.com) https://www.tehranti[...] 2018-10-07
[36] 웹사이트 'Mohsen, the Japanese' chronicles life of Afghan volunteer fighter in Iran–Iraq war (tehrantimes.com) https://www.tehranti[...] 2021-02-03
[37] 웹사이트 Iran's Shia Diplomacy: Religious and Foreign Policy in the Islamic Republic https://s3.amazonaws[...] 2023-08-30
[38] 서적 Shi'ite Lebanon: Transnational Religion and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03-21
[39]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Iran's 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 (Project Muse) https://muse.jhu.edu[...] 2023-08-30
[41] 서적 The Iran–Iraq War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42]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Kurdish Politics in the Middle East Lexington Books
[44] 학술대회 The Naqshbandi Order as a Vehicle of Political Protest among the Kurds (With Some Comparative Notes on Indonesia) https://www.academia[...] 2023-07-19
[45] 뉴스 Sudanese Brigades Could Provide Key Aid for Iraq; Military Analysis https://www.nytimes.[...] 2019-12-08
[46] 학술지 Iraq–Iran war becoming Arab-Persian war?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https://www.csmonito[...] 2019-12-08
[47] 학술지 Jordan's call for volunteers to fight Iran misfires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https://www.csmonito[...] 2019-12-08
[48] 서적 Dancing with Saddam: The Strategic Tango of Jordanian–Iraqi Relations https://web.archive.[...] The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 Lexington Books
[49] 뉴스 Jordanian Unit Going To Aid Iraq 6 Hussein Will Join Volunteer Force Fighting Iranians (The Washington Post) https://www.washingt[...] 2019-12-08
[50] 서적 Dictionary of modern Arab history Kegan Paul International
[51] 웹사이트 Iran–Iraq War Timeline. Part 1 https://web.archive.[...]
[52] 서적 Civil Uprisings in Modern Sudan: The 'Khartoum Springs' of 1964 and 1985 Bloomsbury Academic
[53] 서적 Becoming Enemies: U.S.–Iran Relations and the Iran–Iraq War, 1979–1988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54] 학술지 Martyrdom and Masculinity in Warring Iran. The Karbala Paradigm, the Heroic, and the Personal Dimensions of War. https://www.academia[...]
[55] 서적 The Iran–Iraq War 1980–1988 Osprey
[56] 서적 The Gulf War Methuen
[57] 서적 The Iran–Iraq War 1980–1988 Osprey
[58] 웹사이트 Iran–Iraq War 1980–1988 http://www.iranchamb[...] Iran Chamber Society 2012-06-29
[59] 학술지 War and Religion: The Iran−Iraq War https://oxfordre.com[...] 2020-04-21
[60]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웹사이트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Saddam Hussein https://www.britanni[...] 2012-10-28
[63] 서적 Republic of Fear: The Politics of Modern Iraq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4] 서적 The Iran–Iraq War: The Politics of Aggression University Press of Florida
[65]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서적 Republic of Fear: The Politics of Modern Iraq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7]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9] 학술지 Turning of the Tables: the Iranian counter-offensive during the first Gulf War
[70]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학술지 Saddam Hussein, the United States, and the invasion of Iran: was there a green light? https://www.tandfonl[...] Routledge 2022-02-15
[73]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서적 Essential Histories – The Gulf War 1991 Routledge 2003-01-01
[75] 보고서 National Intelligence Daily http://www.foia.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80-03-10
[76] 뉴스 What makes a revolution succeed?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1-02-14
[77]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http://www.parstimes[...]
