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승휴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9세에 학문을 시작하여 1252년 과거에 급제한 후 관직에 나섰으며,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문재를 떨쳤다. 우사간, 전중어사 등을 역임했으나, 간언으로 파직된 후에는 《제왕운기》와 《동안거사집》을 저술했다. 그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서사시 형태로 담은 《제왕운기》를 통해 민족의 자주성을 강조했으며, 1300년에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승휴는 9세에 독서를 시작하여 12세에 신서(申諝)에게서 《춘추좌씨전》과 《주역》을 배웠다.[2] 14세에 부친상을 당하고 외가 대고모부[3]인 북원군부인(北原郡夫人) 원씨(元氏) 슬하에서 자랐다. 이후 몽골의 고려 침입으로 고려 정부가 강화한 강화도에서 낙성재(樂聖齋) 도회소(都會所)에서 수업하며 많은 사람들과 교우 관계를 맺었다.[3]
2. 생애
1252년(고종 39년) 과거에 급제하고,[3][4] 1273년(원종 14년)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황후와 황태자 책봉을 하례했다. 귀국 후 우사간(右司諫)을 거쳐 전중어사(殿中御史)가 되었으나, 탐관오리 7명의 죄상을 밝혀 가산을 몰수한 일로 동주부사(東州副使)로 좌천되었고, 이 시기에 동안거사(動安居士)라는 호를 지었다.[6]
1280년(충렬왕 6년) 전중시사(殿中侍史)로서 감찰시사(監察侍史) 심양(沈諹) 등과 함께 국왕의 실정과 측근 인물들의 전횡을 10개조로 간언했다가 파직되었다.[7] 이후 한동안 벼슬을 떠나 용안당(容安堂)에서[8] 《제왕운기》와 《내전록》을 저술하였다.[6] 1300년(충렬왕 26년) 10월 2일(양력 11월 13일) 77세로 사망했다.[6][9]
2. 1. 어린 시절과 수학
9세에 독서를 시작하여 12세에 신서(申諝)에게서 《춘추좌씨전》과 《주역》을 배웠다.[2] 14세에 부친상을 당하고 외가 대고모부[3]인 북원군부인(北原郡夫人) 원씨(元氏) 슬하에서 양육되었다.
2. 2. 과거 급제와 관직 생활
1252년(고종 39년) 과거에 급제했다.[3][4] 삼척으로 금의환향했으나, 몽고의 침입으로 환도하지 못하고 두타산 구동(龜洞)에서 농사를 지으며 홀어머니를 봉양했다.[3][6]
1273년(원종 14년)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황후와 황태자 책봉을 하례했다. 그의 표문(表文)은 원 세조(世祖)와 낭리(郎吏)들을 탄복시켰다. 동행했던 송송례는 “문장이 중국을 감동시킨다는 말은 임자를 두고 하는 말이오.”라고 말했다.[5]
귀국 후 우사간(右司諫), 전중어사(殿中御史)를 역임했다. 탐관오리 7명의 죄상을 밝혀 가산을 몰수한 일로 동주부사(東州副使)로 좌천되었으며, 이 시기에 동안거사(動安居士)라는 호를 지었다.[6]
1280년(충렬왕 6년) 전중시사(殿中侍史)로서 감찰시사(監察侍史) 심양(沈諹), 잡단(雜端) 진척(陳倜), 시사(侍史) 문응(文應) 등과 함께 국왕의 실정과 측근 인물들의 전횡을 10개조로 간언했다가 파직되었다.[7]
2. 3. 은거와 저술 활동
1280년(충렬왕 6년) 이승휴는 전중시사, 감찰시사 심양(沈諹), 잡단 진척(陳倜), 시사 문응(文應) 등과 함께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 인물들의 전횡을 10개 조로 간언했다가 파직되었다.[7] 이후 한동안 벼슬을 떠나 용안당(容安堂)에서[8] 《제왕운기》와 《내전록》을 저술하였다.[6]
2. 4. 사망
1300년(충렬왕 26년) 10월 2일(양력 11월 13일) 77세로 사망했다.[6][9] 성품이 정직하여 세상 사람들과 달리 어떤 것도 요구하지 않았으며,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다.[6]
2. 5. 성품
이승휴는 성품이 정직하여 세상 사람들과 달리 어떤 것도 요구하지 않았으며,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다.[6]
3. 저서
3. 1. 《제왕운기》
《제왕운기》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서사시 형태로 저술하여 민족의 자주성을 강조한 책이다.[2]
3. 2. 《동안거사집》
《동안거사집》은 이승휴의 시문집이다.
4. 이승휴가 등장하는 작품
MBC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2017년)에서 엄효섭이 이승휴 역을 연기했다.[1]
4. 1. 드라마
MBC 2017년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에서 엄효섭이 이승휴 역을 연기했다.5. 한국어 번역
진성규중국어 옮김, 《동안거사집》, 지만지, 2009년 1월 23일(초판)/2020년 7월 15일(개정판)
참조
[1]
서적
《전고대방》 권1, 만성시조(萬姓始祖)
[2]
논문
이승휴의 자료 검토-‘村居自誡文’을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2022
[3]
서적
《동안거사집》 권1, 병과시(病課詩) 서문
[4]
서적
《고려사》 권73, 〈지〉27, [선거1], 과목1, 선장
1252-04
[5]
서적
《동안거사집》 권4, 빈왕록 서문
[6]
서적
《고려사》 권106, 〈열전〉19, 이승휴
[7]
서적
《고려사》 권29, 〈세가〉29 , 충렬왕 6년(1280) 3월 14일(을묘); 《고려사》 권106, 〈열전〉19, 심양
1280-03-14
[8]
문서
[9]
서적
《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6년(1300) 10월 2일(계유)
1300-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