[78] 웹사이트 The Pasdaran: Inside Iran's 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 http://www.defenddem[...] 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 2011-09-03
[79] 서적 Arabs at War: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80] 웹사이트 The Basij Resistance Force http://iranprimer.us[...]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10-10-06
[81] 서적 The Iran–Iraq War: Chaos in a Vacuum 2024-09-01
[82]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백과사전 Iran–Iraq War https://www.britanni[...] 2021-09-02
[84] 서적 No Conquest, No Defeat: Iran's National Security Strategy Oxfo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6] 서적 Republic of Fear: The Politics of Modern Iraq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7] 서적 The Iran–Iraq War: 1980–1988 Osprey Publishing
[88] 서적 The Lessons of Modern War: Volume;– The Iran–Iraq Conflict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89] 웹사이트 Chemical Warfare in the Iran–Iraq War 1980–1988 http://www.iranchamb[...] Iran Chamber Society 1984-05-01
[9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Iraq Scarecrow Press
[91] 뉴스 Majid: 'Saddam is no longer the lion I knew' 2007-10-16
[92] 웹사이트 Persian Gulf War: Iraqi Invasion of Iran, September 1980 Air Combat Information Group 2003-09-09
[93] 비디오 Modern Warfare: Iran–Iraq War
[94]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Iranian Warfighting during the Iran–Iraq War http://fmso.leavenwo[...]
[95] 학술지 Invading Iran: Lessons From Iraq http://www.hoover.or[...] Stanford University Hoover Institution 2011-08-01
[96] 간행물 Armored warfare in the Gulf 1988-05-01
[97] 서적 Irano–Irakskii konflikt. Istoricheskii ocherk. Nauka
[98] 학술지 Egyptian Field Marshal Abdul-Halim Abu Ghazalah on the Combat Tactics and Strategy of the Iran–Iraq War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2-04-12
[99] 서적 The Six Day War, 1967: Jordan and Syria Osprey Publishing
[100] 웹사이트 Nasr Offensive Operation http://www.tebyan.ne[...] 2019-07-26
[101] 서적 The Axis of Evil: Iran, Hizballah, and the Palestinian Terro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4-10-01
[102] 뉴스 Iraqi Visits Iranian Leftist in Paris https://www.nytimes.[...] 1983-01-10
[103] 서적 The Axis of Evil: Iran, Hizballah, and the Palestinian Terro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4-01-01
[104] 뉴스 Iran–Iraq War bogs down in rain, conflicting claims http://www.csmonitor[...] 1981-01-20
[105] 웹사이트 Assault on Al-Wallid http://iiaf.net/stor[...]
[106] 웹사이트 Lessons of Modern Warfare: The Iran Iraq War Chapter V http://csis.org/file[...] 2013-05-04
[107] 웹사이트 Bombed by Blinders Part 1 http://www.acig.info[...] 2013-04-20
[108] 웹아카이브 Khomeini: life of the Ayatollah https://books.google[...] 2015-09-24
[109] 서적 The Iran–Iraq War: Chaos in a Vacuum https://books.google[...] Abc-Clio
[110] 웹사이트 Saddam's Generals: A Perspective of the Iran–Iraq War http://www.ndu.edu/i[...]
[111] 서적 Iran Yearbook https://books.google[...] Moini-Biontino
[112] 웹사이트 Tactical Evolution in the Iraqi Army: The Abadan Island And Fish Lake Campaigns of the Iran-Ipaq War http://apps.dtic.mil[...] 2014-08-18
[113] 서적 Who are the real chosen people?: The Meaning of Chosenness in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SkyLight Paths Publishing
[114] 뉴스 Iran at war https://www.reuters.[...] 2012-05-31
[115] 서적 The Iraq war https://archive.org/[...] Knopf
[116] 웹사이트 Fire in the Hills: Iranian and Iraqi Battles of Autumn 1982 http://www.acig.org/[...] Air Combat Information Group 2003-09-09
[117] 웹사이트 Viewpoints of the Iranian political and military elites http://en.merc.ir/de[...] 2013-06-10
[118] 서적 World Conflicts: A Comprehensive Guide to World Strife Since 1945 Bloomsbury
[119]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0] 서적 The Gulf War: Its Origins, History and Consequences https://archive.org/[...] Methuen
[121] 서적 The Iran–Iraq War (1980–1988)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1-14
[122] 웹사이트 The Gulf War, 1991 https://history.stat[...] 2023-11-14
[123] 논문 The Battle of al-Khafji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2002-06
[124] 서적 The Iran–Iraq War: New Inter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125] 웹아카이브 Shaking Hands with Saddam Hussein: The U.S. Tilts toward Iraq, 1980–1983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National Security Archive 2003-02-25
[126] 웹사이트 Declaration of Howard Teicher http://www.gwu.edu/~[...]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Southern District Florida 1995-01-31
[127] 웹사이트 Importer/Exporter TIV Tables http://armstrade.sip[...]
[128] 웹아카이브 Iraq Vows to Quit Iran, Fight Israel https://www.nytimes.[...] 1982-06-10
[129] 웹아카이브 Iran Says Iraqis' Withdrawal Won't End War https://www.nytimes.[...] 1982-06-22
[130] 웹사이트 Can Saddam Be Contained? History Says Yes http://belfercenter.[...]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2002-11-12
[131] 웹아카이브 Navy Theft Ring Linked to Iran Undetected for Years https://www.latimes.[...] 1985-07-16
[132] 서적 Iraq and the War of Sanctions: Conventional Threat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s://archive.org/[...] Praeger
[133] 뉴스 Child-Soldier Treaty Has Wide Support https://www.nytimes.[...] 1988-12-19
[134] 뉴스 Giving one's life to the cause of Islam and Iran. Guarding the revolution's Islamic standards http://www.csmonitor[...] 1985-08-07
[135] 웹사이트 The First Gulf War http://thedignifiedr[...] 2009-06-03
[136] 서적 The Gulf War Brassey's
[137] 서적 The Iranian Military in Revolution and War New York: Routledge
[138] 서적 A Social History of Iranian Cinema The Globalizing Era, 1984–2010 Duke University Press
[139] 서적 The Role of Airpower in the Iran–Iraq War Air University Press
[140] 서적 The Iran–Iraq War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41] 논문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alysis https://www.foreigna[...] 2009-01-28
[142] 웹사이트 Iraq Population 2021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143] 웹사이트 Iran Population 2021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144] 간행물 The Evolution of Iranian Warfighting During the Iran–Iraq War: When Dismounted Light Infantry Made the Difference http://fmso.leavenwo[...] U.S. Army: Foreign Military Studies Office 2007-07-01
[145] 서적 The Lessons of Modern War – Volume II: Iran–Iraq War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146] 웹사이트 Persian Gulf War, 1980–1988: The Mother of All Build-Ups http://www.acig.org/[...] Air Combat Information Group 2003-09-09
[147] 웹사이트 Tanker War 1984–1988 http://www.historyof[...] 2002-10-27
[148] 비디오 Wars in Peace: Iran–Iraq War https://archive.org/[...]
[149] 보고서 Formal Investigation into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ttack on the USS Stark (FFG 31) on 17 May 1987 http://www.jag.navy.[...] U.S. Navy Judge Advocate General's Corps 1987-09-03
[150] 서적 Desert Storm at Sea: What the Navy Really Did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151] 논문 Better Lucky Than Good: Operation Earnest Will as Gunboat Diplomacy https://archive.org/[...] Naval Postgraduate School 2007-06-01
[152] 보고서 Formal Investigation into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ttack of the USS Stark in 1987 http://www.dod.mil/p[...]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and Joint Staff
[153] 웹사이트 Iran: Gradual Superpower Involvement http://reference.all[...] AllRefer
[154] 웹사이트 Seawise Giant http://www.relevants[...]
[155]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ddle East Wars: The United States in the Persian Gulf, Afghanistan, and Iraq Conflicts [5 volumes]: The United States in the Persian Gulf, Afghanistan, and Iraq Conflict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156] 웹사이트 Bombed By Blinders Part 2 http://www.acig.info[...]
[157] 서적 Conflict and Insurgency in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58] 논문 The 'Dawn of Victory' campaigns to the 'Final Push': Part Three of Three http://smallwarsjour[...] Small Wars Foundation 2012-04-23
[159] 웹사이트 The Lessons of Modern War Vol II https://www.csis.org[...] 1990-05-01
[160] 서적 In the name of God: The Khomeini decade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61] 서적 Reinventing Khomeini: The Struggle for Reform in Ir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2] 뉴스 Looking at the unrecognised role of (the drones) 'effort' and 'immigrant' in Dawn Operations 5 and 8 http://www.mashreghn[...] 2011-10-02
[163] 서적 The Arabs at War: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64] 논문 Are Kurds a pariah minority? The New School 2003-03-01
[165] 서적 Islamic History: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6] 서적 Arabs at War: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67] 웹사이트 fatehan.ir http://www.fatehan.i[...]
[168] 웹사이트 Iran–Iraq war http://iraniraqwar.c[...]
[169] 뉴스 Anti-war protests reported in Iran https://news.google.[...] 1985-05-10
[170] 뉴스 Human Wave raid loses Iran's favor https://www.nytimes.[...] 1987-07-05
[171] 웹사이트 Kaveh Farrokh | Western, Pakistani and Egyptian pilots flying Iraqi Combat Aircraft during the Iran–Iraq War https://kavehfarrokh[...]
[172] 웹사이트 Lessons of Modern War: The Iran–Iraq War http://csis.org/file[...]
[173]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4] 웹사이트 The Forgotten Victims of the Iran–Iraq War http://www.payvand.c[...]
[175] 뉴스 1987 Chemical Strike Still Haunts Iran https://www.latimes.[...] 2007-03-19
[176] 서적 The Lessons of Modern War – Volume II: Iran–Iraq War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2-10-06
[177] 뉴스 1988: Thousands die in Halabja gas attack http://news.bbc.co.u[...] BBC 2012-09-09
[178] 뉴스 Officers Say US Aided Iraq in war despite use of gas https://www.nytimes.[...] 2002-08-18
[179]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0] 서적 The Twilight War: The secret history of America's thirty-year conflict with Iran Penguin Press
[181] harvnb
[182] 서적 The Iran–Iraq Wa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4-01-05
[183] 서적 Iran's strategic intentions and capabilitie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184] 학술지 The Iran–Iraq War: Unattainable Objectives http://www.gloria-ce[...] 2009-06-06
[18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bw-event[...]
[186] 뉴스 Iran Reports New Iraqi Gas Raids; And Says Cities May be Hit Next https://www.nytimes.[...] 1988-04-02
[187] 웹사이트 Mersad operation http://www.tebyan.ne[...] Tebyan 2005-07-27
[188] 뉴스 Hussein charged with genocide in 50,000 deaths https://www.nytimes.[...] 2006-04-05
[189] 서적 Iran at War: 1500–1988 Osprey Publishing 2011
[190] 서적 The Soul of Iran: A Nation's Journey to Freedom W.W. Norton & Company
[191] 뉴스 Threats And Responses: Briefly Noted; Iran–Iraq Prisoner Deal https://www.nytimes.[...] 2003-03-14
[192] 서적 The superpowers' involvement in the Iran–Iraq War Nova Science Publishers 1998
[193] 웹사이트 Iran–Iraq War: Legal and International Dimensions http://www.iranrevie[...]
[194] 서적 Hammond Atlas of the 20th Century
[195] 간행물 War Annual: The World in Conflict
[196]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of Conflicts and Their Management 1945–1995
[197] 서적 Lessons Learned: Iran–Iraq War https://fas.org/man/[...] U.S. Marine Corps 1990-12-10
[198]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 서적 The Superpower's Involvement in the Iran Iraq War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 웹사이트 Iran–Iraq war 1980–1990 http://www.onwar.com[...]
[201] 잡지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alysis https://www.foreigna[...] 2009-01-28
[202] 보고서 Further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Implementation of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98 http://www.iranian.c[...] U.N. Secretary General's 1991-12-09
[203] 뉴스 Iraq accuses Iran of Scud missile attack https://www.latimes.[...] 2001-04-19
[204] 뉴스 Iran and Iraq remember war that cost more than a million lives https://www.theguard[...] 2010-09-23
[205] 백과사전 Iran–Iraq War http://encarta.msn.c[...] MSN 1988-08-20
[206] 보고서 Iraq's Debt Relief: Procedure and Potential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Debt Relief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1-03-29
[207] 뉴스 Op-ed: The Right Way to Ease Iraq's Debt Burden http://www.iie.com/p[...] 2003-04-28
[208] 뉴스 UAE waives billions of Iraqi debt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7-06
[209] 뉴스 Iraq war reparations to Kuwait could be reduced: UK https://www.reuters.[...] 2009-08-04
[210] 뉴스 Advances in treatment help more people survive severe injuries to the brain https://www.latimes.[...] 2011-01-24
[211] 논문 Minimal debridement or simple wound closure as the only surgical treatment in war victims with low-velocity penetrating head injuries: indications and management protocol based upon more than 8 years follow-up of 99 cases from Iran–Iraq conflict 2003
[212] 서적 Kurdish Ethnonationalism Lynn Rienner Publishers 1992
[213] 뉴스 The Dujail Massacre http://www.indianexp[...] 2006-12-31
[214] 보고서 The Kurds in Post-Saddam Iraq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0-10-01
[215]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6] 서적 The Unfinished History of the Iran–Iraq War: Faith, Firepower, and Iran's Revolutionary Guard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17] 웹사이트 Iran's Revolutionary Guards https://www.cfr.org/[...]
[218] 웹사이트 ببینید {{pipe}} اعلام رسمی هزینه‌های جنگ تحمیلی توسط عالی‌ترین مقام نظامی کشور برای اولین بار https://www.khabaron[...] 2020-09-27
[219] 서적 The Shia revival: How Conflicts Within Islam Will Shape the Future W.W. Norton
[220] 서적 The soul of Iran a nation's journey to freedom W.W. Norton & Co
[221] 웹사이트 در گفت و گو با هوشنگ صمدی، فرمانده تکاوران نیروی دریایی مستقر در خرمشهر مطرح شد/ گلایه های ناخدای خونین شهر از کیمیا – دولت بهار http://www.dolatebah[...]
[222] 뉴스 The Arming, and Disarming, of Iran's Revolution 1987-09-19
[22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4]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5]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6]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7] 뉴스 It's a Pity Somebody Has to Win http://www.nationalr[...] 2012-03-03
[228] 서적 Iranian perspectives on the Iran–Iraq War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29] 서적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1945–1996 Greenwood Publishing Group
[230] 웹사이트 SIPRI Database http://armstrade.sip[...]
[231]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French Reportedly Sent Iraq Chemical War Tools https://query.nytime[...] 1990-09-21
[232] 간행물 UNSCOM's Comprehensive Review http://cns.miis.edu/[...]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33] 서적
[234] 보고서 Comprehensive Report of the Special Advisor to the DCI [Director of Central Intelligence] on Iraq's WMD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7-04-27
[235] 보고서 The Administration's Iraq Gate Scandal https://fas.org/spp/[...] Congressional Record 1992-05-19
[236] 뉴스 Israel sends spares for US arms to Iran 1980-11-02
[237] 서적 The Iran–Contra Connection: Secret Teams and Covert Operations in the Reagan Era https://archive.org/[...] Black Rose Books Ltd. 1987
[238] 웹사이트 SIPRI Database http://armstrade.sip[...]
[239] 논문 Iran's Strategy for Saving Asad Middle East Institute 2015
[240] 웹사이트 La Libye 'rééquilibre' sa position au profit de l'Irak https://www.lemonde.[...] 1987-09-12
[241] 웹사이트 La guerre du Golfe Le colonel Kadhafi critique la France et l'Iran https://www.lemonde.[...] 1987-04-25
[242] 서적 El camino de la libertad: la democracia año a año (1986) El Mundo
[243] 서적 The New Turkish Republic: Turkey as a Pivotal State in the Muslim World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244] 서적 Spider's Web: The Secret History of How the White House Illegally Armed Iraq Bantam Books
[245] 서적 The Death Lobby: How the West Armed Iraq Houghton Mifflin Company
[246] 서적 The Outlaw State: Saddam Hussein's Quest for Power and the Gulf Crisi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47] 서적 The Iran–Iraq War: New Inter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248] 뉴스 The USS Vincennes: Public War, Secret War https://web.archive.[...] 1992-07-01
[249] 웹사이트 Presentation on Gulf Oil Disruption 5–22–84 https://web.archive.[...] 2013-08-21
[250] 뉴스 Exclusive: CIA Files Prove America Helped Saddam as He Gassed Iran https://foreignpolic[...] 2013-08-26
[251] 웹사이트 In 1987, a Secret Iraqi Warplane Struck an American Frigate and Killed 37 Sailors http://webarchive.lo[...] 2016-07-27
[252] 서적 The Great War for Civilisation: The Conquest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253] 학술지 Rules of Engagement for Land Forces: A Matter of Training, Not Lawyering https://www.loc.gov/[...] 1994-12-31
[254] 서적 No Higher Honor: Saving the USS Samuel B. Roberts in the Persian Gulf https://web.archive.[...] Naval Institute Press
[255] 서적 Eradicating Terrorism from the Middle East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Switzerland
[256] 뉴스 Iran Still Haunted and Influenced By Chemical Weapons Attacks https://world.time.c[...] 2014-01-20
[257] 서적 Dreams and Shadows: The Future of the Middle East https://archive.org/[...] Penguin Press
[258] 서적 History's Greatest War Global Media
[259] 뉴스 In Iran, grim reminders of Saddam's arsenal http://www.nj.com/sp[...] 2002-10-27
[260] 간행물 Center for Documents of The Imposed War, Tehran. (مرکز مطالعات و تحقیقات جنگ) Center for Documents of The Imposed War 2012-11-30
[261] 웹사이트 Iraqi Scientist Reports on German, Other Help for Iraq Chemical Weapons Program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62] 웹사이트 Exclusive: CIA Files Prove America Helped Saddam as He Gassed Iran https://foreignpolic[...] ForeignPolicy.com 2013-08-26
[263] 보고서 Report of the mission dispatched by the Secretary-General to investigate allegations of the use of chemical weapons in the conflict betwee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and Iraq S/17911 http://www.securityc[...] Security Council Report 1986-03-12
[264] 보고서 Chemical Weapons Use in Kurdistan: Iraq's Final Offensive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1988-09-21
[265] 뉴스 U.S. Says It Monitored Iraqi Messages on Gas https://www.nytimes.[...] 1988-09-15
[266] 서적 Iran, Iraq, and the legacies of war MacMillan
[267] 서적 Understanding Iran Alphan
[268]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9] 뉴스 Saddam admits Iran gas attacks https://web.archive.[...] 2006-12-19
[270] 서적 Medical Aspects of Chemical and Biological Warfare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Department of the Army, United States of America
[271] 백과사전 Iraq vii. Iran–Iraq War http://www.iranicaon[...] 2006-12-15
[272] 웹사이트 America Didn't Seem to Mind Poison Gas http://www.globalpol[...] 2003-01-17
[273] 웹사이트 Arming Iraq and the Path to War https://web.archive.[...] U.N. Observer & International Report 2003-03-31
[274] 서적 A Poisonous Affair: America, Iraq, and the Gassing of Halabj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5] 서적 The Outlaw State: Saddam Hussein's Quest for Power and the Gulf Crisi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76] 서적 Republic of Fear: The Politics of Modern Iraq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7] 뉴스 Iran: Eyes on the Skies Over Bushehr Nuclear Reactor https://web.archive.[...] 2010-08-06
[278] 서적 Radical Responses to Radical Regimes: Evaluating Preemptive Counter-Proliferation https://wayback.arch[...] National Defense University Library 1980
[279] 웹사이트 Osiraq: Iraq Special Weapons Facilities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80] 학술지 Preventive Attacks Against Nuclear Programs and the "Success" at Osiraq http://www.diplomati[...] The Montere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2005-07-31
[281] 논문 Osirak Redux? Assessing Israeli Capabilities to Destroy Iranian Nuclear Facilities http://belfercenter.[...]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2012-11-06
[282] 웹사이트 پايگاه هشتم شكاري https://web.archive.[...] Airtoair 2011-08-02
[283] 웹사이트 I Persian Gulf War: Iraqi Invasion of Iran, September 1980 http://www.acig.info[...] 2018-04-10
[284] 웹사이트 Hind in Foreign Service / Hind Upgrades / Mi-28 Havoc http://www.airvector[...] 2012-09-16
[285] 서적 Boevye vertolety Rossii. Ot "Omegi" do "Alligatora" Yuza & Eksmo
[286] 서적 The Iran–Iraq War, A Military and Strategic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7] 서적 Sacred Rage: The Wrath of Militant Islam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88] 뉴스 Iran–Iraq War, 30 Years Later: From Foes to Allies with U.S. In Between https://www.newsweek[...] 2018-08-20
[289] 웹사이트 Iraqi Christians were safer under Saddam https://www.archbalt[...] 2012-01-19
[290] 웹사이트 Iraqi Christians want a stronger state and weaker militias – opinion https://www.jpost.co[...] 2022-04-24
[291] 뉴스 Iraqi Christians' long history https://www.bbc.com/[...] BBC News 2010-11-01
[292] 웹사이트 Reflecting on the Iran–Iraq War, Thirty Years Later https://web.archive.[...]
[293] 논문 What the Iran–Iraq War Tells Us about the Future of the Iran Nuclear Deal 2017-06-01
[294] 논문 The New Iraqi Challenge to Iran
[295] 논문 The Iran–Iraq War: A Reassessment 2010-06-01
[296] 논문 Iran's Foreign Policy in Post-Invasion Iraq 2008-01-01
[297] 웹사이트 Iraq War Summary, Causes, Combatants, & Facts https://www.britanni[...]
[298] 논문 'Saddam's Qadisiyyah': Religion and history in the service of state ideology in Baʿthi Iraq Taylor & Francis 2014-11-01
[299] 뉴스 سرودی حماسی که به تیتراژ "خبر" تبدیل شد/ ما مسلح به "الله اکبر"یم – خبرگزاری مهر اخبار ایران و جهان Mehr News Agency https://www.mehrnews[...] 2021-03-05
[300] 웹사이트 イラン=イラク戦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01] 웹사이트 (4)イラン・イラク紛争 https://www.mofa.go.[...] 外務省 1988
[302] 웹사이트 Legacy of Iran-Iraq War still reverberates 40 years later https://www.aljazeer[...] アルジャジーラ 2020-09-22
[303] 서적 昭和55年 写真生活 ダイアプレス
[304] 논문 Iraq: New Power in the Middle East
[305] 서적 The other Iraq: pluralism and culture in Hashemite Iraq Stanford University Press
[306] 웹사이트 Iraq's Army Was Once World's 4th-Largest https://www.ourmidla[...]
[307] 서적 Kurdish Politics in the Middle East Lexington Books
[308] 서적 石油と中東が世界を決める 時事通信社 1987-07
[309] 서적 The Economy of Iraq: Oil, Wars, Destruction of development and Prospects, 1950–2010 https://books.google[...] ABC-CLIO
[310] 서적 The Economy of Iraq: Oil, Wars, Destruction of development and Prospects, 1950–2010
[311] 서적 イラクとアメリカ
[312] 웹사이트 SIPRI Database http://armstrade.sip[...]
[313] 서적 Regime Finance and Procurement デュルファー報告
[314] 웹사이트 SIPRI Database http://armstrade.sip[...]
[315] 뉴스 华国锋结束访问不久伊朗为何喊“打倒中国” http://culture.dwnew[...] 2019-02-13
[316] pdf ペルシャ語専門外交官の見たこと、聞いたこと、やろうとしたこと 2.語学研修 http://www2.jiia.or.[...]
[317] 뉴스 Iran's New Alliance With China Could Cost U.S. Leverage The Washington Post 2004-11-17
[318] 웹사이트 China-Iraq Ties: Oil, Arms, and Influence http://sldinfo.com/c[...] Second Line of Defense 2018-03-26
[319] 웹사이트 china and the iran-iraq conflict https://www.cia.gov/[...] CIA 2019-07-15
[320] 서적 The Secret War with Iran Free Press 2008
[321] 서적 Treacherous Alliance: The secret dealings of Israel, Iran and the United States Yale University Press 2007
[322] 서적 The King of Oil: The Secret Lives of Marc Rich
[323] 뉴스 Marc Rich, the Man Who Sold Iranian Oil to Israel Haaretz 2013-06-27
[324] 뉴스 Book on Marc Rich Details Oil Deals With Iran and Others NYTimes 2009-10-15
[325] 간행물 労働党第6回大会の年 : 1980年の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 https://doi.org/10.2[...] アジア経済研究所 1981
[326] 웹사이트 DPRK Diplomatic Relations http://www.ncnk.org/[...]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16-08-29
[327] 웹사이트 イラン・イラク戦争における北朝鮮のイラン派兵 https://www.erina.or[...] 環日本経済研究所 2016-08-29
[328] 웹사이트 日雇いアルバイトでイラクへ行った。そこで見た地獄 https://m.job-list.n[...]
[329] 웹사이트 日本とトルコ 125年の友情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330] 웹사이트 第9話 『なぜ、日本は救援機を出さなかったか?その真実を知る』 http://ertugrul.or.j[...]
[331] 서적 トルコ 世界一の親日国 明成社
[332] 웹사이트 トルコの時代 http://www.turkey.jp[...] トルコ共和国大使館 2013-12-02
[333] 뉴스 U.S. Sees 'Troubling' Tilt by Pakistan to Ir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10-20
[334] 웹인용 Zia Ul-Haq On The Iran/Iraq War https://www.youtube.[...] BBC World 2013-10-20
[335] 학술지 Death of a Salesman http://hprsite.squar[...] Harvard Political Review 2016-12-13
[336] 서적 https://books.google[...]
[337] pdf Iran and Syria http://iranprimer.us[...]
[338] 서적 https://books.google[...]
[339] 웹사이트 ISRAEL i. RELATIONS WITH IRAN http://www.iranicaon[...] 2007
[340] 서적 https://books.google[...]
[341] 서적 https://books.google[...]
[342] 서적 Kurdish Politics in the Middle East Rowman & Littlefiedl 2010
[343] 서적 Civil Uprisings in Modern Sudan: The 'Khartoum Springs' of 1964 and 1985 Bloomsbury Academic 2015
[344] 서적 Spider's Web: The Secret History of How the White House Illegally Armed Iraq Bantam Books 1993
[345] 서적 The Death Lobby: How the West Armed Iraq http://www.kentimmer[...] Houghton Mifflin Company 1991
[346] 웹사이트 UK secretly supplied Saddam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1-12-30
[347] 서적 Dancing with Saddam: The Strategic Tango of Jordanian-Iraqi Relation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Institute for Near East Policy / Lexington Books 2016-12-13
[348] 백과사전 Kuwait http://www.britannic[...]
[349] 웹사이트 Iran-Egypt Relations http://www.iranalman[...] Iran Almanac 2012-11-07
[350] 웹사이트 Yugoslavia Arms Sales http://www.mongabay.[...] Environmental News and Information 2012-11-07
[351] 간행물 Italy: Production and Transfer http://www.icbl.org/[...]
[35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04-06-01
[353] 웹인용 Brief History of Qatar https://web.archive.[...] 2012-11-07
[354] 뉴스 The Odd Couple https://web.archive.[...] Saudi Research and Publishing Company 2012-03-22
[355] 웹인용 Wayback Machine http://projects.sipr[...] 2004-06-01
[356] 웹인용 Country Study: Iran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357] 웹인용 Iran–Iraq War (1980–1988)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John Pi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